[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3573Y1 - Drinking cup - Google Patents

Drinking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73Y1
KR200383573Y1 KR20-2005-0003629U KR20050003629U KR200383573Y1 KR 200383573 Y1 KR200383573 Y1 KR 200383573Y1 KR 20050003629 U KR20050003629 U KR 20050003629U KR 200383573 Y1 KR200383573 Y1 KR 200383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otruding
edge
filt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6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수에페이 시
Original Assignee
수에페이 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에페이 시 filed Critical 수에페이 시
Priority to KR20-2005-000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기타 고분자 재료로 성형된 휴대에 간편한 음용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컵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컵 몸체의 외주 벽면에 다수의 수직 또는 경사진 돌출줄무늬를 형성하고, 컵 내부에 여과컵을 설치하며, 그 개구 부위를 투명뚜껑으로 덮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용기 외부 표면에 구비된 돌출줄무늬를 통하여 손과 용기 표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음료 또는 차가운 음료를 막론하고, 장시간 손에 쥐고 있어도 손을 데이거나 또는 물기에 젖는 불쾌감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이러한 돌출줄무늬는 용기의 강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컵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여과컵은 찻물을 쉽게 우려내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찻잎 찌꺼기를 걸러낼 수도 있다. 투명뚜껑의 고안은 컵 내부의 차 또는 음료 및 그 우려내는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동시에 시각적인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특히 가정을 떠나 야외 활동 시 휴대가 간편한 일종의 위생적이고 청결한 플라스틱 음용 용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rinking cup molded from plastic or other polymer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body, and forms a plurality of vertical or inclined protruding strip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up body, installs a filter cup inside the cup, and covers the opening portion with a transparent lid.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hands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protruding stripe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so that hot or cold beverages can be held for a long time without the discomfort of burning or getting wet. At the same time, these protruding stripes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cup is not easily deformed. The filter cup not only makes the tea easy to brew, but it can also filter out the tea leaves. The design of the transparent lid clearly shows the tea or drink inside the cup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so that people can enjoy tea and visual enjoyment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hygienic and clean plastic drinking container that is easy to carry, especially when away from home.

Description

음용 컵{DRINKING CUP}Drinking Cup {DRINKING CUP}

본 고안은 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기타 고분자 재료로 성형된 휴대하기 간편한 음용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rinking cup molded of plastic or other polymer material.

일회용 컵은 그 제작 원가가 낮아 쉽게 사용하고 버릴 수 있으며, 중복 사용으로 인한 질병의 전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 중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매끄럽고, 두께가 균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벽면을 매우 얇게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컵은 사용 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Disposable cups are easy to use and discard because of low manufacturing cost, and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have a fea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 due to duplicate use. The surface of the disposable plastic cup in the prior art is generally smooth, has a uniform thickness structure, and the wall surface is made very thin in order to save material. Cups of this structure have the following drawbacks when used.

1) 뜨거움 또는 차가움을 방지하는 설계가 없다: 예를 들어 뜨거운 음료를 담았을 때, 수온이 신속하게 컵 전체에 확산되어, 너무 뜨거워 컵을 잡고 있을 수가 없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컵 받침의 도움을 받거나 또는 기타 물건으로 그 외부를 감싼 후 쥐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고, 또한 여름에 찬 음료를 담았을 때, 컵의 외부 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하여 손에 쥐는 느낌이 좋지 않을 수가 있다.1) There is no design to prevent hot or cold: For example, when a hot drink is filled, the water temperature quickly spreads through the cup, so it is too hot to hold the cup. It is quite inconvenient to use it because it must be held or wrapped around it with other objects, and when you drink cold drinks in summer, water droplets may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making it uncomfortable to hold in your hand.

2) 강도가 약하여 변형되거나 기울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음료를 담은 후, 컵의 벽면이 비교적 얇기 때문에 강도에 한계가 있어 손으로 쥐는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만약 컵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려면 컵의 상부 테두리를 잡을 수 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변형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도 없다.2) The strength is weak and easily deformed or tilted: For example, after a drink, the wall of the cup is relatively thin, which limits its strength and can be deformed by hand-holding force. It is bound to hold the upper edge of the, which is not sanitary and can not completely prevent deformation or tilting.

3) 찻잎 또는 커피의 여과컵이 없다: 직접 컵에다 차 또는 커피를 우리고자 할 때, 찻잎 또는 커피 찌꺼기가 물과 함께 입 안으로 들어가 불쾌할 수 있고, 만약 티백 포장의 차를 이용할 시에도 미관 상 좋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종류의 컵은 뚜껑이 없기 때문에 차를 우리는 효과도 좋지 않다.3) There are no filter cups of tea or coffee: When you want to drink tea or coffee directly into the cup, the tea or coffee grounds can get into your mouth with water, which can be unpleasant. It's not good, and we don't get a good cup of tea because it doesn't have a lid.

4) 종래 기술 중, 손을 데이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컵이 물러지지 않는 효과를 얻기 위해 통상 플라스틱 컵의 두께를 늘리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제작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4) In the prior art, the thickness of the plastic cup is usually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the hands from digging or to prevent the cup from falling back,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일종의 차를 우려내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강도가 높고, 열 차단 효과가 있으며, 청결한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view of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able, high heat shielding effect, and a clean drinking container, while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brewing a kind of tea.

본 고안은 컵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컵 몸체의 외주 벽면에 다수개의 돌출줄무늬를 설치한다. 상기 돌출줄무늬는 수직 또는 경사형 줄무늬다. 찻잎 여과컵은 상기 컵 몸체 안에 위치하며, 그 개구 부위를 투명한 뚜껑으로 덮는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body, and installs a plurality of protruding strip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up body. The protruding stripes are vertical or oblique stripes. The tea leaf filter cup is located in the cup body and covers the opening with a transparent li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컵 몸체의 내벽에 모두 고리형 계단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리형 계단부의 상방에 고리형 돌출 턱이 설치되거나 또는 약간의 돌출블록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필터를 고리형 계단부와 돌출 턱 또는 돌출 블록 사이에 놓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inner wall of the cup body is provided with an annular staircase, an annular protruding jaw is installed above the annular staircase or some protrusion blocks are evenly distributed, and the filter is looped. Place it between the type stair and the protruding jaw or protruding block.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가 고리형 테두리와 저부에 구멍이 뚫린 원뿔 형태의 트레이 두 부분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그 중 고리형 테두리에 약간의 여과구멍이 개설되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composed of two parts of a tray having a conical shape with a hole in the annular rim and a bottom thereof, and some filtration holes are opened in the annular rim.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 테두리의 일부분이 위를 향해 접히도록 하여 하나의 폴딩에지를 형성하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annular rim is folded upward to form one folding edge.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에 하나의 확대된 저부 개방구멍을 갖추도록 하고, 직경이 상기 개방구멍보다 큰 부유공(浮游球)이 컵 몸체 안에 놓이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as one enlarged bottom opening hole, and a floating hol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opening hole is placed in the cup body.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여과컵을 상기 컵 몸체 내부에 위치시키고, 그 개구부에 외부로 확장되는 돌출테두리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테두리를 아래를 향해 구부림으로써 컵 몸체의 개구 테두리에 끼워지는 오목홈을 형성하고, 여과컵의 개구부위에 투명한 뚜껑이 덮이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up is positioned inside the cup body, and has a protruding edge that extends outwardly in the opening, and is fitted to the opening edge of the cup body by bending the protruding edge downward. A recess is formed and a transparent lid is covered over the opening of the filter cup.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뚜껑의 가장자리에 돌출테두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를 아래를 향해 구부림으로써 하나의 고리형 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중간 부위에 노브(knob)를 설치하되, 상기 노브의 높이가 돌출테두리의 높이보다 낮거나 혹은 같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order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id, and also by bending the protruding border downward to form a ring-shaped groove, a knob (knob) is installed in the middle However, the height of the knob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dge.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뚜껑 하부 표면을 아래로 연장하여 하나의 원통형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 안에 우려낼 음용 식품을 담도록 하며, 그 저면을 밀봉재로 밀봉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lid extends to form one cylindrical body, to contain the food for drinking i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bottom surface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벽에 수나사를 구비하고, 암나사를 구비한 마개 너트가 이와 결합되도록 한다.A male screw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stopper nut having a female screw is coupled thereto.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형 몸체를 뚜껑과 분리시켜, 상부 표면에 돌출테두리를 지닌 밀봉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가 찻잎 여과컵와 투명 뚜껑 사이에 지탱되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body is separated from the lid to form a sealed container with a protruding edge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container is supported between the tea leaf filter cup and the transparent lid.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뚜껑의 가장자리에 돌출테두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를 아래로 구부려 하나의 고리 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중간 부위에 하나의 노브를 구비하되, 상기 노브의 높이는 돌출테두리의 높이보다 낮거나 혹은 같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edge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id, and also bent the protruding border to form a ring groove, one knob in the middle portion, the knob The height of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dge.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뚜껑 하부 표면을 아래로 연장하여 하나의 원통형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에 우려낼 음용 식품을 담도록 하며, 그 저면을 밀봉재로 밀봉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ten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lid to form a cylindrical body, to contain the food to drink to the cylindrical body, the bottom surface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본 고안의 좀 더 발전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부 벽면에 수나사를 구비하고, 암나사를 구비한 마개 너트가 외부 나선무늬와 결합되도록 한다.In a more advanc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is provided with a male thread, and the stopper nut having a female thread is coupled to the outer spiral pattern.

본 고안은 용기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돌출줄무늬를 통하여 손과 용기 표면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 혹은 찬 음료를 막론하고, 장시간 손에 들고 있어도 손을 데이는 일 또는 물기에 젖는 불쾌감이 없다. 또한 돌출줄무늬가 전체 둘레의 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열 차단을 위해 벽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을 없앨 수 있어, 상대적으로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러한 돌출줄무늬는 용기의 강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여과컵은 찻물을 쉽게 우려내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찻잎 찌꺼기를 걸러낼 수도 있다. 투명 컵 뚜껑의 설계는 컵 내부의 차 또는 음료를 우려내는 과정이 일목요연하게 보이므로 사람들이 차를 즐기는 동시에 시각적인 즐거움을 동시에 맛볼 수 있어, 본 고안은 특히 가정을 벗어나 야외활동 시 휴대하기 적합한 일종의 위생적이고 청결한 플라스틱 음료수 용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hands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protruding strip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regardless of whether it is hot or cold, and there is no discomfort to wet hands or wet hands even if it is hel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stripe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all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 that the wall is generally thickened for heat shielding, thereby saving the raw material rel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ding stripe It does not deform easily because it increases strength. The filter cup not only makes the tea easy to brew, but it can also filter out the tea leaves. The design of the transparent cup lid makes the process of brewing the tea or drink inside the cup seem obvious, so that people can enjoy the tea and visual enjoyment at the same time. Hygienic and clean plastic beverage container.

이하 컵을 예로 들어 첨부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은 컵 벽과 컵 저부로 컵 몸체(1)를 구성하며, 컵 벽에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다수의 수직 돌출줄무늬(11)를 일체로 성형하되,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 돌출줄무늬로 인하여 입으로 느끼는 쾌적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돌출줄무늬는 컵 입구로부터 약 1/5 떨어진 부위에서 끝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손이 돌출줄무늬와 접촉될 뿐 컵 표면과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컵에 담긴 음료가 뜨거운 음료이거나 차가운 음료이더라도 모두 손을 데이거나 또는 습기에 젖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돌출줄무늬는 열 차단, 냉기 차단의 작용을 하는 것 이외에, 일회용 컵의 강도를 높여주어, 손으로 쥘 때, 손으로 쥐는 힘에 따라 컵이 변형되고, 나아가 컵이 기울어지게 되는 일이 없다.As shown in FIG. 1, the disposabl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cup body 1 with the cup wall and the bottom of the cup, and integrally forms a plurality of vertical protrusions 11 on the cup wall from below to up. However, when the drink is to be drink, the protrusion stripe ends at about 1/5 from the cup inlet so as not to affect the comfort felt by the mouth due to the protrusion stripe. In this way, the hands ar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tripes and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up, so that even if the beverage in the cup is a hot or cold beverage, it will not burn or get wet. In addition, the protruding stripe not only acts as a heat shield and a cold air shield, but also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disposable cup, and when the cup is opened, the cup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grasping force and the cup is tilted. none.

상기 컵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낼 때 찻잎을 여과하기 쉽도록, 본 고안은 컵 내벽 상단의 적당한 부위에 고리형 계단부(12)를 가공하고, 상기 계단부(12)에 필터(도시되지 않았음)를 놓는다. 이렇게 하면 컵 안에 담은 찻잎 또는 커피가 효과적으로 격리되면서 음료와 함께 입으로 들어가며 입으로 느끼는 불쾌감이 생기는 일이 없다. 필터가 컵 내부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계단부(12) 상방에 약간의 소형 돌출블록(13)을 설치하여, 필터의 테두리가 계단부와 돌출블록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상기 돌출블록은 별도의 고리형 돌출 턱으로 교체 가능하다.In order to easily filter the tea leaves when the tea is made using the cup,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annular step portion 12 at a suitabl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cup, and filters the step portion 12 with a filter (not shown). Hmm) This effectively isolates the tea leaves or coffee in the cup and prevents the discomfort you get from entering your mouth with the drink. In order to prevent the filter from moving and being fixed inside the cup, some small protruding block 13 is installed above the stepped portion 12 so that the edge of the filter is plac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block. The protruding block is replaceable with a separate annular protruding jaw.

이러한 고리형 계단부(12)의 설치는 컵의 강도를 더욱 높여줄 수 있어, 뜨거운 물을 담거나, 부피가 비교적 크거나 또는 비교적 무거운 물질을 담을 때, 컵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준다. 물론 이러한 고리형 계단부는 필요에 따라 한 줄 이상 설치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of the annular staircase 12 can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up, thus preventing the cup from deforming when containing hot water, a relatively large volume, or a relatively heavy material. Of course, the annular staircase can be installed more than one line if necessary.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분해구조도이다. 상기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컵 몸체(1) 내부에 여과 컵(2)을 넣고, 상기 여과 컵(2)의 개구부에 하나의 투명 뚜껑(3)을 더 덮는다. 상기 여과 컵(2)의 개구부는 외부로 확장되는 돌출테두리(21)를 설치하되, 상기 돌출테두리를 아래로 구부려 컵 몸체(1)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오목홈(2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여과 컵의 구조는 이미 본 출원인의 중국특허출원 제 200320108260.8 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투명뚜껑(3) 역시 가장자리를 돌출테두리(31)의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를 아래로 구부려 하나의 고리형홈(32)을 형성하며, 중간부위에 노브(33)를 설치하되, 상기 노브의 높이가 돌출테두리(31)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세 부분으로 음용 컵을 구성한다. 사용 시, 투명뚜껑(3)을 통해 차가 우려지는 전 과정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음용 시, 뚜껑(3)을 열어 뒤집어 놓은 다음, 여과 컵(2)을 컵 몸체(1)에서 빼 내어 뚜껑(3)에 올려놓아, 여과 컵에 잔류된 찻물이 투명뚜껑(3) 가장자리의 고리형 홈에 흘러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수시로 상쾌한 차를 즐길 수 있다.2 is an exploded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puts the filtration cup 2 inside the cup body 1 shown in FIG. 1 and further covers one transparent lid 3 in the opening of the filtration cup 2. The opening of the filtration cup 2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edge 21 extending to the outside, so as to form a concave groove 22 fitted into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cup body 1 by bending the protruding edge downward. (The structure of such a filter cup is already described in detail in the applicant's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320108260.8, so unnecessary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The transparent lid 3 also has an edge of the protruding edge 31, In addition, the protruding edge is bent down to form one annular groove 32, and the knob 33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knob does not exceed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dge 31. Thus, three parts constitute the drinking cup. When in use, you can enjoy the entire process of car tea through the transparent lid (3), when drinking, open the lid (3) upside down, then remove the filter cup (2) from the cup body (1) lid ( 3), the tea remaining in the filter cup flows into the annular groove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id (3)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you can enjoy the refreshing tea from time to time.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분해구조도이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기초 위에 투명뚜껑에 대하여 좀 더 발전된 개선을 가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투명뚜껑(3) 하부 표면이 아래로 연장되어 하나의 원통형 몸체(34)를 이루며, 상기 원통형 몸체(34) 안에 찻잎 또는 커피 등 우려내고자 하는 식품(도시되지 않았음)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그 저면을 예를 들어 은박지와 같은 밀봉재로 밀봉한다. 사용 시, 뚜껑(3) 저면의 은박지 등 밀봉재를 떼어내기만 하면 찻잎 또는 커피 등이 여과 컵 안으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차를 우려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음료 한 컵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외출할 때 휴대하는 물품을 단순화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을 떠나 외출 시, 이러한 음용 컵을 휴대하기만 하면 별도로 찻잎 또는 커피를 휴대하지 않아도 수시로 집에서와 마찬가지의 음료를 즐길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음용 시 상기 뚜껑(3)을 뒤집어 놓은 후, 여과 컵(2)이 상부가 크고 하부가 작은 원뿔 형태의 구조이기 때문에 여과 컵의 저부가 원통형 몸체(34) 안에 놓일 수 있게 되므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 컵이 더욱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이밖에 투명뚜껑(3)을 통하여 그 안에 담겨진 음용 식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음용자가 선택하기 편리하다.3 is an exploded structure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transparent lid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The structure is a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lid (3) extends downward to form a cylindrical body 34, so that the cylindrical body 34, such as tea leaves or coffee to contain food (not shown) to be concerned The bottom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such as silver foil, for example. In use, simply remove the sealing material such as silver foil on the bottom of the lid (3), tea or coffee, etc. fall into the filter cup, repeat the process of soaking the tea is made of a cup of beverage. This structure, on the one hand, can simplify the goods that people carry when they go out. For example, when you go home, you can enjoy the same drink at home from time to time without having to carry tea leaves or coffee just by carrying these drinking cup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id 3 is turned upside down for drinking,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cup can be placed in the cylindrical body 34 because the filtration cup 2 has a conical structure with a large top and a small bottom. Not only can it be kept clean, but the filter cup can be placed more stably. In addition, through the transparent lid (3)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ype of drinking food contained therein, so that the drinker is convenient to select.

이밖에, 투명뚜껑(3)과 그 하부의 원통형 몸체 역시 분리형 구조로 제작 가능하며, 즉 원통형 몸체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로 하여 찻잎을 보관하는 용기로 제작 가능하며, 그 상부 뚜껑에 하나의 돌출테두리를 형성하여, 여과 컵(2)과 투명뚜껑(3) 사이에 지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id (3) and the cylindrical body of the lower part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separate structure, that is, the cylindrical body can be manufactured as a container for storing the tea leaves using a materi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ir, and one protrusion on the upper lid An edge is formed to be supported between the filtration cup 2 and the transparent lid 3.

도 4와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기초 위에 새로운 필터(4)로 여과 컵을 대체한 실시예의 분해 구조도이다. 상기 필터는 고리형 가장자리(41)와 저부에 구멍(42)이 뚫린 원뿔형 트레이(43)로 구성된다. 그 중 고리형 가장자리(41)에 여과구멍(411)을 개설한다. 사용 시, 상기 필터를 컵 몸체의 고리형 계단부(12)와 돌출블록(13) 사이에 놓아, 찻잎 또는 커피 등이 원뿔형 트레이(43) 저부의 구멍(42)을 통해 컵 몸체(1)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는데, 원뿔형 트레이는 아래를 향하여 일정한 경사도가 있기 때문에 물을 우려낼 때 원뿔형 트레이 면에 잠겨진 찻잎 등이 쉽게 트레이 면을 따라 저부 구멍으로 유입되어 컵 몸체(1)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음용 시, 여과구멍(411)이 찻잎 찌꺼기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며, 저부 구멍이 컵 몸체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용 습관 및 유체 역학에 따라, 찻잎 찌꺼기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새어 나올 수가 없게 된다. 찻물을 우려내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원뿔형 트레이(43)의 면부에 약간의 여과홈 또는 여과구멍(431)을 만든다. 이 때, 상기 음용 컵의 뚜껑(3)은 컵 몸체(1)의 개구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며, 또한 상기 뚜껑은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채택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하부에 찻잎 등을 담는 원통형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4 and 5 are exploded structural views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lter cup is replaced with a new filter 4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2 and 3. The filter consists of an annular edge 41 and a conical tray 43 with a hole 42 in the bottom. The filter hole 411 is opened in the annular edge 41 among these. In use, the filter is placed between the annular step 12 of the cup body and the protruding block 13 so that tea or coffee or the like enters the cup body 1 through the opening 42 of the bottom of the conical tray 43. Since the conical tray has a constant inclination toward the bottom, when the water is soaked, tea leaves locked to the conical tray surface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bottom hole along the tray surface and into the cup body 1. When drinking, the filtration hole 411 blocks the tea debris, and since the bottom hol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up body, tea debris cannot leak out of the hole according to the drinking habit and the hydrodynamics.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of pouring tea, some convex grooves or filtration holes 431 are formed in the face of the conical tray 43. At this time, the lid 3 of the drinking cup is caught by the opening edge of the cup body 1, and the lid adopts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or has a cylindrical shape containing a tea leaf in the lower part shown in FIG. Can adopt the structure.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필터의 다른 구조도이다. 상기 필터(4)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기초 위에, 그 부분적인 테두리를 위로 접어 하나의 폴딩에지(44)를 형성한다. 이렇게 할 경우, 상기 필터(4)가 일측의 개구부를 노출하게 되어, 크기가 큰 찻잎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음용 시, 상기 폴딩에지(44)와 대응되는 한쪽을 통해 음용하면 찻잎 찌꺼기가 입에 들어가는 일이 없다.6 is another structural diagram of a fil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4 forms a folding edge 44 by folding its partial edge up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4 and 5. In this case, the filter 4 exposes the opening of one side, so that a large tea leaf can pass easily. When drinking, when drinking through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edge 44, tea leaves do not enter the mouth.

도 7은 필터(4)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상기 구조는 마찬가지로 크기가 큰 찻잎을 우려내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는 원뿔형 트레이(4)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기초 위에 두고, 트레이 면을 아래를 향해 외부 측면으로 구부려 하나의 확대된 저부 개방구멍(421)을 형성하는 동시에 직경이 상기 개방구멍보다 큰 부유공(5)을 컵 내부에 배치한다. 사용 시 크기가 큰 찻잎이 넓어진 저부의 개방구멍(421)을 통해 컵 몸체(1)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끓인 물로 우려낼 때, 부유공은 부력에 의해 즉시 위로 떠오르며 저부의 개방구멍(421)을 막게 된다. 음용 시, 저부 구멍의 직경이 매우 크더라도 부유공이 막아주기 때문에 찻잎 찌꺼기가 여전히 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뿔형 트레이(4)는 역시 그 트레이 면에 확대된 저부 개방구멍(421)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유공 역시 각종 색깔로 제작 가능하며, 투명 뚜껑을 통해 찻물 속의 다채로운 부유공을 감상할 수 있다.7 is yet another structural diagram of the filter 4. The structure is likewise designed for brewing large tea leaves. This places the conical tray 4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4 and 5, and bends the tray face down to the outer side to form one enlarged bottom opening hole 421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the diameter of the opening hole. The larger floating hole 5 is placed inside the cup. In use, the large tea leaves enter the cup body 1 through the widened opening 421 of the bottom. When boiled with boiled water, the floating hole immediately floats up by buoyancy and blocks the opening 421 of the bottom. do. When drinking, even if the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hole is very large, the floating hole blocks the tea leaves are still leaking. The conical tray 4 may also directly form a bottom opening hole 421 which is enlarged in the tray face. The floating ball can also be produced in various colors, through the transparent lid can appreciate the colorful floating ball in the tea.

도 8은 하부에 원통형 몸체를 구비한 투명뚜껑(3)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은박지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떼어낼 때, 분리되는 면에 왕왕 거칠거칠한 조각이 남아 외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안자는 원통형 몸체의 외벽에 수나사(341)를 설치하고, 암나사를 구비한 마개 너트(35)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음용품이 상기 원통형 몸체 안에 밀봉되도록 하였다. 사용 시, 너트(35)를 돌려 열기만 하면 음용품이 컵 몸체(1)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나아가 차를 우려내는 순서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3)은 본 고안의 각종 컵 구조에 적용된다.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parent lid (3) having a cylindrical body at the bottom. As it is sealed using silver foil, when peeled off, rough rough pieces may remain on the separated surface to affect the appearance. Therefore, the inventor installed a male screw 341 on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by using a stopper nut 35 having a female screw to ensure that the drink is sealed in the cylindrical body. In use, simply turn the nut 35 to open the beverage item into the cup body 1, and further proceeds to car tea. This lid 3 is applied to various cup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은 간편하고 위생적이며 티백 포장 또는 캡슐형 포장 차 또는 기타 음료와 결합되어, 특히 외출 시 또는 야외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As mentioned above, the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ple and hygienic and are combined with tea bag packaging or capsule-packed tea or other beverages, in particular suitable for use outdoors or outdoors.

이와 유사하게, 인스턴트 식품이 널리 보급된 상황에서, 상기 컵 구조는 면이나 밥 또는 국 등을 담을 수 있는 사발 또는 기타 용기로 확장 가능하며, 열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비교적 무거운 물품을 담는 데에도 역시 높은 강도로 인해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Similarly, in the context of the widespread use of instant foods, the cup structure can be expanded to a bowl or other container that can hold cotton, rice or soup, etc., and can not only achieve heat shielding effect, but also such relatively heavy items. In addition to the high strength can also be remarkable effect.

본 고안은 둘레 벽에 돌출줄무늬 구조를 채택하고, 컵 본체의 두께를 늘리지 않기 때문에 열 차단 및 냉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원자재의 원가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 효과가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protruding stripe structure on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does not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up body, so that the heat shielding and cold prevention effects can be obtained, and the cost of raw materials can be relative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 effect.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당업자가 이를 통해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교체 구조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obtain a variety of modifications or replacement structure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rough thi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와 뚜껑을 구비한 컵의 실시예 분해도 및2 to 5 is an embodiment exploded view of a cup having a filter and a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분해도이다.3 to 8 is an exploded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컵 몸체 2 : 여과컵1 cup body 2 filter cup

3 : 투명뚜껑 4 : 필터3: transparent lid 4: filter

11 : 돌출줄무늬 12 : 계단부11: protrusion stripe 12: step

13 : 돌출블록 21 : 돌출테두리13: protrusion block 21: protrusion border

22 : 오목홈 31 : 돌출테두리22: concave groove 31: protrusion border

32 : 고리형 홈 33 : 노브32: annular groove 33: knob

34 : 원통형 몸체 35 : 너트34: cylindrical body 35: nut

41 : 고리형 가장자리 42 : 구멍41: annular edge 42: hole

43 : 원뿔형 트레이 44 : 폴딩에지43: conical tray 44: folding edge

341 : 수나사 411 : 여과구멍341: external thread 411: filtration hole

421 : 개방구멍 431 : 여과구멍421 opening hole 431 filtering hole

Claims (15)

컵 몸체(1)를 구비한 음용 컵에 있어서,In a drinking cup having a cup body (1), 상기 컵 몸체의 외주 벽에 다수의 돌출줄무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ding stripes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up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줄무늬는 수직형 또는 경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protruding stripe is a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or incli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여과컵이 상기 컵 몸체(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컵의 개구부위를 투명뚜껑(3)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drinking cup is located in the cup body (1), the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lter cup with a transparent lid (3).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컵 몸체(1)의 내벽 상부에 고리형 계단부(12)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형 계단부(12)의 상방에 고리형 돌출 턱 또는 다수의 돌출블록(13)이 고르게 분포되어, 필터가 고리형 계단부와 돌출 턱 또는 돌출블록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An annular staircase 12 is installed above the inner wall of the cup body 1, and an annular protruding jaw or a plurality of protruding blocks 13 are evenly distributed above the annular staircase 12, so that a filter is provided.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is located between the annular step and the protruding jaw or protruding block.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필터(4)는 고리형 가장자리(41)와 저부에 구멍(42)이 뚫린 원뿔형 트레이(43) 2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리형 가장자리(41)에 다수의 여과구멍(411)이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filter 4 is composed of an annular edge 41 and a conical tray 43 having two holes 42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411 are opened at the annular edge 41.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고리형 가장자리(41)의 일부분이 위를 향해 접혀 하나의 폴딩에지(4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And a portion of said annular edge (41) is folded upward to form one folding edge (44).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필터는 하나의 확대된 저부 개방구멍(421)이 구비되고, 직경이 상기 개방구멍보다 큰 부유공(5)이 컵 몸체(1) 내부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filter is provided with one enlarged bottom opening hole (421), characterized in that a floating hole (5)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opening hole is placed inside the cup body (1).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여과컵(2)이 상기 컵 몸체(1)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여과컵의 개구부에 외부로 확장되는 돌출테두리(21)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테두리가 아래로 구부러져 컵 몸체(1)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오목홈(22)을 형성하며, 여과컵의 개구부를 투명뚜껑(3)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filter cup (2) is located inside the cup body (1), the opening of the filter cup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edge 21 extending outward, the protruding border is bent down to the opening of the cup body (1) The concave groove 22 is fitted to the edge, and the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lter cup with a transparent lid (3).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투명뚜껑(3)의 가장자리에 돌출테두리(31)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는 아래로 구부러져 하나의 고리형 홈(32)을 형성하고, 중간 부위에 노브(knob)(33)가 설치되되, 상기 노브의 높이는 돌출테두리(31)의 높이보다 낮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Protruding edge 31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id 3, and the protruding edge is bent downward to form one annular groove 32, and a knob 33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But, the height of the knob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dge 31, the drinking cup.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투명뚜껑(3) 하부 표면이 아래로 연장되어 하나의 원통형 몸체(34)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34)에 우려내고자 하는 음용품을 담도록 하고, 그 저면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lid (3) extends downward to form a cylindrical body (34), the cylindrical body (34) to contain a drink to be concerned, and the bottom surface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Drinking cup made with.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벽에 수나사(341)가 구비되고, 암나사를 구비한 마개 너트(35)가 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A male cup 341 is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drinking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nut 35 having a female screw is coupled thereto.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부 표면에 돌출테두리를 지닌 밀봉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여과컵과 투명뚜껑(3) 사이에 지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And a sealing container having a protruding edg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container is supported between the filter cup and the transparent lid (3).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8, 상기 투명뚜껑(3)의 가장자리에 돌출테두리(31)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돌출테두리가 아래로 구부러져 하나의 고리형 홈(32)을 형성하며, 중간 부위에 노브(33)가 설치되되, 상기 노브의 높이는 돌출테두리(31)의 높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Protruding edge 31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id 3, and the protruding edge is bent downward to form one annular groove 32, the knob 33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The height of the knob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edge 31, the drinking cup.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투명뚜껑(3) 하부 표면이 아래로 연장되어 하나의 원통형 몸체(34)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34) 안에 우려내고자 하는 음용품을 담고, 그 저면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lid (3) extends downward to form a cylindrical body (34), containing the beverage items to be brewed in the cylindrical body (34), and sealing the bottom surface with a sealing material. Drinking Cup.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벽에 수나사(341)를 형성하고, 암나사를 구비한 마개 너트(35)가 이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컵.Drinking cup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ale screw (341) on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the stopper nut (35) having a female screw is coupled thereto.
KR20-2005-0003629U 2004-02-10 2005-02-07 Drinking cup KR2003835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29U KR200383573Y1 (en) 2004-02-10 2005-02-07 Drinking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2881 2004-02-10
CN200420042410.4 2004-03-30
KR20-2005-0003629U KR200383573Y1 (en) 2004-02-10 2005-02-07 Drinking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73Y1 true KR200383573Y1 (en) 2005-05-06

Family

ID=4368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29U KR200383573Y1 (en) 2004-02-10 2005-02-07 Drinking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73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3461A1 (en) * 2012-04-25 2013-10-31 Son-Cliff Inc. (D/B/A Gojito)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KR101851669B1 (en) * 2017-07-20 2018-04-25 이승택 Cup set
CN108402844A (en) * 2018-05-10 2018-08-17 芜湖艾尔达科技有限责任公司 It is a kind of to carry the Heating Cup for stewing function
CN108577559A (en) * 2018-05-23 2018-09-28 郑成全 A kind of steaming tea set liner
CN109044046A (en) * 2018-08-16 2018-12-21 闽江学院 A kind of anti-scald cup and its working method
CN113842014A (en) * 2021-08-03 2021-12-28 希诺股份有限公司 Rotary tea-water separation cup with sound struct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3461A1 (en) * 2012-04-25 2013-10-31 Son-Cliff Inc. (D/B/A Gojito)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US9352901B2 (en) 2012-04-25 2016-05-31 Sacar Inc.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KR101851669B1 (en) * 2017-07-20 2018-04-25 이승택 Cup set
CN108402844A (en) * 2018-05-10 2018-08-17 芜湖艾尔达科技有限责任公司 It is a kind of to carry the Heating Cup for stewing function
CN108402844B (en) * 2018-05-10 2024-04-05 芜湖艾尔达科技有限责任公司 Heating cup with stewing function
CN108577559A (en) * 2018-05-23 2018-09-28 郑成全 A kind of steaming tea set liner
CN109044046A (en) * 2018-08-16 2018-12-21 闽江学院 A kind of anti-scald cup and its working method
CN109044046B (en) * 2018-08-16 2024-03-12 闽江学院 Scald preventing cup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3842014A (en) * 2021-08-03 2021-12-28 希诺股份有限公司 Rotary tea-water separation cup with sound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FI122800B (en) Teacup
CN202843327U (en) No-shell egg boiling device
KR200383573Y1 (en) Drinking cup
TWI285094B (en) Drinking vessels
US201702518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CN204169572U (en) Simple and easy tea ceremony Steep drinking cup
TWI829574B (en) Filter element and beverage filter containing the same
CN201798611U (en) Double-layer drip sieve
TWM647403U (en) Filter element and beverage filter containing the same
GB2410888A (en) Disposable cup
CN216358469U (en) Portable tea set
CN107647739B (en) A kind of anti-spilling type cup and its cleaning method convenient for cleaning
CN219578660U (en) Tea with tea filtering ring and easy-to-brew cup
CN107669065B (en) Safety type water cup
CN215457104U (en) Hand-made tea filter cup based on flow rate limitation
CN216364615U (en) Portable tea set
CN222109792U (en) A new type of multifunctional portable teacup
CN209826122U (en) High-practicability combined brewing device
CN218683606U (en) Multifunctional tea set structure
CN216494709U (en) Portable tea set
CN216234023U (en) Portable tea cup
CN219699557U (en) Combined tea set
CN210913252U (en) Teacup set
CN216166728U (en) Tea mak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