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80Y1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3980Y1 KR200353980Y1 KR20-2004-0008980U KR20040008980U KR200353980Y1 KR 200353980 Y1 KR200353980 Y1 KR 200353980Y1 KR 20040008980 U KR20040008980 U KR 20040008980U KR 200353980 Y1 KR200353980 Y1 KR 2003539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ir
- unit
- guide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많은 량의 실내오염공기를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로 정화시키며,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이 가이드부를 통해 수납부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차단함과 동시에 오염된 물을 저장한 수납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깨끗한 물로 교환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접촉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산업의 발전과 함께 현대화되면서 자동차 배출가스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라 사람이 주거하는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 공기청정기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먼지나 매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의 공기청정기는 방법에 따라 전자정전식, 음이온발생식, 휠타식 등의 종류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활성탄 휠타를 사용하여 유해가스를 협착하도록 하지만 효력에 비해 고가이며, 쉽게 포화되어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교환된 휠타의 처리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공기저항이 커서 환풍기식 송풍휀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90년 실용신안 제1745호로 출원하여1991-15193호로 "실내공기 정화장치"가 공개되었다.
선 공개된 실내공기 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본체(1)의 오염공기흡입구(2) 내측에 송풍휀(3)을 설치하여 외부의 오염공기를 정화실(4)내부로 흡입할 수 있게 하고 본체 전면에 형성된 청정공기배출구(6)에 정전식 집진부(5)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송풍휀(3) 직하위치에 다수의 합성수지제 디스크형 수막판(7)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중심축(8)에 배열 설치하고, 동력전달용 로울러(9)를 일측 수막판(7) 상단에 연결 접속시켜 하단이 물에 담그어진 수막판(7)이 연속 회전되어 수막이 생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선 공개된 실내공기 정화장치는, 휠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디스크의 수막판에 의해 회전하는 물로 오염공기흡입구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기 때문에 많은 량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디스크 수막판에 의해 회전하여 정화실의 내부로 떨어지는 물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화실내의 물을 교환하기가 어려워 오염된 물로 오염공기를 정화시키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흡입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많은 량의 실내오염공기를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로 정화시키며,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이 가이드부를 통해 수납부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차단함과 동시에 오염된 물을 저장한 수납부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깨끗한 물로 교환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팬의 회전에 의해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로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내측에 장착된 상기 흡입팬의 회전으로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공이 상면에 관통되고,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측면에 방사상으로 관통되며, 이 배출공의 하부에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물을 저장하는 수납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저장된 물을 비산시켜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물 분사부와;
상기 물 분사부에 의해 비산되는 물을 안내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납부에 저장된 물 속의 내부로 배수시키는 가이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선 출원된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정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납부에 저장된 물을 교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30: 수납부
200: 물 분사부 210: 모터
220: 흡입관 230: 연결관
240: 분사부재 241: 분사공
300: 가이드부 310: 안내판
320: 안내홈 330: 배수관
340: 안착부재
이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적용된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흡입팬(10)의 회전에 의해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로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단부 내측에 장착된 상기 흡입팬(10)의 회전으로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공(110)이 상면에 관통되고, 상기 유입공(110)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120)이 측면에 방사상으로 관통되며, 이 배출공(120)의 하부에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물(W)을 저장하는 수납부(1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을 비산시켜 유입공(110)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물 분사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물 분사부(200)에 의해 비산되는 물을 안내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 속의 내부로 배수시키는 가이드부(3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 분사부(200)는, 상기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에 잠기도록 모터(210)의 저면에 연질의 흡입관(220)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으로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을 흡입관(220)으로 흡입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결관(230)이 모터(21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30)의 내부로 이동된 물(W)을 비산시켜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분사부재(240)가 연결관(230)의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분사부재(240)의 외주면에 분사공(241)이 격자형으로 관통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분사부재(240)의 분사공(241)을 통해 분사되어 오염공기를 정화시킨 물(W)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배출공(120) 내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판(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310)으로 이동된 물을 배수시키는 안내홈(320)이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320)으로 이동되는 물(W)을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 속으로 배수시키도록 안내하는 배수관(330)이 적어도 1개 이상 안내홈(320)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홈(320)의 중앙에 상기 모터(21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340)가 리브(341)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부(300)의 안착부재(340)에 안착된 모터(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모터(210)의 회전력으로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을 흡입관(220)으로 흡입하여 연결관(220)의 내부로 이동시켜 분사부재(230)의 분사공(231) 외측으로 비산시킨다.
또한, 인가된 전원으로 흡입팬(10)이 회전하여 실내의 오염공기가 유입공(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오염공기가 분사부재(240)의 분사공(241)을 통해 비산되는 물(W)과 접촉됨과 동시에 오염물질은 물과 함께 가이드부(300)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가이드부(300)로 이동되는 물은, 안내판(310)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안내홈(320)으로 유입되고, 안내홈(320)으로 유입된 물은 경사진 안내홈(320)을 따라 이동하여 배수관(330)을 통해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 속의 내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배수된다.
한편, 물 분사부(200)를 통해 오염물질이 여과된 청정공기는 리브(341) 사이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에 반사되어 배출공(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킨 물(W)이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오염되면,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납부(130)를 슬라이드시킨다.
이때, 상기 수납부(130)의 단부에 흡입관(220)이 걸리게 되며, 다시 수납부(130)를 슬라이드시키면 흡입관(220)이 수납부(130)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수납부(130)는 하우징(100)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로 교환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교환되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수납부(130)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슬라이드시킨 후, 인가된 전원으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흡입팬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많은 량의 실내오염공기를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에 의해 정화시키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분사부에서 비산되는 물이 가이드부의 안내면을 따라 수납부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차단하고, 오염된 물이 저장된 수납부를 슬라이드시켜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깨끗한 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 흡입팬(10)의 회전에 의해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로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상단부 내측에 장착된 상기 흡입팬(10)의 회전으로 실내의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공(110)이 상면에 관통되고, 상기 유입공(110)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120)이 측면에 방사상으로 관통되며, 이 배출공(120)의 하부에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도록 물(W)을 저장하는 수납부(1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100)과;상기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을 비산시켜 유입공(110)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물 분사부(200)와;상기 물 분사부(200)에 의해 비산되는 물을 안내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 속의 내부로 배수시키는 가이드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물 분사부(200)는,상기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에 잠기도록 모터(210)의 저면에 연질의 흡입관(220)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으로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W)을 흡입관(220)으로 흡입하여 상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결관(230)이모터(21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30)의 내부로 이동된 물(W)을 비산시켜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분사부재(240)가 연결관(230)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분사부재(240)의 외주면에 분사공(241)이 격자형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300)는,상기 분사부재(240)의 분사공(241)을 통해 분사되어 오염공기를 정화시킨 물(W)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배출공(120) 내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판(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310)으로 이동된 물을 배수시키는 안내홈(320)이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320)으로 이동되는 물(W)을 수납부(130)에 저장된 물 속으로 배수시키도록 안내하는 배수관(330)이 적어도 1개 이상 안내홈(320)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홈(320)의 중앙에 상기 모터(21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340)가 리브(341)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8980U KR200353980Y1 (ko) | 2004-03-31 | 2004-03-31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8980U KR200353980Y1 (ko) | 2004-03-31 | 2004-03-31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3980Y1 true KR200353980Y1 (ko) | 2004-06-23 |
Family
ID=4943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8980U KR200353980Y1 (ko) | 2004-03-31 | 2004-03-31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3980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888B1 (ko) | 2004-11-08 | 2006-11-1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
WO2015156481A1 (ko) * | 2014-04-07 | 2015-10-15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제성과 처리 효율성을 높인 악취처리장치 |
KR20160025366A (ko) * | 2014-08-27 | 2016-03-08 | (주) 남진 | 습식공기청정기 |
KR20180130431A (ko) * | 2017-05-29 | 2018-12-07 | (주)엔비의료기 |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
-
2004
- 2004-03-31 KR KR20-2004-0008980U patent/KR20035398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3888B1 (ko) | 2004-11-08 | 2006-11-10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
WO2015156481A1 (ko) * | 2014-04-07 | 2015-10-15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제성과 처리 효율성을 높인 악취처리장치 |
KR20160025366A (ko) * | 2014-08-27 | 2016-03-08 | (주) 남진 | 습식공기청정기 |
KR101691638B1 (ko) | 2014-08-27 | 2017-01-02 | (주) 남진 | 습식공기청정기 |
KR20180130431A (ko) * | 2017-05-29 | 2018-12-07 | (주)엔비의료기 |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
KR102086220B1 (ko) * | 2017-05-29 | 2020-03-06 | (주)엔비의료기 |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8009B1 (ko) |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 |
KR101628076B1 (ko) | 미세먼지 제거장치 | |
US20060102000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CN203744409U (zh) | 水柱形瀑布式室内空气过滤机 | |
KR102178549B1 (ko) | 공기청정기 | |
KR100671844B1 (ko) |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 |
KR20190139737A (ko) | 습식 공기 청정기 | |
KR20220125593A (ko) | 공기청정기 | |
KR200204087Y1 (ko) | 공기정화기(空氣淨化機) | |
US7513939B2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0353980Y1 (ko)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
US7591885B2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0309268Y1 (ko) | 물세척 공기정화기 | |
CN201049317Y (zh) | 自洁型静电净化器 | |
KR100640748B1 (ko) |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 |
CN214972758U (zh) | 移动式烟尘净化器用具有过滤结构的排风口 | |
KR20190128285A (ko) | 공기청정기 | |
KR20040078740A (ko) |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 |
CN112090201A (zh) | 一种水洗管道式烟尘气体净化器 | |
KR100640729B1 (ko) |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 |
KR20200115776A (ko) | 공기정화기 | |
CN217785259U (zh) | 一种便于排污的净化装置 | |
KR101007650B1 (ko) | 습식 공기정화기 | |
KR102368512B1 (ko) | 버블생성기가 구비된 공기 정화장치 | |
KR20200109051A (ko) | 미세먼지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33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06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4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