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537Y1 - 양날 커터용칼날 - Google Patents
양날 커터용칼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5537Y1 KR200215537Y1 KR2020000023352U KR20000023352U KR200215537Y1 KR 200215537 Y1 KR200215537 Y1 KR 200215537Y1 KR 2020000023352 U KR2020000023352 U KR 2020000023352U KR 20000023352 U KR20000023352 U KR 20000023352U KR 200215537 Y1 KR200215537 Y1 KR 2002155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cutter
- cutting
- blades
- ang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309464 bul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사무용이나 문구용으로 쓰이는 커터용칼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터용칼날은 한쪽 날만을 사용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양날을 모두 사용하더라도 한쪽날은 칼날 끝이 예각을 이루고 반대쪽 칼날 끝은 둔각을 이루는 비대칭형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양쪽 칼날의 돌출칼날이 대칭형으로 모두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절단 대상물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양날 커터용칼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사무용이나 문구용으로 쓰는 커터용칼날에 관한 것으로 양쪽칼날 모두가 대칭형으로 예각의 돌출칼날(5)을 형성하여 절단 대상물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양날 커터용칼날은 한쪽 돌출칼날(5)은 예각을 이루고 반대쪽 돌출칼날(6)은 둔각을 이루고 있는데 둔각을 이루고 있는 돌출칼날(6)쪽으로 절단 작업을 할 경우 예리한 절단 작업을 할 수 없고 절단 대상물(10)의 단면과 칼날(2)이 이루는 각도가 제한적이어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직선 절단홈이 형성된 통상의 커터칼날의 반대편에 단순히 칼날을 하나 더 형성하는 도 3에 도시된 양날 커터용칼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절단홈(4)이 직선이 아닌 ∨형 모양으로 만들어 양날이 모두 대칭적이며 돌출칼날(5)은 양쪽모두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도 2에 도시된 통상의 커터칼날부를 양날모두에 적용하여 양날모두 예리한 절단 작업을 할 수 있고 절단 대상물(10)의 단면과 칼날이 이루는 각도를 제한 없이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양날 커터용칼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커터용칼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선행기술의 양날 커터용칼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양날 커터용칼날에서 분리된 칼날마디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선행기술의 양날 커터용칼날에서 분리된 칼날마디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양날 커터용칼날이 삽입된 커터칼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선행기술의 양날 커터용칼날을 가진 커터칼을 사용한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커터칼을 사용한 절단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양날 커터용칼날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칼날몸통
2. 칼날
3. 칼날마디
4. 절단홈
5. 돌출칼날(예각)
6. 돌출칼날(둔각)
7. 칼집 앞면
8. 칼집 뒷면
9. 칼날몸통 뒷면
10. 절단 대상물
11.형 절단홈
12.형 절단홈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용 칼날몸통(1)에 양쪽 모두에 칼날(2)을 형성하고 ∨형 모양의 절단홈(4)을 형성시켜 잘려나간 칼날마디(3)도 ∨형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칼날(2)의 돌출칼날(5)은 양쪽모두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처럼, 선행기술의 양날 커터용칼날로 절단 작업을 할 경우 돌출칼날(6)이 절단 대상물(10)에 대해 각도 A에서 각도 B까지만 기울어진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처럼 양쪽 칼날이 비대칭을 이루고 있어 절단 작업을 하다가 반대편 칼날(2)을 쓸 경우 작업 감각을 조정해야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반면,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양날 커터용칼날은 돌출칼날(5)이 모두 예각을 이루고 있어 예리한 절단 작업이 가능하고 반대편 칼날(2)을 쓸 경우에도 전과 동일한 작업 감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처럼, 절단 작업을 할 때 돌출칼날(5)이 절단 대상물(10)에 대해 각도 A에서 각도 B(거의 직각)까지 기울어진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절단홈(4)을 왼쪽의형 절단홈(11) 모양과 오른쪽의형 절단홈(12) 모양으로 만들어 양날이 대칭적이고 돌출칼날(5)이 둘다모두 예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양날 커터용칼날이 한쪽은 예각, 다른 쪽은 둔각을 이루는 비대칭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양쪽칼날 모두를 예각으로 하며 서로 대칭형으로 만들어 양쪽 칼날 모두 예리한 절단 작업과 동일한 작업 감각으로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Claims (1)
- 절단홈(4)이 있는 커터용칼날에서 칼날몸통(1)에 양쪽 칼날(2)이 서로 대칭형의 모양을 형성하고 양쪽 돌출칼날(5)이 둘다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 커터용칼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3352U KR200215537Y1 (ko) | 2000-08-10 | 2000-08-10 | 양날 커터용칼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3352U KR200215537Y1 (ko) | 2000-08-10 | 2000-08-10 | 양날 커터용칼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5537Y1 true KR200215537Y1 (ko) | 2001-03-15 |
Family
ID=730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33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5537Y1 (ko) | 2000-08-10 | 2000-08-10 | 양날 커터용칼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553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66365A1 (en) * | 2006-12-01 | 2008-06-05 | Won-Sang Cho | A safe cutter |
KR102485756B1 (ko) * | 2022-05-04 | 2023-01-06 | 김영진 | 커팅날이 양면에 구비되는 도배용 칼날 |
-
2000
- 2000-08-10 KR KR2020000023352U patent/KR200215537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66365A1 (en) * | 2006-12-01 | 2008-06-05 | Won-Sang Cho | A safe cutter |
KR102485756B1 (ko) * | 2022-05-04 | 2023-01-06 | 김영진 | 커팅날이 양면에 구비되는 도배용 칼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46937B2 (en) | Saw blade with multiple tangs and methods of use | |
BR8301911U (pt) | Disposição construtiva em serra | |
ATE235984T1 (de) | Schneideinsatz, insbesondere wendeplatte | |
KR200215537Y1 (ko) | 양날 커터용칼날 | |
JP2019063390A (ja) | 刃物及びその刃部 | |
TWI682840B (zh) | 多功能之刀具 | |
CN217193017U (zh) | 一种折断式锯片 | |
US3898734A (en) | Shears | |
GB2376659A (en) | Saw blades | |
CN208178536U (zh) | 铣刀 | |
CN201456035U (zh) | 一种多功能剪刀 | |
CN214163341U (zh) | 一种木工凿 | |
KR200184870Y1 (ko) | 양쪽으로 날이 있는 커터칼날 | |
CN220807476U (zh) | 剪片 | |
CN212352101U (zh) | 一种具有双刃片弯曲结构的陶瓷剪刀 | |
KR200253460Y1 (ko) | 톱날 | |
CN211889253U (zh) | 一种新型耐用锯片 | |
JPS6289948U (ko) | ||
CN208961019U (zh) | 一种凹型槽切断刀 | |
CN210454282U (zh) | 金饰刻刀 | |
CN211221093U (zh) | 一种锯刨两用锯条 | |
JP2002035446A (ja) | 凹状のカッター刃先当接部 | |
JP2001300886A (ja) | テープカッター | |
CN205009267U (zh) | 一种四角度直线切割刀 | |
KR20220001209U (ko) | 가위날을 바뀌어 쓸수 있는 가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12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