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5434Y1 -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434Y1
KR200375434Y1 KR20-2004-0032752U KR20040032752U KR200375434Y1 KR 200375434 Y1 KR200375434 Y1 KR 200375434Y1 KR 20040032752 U KR20040032752 U KR 20040032752U KR 200375434 Y1 KR200375434 Y1 KR 20037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rod
opening
sealing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20-2004-0032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66Slitted tubes with or without a core; U-shaped clips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일면이 개방된 비닐봉지의 밀봉구조개 개시된다.
비닐봉지의 개구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비닐봉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봉형상의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가이드봉을 포함하여서 이루어 지되 상기 삽입봉을 중심으로 상기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180도 접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관통홀에 상기 절개부를 따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수봉을 비닐봉지와 일체로 형성하여 비닐봉지의 밀봉 및 개봉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닐봉지의 밀봉구조{Sealing contructure of vinyl bag}
본 고안은 비닐봉지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닐봉지에 내용물을 담고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내부를 밀폐 시킬 수 있는 비닐봉지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에 노출되면 쉽게 변질되는 약품이나 음식물의 경우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여 장기간 보존 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은 다양하게 나와 있다. 이 중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크게 비닐봉지와 일체로 된 것과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밀폐하는 두가지로 구분된다.
도 6은 종래 일체형 밀폐수단을 구비한 비닐봉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지는 비닐봉지는 지퍼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상품명 지퍼백) 즉 비닐봉지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하여 삽입 분리되는 암지퍼(3) 및 수지퍼(4)로 구성되어 이를 맞물려 삽입되도록하여 밀폐시키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지퍼형의 경우 내부에 내용물이 들어 있어 팽창되어 있을 때 외부의 작은 압력에도 쉽게 상기 암지퍼(3) 및 수지퍼(4)가 벌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상기 암지퍼(3)와 수지퍼(4)를 맞물려 밀봉시키는 작업은 최초 일측 끝단에서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한손으로는 끝단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암지퍼(3)와 수지퍼(4)를 맞물려 결합되도록 타측 끝단으로 밀어줌으로서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대체로 두손을 사용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구조적으로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루 성분의 내용물 또는 물을 차단하는 곳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한계가 설정되어있다.
도 7은 종래 분리형 밀폐수단을 구비한 비닐봉지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반적인 비닐봉지(7)의 개구부의 폭 소정길이 길게 형성된 암봉(5)과 수봉(6)으로 이루어진다(현재 미르봉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 또한 암봉(5)은 내부가 관통된 통형상의 것으로 하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삽입홈(5)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봉(6)이 삽입되어져 있으며, 수봉(8)은 암봉의 일측에는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일정 길이 돌출되어 삽입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봉(6)을 돌출된 비닐봉지(7)의 끝단에 인접한 일측에 위치하고 비닐봉지(7)로 상기 수봉(6)을 감싼 다음 상기 비닐봉지(7)를 수봉(6)과 암봉(5) 사이에 삽입하며 이때 비닐봉지(7)는 상기 암봉(5)의 절개된 삽입홈(5)을 따라 삽입되어져 이동된다.
이러한 물품은 원통형의 암봉(5)의 내주면에 비닐봉지가 접혀져서 위치하고 이때 상기 비닐봉지는 수봉(6) 주위를 감싸져서 위치하게 되어 비닐봉지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작용되는 중력으로 비닐봉지가 하부로 잡아당겨지는 경우에 수봉(6)과 수봉(6)주위에 말려져 있는 비닐봉지 및 암봉(5)의 상대적 위치 구조에 의해 비닐봉지는 하부로 당겨지기만 할 뿐 암봉(5)으로부터 해제되지는 않게된다. 또한 비닐봉지의 내용물과 공기로 인하여 비닐봉지(7)가 팽창하면 할수록 상기 삽입홈(51) 및 상기 수봉(6)과 암봉(5)의 사이는 강하게 밀착되어 밀폐력은 더욱 증가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제품은 비닐봉지를 간편하게 밀봉시키는 새로운 시스템으로 평가되어지나, 최초 비닐봉지(7)의 개방된 상단을 접어서 수봉(6)이 끼워져 있는 암봉(5)의 삽입홈(51)으로 끼워 넣는 동작은 어느 정도 정밀함을 요구하는 동작으로 한 손으로 수행하기에는 불편하며, 또한 잘못 끼워지거나 손에서부터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즉, 밀봉작업의 첫단계는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수봉(6)과 암봉(5)사이로 끼워 넣어야 하는데, 비닐봉지를 평행하게 접는 행위가 매우 부자연스럽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 있는 경우에는 매우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수봉(6)과 암봉(5)의 사이로 끼워 넣어서 수봉(6)과 암봉(5)의 타단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비닐봉지가 삐뚤어져서 진행되기도 하는데, 이는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확실하게 접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부엌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닐봉지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는 미끄러운 액체가 묻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더 더욱 사용상의 불편함이 예상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제품의 경우, 상기 수봉(6) 및 암봉(5)은 비닐봉지(7)와는 별개로 제작되어져서 비닐봉지의 폭보다는 긴 것만이 사용가능하였고, 따라서 비닐봉지의 폭보다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져서 냉장고 등에 수납시에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봉을 비닐봉지와 일체로 형성하여 비닐봉지의 밀봉 및 개봉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된 비닐봉지의 밀봉구조로서, 상기 비닐봉지의 개구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비닐봉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봉형상의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가이드봉을 포함하여서 이루어 지되 상기 삽입봉을 중심으로 상기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180도 접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관통홀에 상기 절개부를 따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의 밀봉구조를 제시한다.
이에 의하면, 삽입봉(수봉, 1)이 비닐봉지에 일체로 형성되어 비닐봉지의 상단부를 접는 작업이 용이하여 비닐봉지의 밀봉 및 개봉작업이 편리해 지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밀봉장치(상표명 미르봉)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봉(6)과 암봉(5)이 결합된 채로 있어서 밀봉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밀봉장치를 쥐고, 다른 한 손으로는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접어야 하는데,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밀봉장치(수봉,암봉)가 비닐봉지의 개구부에 경사지게 삽입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고안에서는 삽입봉(수봉, 1)이 비닐봉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비닐봉지의 상단부를 원하는데로 접을 수 있어 종래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의 밀봉구조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은 상기 비닐봉지의 개구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비닐봉지와 일체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내용물의 양이 작아서 밀봉된 비닐봉지의 블필요한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되는 경우 내용물의 양에 따라서 밀봉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비닐봉지(7)에는 개구부(71)와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는 폭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삽입봉(1)을 구성하고, 상기 삽입봉(1)의 단면에 상응하는 관통홀(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의 저부는 길게 절개된 절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의 일측은 입구가 확장되는 확장부(23)가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보강리브(24)가 형성되는 가이드봉(2)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봉(1)을 삽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닐봉지(7)의 상단을 상기 삽입봉(1)을 감싸는 형태로 접고 내용물이 들어 있는 비닐봉지(7)의 하부가 상기 절개부(22)를 통과하도록 하여 가이드봉(2)을 밀어 넣으면 된다. 이러한 비닐봉지를 접는 작업은 삽입봉(1)이 비닐봉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손으로도 상기 삽입봉(1)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봉(1)은 개구부(71)의 폭과 같거나 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삽입봉(1)의 단면두께는 관통홀(21)에는 용이하게 삽입되어야 하고, 절개부(22)의 폭보다는 두꺼워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상기 삽입봉(1)은 가이드봉(2)과 결합된 상태에서 보아, 역삼각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한편, 합성수지로 제작이 가장 용이한 상기 가이드봉(2)은 반복된 사용이나 외력에 의하여 절개부(22)가 일부분이 확장 변형되는 경우 밀폐력이 떨어짐은 자명할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보강리브(24)를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한다. 또 상기 확장부(23)은 최초 삽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도면의 예와 같이 입구부분의 관통홀(21) 및 절개부(22)의 크기를 확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경사면을 주어 입구를 확장하는 실시예의 안출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절개부(2)의 양단면은 역삼각형인 삽입봉(1)의 단면에 대응하여 하방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L2과 L3가 이루는 각이 L과 L4가 이루는 각보다는 같거나 작은 것이 밀봉의 기밀성 유지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절개부(22)의 단면은 단순히 수직절개하였을 경우 비닐봉지(7)와의 접점이 부분에 따라 차이가 생겨 밀폐력이 떨어지므로 외측에서 좁아져 그 끝단이 일정하게 비닐봉지(7)를 가압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안출이 가능할 것이며 또는 그 단면을 원형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삽입봉(1)은 비닐봉지(7)의 일면 또는 양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할수도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삽입봉(1)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비닐봉지의 내측 또는/및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곳에 2개의 삽입봉(1)이 형성되는 경우(도면에서 d의 경우)에는 접었을 때 가이드봉(2)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삼각단면의 구조를 취하기 보다는 직사각형 단면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a 및 6b는 다른 실시예로서 소위 지퍼백(Zipper bag, 상표명)이 형성된 비닐봉지의 밀봉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밀봉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봉을 비닐봉지와 일체로 형성하여 비닐봉지의 밀봉 및 개봉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종래 일체형 밀폐수단을 구비한 비닐봉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종래 분리형 밀폐수단을 구비한 비닐봉지를 나타낸 개념도

Claims (2)

  1. 일면이 개방된 비닐봉지(7)의 밀봉구조로서
    상기 비닐봉지(7)의 개구부(7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구부(71)의 폭방향으로 상기 비닐봉지(7)와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봉(1)과;
    상기 삽입봉(1)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통형상의 가이드봉(2)을 포함하여서 이루어 지되,
    상기 삽입봉(1)을 중심으로 상기 비닐봉지(7)의 개구부(71)를 180도 접어서 상기 가이드봉(2)의 관통홀(21)에 상기 절개부(22)를 따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1)은 상기 비닐봉지(7)의 개구부(7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구부(71)의 폭방향으로 상기 비닐봉지(7)와 일체로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KR20-2004-0032752U 2004-11-19 2004-11-19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KR200375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752U KR200375434Y1 (ko) 2004-11-19 2004-11-19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752U KR200375434Y1 (ko) 2004-11-19 2004-11-19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27A Division KR20060053478A (ko) 2004-11-16 2004-11-16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434Y1 true KR200375434Y1 (ko) 2005-03-11

Family

ID=4367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752U KR200375434Y1 (ko) 2004-11-19 2004-11-19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4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84U (ko) 2016-11-01 2018-05-10 박해룡 음식물 보관용 파우치
EP4349729A1 (de) * 2022-10-10 2024-04-10 Cofresco Frischhalteprodukte GmbH & Co. KG Beutel für lebensmitt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84U (ko) 2016-11-01 2018-05-10 박해룡 음식물 보관용 파우치
EP4349729A1 (de) * 2022-10-10 2024-04-10 Cofresco Frischhalteprodukte GmbH & Co. KG Beutel für lebensmitt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10B1 (ko) 포장 용기
HU228632B1 (en) Container
US8678651B2 (en) Disposable storage bags
US20100072224A1 (en) Fillable and/or refillable tube
GB2331065A (en) Flexible pouch for highly viscous liquids
JP2006511400A (ja) ガゼットを伴う平底の再閉止自在なパッケージ
CN106573697B (zh) 零食食品容器
KR200375434Y1 (ko)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CN103025618A (zh) 可膨胀容器
JP4603824B2 (ja) ファスナ付き包装袋
KR20060053478A (ko) 비닐봉지의 밀봉구조
JP6887236B2 (ja) 吐出容器
JP2001199464A (ja) 密封容器
JP2016074468A (ja) 包装用箱体
US2705103A (en) Container
ES2274269T3 (es) Paquete para productos de flujo libre o de pasta.
KR200452906Y1 (ko) 수용공간의 분할과 확장이 가능한 지퍼백
KR20020075761A (ko) 배출대
CN210407449U (zh) 一种盒体
JP6554920B2 (ja) 収納容器
JP7129275B2 (ja) 包装袋
US20230036614A1 (en) Flexible, Plastic Bag Having a Resizable Storage Space
RU225578U1 (ru) Пакет упаковочный полимерный
KR20220087284A (ko) 파우치 용기
KR20100008835U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