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6658Y1 - 적층식 컵 - Google Patents

적층식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658Y1
KR200366658Y1 KR20-2004-0021473U KR20040021473U KR200366658Y1 KR 200366658 Y1 KR200366658 Y1 KR 200366658Y1 KR 20040021473 U KR20040021473 U KR 20040021473U KR 200366658 Y1 KR200366658 Y1 KR 200366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locking
cup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진 filed Critical 박상진
Priority to KR20-2004-0021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이 용이하여 그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또한 보온 및 보냉 효과가 뛰어난 적층식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면은 개방되고, 하단면은 폐쇄되며, 내부에 음료가 충진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끼움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컵과;
상ㆍ하단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ㆍ하부 내측면 각각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각 단위 컵의 걸림홈 및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포함하고;
상호 결합된 각 단위 컵 및 외벽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식 컵{Stacking cup}
본 고안은 음료를 담아 섭취 또는 일시 저장하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이 용이하여 그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또한 보온 및 보냉 효과가 뛰어난 적층식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라 함은 액체 상태의 음료를 담아 섭취 또는 일시 저장하기 위한 그릇의 총칭으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로 깊게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컵은 그 종류에 따라 커피컵, 티컵, 맥주를 위한 저그(jug), 우유나 쥬스를 위한 유리컵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커피컵과 티컵은 보통 사기로 만들어지며 손잡이가 있고, 맥주를 위한 저그는 유리로 만들되 역시 손잡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우유나 쥬스를 위한 컵은 유리로 만들되 손잡이가 없다. 커피는 뜨거울 때 맛이 있기 때문에 되도록 천천히 식도록 상부 개구부가 약간 좁고 깊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커피컵은 상부 개구부의 직경이 75∼80mm이고 용량은 160㎖가 표준이다. 한편, 티컵은 상부 개구부가 약간 넓게 만들어져 있는 데 이는 홍차의 경우 약간 식은 것이 맛이 좋기 때문이다. 이러한 티컵은 상부 개구부의 직경이 90∼100mm이고 용량은 200㎖가 표준이다. 커피컵은 보통의 것외에 아침식사용으로 대형의 모닝컵과 저녁식사 후 마시기 위한 소형의 드미타스가 있다. 이러한 드미타스의 용량은 100㎖가 표준이다. 커피컵과 티컵은 찻종받침이 있고 6개가 한 세트를 이룬다.
찻종받침은 지름 140∼150mm의 크기로 중앙이 찻종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약간 들어간 것과 들어가지 않은 것이 있다. 들어가지 않은 것은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사용하는 개인접시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찻종받침으로서는 찻종이 미끄러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컵은 그 보관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잘못 보관할 경우에는 쉽게 넘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잦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은 그 재질이 사기 등과 같은 고가의 재질로 이루어진 컵을 제외하고 그 표면이 밋밋하게 이루어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은 단일의 벽면으로 이루어져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의 보온 또는 보냉이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컵을 간편하게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그 보관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보온 및 보냉 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적층식 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컵 및 외벽부재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위 컵 및 외벽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층식 컵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적층식 컵이 적층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위 컵 11 : 걸림홈
12 : 걸림턱 15 : 끼움돌기
20 : 외벽부재 21, 22 : 걸림돌기
23 : 공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층식컵은,
상단면은 개방되고, 하단면은 폐쇄되며, 내부에 음료가 충진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끼움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컵과;
상ㆍ하단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ㆍ하부 내측면 각각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각 단위 컵의 걸림홈 및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외벽부재을 포함하고;
상호 결합된 각 단위 컵 및 외벽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외벽부재의 외측면에는 소정 형상의 무늬가 가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층식 컵(30)은 음료가 충전되는 다수의 단위 컵(10) 및 각 단위 컵(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외벽부재(20)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단위 컵(10)은 그 상하단면이 상호 끼움결합되는 적층가능구조로 구성된다.
각 단위 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면이 개방되고, 그 하단면은 폐쇄되며, 그 내부에는 음료가 충전되는 공간부(14)가 형성되고, 그 상부 외측면에는 끼움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12)이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각 끼움홈 및 걸림턱(11, 12)은 단위 컵(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턱(11, 12)의 형상은 후술하는 외벽부재(20)의 상하부 가장자리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1, 22)가 끼움결합되기 용이한 형태이면, 내부로 유입된 홈 형상 또는 단턱진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단위 컵(10)의 하단면 가장자리부분에는 각 단위 컵(10)의 내경에 대응하는 두께의 끼움돌기(15)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각 단위 컵(10)의 끼움돌기(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의 단위 컵(10)의 상부 개구부에 끼움결합됨으로써, 각 단위 컵(10)은 수직방향으로상호 끼움결합되어 적층된다.
또한, 단위 컵(1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17)가 구비된다.
각 외벽부재(20)는 그 상ㆍ하단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중공부(23)가 형성되며, 그 상ㆍ하부 가장자리 내측면 각각에는 상술한 단위 컵(10)의 걸림홈 및 걸림턱(11, 12)에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21, 22)가 형성된다.
외벽부재(20)의 각 걸림돌기(21, 22)가 단위 컵(10)의 걸림홈 및 걸림턱(11, 12)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외벽부재(20)는 단위 컵(10)의 외부면에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각 외벽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컵(10)의 외주면에 보온 및 보냉을 위한 공간부(25)가 형성되도록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은 단위 컵(10) 및 외벽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5)에 의해, 단위 컵(10)의 공간부(14)에 충전되는 음료의 보온 또는 보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벽부재(20)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무늬가 음각 또는 양각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그 외관미를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적층식 컵(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컵(10)의 외부면에 각 외벽부재(20)이 결합된 후에, 각 단위 컵(10)의 하단면에 구비된 끼움돌기(15)를 타측의 단위 컵(10)의 상부 개구부 측에 끼움결합시킴으로써 다단으로 적층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수의 단위 컵(10)이 그 끼움돌기(15)를 통해 다단으로 적층이 매우 용이하여 그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 단위 컵(10)의 외부면에 외벽부재(20)가 소정의 공간부(25)를 형성하면서 결합됨에 따라, 단위 컵(10) 내에 충전된 음료의 보온 및 보냉을 보가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의 컵을 간편하게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그 보관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보온 및 보냉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벽부재의 형상을 캐릭터화하는 경우 분리 가능한 인형과 같은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Claims (2)

  1. 상단면은 개방되고, 하단면은 폐쇄되며, 내부에 음료가 충진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끼움돌기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단위 컵;
    상ㆍ하단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ㆍ하부 내측면 각각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각 단위 컵의 걸림홈 및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외벽부재; 및
    상호 결합된 각 단위 컵 및 외벽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컵.
  2. 제1항에 있어서, 각 외벽부재의 외측면에는 소정 형상의 무늬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컵.
KR20-2004-0021473U 2004-07-28 2004-07-28 적층식 컵 KR200366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473U KR200366658Y1 (ko) 2004-07-28 2004-07-28 적층식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473U KR200366658Y1 (ko) 2004-07-28 2004-07-28 적층식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658Y1 true KR200366658Y1 (ko) 2004-11-06

Family

ID=4944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473U KR200366658Y1 (ko) 2004-07-28 2004-07-28 적층식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514B1 (ko) * 2015-10-30 2017-10-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음량 확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514B1 (ko) * 2015-10-30 2017-10-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음량 확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2987A1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US2895636A (en) Heat and cold retaining glasses, mugs, bowls and the like
US20040262323A1 (en) Stable thermos multi-cup
USD982977S1 (en)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with cup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20080217206A1 (en) Meal tray for use in holding various beverage vessels
US20210267393A1 (en) Compartment Technology for Lids of Beverage Container
US20110095039A1 (en) Multi-user Lid for Beverage Containers
KR200366658Y1 (ko) 적층식 컵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KR101349435B1 (ko) 다중 컵
US20050029299A1 (en) Insulating liner for drink container
US20210186240A1 (en) Cylindrical container
US20120250448A1 (en) Device for making mixed drink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JPH02283309A (ja) ストロー付水筒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366346Y1 (ko) 냉각컵
CN213355539U (zh) 一种组合式的双腔容器
US20230018181A1 (en)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es and devices
KR102585461B1 (ko) 조립형 컵
JP3718421B2 (ja) 液状物を注いでいくことにより器の中にハート形が現出する器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KR200424649Y1 (ko) 식품용기의 분리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7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7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