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394Y1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Google Patents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5394Y1 KR200345394Y1 KR20-2003-0039126U KR20030039126U KR200345394Y1 KR 200345394 Y1 KR200345394 Y1 KR 200345394Y1 KR 20030039126 U KR20030039126 U KR 20030039126U KR 200345394 Y1 KR200345394 Y1 KR 2003453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ound
- microphone
- speaker
- wireless heads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중심부에 비해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바나나 형태의 주몸체부와; 주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송화부 기능을 갖는 마이크와; 주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수화부의 기능을 갖는 이어 스피커와;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 일치작업을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와;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볼륨 조절 스위치; 및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용 접속부를 구비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소자에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자의 발성음의 분산을 방지하여 마이크로폰 소자로 음파가 집속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파집속용 캡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 스피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에는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수화음의 외부로의 무분별한 분산을 방지하여 송출음이 음토출구 중심부로 집속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파집속 토출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banana shape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both ends relative to the center; A microphon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unction of a talker; An ear speak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unction of a receiver; A hook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utton function for call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ID matching with a mobile phone; A volume control switch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during a call; And a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s a power charging connection portion that charges its own required power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the microphone element provided inside the microphone. There is a sonic focusing cap is installed to prevent the voice of the caller to be input into the microphone so that the sound wave is focused to the microphone element, and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ear speaker is a speaker sound from the speaker A sound wave condensation ejecting memb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dispersion of the light to the outside so that the sound is focused and output to the center of the sound outlet.
Description
본 고안은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 부분과 이어 스피커 부분에 음성의 분산을 방지하여 음성을 한 곳으로 집속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통화시의 송ㆍ수화 품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and in particular, the microphone portion and the ear speaker portion are provided with a means for focusing the voice in one place by preventing the dispersion of the voic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ll and the handset during the c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는 다양한 액세서리(accessory)들과 함께 사용되며, 이들 중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제공하는 헤드셋(headset)은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used with various accessories, and a headset that provides hands free function is a good response because the user can talk with both hands freely. Is getting.
전화통화용 헤드셋은 통상 이어폰과 마이크를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머리 또는 목에 걸쳐 착용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통상 이어폰이 내장된 부분이 양쪽 귀를 완전히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 telephone call headset usually has earphones and a microphone, and most of the prior arts are configured to be worn over a head or neck, and a portion in which earphones are built is completely covered with both ears.
그러나, 양쪽 귀를 완전히 덮는 형태의 헤드셋은 전화통화에 관계없이 항상 착용하거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착용하는 것으로, 전자의 경우에는 헤드셋을 항상 착용하고 있으므로,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전화통화를 할 때마다 헤드폰을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headset that covers both ears is worn all the time regardless of a telephone call or only when a telephone call is made. In the former case, the headset is always worn. There is a problem, an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need to wear headphones every time a telephone call is made.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쪽 귀에 걸쳐 착용하는 형태의 헤드셋인 이어폰-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earphone-microphones, which are headsets of a type worn over one ear,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도 1은 이상과 같은 종래 이어폰-마이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이어폰-마이크(국제특허공개 번호 제00/19685호 참조)는 작은 스피커가 내장되어 수화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귓바퀴에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스피커 모듈(speaker module)(10)과, 그 스피커 모듈 (10)에 볼(ball)과 소켓(socket)을 매개로 결합되고 귀의 바깥쪽 부분에 걸쳐지는 귀걸이대(earpiece)(20) 및, 그 귀걸이대(20)에 결합되고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송화 기능을 가지며 신축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폰 붐(microphone boom) (30)으로 크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se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00/19685) has a speaker module (speaker module) having a shape in which a small speaker is built in and has a sign language function and can be comfortably seated on a user's fore wheel. 10, an earpiece 20 coupled to the speaker module 10 via a ball and a socket and over the outer portion of the ear, and the earpiece 20 It is largely composed of a microphone boom (3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oupled to the built-in microphone having a calling function.
상기 귀걸이대(20)는 귓등에 걸쳐지는 부분인 경한 재질의 백본(backbone) (22)과 이 백본(22)에 결합된 연한 재질의 와이어(wire)(24)로 구성되며, 귀의 크기가 표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상기 연한 재질의 와이어(24)를 펴거나 굽힘으로써 이어폰-마이크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The earring stand 20 is composed of a backbone 22 made of a hard material, which is a portion extending over the back, and a wire 24 made of a soft material bonded to the backbone 22, and the size of the ear is standard. Even when larger or smaller, the soft wire 24 is bent or bent to facilitate wearing of the earphone-microphone.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이어폰-마이크는 귀걸이대(20)의 백본(22)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귓등의 크기가 표준보다 큰 경우, 백본 (22) 부위가 귓등에 잘 걸쳐지지 않거나, 걸쳐진다 해도 귓등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귓등의 크기가 표준보다 작은 경우에는, 백본(22) 부위가귓등을 따라 흔들려 착용상의 불안정을 초래하는 한편 심한 경우 귓등에 상처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hard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ckbone 22 of the earring stand 20 is larger than the stand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essure is applied to the ear, even if it is not supported or stretch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back ligh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ion of the backbone 22 is shaken along the back light, causing instability in wear, and in severe cases, the back light.
또한, 종래 이어폰-마이크는 구조적으로 어느 일측 귀(본 예시는 왼쪽 귀)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왼쪽 귀의 청력이 약하거나 왼쪽 귀의 귓바퀴에 외상을 입어 무엇을 거치하기 어려운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arphone-mic is structurally designed to be used only on one side of the ear (in this example, the left ear), so that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ser's left ear, for example, the hearing of the left ear is weak or the trauma of the left ear's auricle. If you are in a difficult state to wear something,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use.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에 의하여 동일한 명칭으로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이 선출원된(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20-2003-0015792) 바 있다. 도 2 및 도 3은 그 선출원된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조립완성된 상태에서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마이크와 이어 스피커 부분을 분해하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same applicant has been filed for the same nam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20-2003-0015792). Figures 2 and 3 show a wireless headset for the handset of the pre- filed,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icrophone and ear speaker portion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선출원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100)은 좌,우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 주몸체부(110), 마이크(120), 이어 스피커(130), 훅 스위치(140), 볼륨 조절 스위치 (150), 전원 충전용 접속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번호 180은 표시부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100 of the prior application is a wireless headset that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s to perform a telephone call wirelessly, the main body 110, the microphone 120, Then, the speaker 130, the hook switch 140, 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and comprises a power supply charging connection 160. Reference numeral 180 denotes a display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선출원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100)은 귓바퀴에 거치되는 부위가 탄성을 가지는 연질 고무로 되어 있어 귓등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귓바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이어 스피커 부분이 좌우 180°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 어느 쪽 귀에도 자유롭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있다.The handset wireless headset 100 of the prior applica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soft rubber having elasticity of the part to be mounted on the wheel, can be mounted stably on the wheel without regard to the size of the wheel, the ear par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180 ° left and right, which can be worn freely on both left and right ears.
그런데, 이상과 같은 선출원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100)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120)와 이어 스피커(130)의 구조가 현재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는 상태, 즉 마이크(120)의 내부 공간에 마이크로 폰 소자 (125)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에 마이크 커버(120c)가 조립되고, 이어 스피커 (130) 내부의 스피커(135)에 이어 스피커 커버(130c)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통화시 마이크(120) 부분과 이어 스피커(130) 부분에서 음이 흩어지고, 공명 현상 등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통화감이 좋지 않다는 것이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By the way, in the above-mentioned handset wireless headset 1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the structure of the microphone 120 and the ear speaker 130 is the same mechanism as the present state, that is, the microphone The microphone cover 120c is assembled thereon with the microphone element 125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120, and the speaker cover 130c is assembled after the speaker 135 inside the speaker 130. In the case of a call, the microphone 120 and the speaker 130, the sound is scattered, the resonance phenomenon, etc.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feeling is not good.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이크 부분과 이어 스피커 부분에 음성의 분산을 방지하여 음성을 한 곳으로 집속시켜줄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통화시의 송ㆍ수화 품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matters, and by providing a means to focus the voice in one place by preventing the dispersion of the voice in the microphone part and the ear speaker part,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uring the call is further impro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that can be made.
도 1은 종래 이어폰-마이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arphone-microphone.
도 2는 본원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조립완성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pre- filed by the same applicant as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은 도 2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마이크와 이어 스피커 부분을 분해하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crophone and the ear speaker of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조립완성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Figure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마이크와 이어 스피커 부분을 분해하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crophone and the ear speaker of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of FIG.
도 6은 도 4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의 이어 스피커의 목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울림방지용 구멍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anti-ring hole formed in the neck portion of the ear speaker of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of Figure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주몸체부 120...마이크110 Main body 120 Microphone
125...마이크로폰 소자 130...이어 스피커125 Microphone Elements 130 Ear Speakers
135...(내부)스피커 140...훅 스위치135 ... (internal) speaker 140 ... hook switch
150...볼륨 조절 스위치 160...전원 충전용 접속부150 ... Volume control switch 160 ... Power supply connection
180...표시부 130h...울림방지용 미세 구멍180 ... Display 130h ... Anti-pore hole
500...음파집속용 캡 600...음파집속 토출용 부재500 ... Sonic focusing cap 600 ... Sonic focusing discharge member
120c...마이크 커버 130c...이어 스피커 커버120c ... microphone cover 130c ... ear speaker cov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좌,우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 중심부에 비해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바나나 형태의 주몸체부와, 주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송화부 기능을 갖는 마이크와, 주몸체부의 타측단부에 마련되며, 수화부의 기능을 갖는 이어 스피커와,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 일치작업을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와,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볼륨 조절 스위치 및 주몸체부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용 접속부를 구비하는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headset mount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 and performing a telephone call wirelessly. 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one side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crophone fun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ear speakers having the function of the receiver,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Hook switch having button function for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ID matching with mobile phone, and volume control switch and main body which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art of main body part and have a function to adjust volume during call A so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nit and including a power charging connection portion for charging a necessary power supply by connecting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In Chemistry appointed wireless headset,
상기 마이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소자에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자의 발성음의 분산을 방지하여 마이크로폰 소자로 음파가 집속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파집속용 캡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 스피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에는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수화음의 외부로의 무분별한 분산을 방지하여 송출음이 음토출구 중심부로 집속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파집속 토출용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 microphone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microphone is provided with a sound wave focusing cap for preventing the sound of the speaker from being input into the microphone so that sound waves can be focused and input to the microphone element, and installed inside the ear speaker. The spe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ound wave condensation discharge member for preventing the indiscriminate dispersion of the sound received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so that the output sound is focused to the center of the sound discharge outl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본원과 동일한 명칭으로 선출원된(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20-2003-0015792)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서의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filed under the same name as the present applic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3-0015792) Use a reference number.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조립완성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마이크와 이어 스피커 부분을 분해하여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이어 스피커의 목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울림방지용 구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to 6 show a wireless headset for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microphone and the ear speaker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ring preventing hole formed in the neck of the ear speak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본원의 선출원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과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좌,우 어느 일측 귀에 거치하고 무선으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헤드셋으로서, 중심부에 비해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바나나 형태의 주몸체부(110)와, 주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송화부 기능을 갖는 마이크(120)와, 주몸체부(11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수화부의 기능을 갖는 이어 스피커(130)와,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 온/오프, 자체 전원 온/오프 및 휴대폰과의 ID 일치작업을 위한 버튼 기능을 갖는 훅 스위치 (140)와,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통화시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볼륨 조절 스위치(150) 및 주몸체부(110)의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속에 의해 자체의 필요한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용 접속부 (16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물론 주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전화통화와 관련된 기능의 수행,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에 따른 제어기능 등 제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부(미도시)가 마련된다.4 and 5,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headset that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 and performs a telephone call wirelessly, and has a banana-shaped main body part 110 having a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both ends relative to the center. , A microphone 120 having a transmitter function and a microphone 1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an ear speaker 1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having a function of a receiver, I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hook switch 140 having a button function for the call on / off, self power on / off and ID matching with the mobile phone, and predetermined of the main body 110 It is provided at the sit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olume control switch 150 and the main body 110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during the call, and charges its own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Based on the power charging connection 160 The ever having to. Of course, a control circuit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perform various control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nd a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그러나, 본 고안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는, 상기 마이크(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소자(125)에는 마이크(120)로 입력되는 통화자의 발성음의 분산을 방지하여 마이크로폰 소자(125)로 음파가 집속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파집속용 캡(500)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 스피커(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135)에는 스피커(135)로부터 송출되는 수화음의 외부로의 무분별한 분산을 방지하여 송출음이 음토출구 중심부로 집속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음파집속 토출용 부재(600)가 설치되는 점이 상기 본원의 선출원과 특징적으로 다르다. 즉, 본 고안은 본원의 선출원 고안에 비해 기술적으로 한 단계 더 진보된(개선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handset wireless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element 125 installed inside the microphone 120 prevents the voice of a caller from being input into the microphone 120 and prevents the microphone element 125 from being distributed. A sound wave focusing cap 500 is installed to allow the sound waves to be focused and input, and the speaker 135 installed inside the ear speaker 130 is external to the sign sound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135. It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from the pri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the sound wave focused discharge member 600 is installed so as to prevent indiscriminate dispersion of the sound so that the sound is focused and output to the center of the sound discharge por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ly advanced form (advanced) compared to the previous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여기서, 상기 음파집속용 캡(500)은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일측은 대직경이고 타측은 소직경인 두 개의 원통체가 일체로 연속하여 연결된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파집속 토출용 부재(6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몸체의 축방향으로는 음토출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골이 형성되어 있는 대략 2중 원반 구조체의 형태로 구성된다.Here, the sound wave focusing cap 500 is made of a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one side is a large diameter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 funnel shape in which two cylindrical bodies are connected in series. In addition, the sound wave focusing discharge member 6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ound discharge outlet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ughly double disk structure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스피커(130)의 목부분에는 이어 스피커(130) 내부에서의 공명 현상에 의한 소리의 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 1개 이상의 미세 구멍(130h)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3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이는 구멍의 개수를 1개에서부터 다섯개, 여섯개까지 형성하여 통화감을 실험해 본 결과, 구멍의 개수가 3개일 때가 총체적인 통화감이 가장 양호하게 느껴진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t least one fine hole 130h is formed in the neck of the ear speaker 130 in order to prevent a ringing of the sound due to resonance in the ear speaker 130. Preferably, three holes. This experiment is based on the result of experimenting the feeling of currency by forming the number of holes from 1 to 5, 6,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overall feeling of currency was the best when the number of holes was 3.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에 대한 더욱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항, 전체적인 동작 및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은 상기 본원의 선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20-2003-0015792)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어 그것으로 대체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ore detailed and specific details about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overall operation and use of the pri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 20- 2003-0015792,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and will b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and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은 마이크 부분과 이어 스피커 부분에 음성의 분산을 방지하여 음성을 한 곳으로 집속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통화시의 송ㆍ수화 품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headset for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focusing the voice to one place by preventing the dispersion of the voice in the microphone portion and the ear speaker portion, respectiv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uring the c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urther improve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9126U KR200345394Y1 (en) | 2003-12-16 | 2003-12-16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9126U KR200345394Y1 (en) | 2003-12-16 | 2003-12-16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5394Y1 true KR200345394Y1 (en) | 2004-03-18 |
Family
ID=4934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9126U Ceased KR200345394Y1 (en) | 2003-12-16 | 2003-12-16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5394Y1 (en) |
-
2003
- 2003-12-16 KR KR20-2003-0039126U patent/KR200345394Y1/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9498A (en) | Transducer device for use with communication apparatus | |
US6914996B2 (en) | Portable telephone attachment for person hard of hearing | |
US5099519A (en) | Headphones | |
US7680267B2 (en) | Headset with a retractable speaker portion | |
EP1211872A1 (en) | A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60177086A1 (en) | Tubular,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20100022281A1 (en) | Wireless phone headset | |
KR20110006598A (en) | headset | |
CN114270873B (en) | Sound output device | |
KR100620827B1 (en) | Handset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 |
WO2005096599A1 (en) | Talk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 |
JP3140230U (en) | Glasses with reception function | |
US20070269073A1 (en) | Earphone with microphone | |
KR200228427Y1 (en) | Necklace type hands free apparatus of mobile phone | |
KR200345394Y1 (en)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
JP2010273108A (en) | Head set | |
KR100882614B1 (en) | Soundproofing | |
JP2005277995A (en) | Radio head set instrument | |
GB2423883A (en) |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in the form of an identity card | |
KR20050096301A (en) | Wireless earphone | |
KR200233027Y1 (en) |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 |
KR200323865Y1 (en) |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 |
KR200285673Y1 (en) | Ear-microphone by using an antenna of mobile phone | |
KR200302706Y1 (en) | earphone inner sunglass | |
WO2003034779A1 (en) | Earphon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216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2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3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C2102 | Extinguishment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