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5776A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776A
KR20200115776A KR1020190034070A KR20190034070A KR20200115776A KR 20200115776 A KR20200115776 A KR 20200115776A KR 1020190034070 A KR1020190034070 A KR 1020190034070A KR 20190034070 A KR20190034070 A KR 20190034070A KR 20200115776 A KR20200115776 A KR 2020011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r
water
water circulation
air
guid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지
Original Assignee
이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지 filed Critical 이인지
Priority to KR102019003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5776A/ko
Publication of KR2020011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7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기통체 내부에 채워진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정화기덮개체측으로 유입된 후 정화기덮개체 둘레부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다시 정화기통체 내부로 낙수되고 낙수된 물에 의해 정화기통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물과 접촉되면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씻겨져 정화되도록 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순환작용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천시 더럽혀진 공기가 깨끗해지는 것과 같이 실내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고 청결하게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이 포함됨에 따라 실내의 가습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며 누구나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화기덮개체를 정화기통체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이 낙수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AIR CLEANER USING WATE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떨어지는 낙수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정화되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실내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설치성이 용이하고 필터의 교체가 필요치 않아 추가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점차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석탄이나 쓰레기를 발전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나 각종 공장이 밀집된 산업 현장에서는 악취가스와 미세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다량의 공기가 발생 된다.
이러한 악취공기나 미세먼지는 물론 초미세먼지가 다량 함유된 공기를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시키면 주변의 대기를 매우 심각하게 오염시키면서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 등의 각종 질병과 암을 유발하게 된다.
근자들어서는, 중국의 산업발전의 영향에 의해 미세먼지는 물론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초미세먼지가 유입되어 야외활동을 할 때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사무실은 물론 각 가정에는 필터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정화시키는 필터 방식의 공기정화기 또는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기가 설치되고 있으며, 필터 방식의 공기정화기는 필터를 통해 실내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한 수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 방식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의 오염원을 포집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공기 정화능력이 뛰어난 반면, 필터를 장기간 사용하면 필터에 먼지 입자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먼지 입자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의 단면적을 줄이기 때문에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게 되어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는 공기의 정화용량이 감소되고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 방식의 공기정화기는, 필터의 주기적인 청소 및 교체가 실시되지 않을 경우 필터에서 포집된 오염원에 의해 세균이 번식되어 오히려 배출되는 공기에 번식된 세균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시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되고, 필터의 후처리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필터에 각종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어 악취가 나고 각종 질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기의 경우에는 코로나 전기방전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공기정화기의 내부로 다량의 공기가 빠르게 통과되면서 집진극 표면에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가 쌓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비저항이 낮을 경우에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가 집진극 표면에 붙지 못하고 떨어져 재비산 현상이 발생되어 공기정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필터방식 공기정화기 및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기와는 달리 필터에 물을 흘러내리면서 공기를 세척 정화하도록 한 공기정화기도 안출되고는 있으나, 필터가 항상 물에 젖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젖은 필터에 각종 유해한 세균이 왕성하게 번식되어 악취가 심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고 수시로 필터를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786977호인 물세척 공기정화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오염된 공기를 강제로 인입하는 송풍수단과, 인입된 오염공기에 물을 분무하는 세척수 공급수단과, 오염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같은 것을 분무된 물과 접촉시켜 세척 및 제거하는 세척수단과, 세척되는 오염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상기 세척수단이 설치되는 세척실을 포함하는 물세척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세척실의 내벽으로부터 세척실의 중심방향을 향해 세워지는 다수의 고정핀과, 상기 세척실 내부 중심선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핀의 끝단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고정핀과 충돌하지 않고 상기 세척실 내벽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축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세척실의 내벽방향을 향해 세워지는 다수의 회전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설치하기 어려우며 복수개 구비된 고정핀과 회전핀을 세척하거나 분리하여 교체 수리하기 어려워 관리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86977호(2007.12.1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28667호(2007.06.08. 등록)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쉽게 설치함은 물론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보수가 용이하며 떨어지는 낙수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정화되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실내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는 물론 초미세먼지를 깨끗하게 정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가 필요치 않아 추가비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는,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정화기통체와; 상기 정화기통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외측에 상기 정화기통체 상단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편이 구비되는 정화기덮개체를 갖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통체의 수용공간에는 이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을 상기 정화기덮개체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물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정화기덮개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물순환관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에는, 상기 물순환관이 돌출되어 상기 물순환관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다시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로 낙하시키고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낙하되는 물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정화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공기정화체는,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 중앙에 관통된 제1공기유로구멍과;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을 통해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로 공기를 강제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흡입배출부와; 상기 흡입배출부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상기 정화기덮개체의 내측 상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의 밀착편 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물순환가이드벽과; 상기 정화기덮개체의 내측 상면에 관통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제2물순환가이드벽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낙수구멍과;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제2물순환가이드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에 관통되어 상기 물순환관의 끼워져 돌출되는 물순환끼움구멍과; 상기 정화기덮개체의 밀착편과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에 관통되는 제2공기유로구멍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제2물순환가이드벽 사이에는 상기 물순환끼움구멍에 끼워져 돌출된 물순환관을 통해 제1물순환가이드벽과 제2물순환가이드벽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으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구멍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에는,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벽과 제2가이드벽 사이로 순환되는 물이 낙수될 때 상기 정화기통체 내부에 채워진 물에 낙수되는 물이 직접적으로 닿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 미세구멍을 갖는 소음방지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정화기통체 내부에 채워진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정화기덮개체측으로 유입된 후 정화기덮개체 둘레부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다시 정화기통체 내부로 낙수되고 낙수된 물에 의해 정화기통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물과 접촉되면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씻겨져 정화되도록 하며 정화된 공기는 다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순환작용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천시 더럽혀진 공기가 깨끗해지는 것과 같이 실내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고 청결하게 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이 포함됨에 따라 실내의 가습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며 누구나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화기덮개체를 정화기통체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이 낙수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에 의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되는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강제 배출되는 상태의 작용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11)을 갖는 정화기통체(10)와, 상기 정화기통체(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끼움홈(21)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21)의 외측에 상기 정화기통체(10) 상단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편(22)이 구비되는 정화기덮개체(20)를 갖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화기통체(10)의 수용공간(11)에는 이 수용공간(11)에 채워진 물(101)을 상기 정화기덮개체(2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물순환펌프(30)와 상기 물순환펌프(30)와 연결되되 상기 정화기덮개체(20)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물순환관(31)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는, 상기 물순환관(31)이 돌출되어 상기 물순환관(31)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다시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낙하시키고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낙하되는 물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정화체(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물순환펌프(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순환관(31)을 통해 상기 정화기통체(10)에 채워진 물(101)이 상기 정화기덮개체(20)측으로 순환되고 순환된 물은(101)은 다시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져 낙수된다.
이와 같이 물(101)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낙수될 때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정화기덮개체(20)를 통해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낙수되는 물(101)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인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씻겨지고 이에 따라 정화된 깨끗한 공기만이 정화기덮개체(20)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킨다.
즉, 본 발명은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낙수되는 물(101)에 의해 자연스럽게 씻겨짐에 따라 별도의 정화필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필터 교체는 물론 관리에 따른 수고스러움과 비용부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화기통체(10)와 상기 정화기덮개체(20)는 상기 끼움홈(21)이 상기 정화기통체(10) 상단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정화기통체(10)와 정화기덮개체(20)를 서로 분리할 수 있어 정화기통체(10)의 내부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정화기통체(10)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체(50)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 중앙에 관통된 제1공기유로구멍(51)과,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공기를 강제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흡입배출부(52)와, 상기 흡입배출부(52)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밀착편(22) 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물순환가이드벽(54)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에 관통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낙수구멍(55)과,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관통되어 상기 물순환관(31)의 끼워져 돌출되는 물순환끼움구멍(56)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밀착편(22)과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관통되는 제2공기유로구멍(5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배출부(52)는 선택에 따라 흡입 즉,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또는 정화기통체(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출부(52)에 의해 공기를 강제흡입하면 강제흡입된 공기는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구비된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구비된 제2공기유로구멍(57)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바, 이와 같이 정화기통체(10) 내부에서 공기흐름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55)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지는 물(101)에 의해 깨끗하게 씻겨져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구멍(57)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 채워진 물(101)은 상기 물순환펌프(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순환관(31)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가이드벽(53)과 제2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된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101)은 상기 제1가이드벽(53)과 제2가이드벽(5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벽(53)과 제2가이드벽(54) 사이의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을 따라 흐르게 되며, 흐르는 물(101)은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에 복수개 구비된 낙수구멍(55)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55)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지는 물(101)에 의해 상기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깨끗하게 씻겨져 정화되어 제2공기유로구멍(57)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출부(52)에 의해 공기가 강제적으로 배출되면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 공기가 상기 흡입배출부(52)가 위치된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강제적으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기유로구멍(57)을 통해 공기가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공기흐름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55)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지는 물(101)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깨끗하게 씻겨져 정화된 후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는 상기 물순환끼움구멍(56)에 끼워져 돌출된 상기 물순환관(31)을 통해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54)으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구멍(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물넘침방지구멍(6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물순환관(31)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가이드벽(53)과 제2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된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으로 유입된 물(101)이 상기 제1가이드벽(53)과 제2가이드벽(54) 사이의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흐르는 물(101)이 상기 물넘침방지구멍(60)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짐에 따라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54)으로부터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 채워진 물(101)의 수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55)을 통해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로 순환되는 물이 낙수될 때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 채워진 물(101)에 낙수된 물이 직접적으로 닿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 미세구멍(71)을 갖는 소음방지구(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소음방지구(70)는 스펀지 또는 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소음방지구(7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낙수구멍(55)을 통해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떨어지는 물(101)이 정화기통체(10)에 채워진 물의 수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되어 물(101)이 수면에 부딪힘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정화기통체 11 : 수용공간
20 : 정화기덮개체 21 : 끼움홈
22 : 밀착편 23 : 정화기덮개체 내측 상면
30 : 물순환펌프 31 : 물순환관
50 : 공기정화체 51 : 제1공기유로구멍
52 : 흡입배출부 53 : 제1물순환가이드벽
54 : 제2물순환가이드벽 55 : 낙수구멍
56 : 물순환끼움구멍 57 : 제2공기유로구멍
60 : 물넘침방지구멍
70 : 소음방지구 71 : 미세구멍

Claims (4)

  1.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11)을 갖는 정화기통체(10)와;
    상기 정화기통체(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끼움홈(21)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21)의 외측에 상기 정화기통체(10) 상단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편(22)이 구비되는 정화기덮개체(20)를 갖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통체(10)의 수용공간(11)에는 이 수용공간(11)에 채워진 물(101)을 상기 정화기덮개체(20)측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물순환펌프(30)와 상기 물순환펌프(30)와 연결되되 상기 정화기덮개체(20)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물순환관(31)이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는,
    상기 물순환관(31)이 돌출되어 상기 물순환관(31)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다시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낙하시키고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낙하되는 물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정화체(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체(50)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 중앙에 관통된 제1공기유로구멍(51)과;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구멍(51)을 통해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로 공기를 강제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 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흡입배출부(52)와;
    상기 흡입배출부(52)의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밀착편(22) 보다 높게 구비되는 제2물순환가이드벽(54)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내측 상면(23)에 관통되되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 낙수구멍(55)과;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관통되어 상기 물순환관(31)의 끼워져 돌출되는 물순환끼움구멍(56)과;
    상기 정화기덮개체(20)의 밀착편(22)과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정화기덮개체(20)에 관통되는 제2공기유로구멍(5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에는 상기 물순환끼움구멍(56)에 끼워져 돌출된 상기 물순환관(31)을 통해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물순환가이드벽(54)으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구멍(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는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 채워진 물(101)의 수면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개 낙수구멍(55)을 통해 상기 제1물순환가이드벽(53)과 제2물순환가이드벽(54) 사이로 순환되는 물이 낙수될 때 상기 정화기통체(10) 내부에 채워진 물(101)에 낙수된 물이 직접적으로 닿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 미세구멍(71)을 갖는 소음방지구(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1020190034070A 2019-03-26 2019-03-26 공기정화기 Ceased KR20200115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70A KR20200115776A (ko) 2019-03-26 2019-03-26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70A KR20200115776A (ko) 2019-03-26 2019-03-26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776A true KR20200115776A (ko) 2020-10-08

Family

ID=7289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70A Ceased KR20200115776A (ko) 2019-03-26 2019-03-26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57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41A (ko) * 2020-11-24 2022-05-3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도넛형 수분막을 이용한 공기정화형 가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67B1 (ko) 2006-01-24 2007-06-15 이영훈 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
KR100786977B1 (ko) 2006-01-14 2007-12-17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977B1 (ko) 2006-01-14 2007-12-17 박명덕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0728667B1 (ko) 2006-01-24 2007-06-15 이영훈 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41A (ko) * 2020-11-24 2022-05-3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도넛형 수분막을 이용한 공기정화형 가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080111572A (ko) 세정수와 회전구조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N111918710A (zh) 具有水粒子碰撞扩散结构的湿法集尘空气净化装置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1553136B1 (ko) 제연 및 미세먼지,유기화합물 정화시스템
JP2002095924A (ja) 空気浄化装置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200479702Y1 (ko) 지속 운전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20200115776A (ko) 공기정화기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0972616B1 (ko) 항원 폭로실 및 그 세정·건조방법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KR20050101512A (ko) 공기정화기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00010553A (ko) 공기정화기
KR20200007486A (ko) 물 세척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CN206792355U (zh) 除尘组件及吸尘器
KR20120002881U (ko) 활성탄 필터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1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