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8014Y1 -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 Google Patents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014Y1
KR200338014Y1 KR20-2003-0031136U KR20030031136U KR200338014Y1 KR 200338014 Y1 KR200338014 Y1 KR 200338014Y1 KR 20030031136 U KR20030031136 U KR 20030031136U KR 200338014 Y1 KR200338014 Y1 KR 200338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fragrance
harmony
dispens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상
Original Assignee
이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상 filed Critical 이도상
Priority to KR20-2003-0031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6Diffu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화에 관한 것이고, 조화의 형성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는 꽃대의 내부에 방향수단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이러한 꽃대를 이용해 화환 또는 장식바구니를 형성시 그 중 하나의 꽃대에는 향기분사용 디스펜서의 분사노즐을 결합시켜 일정 시간 조화에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방향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조화에 있어서, 중공의 관 형상이고 즉면 중앙부 상측으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며 상,하부뚜껑(11,12)을 가지는 다수의 꽃대(10)와, 이들 꽃대(10)의 하측을 꽂아 지지하는 꽃대지지부재(20)와, 꽃대지지부재(20)를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30)와, 꽃대지지부재(20)와 함께 함체(30)내에 수용되며 분사노즐(41)이 상기 다수의 꽃대(10) 중 하나와 연결 결합된 향기분사용 디스펜서(40)로 구성되되, 디스펜서(40)와 연결 결합되지 않는 꽃대(10)는 중공의 내부에 방향솜(13)이 구비되며 상부뚜껑(11) 및 측면에는 다수의 방향출구(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Artificial flower having aroma effect}
본 고안은 조화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면서 자체적으로 향기 발산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꽃대와 이 꽃대들을 장식바구니에 꽂되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향기를 분사하는 디스펜서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향기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미적 공간의 연출과 괘적하고도 향기로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화는 선물과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값이 비싸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시들고, 이렇게 시들면 버려지기 때문에 오랫동안 간직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값이 저렴한 조화를 실생활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조화는 자연의 생화(生花)를 모방해서 만든 꽃으로서 현재 그 제작기술이 진보하여 생화로 잘못 볼만큼 섬세하고 사실적이며 또한 색조가 풍부하고 아름다우며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연회석이나 축하피로연 등 각종 행사에서 주변의 아름다운 미적 환경을 조성하기 화환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일반 가정에서도 실내 장식용이나 선물용의 장식바구니 및 꽃다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종이·헝겊·실·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생화보다 저렴하게 제작되지만 향기가 없는 게 큰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화를 제작한 후 향기분사용 스프레이를 이용해 조화의 외면에 분사하여 향을 부여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조화의 장시간 사용시 향기가 공기중으로 분해되어 날아가게 되어 사라지므로 좋은 방법이라 할 수없다.
이에 따라, 조화 즉, 화환이나 꽃다발의 제작시 오랜시간 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각종 행사에서 화환이나 장식바구니로 사용되는 조화는 일 단위체의 꽃송이가 다수 집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일 단위체의 꽃송이가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활용도가 떨어져 사용 후에는 쉽게 버려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조화의 형성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는 꽃대의 내부에 향기 발산수단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이러한 꽃대를 이용해 화환 또는 장식바구니를 형성시 그 중 하나의 꽃대에는 향기분사용 디스펜서의 분사노즐을 결합시켜 일정 시간 조화에 향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화의 장시간 이용시에도 아름다운 미적 환경과 더불어 주변 공기의 쾌적함과 상쾌함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 후에는 각 꽃대를 분리하여 일 단위체 즉, 꽃다발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의 정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디스펜서의 동작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일 단위체의 꽃대를 발췌한 단면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꽃대 --- 11. 상부뚜껑, 12. 하부뚜껑,
13. 방향솜, 14. 방향출구,
20. 꽃대지지부재
30. 함체
40. 디스펜서 --- 41. 분사노즐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는, 방향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조화에 있어서, 중공의 관 형상이고 즉면 중앙부 상측으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며 상,하부뚜껑을 가지는 다수의 꽃대와, 이들 꽃대의 하측을 꽂아 지지하는 꽃대지지부재와, 꽃대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와, 꽃대지지부재와 함께 함체내에 수용되며 분사노즐이 상기 다수의 꽃대 중 하나와 연결 결합된 향기분사용 디스펜서로 구성되되, 디스펜서와 연결 결합되지 않는 꽃대는 중공의 내부에 방향솜이 구비되며 상부뚜껑 및 측면에는 다수의 방향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각종 행사에서 화환이나 장식바구니로 이용시 함체 내부에 구비된 디스펜서에 의해 일정시간 향기를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조화 고유의 미적 기능과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상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는 디스펜서와 연결되지 않은 자체 방향 기능을 가진 각 꽃대를 일 단위체로 분리하여 꽃다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재사용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은 잇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의 정단면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조화는 한송이의 꽃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꽃송이가 함체를 이루는 바구니에 수용된 오아시스 또는 망상의 지지부재에 어우러져 꽂혀짐으로써 아름다움을 연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꽃송이들과 함께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는 꽃대를 사용하여 일 단위체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며, 이에 자체 향기의 발산이가능하고 꽃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펜서의 분사노즐과 연결 결합시킴으로서 조화 전체에 향기를 분사하여 방향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지지부호 10은 중공의 관 형상이고 즉면 중앙부 상측으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며 상,하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가지는 꽃대이다.
상기 꽃대(10)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30)에 수용되어 있는 꽃대지지부재(20)에 하측이 꽂혀 상하 직립형으로 다수개가 어우러지며 지지된다.
상기 함체(30)의 내부에는 꽃대지지부재(20)와 함께 분사노즐(41)을 가지는 디스펜서(40) 즉 향기 자동 분사장치가 구비된다. 여기서 디스펜서(40)는 도 2와 같이 종래 공지된 것으로서 내부에 액체상의 향액을 내장하고 건전지에 의해 구동하는 소형의 스프레이 장치(제어부 및 구동부)를 설치하여 일정한 타이머 작동에 의해 분사노즐(41)을 통해 향액을 강제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함체(30) 내에 수용되는 꽃대지지부재(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꽃대(10) 중 하나는 디스펜서(40)의 분사노즐(41)과 연결 결합된다. 이때 분사노즐(41)은 중공의 꽃대(10)를 하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상측 선단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이를 위해 디스펜서(40)와 연결되는 꽃대(10')의 상,하부뚜껑(11,12)을 개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일정시간 디스펜서(40)의 분사노즐(41)로부터 분사되는 향기는 이와 연결된 꽃대(10')의 상측 선단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주변 공기를 쾌적하고 상쾌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0)와 연결 결합되지 않는 다수의 꽃대(10)는 도 4와 같이 자체 방향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중공의 관 내부에 액상의 향액을 적신 방향솜(13)을 구비하고, 상부뚜껑(11) 및 측면에 다수의 방향출구(14)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4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꽃대(10)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꽃대(10)를 꽃대지지부재(20)에서 분리하여 단위체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꽃대(10)에 다수의 꽃봉오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꽃다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꽃대(10)를 다수 조합하여 대형의 화환이나 장식바구니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일 단위체의 꽃다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큰 행사시 대형의 화환으로 사용 후에는 꽃대(1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행사장을 찾은 사람들에게 꽃다발 형태의 선물로서 나눠줄 수 있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그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조화 특유의 미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화환이나 장식바구니로 사용시 이를 이루는 다수의 꽃대 중 하나의 꽃대를 자동 향기분사용 디스펜서의 분사구로 이용함으로써 일정 시간 조화에 향기를 분사할 수 있고 이에 주변 공기를 쾌적하고 상쾌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이 제공하는 꽃대는 단위체 당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고 있어 대형의 화환이나 장식바구니의 제작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각 꽃대가 자체적으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단위체의 꽃다발로도 이용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방향 기능을 가지는 통상의 조화에 있어서,
    중공의 관 형상이고 즉면 중앙부 상측으로 다수의 꽃봉오리를 가지며 상,하부뚜껑(11,12)을 가지는 다수의 꽃대(10)와, 이들 꽃대(10)의 하측을 꽂아 지지하는 꽃대지지부재(20)와, 꽃대지지부재(20)를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30)와, 꽃대지지부재(20)와 함께 함체(30)내에 수용되며 분사노즐(41)이 상기 다수의 꽃대(10) 중 하나와 연결 결합된 향기분사용 디스펜서(40)로 구성되되, 디스펜서(40)와 연결 결합되지 않는 꽃대(10)는 중공의 내부에 방향솜(13)이 구비되며 상부뚜껑(11) 및 측면에는 다수의 방향출구(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KR20-2003-0031136U 2003-10-02 2003-10-02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KR200338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6U KR200338014Y1 (ko) 2003-10-02 2003-10-02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6U KR200338014Y1 (ko) 2003-10-02 2003-10-02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014Y1 true KR200338014Y1 (ko) 2004-01-07

Family

ID=4942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36U KR200338014Y1 (ko) 2003-10-02 2003-10-02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0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398B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US6698665B2 (en) Fragrance emitting apparatus
US11559117B2 (en) Spray and sniff aroma wristband
KR20180000912U (ko) 세라믹 디퓨저
KR200338014Y1 (ko)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US10967669B2 (en) Scented flower pen arrangement
WO2015190516A1 (ja) 線香煙沈留仏具、線香、香炉および装飾具
JPH05132807A (ja) 香りを出す造花
KR101013805B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장대.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CN215001118U (zh) 一种遥控式小夜灯
KR200359966Y1 (ko) 향기 발산용 장식물
JP3145736U (ja) 揮発性物質の発生装置
JPH04156855A (ja) 芳香発生器
JP3107146U (ja) 香料容器
KR200351977Y1 (ko) 휴대폰의 향발산 장신구
JP7646196B2 (ja) 植栽容器
KR101283610B1 (ko) 기능성 led화환
CN215134051U (zh) 一种家居装饰用镂空无火香薰扩香器
KR200262629Y1 (ko) 입체화된 식물형상을 지닌 액자에 정화작용을 수행하는정화장치구조
JP4241058B2 (ja) 放香器
KR20050110264A (ko) 향기 발산용 장식물
TWM544327U (zh) 具室內裝飾及空氣淨化感應裝置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0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0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