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9241Y1 -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 Google Patents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41Y1
KR200359241Y1 KR20-2004-0013914U KR20040013914U KR200359241Y1 KR 200359241 Y1 KR200359241 Y1 KR 200359241Y1 KR 20040013914 U KR20040013914 U KR 20040013914U KR 200359241 Y1 KR200359241 Y1 KR 200359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double wall
branch
pipe
watert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4-0013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4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7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adjustable and comprising a 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규격의 새들티, 지수패킹, 필름밴드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 이중벽관의 형상구조에 매우 적합하여 안정된 지지력 발생에 대응한 수밀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주관과 지관을 용이하고 빠르게 연결 시공시킬 수 있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아치형상의 고정판부(110), 외부 소켓부(120), 흔들림 방지턱부(130)로 이루어진 새들티(100)와; 이런 새들티(100)의 하부에서 기밀하게 적층되도록 아치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삽입시키기 위한 결합구멍(203)을 갖는 지수패킹(200, 200')과; 새들티(100)로 하여금 지수패킹(200, 200')을 이중벽관(1)에 압박시키는 필름밴드(300)를 포함하고, 새들티(100)에는 밴드홈(111, 111')과 압력살(140, 140')과 변형방지살(121, 121')이 형성되어 있고, 지수패킹(200, 200')에는 복수개의 압력홈(204, 204')과 수밀살(240, 2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밀 성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SADDLE TYPE BRANCH SOCKET FOR DOUBLE WALLED PIPE}
본 고안은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는 콜게이트관, 주름관, 이중벽관 등을 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중벽관은 외부관에 해당하는 외벽과 내부관에 해당하는 내벽으로 압출된 후 일체형으로 이중벽을 갖도록 합체되는 것으로서, 통상 직경 10 ㎝ 에서부터 직경 60 ㎝,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되, 평활한 관 형상의 내벽 형상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의 오링과 같이 주름지거나 주기적으로 굴곡 배열된 외벽 형상을 갖는다.
이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상기 간격마다 중공층이 형성되고, 외벽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중벽관의 부속류에는, 상호 관연결하거나, 맨홀 등의 고정부재에 관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출품이나 2차 가공품 형식의 소켓(P.D.S), 90ㅀ엘보(P.D.E 90ㅀ), 45ㅀ엘보(P.D.E 90ㅀ), T자 형상의 티 소켓(P.D.T) 등이 있다.
이러한 부속류는 이중벽관의 끝단에 삽입 방식으로 관연결되기 때문에, 설치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다른 이중벽관 내지 관부재를 분지시킬 때마다, 관 길이를 고려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한 후 부속 결합 작업을 해야 함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면서도, 부속 사용량이 많아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이런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제 배관 시공 현장에서는 주관(또는 주관로)에 소정 직경의 구멍을 천공한 후, 분기구(또는 분기관) 등을 장착 또는 거치시켜서 주관으로부터 지관을 연결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기구류를 하수관 등의 연결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관의 내부로 지관이 과대 삽입될 때 주관 폐쇄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분기류를 사용하였더라도 주관과 지관의 연결 부위에서 오접 등이 발생될 때 누수, 지하수 유입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분기구류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분기관 접속 클램프,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파이프용 분기관,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PVC DC용 수밀분기구, DC용 주철관 수밀연결구, 몰탈용 콘크리트 분기구(C/T) 등이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2003년 등록실용신안 제3077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배관의 천공된 구멍(10) 보다 큰 직경의 내측와셔(3)를 구멍(10)에 들어가게 등분하여 양분시킨 것으로서, 양분된 내측와셔 날개편(31) 상면과 양분된 내측와셔 단면(33)에 패킹(7, 8)을 각각 부착하고, 분기 지관 소켓(2) 돌출부 내면(24)에 패킹(9)을 부착하여, 구멍(10) 내면에 날개편(31)이 걸쳐 있는 양분된 내측와셔(3)와 배관 외면(11)에 밀착한 분기 지관 소켓(2)을 다수의 볼트(4)로 내측와셔(3)의 너트 또는 암나사부(5)와 조임하면, 내측와셔 날개편(31) 상면의 패킹(7)이 구멍(10) 주연부 내면(12)에 압박되고 양분된 내측와셔 단면(33) 사이에는 패킹(8)이 있고, 내측와셔(3)의 수직관 돌출부(36) 외면(34) 또는 내면(35)이 분기 지관 소켓(2) 하면에 형성한 돌출부 내면(24) 또는 돌출테(22) 내면에 부착된 패킹(9)과 밀착되어 패킹(7, 8, 9)에 의해 수밀되게 한 것으로서, 양분된 내측와셔 날개편(31)에 경첩, 스프링 등의 꺾임부(400)를 형성, 양분된 내측와셔(3)를 서로 연결하고 이에서 V자 형으로 꺾이면서 구멍(10) 속으로 집어넣고 구멍(10) 속에서 양분된 내측와셔(3)를 원형상으로 벌렸을 때 양분된 내측와셔 단면(33) 사이에 있는 패킹(8)을 압박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를 포함한 종래 기술의 분기관은 유입수 차단에 의한 하수 처리비용 절감과, 오수의 누수 방지로 지하 오염 예방과, 공사비 절감 및 사후관리의 편리성과, 택지 개발시 예상 지점 사전 매설로 사후 예산절감 및 공사편리성 등의 거시적인 개념적 효과를 기대하였으나, 하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즉, 종래의 분기관들은 이중벽관의 외주연 주름의 특성상 외벽에 단순히 분기 지관 소켓을 거치할 때 본배관과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천공된 구멍 속에 삽입된 내측와셔로 분기 지관 소켓을 관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통상의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현장 작업의 신속성이나 용이성을 기대하기 힘들었다.
또한, 상기 구멍보다 직경이 큰 분기관용 내측와셔 등을 구멍 속으로 삽입하기 위해서, 내측와셔 등과 같은 해당 삽입 부품을 절개하여 삽입하거나, 또는 해당 부품 및 부위에 꺾임부를 형성시켜서 삽입하거나, 또는 해당 부품 및 부위를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형성하여 삽입하였으나, 결국 절개된 부위나 꺾임부 주위에서 수밀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이르거나, 시공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게 되고, 특히 연질 부위 등의 보강하기 위한 다양한 부재를 반드시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분기관에서, 천공된 구멍 속으로 내측와셔 등이 들어가는 분기구 타입의 경우, 지관의 직경이 크고 주관의 직경이 작은 관부재들간의 연결, 즉 적은 직경의 주관에서 큰 직경의 가지관으로의 분기 연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기관에서, 천공된 구멍의 직경은 지관의 규격을 따르기보다는 분기관의 규격에 따라 지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천공됨에 따라서, 필요 이상 크기의 천공 작업과 소재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새들티, 지수패킹, 필름밴드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 이중벽관의 형상구조에 매우 적합하여 안정된 지지력 발생에 대응한 수밀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주관과 지관을 용이하고 빠르게 연결 시공시킬 수 있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관에 천공되는 유입공을 지관의 내경크기에 맞춰 작게 하여도 사용할 수 있고 유입공을 기준으로 주관에 거치된 후 클램프 등보다 조작이 용이한 복수개의 필름밴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새들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새들티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새들티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지수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지수패킹을 사용한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이중벽관 100 : 새들티
110 : 고정판부 111, 111' : 밴드홈
120 : 외부 소켓부 121, 121' : 변형 방지살
130 : 흔들림 방지턱부 140, 140' : 압력살
200, 200' : 지수패킹 204, 204' : 압력홈
220 : 테두리 수밀면 240, 240' :수밀살
300 : 필름밴드 301 : 302 : 조임 기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중벽관의 천공된 구멍에 장착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아치형상의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중앙에서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튜브 형상의 외부 소켓부와, 상기 외부 소켓부의 축방향 하단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턱부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거치 수단과; 상기 거치 수단의 하부에서 기밀하게 적층되도록 아치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방지턱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결합구멍을 갖는 수밀 수단과; 상기 거치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수밀 수단을 상기 이중벽관에 압박시키도록, 상기 밴드홈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수단에 적어도 하나의 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새들(saddle)은 안장, 안장 모양의 물품 등을 의미하고, 새들 분기구는 새들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관연결용 관부재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복수개의 중공층을 갖는 통상의 이중벽관에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음과 함께 새들 형상을 갖는 관연결용 부재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새들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새들티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새들티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지수패킹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지수패킹을 사용한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들이다.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비교적 간단한 세 개의 구성 요소, 즉 거치 수단, 수밀 수단, 고정 수단의 어셈블리(assembly)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거치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들티(10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밀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형화된 형상으로 탄성력과 기밀성을 제공하여 접착제가 필요 없는 지수패킹(200), 또는 도 8a 내지 도 8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착제가 필요한 지수패킹(20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예컨대, 필름밴드(300) 등이 사용될 수 있다(도 7 또는 도 8c 참조).
이하, 앞서 언급한 새들티(100 : 거치 수단), 지수패킹(200, 200' : 수밀 수단), 필름밴드(300 : 고정 수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새들티(100)는 통상의 사출 성형 등의 제조방식에 의해 제조한 것으로서, PVC, PE, PP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새들티(100)는 말안장 모양과 유사한 아치형상 판형상의 고정판부(110)를 갖는다.
이런 고정판부(110)의 중앙 표면에는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튜브 형상의 지관 연결용 외부 소켓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중벽관의 천공된 유입공에 거치될 때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의 방지턱부(130)는 상기 외부 소켓부(120)의 축방향 하단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아치형 판형상을 갖는 고정판부(110)의 외표면과 내표면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이중벽관의 외표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거치 될 수 있도록, 해당 이중벽관에 각각 대응하는 다양한 사이즈와 원주율을 갖고 있어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상기사이즈와 원주율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런 고정판부(110)의 내표면에서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는 복수개의 압력살(140, 140')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부연 설명하면, 압력살(140, 140')들은 고정판부(110)의 폭방향(도면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고정판부(110)의 길이방향(도면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예컨대, 압력살(140, 140')들의 간격은 하기에 설명할 지수패킹(200)의 압력홈(204)에 각각 일치하여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압력살(140, 140')들은 상광하협 형상과 같이 경사진 테이퍼면을 양측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필름밴드(300)의 조임시 조임력이 발생되고, 그러한 조임력의 분력은 필름밴드(300)의 원주면에 대한 법선방향으로 지수패킹(200)의 압력홈(204, 204')에 전달된다. 여기서, 원주면에 대한 법선방향이란, 원주면의 일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필름밴드(300)의 경우 축심으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압력홈(204)과 압력살(140, 140') 각각의 테이퍼면은 상기 분력을 테이퍼면의 경사진 기울기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분산(f)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도 6 참조).
한편, 고정판부(110)의 외표면에서 양측 끝단 부위에는, 고정판부(110)의 두께보다 얇은 소정 깊이와 필름밴드(300)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 넓이를 각각 갖는밴드홈(111, 111')이 고정판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2 또는 도 4 참조).
밴드홈(111, 111')은 지중 내에서 발생 가능한 어떠한 외력에 저항하여 필름밴드(300)를 안정되게 안착 및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고정판부(110)와 외부 소켓부(120)의 모서리 부위에는 외부 소켓부(120)의 표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기되고 외부 소켓부(120)의 상단쪽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개의 변형 방지살(121, 121')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변형 방지살(121, 121')은 본 고안에서 조임력이 직접 인가되는 부위가 고정판부(110)의 양측에 위치한 밴드홈(111, 111')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정판부(110)의 중앙 부위가 들뜸 현상 내지 변형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외부 소켓부(120)와 흔들림 방지턱부(130)는 서로 다른 직경차에 의한 단턱(123)을 형성하고 있어서, 외부 소켓부(120)의 내경에 삽입된 이중벽관 형태의 지관의 끝단을 상기 단턱(123)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관의 끝단 내경이 흔들림 방지턱부(130)의 내경과 일치하여 지관의 끝단과 단턱(123)의 사이에서 공극이 거의 없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도 3과 같은 흔들림 방지턱부(130)의 측면 형상을 참조하면, 흔들림 방지턱부(130)에서 하방향으로의 돌출 높이(h)는 주관인 이중벽관의 전체 두께에 지수패킹의 두께를 더한 값에 대응하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들림 방지턱부(130)의 끝단은 측면방향(도면에서는 지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방향 또는 고정판부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임)에서 바라볼 때 이중벽관의 내경 원주율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가 이중벽관의 유입공에 장착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높이(h)와 반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는 끝단 때문에, 흔들림 방지턱부(130)의 끝단 또는 그의 일부는 주관의 내경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주관을 통해 흘러가는 유량에 저항력을 발생시키지 않음과 함께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유량에 함유된 부유물 등이 흔들림 방지턱부(130)에 걸려서 발생 가능한 주관 폐쇄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지수패킹(200)은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새들티(100)의 고정판부(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는 아치형 판형상의 외표면과 내표면을 갖고 있고,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지수패킹(200)의 사이즈와 원주율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런 지수패킹(20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수밀용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정형화된 형상을 갖게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지수패킹(200)은 주관에 연결된 지관의 외경 또는 상기 언급한 흔들림 방지턱부(1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결합구멍(203)을 중앙에서 두께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수패킹(200)의 아치형 외표면에는 상기 언급한 압력살(140, 140')을 각각 1:1로 안착시킬 수 있고, 상광하협 형상과 같이 경사진 테이퍼면을 양측 내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압력홈(204, 2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수패킹(200)의 아치형 내표면 중 상기 압력홈(204, 204')의 연직 하부에는 주관에 해당하는 이중벽관의 산부와 골부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수밀살(240, 2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밀살(240, 240')은 상광하협의 경사진 테이퍼면을 양측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압력홈(204, 204')과 수밀살(240, 240') 각각은 지수패킹(200)의 두께 방향으로 상호 일치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중벽관과 지수패킹(200) 간의 수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필름밴드(300)에서 시작하여 압력홈(204, 204')에서 분산된 힘을 수밀살(240, 240')에서 더욱 균일하게 분산(g)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지수패킹(200)은 평활한 표면을 갖는 수밀 수단에 비해서, 복수개의 압력홈(204, 204')과 수밀살(240, 240')의 개수만큼 증가된 표면 접촉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갖고 있어서, 결국 뛰어난 수밀 성능을 기본적으로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력홈(204, 204')과 수밀살(240, 240') 각각이 두께 방향으로 상호 일치된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에, 필름밴드(300)에 관한 조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지수패킹(200)의 결합구멍(203)은 도 8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이중벽관(1)의 천공된 구멍(10)의 직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수패킹(200)은 도 8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형식의 다른 지수패킹(200')의 소재를 이용하여 변형 제작될 수 있고, 역시, 다른 지수패킹(200')은 상술한 형상을 갖는 지수패킹(200)과 같이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지수패킹(200')은 겔 상태에 가깝게 부드러운 연질의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서,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결합구멍(203)에서 하방향으로 이중벽관의 두께만큼 연장된 테두리 수밀면(2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밴드(300)는 도 8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복수개의 구멍(301)을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고 있는 스테인레스 스트립 부재로서, 조임 볼트 및 너트 결합에 의한 조임 기구(302)에 의해서 전체 직경이 좁혀질 때 조임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새들티(100) 등으로부터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주관에 해당하는 이중벽관(1)의 일측에서 구멍(10)을 두께방향으로 천공시킨다.
작업자는 지수패킹(200)을 구멍(10)의 상부로 운반하여 온 다음, 지수패킹(200)의 길이방향과 이중벽관(1)의 길이방향을 일치시킴과 함께, 구멍(10)의 축심과 지수패킹(200)의 결합구멍(203)의 축심을 일치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수패킹(200)을 이중벽관(1) 쪽으로 내려놓게 되고, 그럴 경우, 지수패킹(200)의 복수개의 수밀살(240)이 이중벽관(1)의 골부(1a)에 각각 안착된다.
이후, 작업자는 새들티(100)를 지수패킹(200)의 결합구멍(203)의 상부로 운반하여 온 다음, 새들티(100)의 고정판부(110)의 길이방향과 지수패킹(200)의 길이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수패킹(200)의 결합구멍(203)에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삽입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새들티(100)를 지수패킹(200) 쪽으로 내려놓게 되고, 그럴 경우, 새들티(100)의 고정판부(110)의 복수개의 압력살(140)이 지수패킹(200)의 압력홈(204)에 각각 안착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어렵게 복수개의 수밀살(240)과 골부(1a) 또는 압력살(140)과 압력홈(204)을 육안으로 하나하나 일치시키면서 결합시킬 필요 없고, 방향과 축심만을 일치시키거나, 결합구멍(203)에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상대적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새들 분기구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단순히 새들티(100)의 고정판부(110)의 밴드홈(111)을 기준으로, 각각의 필름밴드(300)를 통상의 볼트 조임 방식으로 이중벽관(1)과 새들티(100)에 체결함에 따라,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의 장착 작업을 마무리한다(도 8c 참조).
이렇게 장착된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새들티(100)의 외부 소켓부(120)에 이중벽관용 패킹(90)을 이용하여 지관에 해당하는 다른 이중벽관(1')을 결합시키면 된다.
한편, 도 8b에서처럼, 매우 부드러운 지수패킹(2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수패킹(20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필름밴드(300)을 장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상대적으로 넓고 균일한 접촉 면적을 제공하는 새들티와 지수패킹에 의해서, 주름지거나 주기적으로 굴곡 배열된 외벽 형상에 대응하게 기밀한 수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이중벽관의 분지 배관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새들티와 지수패킹을 이중벽관에 거치시킨 후 필름밴드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장착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흔들림 방지턱부와 고정판부의 형상에 따라서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고 새들티로부터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여 볼트 조임 방향을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구멍을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하여 경량인 복수개의 필름밴드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지중 매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밴드홈을 새들티의 고정판부에형성하고 있어서, 지중 내에서 발생 가능한 어떠한 외력에 저항하여 필름밴드를 안정되게 안착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는 압력살, 압력홈, 수밀살 등이 이중벽관의 골부에 대응하게 일치 및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상광하협 형상과 같이 경사진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형상적 특징은 결국, 필름밴드의 조임시 발생한 조임력의 분력이 필름밴드에 대한 법선방향을 따라 압력살과 압력홈과 수밀살에 전달된 후, 각각의 테이퍼면에서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서, 지수패킹에 발생 가능한 국부적 응력을 미연에 방지하여, 지수패킹의 수명을 상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중벽관(1)의 천공된 구멍(10)에 장착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멍(10)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아치형상의 고정판부(110)와, 상기 고정판부(110)의 중앙에서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튜브 형상의 외부 소켓부(120)와, 상기 외부 소켓부(120)의 축방향 하단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턱부(130)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거치 수단(100)과;
    상기 거치 수단(100)의 하부에서 기밀하게 적층되도록 아치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삽입시키기 위한 결합구멍(203)을 갖는 수밀 수단(200, 200')과;
    상기 거치 수단(100)으로 하여금 상기 수밀 수단(200, 200')을 상기 이중벽관(1)에 압박시키도록, 조임 기구(302)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트립 형상의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수단(100)에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밴드홈(111, 11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100)은 상기 고정판부(110)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외부 소켓부(120)의 표면에서 일체형으로 돌기된 복수개의 변형 방지살(121, 12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100)은 상기 흔들림 방지턱부(130)를 제외한 상기 고정판부(110)의 내표면에 복수개의 압력살(140, 14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수단(200)은 경사진 테이퍼면을 양측 내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압력홈(204, 204')과, 상기 압력홈(204, 204')의 연직 하부에서 경사진 테이퍼면을 양측 외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수밀살(240, 24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수단(200')은 상기 결합구멍(203)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이중벽관(1)의 두께만큼 연장된 테두리 수밀면(2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소켓부(120)와 상기 흔들림 방지턱부(130)는 서로 다른 직경차에 의한 단턱(12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용 새들 분기구.
KR20-2004-0013914U 2004-05-19 2004-05-19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359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14U KR200359241Y1 (ko) 2004-05-19 2004-05-19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14U KR200359241Y1 (ko) 2004-05-19 2004-05-19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41Y1 true KR200359241Y1 (ko) 2004-08-16

Family

ID=4943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9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9241Y1 (ko) 2004-05-19 2004-05-19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1B1 (ko) * 2009-08-17 2010-03-26 주식회사 신평주철 파형 강관의 분기관 결속장치
KR20240130325A (ko) * 2023-02-22 2024-08-29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의 t자 연결 방법 및 연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61B1 (ko) * 2009-08-17 2010-03-26 주식회사 신평주철 파형 강관의 분기관 결속장치
KR20240130325A (ko) * 2023-02-22 2024-08-29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의 t자 연결 방법 및 연결 구조
KR102813354B1 (ko) * 2023-02-22 2025-05-28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의 t자 연결 방법 및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5781C (en) Flexible flange apparatus with a flexible membrane
CA2251529A1 (en) Drain and inspection manhole for liquid conduits and manhole section therefor
US6899357B2 (en) Fitting and pipe section for jetted bath heaters
KR200359241Y1 (ko) 이중벽관용 새들형 분기구
KR100744173B1 (ko) 지수단관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성형장치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307725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070013178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JP2003082725A (ja) 排水配管構造、サドル継手
KR200379819Y1 (ko) 이중벽관용 클램프타입 분리 소켓 결합구조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KR200374385Y1 (ko)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200318186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100696448B1 (ko)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288621Y1 (ko) 파이프의 연결 장치
KR200319133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JP3126219U (ja) ケーブル導管の防水装置
KR200379091Y1 (ko)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20080103698A (ko) 나선 파형관 연결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0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