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046Y1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3046Y1 KR200203046Y1 KR2020000015918U KR20000015918U KR200203046Y1 KR 200203046 Y1 KR200203046 Y1 KR 200203046Y1 KR 2020000015918 U KR2020000015918 U KR 2020000015918U KR 20000015918 U KR20000015918 U KR 20000015918U KR 200203046 Y1 KR200203046 Y1 KR 2002030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rating means
- advertising
- sensor
- display
- fragr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57674 Ne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 간판 또는 안내판, 표시판으로 사용되는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육안으로 식별되는 광고패널외에 사람이 표시구로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음성신호 또는 방향성 물질이 발산되게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시각에만 의존하던 광고용 표시구와는 달리 시각 및 청각과 후각을 동시에 반응시키므로서 그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인지력이 향상되게 한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실내외 간판 또는 안내판, 표시판으로 사용되는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패널과 지지체로 분리 형성되어 그 내부공간에 발광수단이 구비된 표시구에, 감지센서 및 회로부, 스피커를 부착하거나 방향수단을 형성하여 표시구 주위를 보행커나 이동하는 행인에게 음성메시지를 전달하므로서 시각적인 광고패널과 함께 음성의 청각적 효과를 추가하여 광고효과를 높히고, 순간적으로 방향제가 발산되게 하므로서 후각적 효과까지 갖게 하여 표시구의 목적을 배가시키는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간판용 표시구는 광고패널과 이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발광수단인 전열등이 내장되어 있어서 야간이나 시계가 밝지 않는 곳에서 그 표시의 효과를 높히게 설계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근자에 들어서는 광고패널과 프레임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게 하므로서 그 광고의 효과를 높게 하거나, 다양한 컬러를 가진 네온을 사용하여 그 식별력이 향상되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광고용 표시구는 단순히 시각적 효과에만 의존하므로 여러개의 표시구가 섞여있는 혼잡한 곳에서는 보행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표시구와 보행자가 근접한 지역에서는 쉽게 눈에 띄지 않아서 용이하게 찾을 수 없으므로 필요이상으로 크게 제작하거나 현란한 색채를 사용하여 본래의 광고 이미지가 흐트러지는등 도시미관을 해치고 행인에게 불쾌함을 유발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한 것으로서,
육안으로 식별되는 광고패널외에 사람이 표시구로 근접하게 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음성신호 또는 방향성 물질이 발산되게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시각에만 의존하던 광고용 표시구와는 달리 시각 및 청각과 후각을 동시에 반응시키므로서 그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인지력이 향상되게 한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설명도
도 4a는 본 고안 음향발생수단의 블럭도
도 4b는 본 고안의 향기발생수단의 블럭도
도 4c는 본 고안 음향발생수단과 향기발생수단의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고패널 2 : 지지체
3,3' : 전열등 4 : 감지센서
5 : 회로부 6 : 스피커
7,7' : 통공 8 : 전자밸브
9 : 방향수단 10 : 지지대
11 : 걸이구 12 : 마이크
13 :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설명도이다.
광고패널(1)과 지지체(2)가 결합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전등(3)(3')이 구성된 광고용 표시구에 있어서,
광고패널(1)의 일지점에 내부의 회로부(5)로부터 연결된 감지센서(4)를 연결하고, 회로부(5)에는 신호발생수단(a)을 연결하여 감지센서(4)의 반응에 의해 작동되게 하되, 신호발생수단(a)을 음향발생수단(b)으로 구성하되, 음향발생수단(b)은 앰프(14)와 스피커(6)로 되는 출력수단과, 마이크(12)와 스위치(13)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전기한 신호발생수단(a)을 향기발생수단(c)으로 구성하되, 용기내에 방향제를 내입하여 전자밸브(8)의 개폐에 의해 방향제가 발산되게 하는 방향수단(9)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그 신호발생수단(a)을 음향발생수단(b)과 향기발생수 단(c)으로 동시에 구성되게 하여도 가능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7'는 통공이고, 10은 지지대이며, 11은 걸이구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은 그 회로부(5) 및 감지센서(4)에 의해 사람을 식별하여 이를 각각의 신호발생수단(a)으로 보내어 이에 의해 각기의 작용이 나타나므로서 이루어 지게되는 것인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감지센서(4)가 일정한 반경내의 영역을 감시하고 있다가, 반경내로 진입한 사람의 움직임이나 열감지에 의해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회로부(5)내의 메인 칩(CPU)으로 그 신호를 송출하여 메인칩(CPU)은 그 신호를 음향발생수단(b) 또는 향기발생수단(c)으로 전달하므로서 각각의 발생수단은 그 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내거나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향발생수단(b)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앰프(14)를 거쳐 스피커(6)로 전달되게 하여야 바람직하며, 별도의 마이크(12)나 스위치(13)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자유록게 녹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 또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 향기발생수단(c)은 회로부(6)내의 메인칩(CPU)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전자밸브(8)가 구비된 방향수단(9)에 연결시켜 놓게 되면, 감지센서(4)가 인체를 감지하면 전자밸브(8)를 오픈시켜 압축용기내에 내입되어 있는 방향제를 토출되게 하므로서 이것이 광고패널(1)의 통공(7)(7')을 통해 방향제가 발산되게 하므로서 그 광고용 표시구를 지나는 보행자는 광고문구에 대한 신선한 이미지 혹은 깨끗한 이미지등을 향기로서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향발생수단(b) 및 향기발생수단(c)은 각기 사용장소 혹은 그 용도에 따라 구분되게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그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표시구에 각기 수단을 동시에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이와같은 광고용 표시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천정용 걸이형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인데, 이때에는 감지센서(4)를 하향되게 형성하므로서 사방을 감시토록하여 매장의 중간부분에 설치하게 되면 사방의 어느곳에서라도 사람이 감지되면 스피커(6) 또는 방향수단(9)이 동작하게 되므로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천정걸이형 또는 테이블용 및 입간판등은 각기 걸이구(11) 또는 지지대(10)에 의해 그 설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구는 실내 혹은 실외간판에 사용되거나, 입간판, 지주이용간판, 쇼케이스, 로고판, 물품안내판, 각종 안내판, 각종 주의표시판, 각종 광고용 P.O.P물등 그 어떠한 표시구라도 그 사용이 가능하며, 스피커(6)에 의한 음향 전달 및 방향수단(9)에 의한 향기를 동시에 제공할수 도 있으므로 그 효과를 배가시킬수도 있다.
또한, 음향전달방법에는 그 음량의 조절이 가능한 볼륨을 별도로 설치할수도 있으며, 방향제 분사방식에서는 단발분사방식이 아닌 타이머에 의한 분사시간을 갖는 분사방식을 취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용을 하는 본고안 광고용 표시구는, 각종 실내 혹은 실외간판에 사용되거나, 입간판, 지주이용간판, 쇼케이스, 로고판, 물품안내판, 각종 안내판, 각종 주의표시판, 각종 광고용 P.0.P물등에 사용하므로서 시각적 광고효과에 청각적 효과와 후각적 효과를 부가시키므로서 그 인지력을 향상시켜 광고의 목적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광고패널(1)과 지지체(2)가 결합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전등(3)(3')이 구성된 광고용 표시구에 있어서,광고패널(1)의 일지점에 내부의 회로부(5)로부터 연결된 감지센서(4)를 연결하고, 회로부(5)에는 신호발생수단(a)을 연결하여 감지센서(4)의 반응에 의해 작동되게 하되, 신호발생수단(a)을 음향발생수단(b)으로 구성하되, 음향발생수단(b)은 앰프(14)와 스피커(6)로 되는 출력수단과, 마이크(12)와 스위치(13)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다기능 광고용 표시구.
- 제1항에 있어서, 신호발생수단(a)을 향기발생수단(c)으로 구성하되, 용기내에 방향제를 내입하여 전자밸브(8)의 개폐에 의해 방향제가 발산되게 하는 방향수단(9)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다기능 광고용 표시구.
- 제1항에 있어서, 신호발생수단(a)을 음향발생수단(b)과 향기발생수단(c)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다기능 광고용 표시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5918U KR200203046Y1 (ko) | 1999-01-08 | 2000-06-05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0080U KR19990017474U (ko) | 1999-01-08 | 1999-01-08 | 센서를이용한광고용다기능표시구 |
KR2020000015918U KR200203046Y1 (ko) | 1999-01-08 | 2000-06-05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0080U Division KR19990017474U (ko) | 1999-01-08 | 1999-01-08 | 센서를이용한광고용다기능표시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7632U KR20000017632U (ko) | 2000-09-25 |
KR200203046Y1 true KR200203046Y1 (ko) | 2000-11-15 |
Family
ID=195707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0080U KR19990017474U (ko) | 1999-01-08 | 1999-01-08 | 센서를이용한광고용다기능표시구 |
KR2020000015918U KR200203046Y1 (ko) | 1999-01-08 | 2000-06-05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0080U KR19990017474U (ko) | 1999-01-08 | 1999-01-08 | 센서를이용한광고용다기능표시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9990017474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597B1 (ko) * | 2000-08-19 | 2004-05-03 | 김영식 | 방탄유리를 사용한 지면광고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6447A (ko) * | 2000-03-14 | 2000-07-05 | 최대통 | 음성이 출력되는 광섬유 간판 장치 및 장치 제어 방법 |
KR20000054801A (ko) * | 2000-06-24 | 2000-09-05 | 이철 | 지하철용 포스터 광고 |
KR20020042055A (ko) * | 2000-11-29 | 2002-06-05 | 장순욱 | 향기 나는 광고 간판 |
KR20030078182A (ko) * | 2002-03-28 | 2003-10-08 | 김선향 | 전광판 광고로봇 및 전광판 광고로봇의 운전방법 |
-
1999
- 1999-01-08 KR KR2019990000080U patent/KR19990017474U/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
2000
- 2000-06-05 KR KR2020000015918U patent/KR20020304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597B1 (ko) * | 2000-08-19 | 2004-05-03 | 김영식 | 방탄유리를 사용한 지면광고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7474U (ko) | 1999-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54214A (en) | Illuminated wind chime | |
NZ219198A (en) | Illuminated sign with proximity sensor | |
US11109583B2 (en) | Insect trapping light | |
US20080040845A1 (en) | Exhibiting Device for Advertisements | |
KR20090110896A (ko) | 표지 시스템 | |
WO2004051010A3 (en) | Liquid dispensing system having a light source attached to a liquid dispensing device | |
KR200203046Y1 (ko)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
KR20000017632U (ko) | 센서를 이용한 광고용 다기능 표시구 | |
KR20160150558A (ko) |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 |
JPH1124620A (ja) | 表示装置 | |
KR20090016825A (ko) | Led를 이용한 구획화된 광고판/ led를 구획별로 비출 수있는 광고판 | |
JP2002082642A (ja) | 広告方法および広告装置 | |
US20050017869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lerting a person to the presence of a door | |
KR200196042Y1 (ko) | 광고장치가 내장된 디자인형 옥외조명제어반 | |
JP2007133149A (ja) | ディスプレイ架台 | |
WO2004049275A3 (en) | An illuminated signaling device | |
KR200380350Y1 (ko) | 전자 액자 장치 | |
KR200296398Y1 (ko) | 액정프로젝터와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컴퓨터 부가장치 | |
KR200369165Y1 (ko) | 소리나는 액자 | |
JPH0414087A (ja) | ハーフミラー広告箱 | |
DE50108690D1 (de) | Parkhinweisschild für behindertenkraftfahrzeuge | |
TWM578816U (zh) | Anti-theft ligh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messages | |
KR200371761Y1 (ko) | 음성표출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다목적 엘이디 전광판 | |
CN209907245U (zh) | 一种主动型声光提示的警示标志 | |
KR900010288Y1 (ko) | 소변기 광고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