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9165Y1 - 소리나는 액자 - Google Patents

소리나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165Y1
KR200369165Y1 KR20-2004-0022797U KR20040022797U KR200369165Y1 KR 200369165 Y1 KR200369165 Y1 KR 200369165Y1 KR 20040022797 U KR20040022797 U KR 20040022797U KR 200369165 Y1 KR200369165 Y1 KR 200369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le
frame
sensor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20-2004-0022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1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테와, 일정 위치에 다수 개의 음방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센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투명패널과, 상기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피커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패널의 제1 센서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와, 음원칩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제1 센서관통공 및 제2 센서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일정 범위내에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음향발생회로로부터 음향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음향 구동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향이 상기 지지패널의 스피커구멍 및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을 통해 나가도록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액자 앞에 사람이 서거나 지나가면 음향이 발생하므로 액자에 의한 전시 효과 및 정보 전달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리나는 액자{Picture Frame making a sound}
본 고안은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감지센서와음향발생장치를 내장하여 사람이 액자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미리 녹음해둔 음성이나 음악 등을 들려주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행인들이 왕래하는 매장이나 지하철역 또는 은행 등 공공장소에는 각종 광고나 포스터 등을 전시하는 액자가 곳곳에 걸려있다. 이는 사업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요한 활동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시물의 디자인이 시각적으로 뛰어나거나 독특하지 않은 한 수많은 광고물에 익숙한 행인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세대인 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의 경우 시각과 청각 모두에 호소할 수 있는 광고가 효과가 크다.
따라서 액자에 음향 발생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시각적 효과 뿐 아니라 청각적 효과도 발휘되도록 구성하면 행인들의 주의를 끄는 데 있어 한층 유리해질 것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음향이 발생되도록 장치하는 경우에는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면 건전지가 금방 소모되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교류 전원을 이용하면 설치 장소에 제약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스피커 등이 액자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전시물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도 있어 종래에는 소리나는 액자가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액자에 삽입되는 전시물의 뒷면에 음향 발생장치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여 액자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행인이 전시물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에만 관련 정보나 광고 음악 등이 들려주도록 장치를 구성하여 액자 앞을 지나는 행인의 청각적 감각에 호소하고 신선한 느낌을 전해줌으로써 전시물에 주의를 집중하게 만들고 이로써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씌우지 않은 액자의 뒷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앞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씌운 액자의 뒷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자테 2: 덮개
11: 투명패널 12: 음방출공
21: 지지패널 31: 음향발생회로
32: 음원칩 41: 동작감지센서
51: 스피커 61: 배터리부
71: 스위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소리나는 액자는, 액자테와, 상기 액자테에 끼워지며 일정 위치에 다수 개의 음방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센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투명패널과, 상기 투명패널의 뒤편에 상기 액자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투명패널과 겹쳐지며 상기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피커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패널의 제1 센서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액자테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며 음원칩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관통공 및 제2 센서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일정 범위내에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음향발생회로로부터 음향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 구동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향이 상기 지지패널의 스피커구멍 및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을 통해 나가도록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 대신 거울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의 뒤편에는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과 이에 부착된 장치들을 덮는 덮개가 상기 액자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1)의 뒷면 아래쪽에는 음향발생회로(31)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패널(21)은 합판을 재료로 하며 액자테(1)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액자테(1)에 고정수단(5)이 결합된다. 음향발생회로(31)에는 음원칩(32)이 포함되며 음원칩(32)에 담겨지는 음성이나 음악 등의 소리는 30~120초 분량에 해당한다. 120초가 넘는 분량을 저장하는 음원칩(32)은 가격이 높아서 경제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소리의 종류로는 액자에 넣어서 전시하는 내용에 어울리는 광고 음악이나 내레이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소리를 웨이브(wave) 파일로 만들어 음원칩(32)에 저장해놓는다.
배터리부(61)는 음향발생회로(31)에 전선(100)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며 지지패널(21) 뒷면의 모퉁이에 부착된다. 배터리부(61)는 1.5V 건전지 4개가 전원이 되도록 구성한다. 배터리부(61)와 음향발생회로(31) 사이에는 스위치부(71)가 있는데 액자테(1)의 외측부에서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장치한다. 그러므로 액자테(1)에 홈을 파서 스위치부(71)가 고정되는 자리를 마련한다. 사용자가 스위치부(71)를 오프(off)로 설정해두면 배터리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액자의 음향발생 기능이 멈추게 되며 스위치를 온(on)으로 설정해두면 음향발생 기능이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스피커(51)는 음향발생회로(31)에 전선(100)으로 연결되어 음향발생회로(31)에서 음향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소리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스피커(51) 중 소리가 방출되는 부분이 지지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스피커구멍(미도시)을 향하도록 지지패널(21)에 고정된다.
음향발생회로(31)의 앞면에는 동작감지센서(41)가 결합되는데 동작감지센서(41)는 직경이 2cm인 원통형의 센서로서 동작감지센서(41)가 있는 곳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패널(21)에 제2 센서관통공(미도시)이 있어 동작감지센서(41)가 제2 센서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동작감지센서(41)는 적외선 감지센서로서 사람이 1m 이내로 접근하면 작동이 되어 감지 신호를 음향발생회로(31)에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테(1)에 끼어지며 지지패널(21)의 앞면과 겹쳐지는 투명패널(11)의 상부에는 음이 방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작은 음방출공(12)이 있고 투명패널(11)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동작감지센서(41)의 감지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동작감지센서(41)가 관통하는 제1 센서관통공(미도시)이 있다. 투명패널(11)은 아크릴판 또는 유리를 재료로 한다. 한편, 상기 투명패널 대신 거울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거울을 장착했을 때에는 전시물은 끼워지지 않는다.
사진 또는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은 투명패널(11)과 지지패널(21)의 사이에 위치하는데 전시물 중 투명패널(11)의 음방출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음방출공(12)과 똑같은 크기로 구멍을 뚫어서 스피커(51)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액자의 전방에서 들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시물 중 동작감지센서(41)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구멍을 뚫어서 동작감지센서(41)가 이 구멍에 통과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21)의 뒤편에는 나무 또는 아크릴로 된 덮개(2)를 씌운다. 덮개(2)를 씌우지 않고 액자를 벽에 걸게 되면 지지패널(21)의 뒷면에 구비된 회로 등이 손상될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덮개(2)는 가장자리에 턱이 올라와 있는 쟁반과 같은 것이어서 지지패널(21)의 뒷면에 부착된 각종 장치가 전부 덮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덮개(2)는 액자테(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액자테(1)에 볼트구멍(3)을 마련하고 덮개에서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4)가 관통해서 놓이는 자리를 마련하여 볼트(4)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소리나는 액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스위치부(71)를 온(on)으로 설정해둔 상태에서 전시물이 담긴 액자 앞을 행인이 지나거나 가까이 와서 보게 되면 동작감지센서(41)가 감지신호를 음향발생회로(31)에 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음향발생회로(31)는 내장된 음원칩(32)에 미리 입력된 음향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이로써 스피커(51)에서 일정시간 동안 음향이 출력되어 지지패널(21)의 스피커구멍(미도시)과 전시물 및 고정패널의 음방출공(12)을 통해 음을 내보게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실시예에서 나타난 형상이나 모양과 결합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자에 의하면 스피커 및 음향 발생장치가 전시물 뒤편에 보이지 않는 상태로 있어 전시물이 담긴 액자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행인이 액자 앞에 서거나 액자 앞을 지날 때에만 액자의 전시물에 관한 정보나 광고 음악 등의 소리가 나므로 하나의 액자를 설치하여 보다 깊이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행인으로 하여금 전시물에 즉각적인 주의를 기울이게 하며 이러한 작동을 신기하게 여기는 행인이 액자 근방에서 오랫동안 머물게 함으로써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투명패널 대신 거울을 장착한 경우 거울을 보면서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음악이나 자신감을 불어넣은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어 기존 거울의 기능을 보다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액자테와;
    상기 액자테에 끼워지며 일정 위치에 다수 개의 음방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투명패널과;
    상기 투명패널의 뒤편에 상기 액자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투명패널과 겹쳐지며 상기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피커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패널의 제1 센서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액자테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며 음원칩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관통공 및 제2 센서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일정 범위내에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음향발생회로로부터 음향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 구동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향이 상기 지지패널의 스피커구멍 및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을 통해 나가도록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나는 액자
  2. 액자테와;
    상기 액자테에 끼워지며 일정 위치에 다수 개의 음방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의 뒤편에 상기 액자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거울과 겹쳐지며 상기 거울의 음방출공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피커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거울의 제1 센서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센서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액자테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며 음원칩을 포함하는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관통공 및 제2 센서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일정 범위내에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음향발생회로로부터 음향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감지센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 구동신호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향이 상기 지지패널의 스피커구멍 및 투명패널의 음방출공을 통해 나가도록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나는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의 뒤편에는 상기 지지패널의 뒷면과 이에 부착된 장치들을 덮는 덮개가 상기 액자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나는 액자
KR20-2004-0022797U 2004-08-10 2004-08-10 소리나는 액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369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97U KR200369165Y1 (ko) 2004-08-10 2004-08-10 소리나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97U KR200369165Y1 (ko) 2004-08-10 2004-08-10 소리나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165Y1 true KR200369165Y1 (ko) 2004-12-04

Family

ID=4935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9165Y1 (ko) 2004-08-10 2004-08-10 소리나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8712A4 (en) * 2019-04-21 2022-12-28 Kool Brands, LLC DIGITAL FRAME BO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8712A4 (en) * 2019-04-21 2022-12-28 Kool Brands, LLC DIGITAL FRAME BOX
US11602233B2 (en) 2019-04-21 2023-03-14 Kool Brands, LLC Digital shadow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0845A1 (en) Exhibiting Device for Advertisements
US5905429A (en) Audio label
KR200369165Y1 (ko) 소리나는 액자
US20060066094A1 (en) Display book with viewing compartment and self-illumination
KR20090016825A (ko) Led를 이용한 구획화된 광고판/ led를 구획별로 비출 수있는 광고판
JPH1124620A (ja) 表示装置
JPH0644226Y2 (ja) ボードスピーカ
KR200203046Y1 (ko)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KR200356908Y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92417Y1 (ko) 엘이디 전광판
JP2007271737A (ja) 販売広告方式及びその装置
KR10103062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간판
KR20100108936A (ko) 센서반응발광음향기가 내장된 스티커광고판
KR200380350Y1 (ko) 전자 액자 장치
JPH0356991A (ja) 報知装置
KR100363214B1 (ko) 재활용품 투입 감지장치
KR20000017632U (ko)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KR20080073960A (ko) 움직임감지형 표시장치
KR20090016869A (ko) 다양한 광고효과를 낼 수 있는 led 광고판
KR20060014756A (ko) 연예인 등 일정 대상 광고를 위한 다기능 광고 장치
KR200339403Y1 (ko) 이미지와 음향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0692B1 (ko) 바닥 조명 광고장치
CN201207259Y (zh) 多用途广告灯箱
KR100786181B1 (ko) 교통안전 교육장치
KR100972237B1 (ko)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