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7267Y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67Y1
KR200367267Y1 KR20-2004-0021975U KR20040021975U KR200367267Y1 KR 200367267 Y1 KR200367267 Y1 KR 200367267Y1 KR 20040021975 U KR20040021975 U KR 20040021975U KR 200367267 Y1 KR200367267 Y1 KR 200367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oupling
blade
blad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모
Original Assignee
강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모 filed Critical 강선모
Priority to KR20-2004-0021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6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도에 따라 가위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가위 몸체부의 날부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착탈날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핑킹날 등의 각기 다른 날부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류별로 가위를 구비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가위{A scissors}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도에 따라 가위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위는 일단에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 날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 쌍의 몸체부가 교차된 부분에 핀 결합되어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날부가 교차되면서 종이 등과 같은 대상물을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가위에는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것에는 종이 등을 절단함에 있어서 일직선으로 절단을 하는 일반 가위 등과 같은 문구용 가위와, 여러 가지 모양을 내며 절단할 수 있는 핑킹가위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위는 몸체부에 날부가 일체로 구성되어있어 종이 등의 대상물을 절단하는 데 있어서, 모양을 내서 절단하려면 가위를 종류별로 구비해야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구입비용 또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위의 몸체부로부터 날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날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위의 몸체와 날부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고타단에는 날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교차되는 부분에 핀결합하여 구성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날부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착탈 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자석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가위
10 : 손잡이부
20 : 몸체부
21 : 결합부
211 : 자석
22 : 핀 홈
30 : 날부재
31 : 결합홈
40 : 핀
50 : 핑킹날부재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단에 손잡이부(10)가 결합되어진 한 쌍의 몸체부(20)로부터 날부재(30)의 착탈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날부재(3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몸체부(20)가 교차되는 곳에 핀 홈(22)이 형성되어, 상기 핀 홈(22)에 핀(40)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핀(4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0)의 타단에는 각각 결합부(21)가 형성되어, 날부재(30)에 형성된 결합홈(31)이 상기 결합부(21)에 중간끼움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21)는 날부재(30)의 폭이 끝단으로 진행될수록 얇아지므로, 상기 결합부(21)도 끝단의 두께가 얇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고, 결합되는 날부재(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에는 자석(211)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석(211)은 결합부(21)와 날부재(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뿐만 아니라, 상기 날부재(30)를 상기 몸체부(20)에 결합한 후 종이 등을 절단할 때, 각각의날부재(30)가 핀(4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교차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211)들이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면서 날부재(30)가 밀착하게 되어 상기 종이 등의 피절단물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날부재(30)의 일단에는 몸체부(20)에 형성된 결합부(21)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21)에 상응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핀(30)은 몸체부(20)에 형성된 핀 홈(22)으로 삽입되어져, 상기 몸체부(20)가 회동되어,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어진 날부재(30)에 의해 종이 등의 피절단물을 원할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쌍의 몸체부(20)가 교차되는 중앙부에 핀(40)결합되며, 상기 몸체부(20)에 형성된 결합부(21)에 날부재(30)의 결합홈(31)이 결합되어져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위는 핀(40)결합된 부분이 회동하여 날부재(30)에 의해 종이 등의 피절단물을 절단하게 되며, 용도에 따라서 날부재(3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의 날부재(30)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핑킹 날부재(5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절단용 가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날부재(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날부재(30)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이 등의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날부재(30)도 모두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위의 몸체부로부터 날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성에 맞는 날부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가위를 구비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몸체부와 날부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가위를 사용할 때 상기 날부가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일단에 손잡이부(1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날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가 교차되는 부분에 핀(40)결합하여 구성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날부측으로 결합부(2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21)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21)에 상응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착탈날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에는 자석(211)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20-2004-0021975U 2004-07-31 2004-07-31 가위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975U KR200367267Y1 (ko) 2004-07-31 2004-07-31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975U KR200367267Y1 (ko) 2004-07-31 2004-07-31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67Y1 true KR200367267Y1 (ko) 2004-11-10

Family

ID=4935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9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267Y1 (ko) 2004-07-31 2004-07-31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9861A1 (en) Shaving blade unit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US7150754B2 (en) Scalpel blade holder and scalpel
KR20130129092A (ko) 가위
US20190329430A1 (en) Utility Knife with Blade Guide to Separate Detachable Blade Segments From a Multi-Point Utility Blade
KR200367267Y1 (ko) 가위
CN216731899U (zh) 能够更换刀片的刀体以及刀具
CN101605638A (zh) 具有可更换刀片的切削刀具
JP5882031B2 (ja) 爪切り
WO2019119808A1 (zh) 一种剃须刀
KR200232105Y1 (ko) 헤어커트용 가위
JP3248957U (ja) テープカッター
JP3053471U (ja) 皮膚切除具
KR200418639Y1 (ko) 미용 가위
KR950010710B1 (ko) 가위
KR200215537Y1 (ko) 양날 커터용칼날
JP2017140519A (ja) 爪切り
KR900000262Y1 (ko) 쪽 가위
JPS5931177Y2 (ja)
JP3085324U (ja) ガイド付きカッターナイフ
KR200418640Y1 (ko) 미용 가위
KR200288925Y1 (ko) 커팅이 용이한 자
JP2001314670A (ja) 切断具
JP2001259259A (ja) 磁石を利用した替え歯式のはさみ
KR20130114784A (ko) 자석을 이용한 가위
KR20080006562U (ko) 레이저 홀더 및 미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7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1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