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3378Y1 -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378Y1
KR200363378Y1 KR20-2004-0014979U KR20040014979U KR200363378Y1 KR 200363378 Y1 KR200363378 Y1 KR 200363378Y1 KR 20040014979 U KR20040014979 U KR 20040014979U KR 200363378 Y1 KR200363378 Y1 KR 200363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ce
coupling member
top cover
hai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20-2004-0014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헤어밴드측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얼굴 부위로 직접 또는 반사되어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호형을 이루되 소정 부위가 절개되어 상호 이격되고, 양측 끝단 내측에 제 1결합부재가 설치된 탄성헤어밴드; 상기 탄성헤어밴드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설치된 반원형의 모자챙; 및 상기 탄성헤어밴드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눈을 제외한 얼굴부위를 가리도록 형성된 안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 커버는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의 양측부는 상호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가 상호 박음질된 양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끈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 커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차양모자{A peaked cap}
본 고안은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 전면부가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캡(Sun cap)"이라고 불리우는 차양모자는 대부분 호형의 탄성헤어밴드의 전방에 반원형의 모자챙이 설치된다. 현재, 차양모자는 직물 등의 불투명 커버부재로 심재를 감싼 불투명 모자챙이 탄성헤어밴드에 설치된 형태의 것과 자외선차단필름으로 제작된 투명 모자챙이 탄성헤어밴드에 설치된 형태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전자의 차양모자는 뛰어난 강성의 심재를 구비하여 모자챙의 파손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심재를 둘러싼 커버부재를 통해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모양을 표현할 수 있어서 수명이 길고 외관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후자의 차양모자는 얼굴 전방으로 조사되는 햇빛을 투명 모자챙으로 가릴 수 있고 모자챙이 투명하므로 전방주시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차양모자는 모자챙이 불투명이면서 탄성헤어밴드의 전방에만 설치된 관계로 인해 모자챙으로 얼굴 부분이 가리워지면 전방주시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얼굴 부분이 완전하게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 그로 인해, 햇빛에 노출되는 장소에서 장시간동안 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는 모자챙으로 가리워지지 않은 얼굴부위가 햇빛에 타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 논밭에서 농사일을 장시간 하는 경우 모자창으로도 가리워지지 않은 얼굴 부분은 햇빛에 타게 된다.
그리고, 후자의 차양모자는 전방주시는 어느 정도 되지만 얼굴 부분이 완전하게 가려지는 것이 아니므로 전자의 차양모자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 또는 후자의 차양모자를 착용하더라도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얼굴의 안면이 발갛게 익거나 그을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데, 이는 주변의 사물을 통해 반사된 햇빛이 얼굴의 안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야외활동중에 얼굴이 타는 현상은 직접 조사되는 광선외에도 사물에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피부의 손상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얼굴부위중에서도 코나 광대뼈와 같은 돌출된 부분은 다른 부위보다 노출이 쉽고 빨리 손상되므로 쉽게 타거나 조직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탄성헤어밴드측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얼굴 부위로 직접 또는 반사되어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양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가 사용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가 사용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탄성헤어밴드 10 : 모자챙
12 : 제 1결합부재 14 : 상단 커버
16 : 하단 커버 18 : 제 2결합부재
20 : 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는, 호형을 이루되 소정 부위가 절개되어 상호 이격되고, 양측 끝단 내측에 제 1결합부재가 설치된 탄성헤어밴드; 상기 탄성헤어밴드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경사지게 돌출설치된 반원형의 모자챙; 및 상기 탄성헤어밴드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눈을 제외한 얼굴부위를 가리도록 형성된 안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 커버는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의 양측부는 상호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가 상호 박음질된 양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끈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 커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재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가 사용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차양모자는, 호형을 이루되 소정 부위가 수직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부위가 상호 이격되며, 양측 끝단 내측에 제 1결합부재(12)가 설치된 탄성헤어밴드(5); 상기 탄성헤어밴드(5)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돌출설치된 반원형의 투명한 모자챙(10); 및 상기 탄성헤어밴드(5)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눈을 제외한 얼굴부위를 가리도록 형성된 안면 커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안면 커버는 통기성을 갖는 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반원호 형태의 상단 커버(14)와 사각 형태의 하단 커버(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커버(14)와 하단 커버(16)의 양측부는 상호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단 커버(14)와 하단 커버(16) 사이에는 통기공 역할을 하는 절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커버(14)와 하단 커버(16)가 상호 박음질된 양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끈(20)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 커버(14)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재(12)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재(18)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 커버(14)는 얼굴부위중에서 눈 바로 아래 부분에서 코(코구멍은 제외) 및 코 주변부위까지를 커버하고, 상기 하단 커버(16)는 인중부분에서 양 볼부위 및 목 전면부위까지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2)는 상기 상단 커버(14)와 하단 커버(16) 사이에 박음질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공간으로서, 그 안면 커버를 착용할 경우 상단 커버(14)의 중앙부위에 코를 위치시키고 그 절개부(22)에 코구멍을 위치시킨다. 그리하면, 그 절개부(22)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되어 호흡에 지장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부재(12)는 암 벨크로 테이프(매직 테이프) 또는 암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결합부재(18)는 수 벨크로 테이프(매직 테이프) 또는 수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진다. 물론, 그 제 1결합부재(12)와 제 2결합부재(18)의 암,수 배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제 1결합부재(12) 및 제 2결합부재(18)를 똑딱이 단추로 할 때에는 안면 커버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도 있으므로, 제 1결합부재(12)를 수 똑딱이 단추로 하게 되면 탄성헤어밴드(5)를 착용시 그 수 똑딱이 단추로 인해 머리 후두부측이 아플 수 있기 때문에 제 1결합부재(12)를 암 똑딱이 단추로 하고 제 2결합부재(18)를 수 똑딱이 단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양모자에 따르면, 안면 커버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안면 커버의 상단 커버(14)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 제 2결합부재(18)를 탄성헤어밴드(5)의 양측 끝단 내측에 설치된 제 1결합부재(12)에 각각 결합시킨다. 그 후, 그 탄성헤어밴드(5)를 머리의 적당한 부위에 결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안면 커버의 상단 커버(14)의 중앙부위에 코를 갖다 대고 끈(20)을 머리뒤로 잡아 당겨서 묶는다. 이때, 상단 커버(14)의 중앙부위에 코를 갖다 대면 자연스럽게 코구멍은 절개부(22)를 통해 외부로 향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끈(20)을 완전히 묶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눈을 제외한 얼굴 부위가 완전하게 커버된다.
그와 같은 상태로 햇빛이 내리쬐는 장소에서 작업 등을 하게 되면 모자챙(10) 및 안면 커버에 의해 얼굴 전면부로 직접 입사되거나 반사되어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안면 커버가 필요없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머리뒤로 묶은 끈(20)을 푼 다음에 탄성헤어밴드(5)에서 안면 커버를 탈거하고 다시 모자챙(10)이 고정설치된 그 탄성헤어밴드(5)를 머리의 적당한 부위에 결착하면 된다. 그 탈거한 안면 커버는 보관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안면 커버를 탄성헤어밴드에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면 얼굴 부위로 직접 입사되거나 반사되어 입사되는 햇빛을 완전하게 차단시켜 주므로, 전방관측이 용이하면서도 장시간 햇빛에 노출될 경우에도 얼굴 부위가 타는 것을 막아주고 그로 인해 일사병 및 피부질환의 발생을 방지해 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호형을 이루되 소정 부위가 절개되어 상호 이격되고, 양측 끝단 내측에 제 1결합부재가 설치된 탄성헤어밴드;
    상기 탄성헤어밴드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설치된 반원형의 모자챙; 및
    상기 탄성헤어밴드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눈을 제외한 얼굴부위를 가리도록 형성된 안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 커버는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의 양측부는 상호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커버와 하단 커버가 상호 박음질된 양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끈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 커버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 및 제 2결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
KR20-2004-0014979U 2004-05-29 2004-05-29 차양모자 KR200363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79U KR200363378Y1 (ko) 2004-05-29 2004-05-29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79U KR200363378Y1 (ko) 2004-05-29 2004-05-29 차양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378Y1 true KR200363378Y1 (ko) 2004-10-01

Family

ID=4935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79U KR200363378Y1 (ko) 2004-05-29 2004-05-29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3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KR100866347B1 (ko) 모자에 장착하는 햇빛 차단용 얼굴가리개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0363378Y1 (ko) 차양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KR100801178B1 (ko) 안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JP3110940U (ja) 帽子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101066758B1 (ko) 다기능 헤어밴드
KR20040004341A (ko) 모자용 안면 커버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0363379Y1 (ko) 차양모자
KR200444921Y1 (ko) 자외선 차양모자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KR200451705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0457004Y1 (ko) 숨쉬기 용이한 원통형 머플러
KR200457005Y1 (ko) 숨쉬기 용이한 삼각 스카프
KR101348257B1 (ko) 다기능 손수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1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