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3027Y1 -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 Google Patents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027Y1
KR200233027Y1 KR2020010002361U KR20010002361U KR200233027Y1 KR 200233027 Y1 KR200233027 Y1 KR 200233027Y1 KR 2020010002361 U KR2020010002361 U KR 2020010002361U KR 20010002361 U KR20010002361 U KR 20010002361U KR 200233027 Y1 KR200233027 Y1 KR 200233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line
speaker
housing
han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3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재혁
Original Assignee
한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혁 filed Critical 한재혁
Priority to KR2020010002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0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027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earphone set for enab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used hands-free.

본 고안은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연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어 스피커선과 마이크선, 그라운드선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 중에서 스피커선에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연결선 중에서 마이크선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가 그 일단에 장착되어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스피커선의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해 주는 볼륨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후크 스위치와; 상기 스피커가 일측면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볼륨 스위치가 그 외주면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부의 일단이 그 외주면의 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단에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plug and including a speaker line, a microphone line, and a ground line; A speaker connected to a speaker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A microphone connected to a microphone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An elastic part mount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to expand and contract its length; A volume switch connected to a middle of the speaker line to adjust a volum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 hook switch connected to the microphone wire and having a hook on / off function; A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one side, the volume switch is installed at one posi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racket protrudes at one end thereof; It is mounted on the bracket of the housing, and provides a hands-free ear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 for wearing the housing on the user's ear.

Description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Earphone Set for Hands Free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본 고안은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earphone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s-free earphone set for enab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used hands-free.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행과 같이 집중이 필요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전화 통화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In general, it is very dangerous to talk on the phone while working on tasks that require concentration, such as driving a car.

특히, 운전 중에 직접 단말기를 손에 잡고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집중력이 분산되어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 때문에 다수의 국가에서는 운전 중에 단말기를 직접 손에 잡고 전화 통화를 하는 것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hen talking on the phone while holding the device in hand, the concentration of distraction can cause a very dangerous situation such as causing a traffic accident. It is regulated by law.

따라서, 자동차 운전 중에도 전화 통화를 안전하게 하기 위한 핸즈프리 셋(Hands Free Set)이 개발되어 자유로운 상태에서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Accordingly, a hands free set has been developed to secure a phone call even while driving a car, thereby enabling a phone call in a free state.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핸즈프리 셋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이어폰(7), 상기 이어폰(7)에 적당한 거리(귀와 입사이의 거리)를 두고 연결되는 마이크(3), 상기 마이크(3)에 같이 설치되는 볼륨(4) 및 후크 스위치(5)와, 상기 마이크(3)와 이어폰(7)을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연결잭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선(2) 및 플러그(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However, most hands-free sets of the related art are installed in the earphone 7 worn on the user's ear, the microphone 3 connected to the earphone 7 at an appropriate distance (distance between the ear and the incidence), and the microphone 3. It comprises a volume 4 and a hook switch 5, a connecting line 2 and a plug 1 for connecting the microphone 3 and the earphone 7 to a connecting jack of a mobile telephone terminal.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존의 핸즈프리 셋은 수화기로 이용되는 이어폰(7)이 귓속에 삽입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착용하면 귀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송화기로 이용되는 마이크(3)는 상기 이어폰(7)에 이어폰선(6)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서는 마이크(3)의 위치가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제대로 입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xisting hands-free se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ear pain when worn for a long time because the earphone 7 used as the earpiece is inserted into the ear, and the microphone 3 used as the handset is the earphone. Since the earphone line 6 is connected to (7),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3 may be far from the user's mouth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voice from being properly input.

특히, 후크 스위치(5)의 경우에 이어폰(7)에 이어폰선(6)으로 연결된 마이크(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7)에 이어폰선(6)으로 연결된 마이크(3)의 위치를 사용자가 바로 찾지는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착신 신호가 수신되어도 경우에 따라서는 후크 스위치(5)를 바로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ook switch 5, since the microphone 7 is installed in the microphone 3 connected to the earphone 7 by the earphone line 6,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3 connected to the earphone 7 by the earphone line 6 is adjusted. In some cases, the user may not find the hook, and even if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the hook switch 5 may not be found in some cases.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적당한 마이크와 이어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후크 스위치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바로 착신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which can be worn stably on the user's ear, can adjust the distance of the appropriate microphone and earphon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the hook switch It is to provide a hands-free earphone set that can fix the position and respond to the incoming signal immediately.

도 1은 기존의 이동 전화 단말기용 핸즈프리 셋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ands-free set for a mobile phone terminal.

도 2,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2,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12 : 브라켓10 housing 12 bracket

14 : 그립 20 : 스피커14: Grip 20: Speaker

30 : 마이크 35 : 신축부30: microphone 35: stretch

40 : 플러그 45 : 연결선40: plug 45: connecting li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연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 중에서 스피커선에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연결선 중에서 마이크선에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가 그 일단에 장착되어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와; 상기 스피커선의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해 주는 볼륨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후크 스위치와; 상기 스피커가 일측면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볼륨 스위치가 그 외주면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부의 일단이 그 외주면의 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단에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plug; A speaker connected to a speaker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A microphone connected to a microphone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An elastic part mount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to expand and contract its length; A volume switch connected to a middle of the speaker line to adjust a volum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 hook switch connected to the microphone wire and having a hook on / off function; A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one side, the volume switch is installed at one posi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racket protrudes at one end thereof; It is mounted on the bracket of the housing, and provides a hands-free ear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 for wearing the housing on the user's ea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 셋으로 이용할 때에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하우징에 후크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 등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더듬거리지 않고 바로 찾아서 동작시킬 수 있으며, 마이크의 위치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이 있는 위치에 마이크를 가깝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are mounted on the housing worn on the user's ear when using as a hands-free set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the user can find and operate the microphone without stuttering to find their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can be flexibly adjusted to bring the microphone closer to where the user's mouth is.

(실시예)(Example)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첨부한 도면, 도 2,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2 and 3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전화 단말기를 핸즈프리 상태로 사용하도록 하면서, 기존의 핸즈프리 셋이 갖고 있던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하우징(10)에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포함시켜 구성하였다.2 and 3, the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in use of the existing hands-free set while allow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be used in the hands-free state. Most of the components were included in the housing 10 worn on the ear.

이동 전화 단말기의 입출력잭에 삽입 연결되는 플러그(40)에는 단말기의 위치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른 충분한 길이를 갖는 연결선(45)이 연결되어 있다.The plug 40 which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jack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has a connection line 45 having a sufficient leng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the distance of the user.

상기 연결선(45)은 하우징(10)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하우징(10) 내부에서 스피커선(49)과 마이크선(47)으로 각각 분리되어, 스피커선(49)은 스피커(20)에 연결되고, 마이크선(47)은 마이크(3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45 is fixed to the housing 10, and the speaker wire 49 is separated into the speaker wire 49 and the microphone wire 47 in the housing 10, and the speaker wire 49 is connected to the speaker 20. The microphone wire 47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30.

상기 하우징(10)은 사용자의 귓바퀴를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으면서, 그 내부에 다수의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의 일측면 즉, 귓바퀴에 접촉되는 측면의 중앙에 음성을 출력시켜 주는 스피커(20)가 내장된다.The housing 10 has a size enough to cover the user's auricle, and is formed to have a hollow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rein, and has one side of the inside thereof, that is, a center of the side contacting the auricle wheel. The speaker 20 which outputs a voice is built in.

상기 스피커(20)를 중심으로 도넛 형태의 공간인 마이크선 수용부(16)가 형성되어, 아래에 설명하는 신축부(35)의 길이 변화에 따른 마이크선(47)의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The microphone line accommodating part 16, which is a donut-shaped space around the speaker 20, is formed to provide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microphone line 47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elastic part 35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 즉,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선(49)의 중간에 연결되는 볼륨 스위치(55)가 설치되어, 볼륨 조절을 위한 조절 노브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a volume switch 55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speaker wire 49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housing 10, that is,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adjust the volum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 Some of the adjustment knobs for adjustment protrude outwards.

상기 볼륨 스위치(55)가 설치된 위치 근방에 외측면 쪽으로 후크 온/오프 기능을 위하여 상기 마이크선(47)의 중간에 연결되는 후크 스위치(50)가 설치되어 있다.The hook switch 50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microphone line 47 is provided for the hook on / off func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near the position where the volume switch 55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시켜 주는 마이크(30)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기 위한 신축부(35)가 설치되는데, 이 신축부(35)는 상기 마이크(30)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갖으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최소 길이로 줄여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여 주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35 for mounting the microphone 30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to the housing 10, the elastic part 35 is the microphone 30 It has a function to adjust the distance of, and has a function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minimizing the minimum length when not in use.

이를 위하여, 상기 신축부(35)는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다단 결합 파이프 구조를 채용하였다.To this end, the stretchable portion 35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opted a multi-stage coupling pipe structure.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신축부(35)의 소재를 플렉시블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신축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될 때에는 자체적으로 휘어져 상기 마이크선 수용부와 같은 공간 내에 수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마이크(30)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있다.However, in some cases, the material of the elastic part 35 is constructed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o that when the elastic part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the elastic part 35 is bent by itself to be accommodated in the same space as the microphone wire accommodating part. The distance of the microphone 30 can be adjusted.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브라켓(12)에는 상기 하우징(10)을 사용자의 귓바퀴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그립(14)이 장착되는데, 이 그립(14)은 사용자의 귓바퀴 상단에 밀착되는 것이므로, 장시간 착용 시에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형 대신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The bracket 12 form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 is equipped with a grip 14 for bringing the housing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xle wheel,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upper wheel.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pain caused when worn for a long time, instead of the fixed type made of conventional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s use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와 같이, 그 종단부에 마이크(30)가 장착된 신축부(35)의 길이를 줄여서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용한다.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not in use, as shown in Figure 2,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portion 35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30 in its end por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do.

이 때, 상기 신축부(35)의 길이 축소에 따른 마이크선(47)은 상기 마이크선 수용부(16) 내에 접혀지면서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microphone line 47 according to the length reduction of the stretchable part 35 is received while being folded in the microphone line receiving part 16.

그리고, 사용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신축부(35)를 펼쳐서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마이크(30)가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근접하게 펼친다. 상기와 같이 신축부(35)를 펼치면 마이크선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있던 마이크선(47)이 펼쳐지면서 신축부(35)의 길이 확대에 따른 마이크선(47)의 길이 변화에 대응한다.And, when used, as shown in Figure 3, by stretching the stretched portion 35 to adjust the length to fit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the microphone 30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mouth.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astic part 35 is unfolded, the microphone line 47 accommodated in the microphone line accommodating part 16 is unfold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microphone line 47 as the length of the elastic part 35 is expanded. .

이어서, 상기 그립(1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귓바퀴에 하우징(10)을 밀착시키고 사용하면 된다.Subsequently, the grip 10 may be used to bring the housing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axle.

이 때,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에 설치된 후크 스위치(50)와 볼륨 스위치(55)는 그 위치가 항상 일정한 자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존의 핸즈프리 셋과 달리 후크 스위치를 찾기 위하여 더듬거릴 필요가 없다.At this time, since the hook switch 50 and the volume switch 55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 are alway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hands-free set as shown in FIG. There is no need to stumble to search.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적용 범위를 이동 전화 단말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오디오 청취와 음성 입력이 필요한 모든 분야 즉, 유선 전화기의 송수화기 셋, 교환수의 송수화기 셋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obile phone terminal. However,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ll fields requiring audio listening and voice input, that is, the handset set of the landline telephone and the handset set of the operator. Can b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이동 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 셋으로 이용할 때에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하우징에 후크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 등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더듬거리지 않고 바로 찾아서 동작시킬 수 있으며, 마이크의 위치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의 위치를 최적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발성에 의한 음성 입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hook switch and a volume switch in a housing worn on the user's ear when using as a hands-free set of a mobile phone terminal, so that they can be found and operated without stuttering to find their pos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can be adjusted elastically,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can be set to the optimum position, so that the voice input by the user's voice is made more smoothly.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made by those who possess.

Claims (4)

이동 전화 단말기의 연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와;A plu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어 스피커선과 마이크선, 그라운드선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선과;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plug and including a speaker line, a microphone line, and a ground line; 상기 연결선 중에서 스피커선에 연결되는 스피커와;A speaker connected to a speaker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상기 연결선 중에서 마이크선에 연결되는 마이크와;A microphone connected to a microphone line among the connection lines; 상기 마이크가 그 일단에 장착되어 그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와;An elastic part mount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to expand and contract its length; 상기 스피커선의 중간에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해 주는 볼륨 스위치와;A volume switch connected to a middle of the speaker line to adjust a volume output through the speaker; 상기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후크 온/오프 기능을 갖는 후크 스위치와;A hook switch connected to the microphone wire and having a hook on / off function; 상기 스피커가 일측면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볼륨 스위치가 그 외주면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부의 일단이 그 외주면의 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단에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과;A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one side, the volume switch is installed at one posi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racket protrudes at one end thereof;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And a grip mounted to the bracket of the housing, the grip allowing the housing to be worn on the user's e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다단 결합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져, 그 길이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The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art has a multi-stage coupling pipe structure, and its length is elasti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플렉시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인출/수용되어 그 길이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The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tchable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drawn / receiv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so that its length is stretch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사용자의 귓바퀴에 밀착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The hands-free ear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bring one side of the hous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xle of the user.
KR2020010002361U 2001-02-01 2001-02-01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0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61U KR200233027Y1 (en) 2001-02-01 2001-02-01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61U KR200233027Y1 (en) 2001-02-01 2001-02-01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027Y1 true KR200233027Y1 (en) 2001-10-26

Family

ID=7309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3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027Y1 (en) 2001-02-01 2001-02-01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02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6212A (en) * 2019-12-24 2020-04-10 深圳市魅动智能股份有限公司 true wireless earph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6212A (en) * 2019-12-24 2020-04-10 深圳市魅动智能股份有限公司 true wireless ear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3969A1 (en) Cellular telephone headset
GB2369742A (en) Neck strap accessory for audio device having wired earpiece
KR20020068076A (en) Portable telephone attachment for person hard of hearing
KR200228427Y1 (en) Necklace type hands free apparatus of mobile phone
KR200233027Y1 (en) Earphone Set for Hans Free on Phone
JPH10290491A (en) Microphone for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02706Y1 (en) earphone inner sunglass
KR200287141Y1 (en) Dual mike earphone
KR200262903Y1 (en) Wireless earphone
KR200266277Y1 (en) Handfree necklace for cellular phone have radio
KR200268709Y1 (en) Radio have a cap
KR200184608Y1 (en) Handsfree set for handy phone
KR200180375Y1 (en) Pendant type hands-free
KR200345394Y1 (en) Wireless headset for a handset
KR200223514Y1 (en) Glasses frame with attached wire/wireless hands-free for mobile phone
KR200185635Y1 (en) A wireless hands-free for a handy phone which is able to install in automobile
KR200181630Y1 (en) A voice sending/receiving set for use with portable phone
KR200242618Y1 (en) Necklace Cell Phone Handsfree
KR20070030391A (en) Ear microphon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KR200285673Y1 (en) Ear-microphone by using an antenna of mobile phone
KR200187551Y1 (en) A wirelrss hands-free for a handy phone which is able to install in helmet
KR200238635Y1 (en) A receiver unit for cellular phone
KR200183280Y1 (en) Internet bi phone (add jack type)
KR200287146Y1 (en) Dual mike earphone
KR200221529Y1 (en) A device of handfree earmic for cou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2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