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80Y1 -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 Google Patents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9680Y1 KR200369680Y1 KR20-2004-0025907U KR20040025907U KR200369680Y1 KR 200369680 Y1 KR200369680 Y1 KR 200369680Y1 KR 20040025907 U KR20040025907 U KR 20040025907U KR 200369680 Y1 KR200369680 Y1 KR 2003696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infant
- vehicle
- child
- c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트의 내측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 요입부에 요입되는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여 필요시 보조시트를 펼치어 사용함으로써, 보조시트의 좌판과 자동차 시트간의 높이차에 의해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보조시트를 완전히 펼치어 간이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편안한 숙면이 가능하도록 한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ss in the inner side of the seat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heet recessed in the recess to expand the auxiliary sheet if necessary, thereby provid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at plate of the auxiliary sheet and the vehicle seat. By using the seat belt mounted on the car as it is, it can be used as it is, as well as the child seat can be used as an extra bed by fully spreading out the auxiliary sheet so that the infant can sleep comfortab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e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에 장착되고 등받이부(11)와 이 등받이부(11)의 일단측에 구비된 좌석부(12)를 갖는 자동차 시트(1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1) 내측에 일정크기를 갖고 내측 상단에 요입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결합공(21)이 통공되며 양측으로 개방된 요입부(20)와; 상기 요입부(20)에 요입되어 이 요입부(20)의 하단 양측에 통공된 결합공(21)에 끼워지는 힌지핀(31)에 의해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2개의 쿠션부재(32)(33)를 갖는 보조시트(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t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a child support seat, the seat portion 12 mounted on the vehicle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ck portion 11 and the back portion 11 In the automobile seat 10 having, the backrest portion 11 has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recessed inlet formed in the upper end and the coupling hole 21 through the lower both sides and the recessed inlet portion 20 open to both sides;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which are lowered by hinge pins 31 inserted into the concave inlet 20 and fitted into coupling holes 21 through holes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ncave inlet 20. A secondary sheet 30 having 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부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 요입부에 요입구비되는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여 아기와 같은 유아를 탑승 시킬 때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시트와의 높이차에 의해 자동차에 벨트만으로도 아기를 보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조시트를 완전히 펼치어 간이 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recess in a seat back portion of a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eat recessed in the recess to secure the safety when boarding an infant such as a baby. In addition to the car seat, the car seat is equipped with a child restraint seat that can be used as a rollaway bed by fully expanding the auxiliary seat as needed by using a belt on the car by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car sea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트는 어른의 신체에 설정되어 설계되어 있고, 안전벨트 또한 어른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어린이나 특히, 유아에게는 사용이 부접합한 면이 있다.In general, seats mounted on automobiles are designed to be set on the body of an adult, and seat belts are also installed high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an adult, and thus there is a side that is unsuitable for use by a child or a child.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시 어린이나 유아에게 안락함과 안전감을 줄 수 없으며, 급제동 또는 불의의 사고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가 없으며, 특히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가 집접운전할 경우에는 더욱 불안하여 이에 신경쓰다보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방해를 주게되는 요인이 된다.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give comfort and safety to children and infants while driving a car,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tect infants from sudden braking or accidental accidents, especially when a guardian with an infant is driving at home. It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safe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유아나 어린이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어린이 안전의자가 다수 개발되었으나, 이는 별도의 안전의자를 유아가 자동차에 승/하차할 때마다 자동차의 시트에 결합/분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불편했으며, 또한 유아용 안전의자의 크기가 가변되지 않고 한정되는 관계로 유아의 몸에 맞지 않아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 number of child safety chairs for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to safely protect infants and children, but this means that separate safety chairs are coupled / disassembled to the seat of the car whenever the infant gets on or off the car. Since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and also because the size of the safety chair for infants is not variable and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fit the body of the infa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유아용 안전의자 또는 안전의자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들이 다수개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seats for a vehicle equipped with various child safety chairs or safety chairs have been devised.
일예로서, 실용신안출원 제1993-29313호인 유아보호용 안전의자가 일체로 결합된 차량용 시트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유아에서 어린이까지의 체격에 맞게 착석시킬 수 있는 에어튜브를 차량용 시트에 일체로 봉합시키고, 상기 유아용 안전의자가 되는 에어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차량용 시트의 내부에 에어튜브가 수용되어지도록 하여 유아가 자동차에 승/하차할 때마다 구비된 에어튜브의 에어공급 여부에 따라 안전의자를 차량용시트에 매번 결합/분해시켜야 하는 폐단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그 공개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부 상단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 본체와 링크를 배개로 축선회하여 보호대를 이루도록 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좌석부와 등받이부에는 에어튜브가 봉합설치되어 상기 좌석부에 봉합된 에어튜브의 상단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의 한쪽편이 봉합되고, 이 슬라이드 파스터의 다른쪽 편은 좌석부에 봉합되어 구성된다.As an example, a seat for a vehicle in which the child protection safety chair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93-29313 is integrally coupled has been devised. This is to seal the air tube that can be seated according to the physique from infants to children integrally in the vehicle seat, so that the air tube is accommodated inside the vehicle seat when not using the air tube that is the safety chair for the infant Therefore, the infant intends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combine / disassemble the safety chair each time in the car sea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ir tube of the air tube provided at each time of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laims of the published publication, A vehicle seat in which a part of the upper back portion of a vehicle seat pivots the back body and the link to the back of the vehicle to form a guard, wherein the seat and the back of the vehicle seat are air-sealed and sutured to the seat. One end of the slide fastener is sealed to the top of the air tube along the edge thereof. The other side of the emitter is composed is sealed to the seat portion.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74037호인 유아용 안전벨트와 머리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시트커버가 안출된 바 있다.As another example, a seat cover for a vehicle with a child seat belt and a head restraint, which i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74037, has been conceived.
이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시트커버 내에 유아용 안전벨트를 간단하게 내장하여 유아가 탑승할 경우, 손쉽게 유아용 안전벨트를 도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시트커버내에 저장한 후 지퍼 등의 가림 수단으로 보이지 않게 저장하도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하면, 헤드레스트와 등받이부, 시트부로 구성되는 자동차시트 커버에 있어서, 등받이부 전면에 안전벨트가 연결된 버클과 록커의 출납을 위해 형성된 각각의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지퍼와, 상기 등받이부 내주면에 횡방향으로 설치 재봉된 벨트와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벨트 양단에 형성된 버클과 록커로 구성된다.This is because the infant seat belt is simply built into the seat cover mount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nd when the infant rides, the child seat belt can be easily derived and used, and after use, it is stored in the seat cover and then covered by a zipper or the like means. In order to provide a user convenience by storing invisibly, according to the claims of the registered publication, in the vehicle seat cover consisting of a headrest, a backrest and a seat, a buckle connected with a seat belt on the front of the backrest Each storage opening and a zipper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opening, and a buckle and a lock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lt so as to be mutually removable with the belt sew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ckrest.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99184호인 유아용 안전시트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등받이의 각도조절에 따라 좌석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유아의 신체와 자세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고 등받이와 좌석이 경첩으로 힌지되어 있어 평면 상태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하면, 차량의 의자에 얹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얹혀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대해 소적 각도록 회전되는 등받이로 구성된 공지의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한 등받이가 주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었을 때 등받이의 하단에 경첩으로 결합된 좌석이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시트부의 전방으로 출몰 또는 몰입되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a safety seat for infant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99184 has been devised. This allows the seat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backrest so that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infant's body and posture, and the backrest and the seat are hinged with hinges to allow adjustment to a flat state. According to the claims of the known safety seat consisting of a base mounted on a chair of the vehicle, a seat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be rotatably coupled, and a backrest rotated to be dropwise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main shaft, the sea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is sli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backrest so that the seat is immersed or immersed in front of the seat.
이와 같이 전술한 종래 유아용 안전시트 또는 안전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에 의하면, 유아가 탑승할 때, 유아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안전벨트를 자동차의 시트커버에 내삽시켜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의 복잡하여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옴에 따라 소비자가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r seat provided with a child safety seat or a safety seat, when the infant boards, it is possible to wea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infant, or a separate seat belt of the car seat Although it is possible to take out and use it as needed by inserting it into the cover, it is possible to safely ride the infa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er is not burdened with the purchase cost due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omponents. .
또한, 별도로 구성된 유아용 안전시트의 경우에는 유아용 안전시트를 자동차의 트렁크에 항상 보관하고 다니거나 또는 뒷자석에 보관한 채로 다녀야 함에 따라, 자동차의 실내공간 활용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hild safety seat configured separately, the child safety seat should always be kept in the trunk of the car or kept in the back seat, there is a problem of inefficient us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r.
더욱이, 종래 유아용 안전시트들은 단순히 유아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좌석에 앉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컨대, 유아가 잠이 들거나 할 경우, 앉은 상태에서 그대로 잠을 청할 수 밖에는 없어 유아의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지 못하게 되고, 유아의 성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the conventional infant safety seats are simply used by sitting in the seat of the car while the infant is in the car, for example, when the infant falls asleep, the child has no choice but to sleep as it is while sleep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induce, an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the infant.
본 고안은 종래 유아용 안전시트 또는 안전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트의 내측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 요입부로부터 힌지회동되는 보조시트를 더 구비하여 필요시 보조시트를 꺼내어 사용함으로써, 보조시트의 좌판과 자동차 시트간의 높이차에 의해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보조시트를 완전히 펼치어 간이침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편안한 숙면이 가능하도록 한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hild safety seats or car seats provided with a safety seat, forming a recess in the inner side of the seat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and further hinged auxiliary sheet is hinged from the recess If necessary, take out the auxiliary sheet and use it to make use of the seat belt mounted on the car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at of the auxiliary sheet and the car seat, and if necessary, fully spread the auxiliary sh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seat equipped with an infant auxiliary sheet to enable a comfortable sleep of an infant so as to be utilized.
도 1은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를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a child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ly omitt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for a vehicle having a child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 seat with a child car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eat for a child with a child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보조시트가 요입부내에서 양측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heet of the vehicle seat with a child suppor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reces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자동차 시트 11 : 등받이부10: car seat 11: backrest
12 : 좌석부 20 : 요입부12: seat 20: urine
21 : 결합공 30 : 보조시트21: bonding hole 30: auxiliary sheet
31 : 힌지핀 32, 33 : 쿠션부재31: hinge pin 32, 33: cushion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등받이부와 좌석부로 구비되고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내측에 일정크기를 갖고 내측 상단에 요입 형성되며 하단 양측에 결합공이 통공되며 양측으로 개방된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 요입되어 이 요입부의 하단 양측에 통공된 결합공에 양측이 끼워지는 힌지핀에 의해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2개의 쿠션부재를 갖는 보조시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t for a vehicle having a child suppor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seat and the seat is provided in the car seat is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inside of the backrest has a certain size A concave in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coupling hole is open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The auxiliary sheet having two cushion members which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by hinge pin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inlet part and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cave part are fitted.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에 장착된 시트의 전면부에 보조시트가 요입구성되어 있고, 이 보조시트가 서로 하단측이 힌지결합된 2개의 쿠션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유아가 탑승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시트를 자동차의 시트 전면에 형성된 요입부에 요입시켜 보관하다가, 유아가 탑승할 경우 요입보관된 보조시트의 일단측 쿠션부재를 자동차의 시트 좌석부측으로 펼쳐 탑승하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하여 펼쳐진 자동차의 쿠션부재의 높이와 자동차 시트 좌석부의 높이차에 의해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유아를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유아용 안전벨트 없이도 유아의 안전한 탑승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기 보조시트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를 양측으로 완전히 펼친 후, 간이침대로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seat for a child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auxiliary sheet is concave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mounted on the car, the two auxiliary sheets are hinged to each other the lower side As the cushion member is constructed, when the infant is not riding, the auxiliary sheet is stored in the recess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seat. Separate infants can be protected by using the seat belt mounted on the car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ushion member of the unfolded car and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ar seat seat part to allow the infant to be seated to the seat seat side of the seat It is possible to safely ride the infant without a seat belt, and if necessary, provide two cushion members constituting the auxiliary seat. After fully open side, in accordance with the use as a bed can be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convenience, by the simple components, can lead to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이하,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at for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를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eat provided with a child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omitt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child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 seat provided with a child car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에 장착되고 등받이부(11)와 이 등받이부(11)의 일단측에 구비된 좌석부(12)를 갖는 자동차 시트(10)의 상기 등받이부(11) 내측에 일정크기를 갖고 내측 상단에 요입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결합공(21)이 통공되며 양측으로 개방된 요입부(20)와, 상기 요입부(20)에 요입되어 이 요입부(20)의 하단 양측에 통공된 결합공(21)에 양측단이 끼워지는 힌지핀(31)에 의해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2개의 쿠션부재(32)(33)로 구성된다.As shown, a seat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an infant child seat is an automobile seat having a seat back 12 mounted on an automobile a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ck seat 11. 10) the backrest portion 11 has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recessed inlet formed on the inner top and the coupling hole 21 through the lower both sides and open to both sides and the indented portion 20 Consists of two cushioning members 32, 33, the lower end of which is hinged by hinge pins 31, the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21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cave inlet 20. .
상기 보조시트(30)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32)(33)들은, 상기 자동차의 시트(10)와 동일한 시트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편안한 느낌을 주는 쿠션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면, 그 재질에 대해서는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constituting the auxiliary seat 30 may be made of the same sheet material or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s those of the seat 10 of the vehicle, and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of cushioning material. If it consists of, it does not limit about the material.
또한, 상기 요입부(20)에 요입되는 보조시트(30)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32)(33)들은 그 하단측이 힌지핀(3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 경첩과 같이 2개의 쿠션부재(32)(33)들이 절첩되거나 전개됨이 가능한 것으로, 이 힌지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constituting the auxiliary sheet 30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0 are hinged by the hinge pins 31, the hinges 31 are like hinges. Likewise, 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may be folded or unfold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nge-coupl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유아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엔, 자동차 시트(10)의 등받이부(11)에 형성된 요입부(20)에 보조시트(30)를 요입시켜 보관하다가, 유아가 탑승할 경우 요입부(20)에 요입 보관된 보조시트(30)의 전면면 쿠션부재(32)를 전면측으로 전개하여 유아를 앉힌 후,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유아가 안전하게 탑승하도록 하면 된다.The seat for a vehicle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fant is not riding, the auxiliary seat 30 in the recess 20 formed in the backrest 11 of the car seat 10 While keeping the infant in the seat, when the infant rides, the front surface cushion member 32 of the auxiliary seat 30 stored in the inlet part 20 to the front side to sit the infant, using the seat belt of the car You can make sure your infant is on board safely.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자동차 시트(10)의 등받이부(11)에 형성된 요입부(20)에 보조시트(30)를 요입시켜 보관하다가, 유아가 탑승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시트(30)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32)(33) 중, 전면부에 위치되는 쿠션부재(32)를 상기 자동차 시트(10)의 좌석부(12)측으로 펼치어 유아를 펼쳐진 쿠션부재(32)에 착석시키면 되는 바, 이 때, 자동차 시트(10)이 좌석부(12)의 높이(h1)와 이 좌석부(12)에 펼쳐진 상기 보조시트(30)의 쿠션부재(32)의 높이(h2)에 의해, 유아가 자동차에 탑승하여 상기 보조시트(30)의 쿠션부재(32)에 앉은 높이는 상기 좌석부(12)의 높이(h1)에 쿠션부재(32)의 높이(h2)가 포함된 높이(H)를 갖기 때문에, 유아의 착석 높이가 일반 어른의 앉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을 수 있음에 따라, 자동차에 구비된 안전벨트만으로도 충분하게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fant does not ride, as shown in Figure 3, the auxiliary sheet 30 is indented and stored in the recess 20 formed in the back portion 11 of the vehicle seat 10, the infant As shown in FIG. 4, among 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constituting the auxiliary seat 30, the cushion member 32 position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seat 10 is shown in FIG. 4. The child seat 10 may be seated on the cushion member 32 which is extended to the seat 12 and the child seat 10 may be seated at the height h1 of the seat 12 and the seat 12. By the height h2 of the cushion member 32 of the auxiliary seat 30, the height of the infant seated on the cushion member 32 of the auxiliary seat 30 by riding in an automobile is the height of the seat 12 ( Since h1) has the height H including the height h2 of the cushioning member 32, the seating height of the infant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itting height of the general adult. Depending on the well, it can fully protect the children alone in cars equipped with safety belts.
부설하면, 일반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벨트는 어른의 앉은키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음에 따라, 유아가 자동차의 시트에 그대로 앉아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 안전벨트의 벨트부가 유아의 머리 또는 유아의 머리 뒤편으로 위치되게 되어 위험을 초래하는 등의 안전벨트를 착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 시트 내부에 요입된 보조시트의 일측 쿠션부재를 펼침으로써, 유아의 앉은 높이가 가중됨으로써, 유아가 보조시트의 펼쳐진 쿠션부재의 상단에 앉을 경우, 유아의 앉은 높이가 일반 어른의 앉은 높이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만으로도 유아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When installed, the seat belt mounted on a general vehicle is designed to fit the sitting height of an adult, so that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seat of the car and wears the seat belt, the belt portion of the seat belt of the infant's head or inf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wear a seat belt, such as being located behind the head causing a danger, but the seat for the car provided with the child suppor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cushion member of the auxiliary seat indented in the car seat By unfolding, the seat height of the infant is increased, so that when the infant sits on the top of the unfolded cushion member of the auxiliary seat, the seat height of the infa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eat height of the general adult. Children's safety can be secured alone.
따라서, 별도의 유아용 안전시트 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자동차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안전벨트만을 이용하여 유아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는 유아용 안전시트를 구비하는데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even without a separate infant safety seat, the infant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by using only a seat belt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consumer can reduce the cost of providing the infant safety seat.
도 5는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유아가 잠이 들거나 또는 기저귀 등을 교체하거나 하기 위해 유아를 눕히고자 할 경우, 상기 요입부(20)에 요입된 보조시트(30)를 요입부(20)의 양측으로 이 보조시트(30)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32)(33)를 양측으로 펼친 후, 보조침대를 형성하여 이 펼쳐진 보조시트(30)에 유아를 눕히면 된다.FIG. 5 illustrates that the auxiliary sheet 30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part 20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indentation part 20 when the infant in the car is going to fall asleep or replace the diaper. After spreading 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constituting the auxiliary sheet 30 to both sides, the auxiliary bed is formed to lay the infant on the unfolded auxiliary sheet 30.
상기 요입부(20)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조시트(30)의 2개의 쿠션부재(32)(33)이 양측으로 펼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유아가 앉는 보조시트 또는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간이침대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As the urine inlet 20 is open to both sides, the two cushion members 32 and 33 of the auxiliary sheet 30 can be unfolded to both sides. It can be used as a sheet or an extra bed for infants to lie down.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적용되는 보조시트는, 이 보조시트를 구성하는 2개의 쿠션부재들이 서로 힌지회동됨에 있어서, 내부에 구성된 스토퍼 지지기능에 의해 소정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도록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sheet applied to an automobile seat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cushion members constituting the auxiliary sheet is hinged with each other, can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topper support function configured therein It is advisable to use what is available.
이외에도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예컨대, 보조시트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eat for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ariety of modifications, such as changing the shape of the auxiliary sheet,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유아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의하면, 자동차에 장착된 시트의 전면부에 보조시트가 요입구성되어 있고, 이 보조시트가 자동차 시트 등받이부에 요입형성된 요입부의 하단측에 양측이 연결된 힌지핀에 의해 하부가 힌지결합된 2개의 쿠션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유아가 탑승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시트를 자동차의 시트 전면에 형성된 요입부에 요입시켜 보관하다가, 유아가 탑승할 경우 요입보관된 보조시트의 전면측 쿠션부재를 자동차의 시트 좌석부측으로 펼쳐 탑승하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하여 펼쳐진 자동차의 쿠션부재의 높이와 자동차 시트 좌석부의 높이차에 의해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유아를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유아용 안전벨트 없이도 유아의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at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the child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heet is recessed in the front part of the seat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auxiliary she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in which the auxiliary sheet is recessed in the vehicle seat back. It consists of two cushioning members hinged to the lower side by hinge pin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ide. When the infant is not riding, the auxiliary seat is stored in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r, and then the infant When the passenger boards the vehicle, the front cushion member of the retained seat is extended to the seat seat side of the car so that the infant can sit. As the seat belt can be used to protect the infant, the infant can be safely boarded without a separate infant seat belt. It is.
또한, 필요시 상기 보조시트를 요입부로부터 완전하게 완전히 펼친 후, 간이침대로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sheet is fully extended from the indentation part if necessary, it can be used as an extra bed, thereby achieving convenience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simple components. Is expected.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5907U KR200369680Y1 (en) | 2004-09-09 | 2004-09-09 |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5907U KR200369680Y1 (en) | 2004-09-09 | 2004-09-09 |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9680Y1 true KR200369680Y1 (en) | 2004-12-20 |
Family
ID=4944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5907U KR200369680Y1 (en) | 2004-09-09 | 2004-09-09 |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9680Y1 (en) |
-
2004
- 2004-09-09 KR KR20-2004-0025907U patent/KR20036968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19254B2 (en) |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 |
US7658153B1 (en) | Child's travel center | |
JP2558451Y2 (en) | Vehicle seat | |
CA1292097C (en) |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 |
CN104349935B (en) | Cushion of children and automobile cushion set | |
US7222917B2 (en) | Reversible seat pad | |
US20070180623A1 (en) | Travel pillow | |
US20040032154A1 (en) |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 |
KR20030043903A (en) | A bed sea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 |
US6554363B1 (en) | Traveling pillow | |
CN100465025C (en) | child safety seat | |
US20060001299A1 (en) | Novel baby seat covers | |
US20060006710A1 (en) | Novel baby seat covers | |
KR200369680Y1 (en) |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 |
KR20230128628A (en) | Multifunctional storage device for passanger seat of vehicles | |
US5688025A (en) | Two level convertible child car seat | |
KR200162057Y1 (en) | Seat of a car for infants | |
JP2954473B2 (en) | Vehicle seat | |
JP2604569Y2 (en) | Child seats for vehicles | |
KR20250037395A (en) | Car seat | |
JP2595598Y2 (en) | Vehicle seats that can be switched to infant seats | |
KR960007636Y1 (en) | Rear seat bag for head stay | |
KR200206188Y1 (en) | Infant protection seat for car | |
JP3695620B2 (en) | Vehicle seat | |
KR200415303Y1 (en) | Car seat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90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9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