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6577Y1 -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 Google Patents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577Y1
KR200336577Y1 KR20-2003-0028434U KR20030028434U KR200336577Y1 KR 200336577 Y1 KR200336577 Y1 KR 200336577Y1 KR 20030028434 U KR20030028434 U KR 20030028434U KR 200336577 Y1 KR200336577 Y1 KR 200336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toilet
treated water
treatment tank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한
Original Assignee
장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한 filed Critical 장영한
Priority to KR20-2003-0028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5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겨울에는 보온효과가 발휘되고 여름에는 냉각효과가 발휘되며, 오수처리조에서 정화된 처리수와 우수를 변기세척용 용수로 활용함으로써 종래의 수세식 간이화장실보다 오수의 방류량이 현저히 줄어 듦과 동시에 시설관리가 용이한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은, 오수처리조가 본체에 연결된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벽면에 우수(雨水)저장부와 처리수저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우수저장부에서 처리수저장부 쪽으로만 물이 흐르도록 이들 사이에 체크밸브가 개재되며, 상기 오수처리조에서 배출된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회수라인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Simple Flush Toilet}
본 고안은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수처리조에서 정화된 처리수와 강우 시 받아 둔 우수를 변기세척용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오수의 방류량을 현저히 줄인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세식 간이화장실의 본체 벽면에 상기 처리수와 우수의 저장공간을 둠으로써, 무더운 하절기에는 상기 처리수와 우수가 냉각작용을 하고, 추운 동절기에는 보온작용을 하게 한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처리수가 저장되는 공간과 우수가 저장되는 공간 사이에 체크밸브를 개재시켜 놓음으로써 비가 많이 와 우수(雨水)가 넘치더라도 오수처리조에서 회수한 처리수가 방류되지 못하게 한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지자체나 관급단체에서 둔치/천변(川邊)이나 공원 등의 야외에 설치해 운영하는 공중용 간이화장실의 경우, 급수가능 지역에는 수세식이 설치되지만 상대적으로 급수가 잘 되지 않는 지역에는 재래식 또는 자연 발효식이 설치된다.
Ⅰ) 재래식 간이화장실은 주로 에프알피(FRP)를 소재로 하여 분뇨탱크와 화장실 본체가 일체로 제작되는데, 변기세척에 물을 쓰지 않아 악취가 심하고 겨울에 춥고 여름에 덥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재래식 간이화장실에는 파리나 구더기 등이 들끓어 매우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급격히 사용이 줄고 있다.
Ⅱ) 배설물이 차 있는 분뇨탱크에 미생물처리가 된 톱밥을 투입하여 분뇨를 분해하는 자연 발효식 간이화장실은, 재래식에 비해 악취가 덜한 장점은 있지만 구조적으로 재래식과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문제를 안고 있다.
Ⅲ) 한편, 종래의 수세식 간이화장실은 용변 후 물을 사용해 변기를 씻어내리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되지 않고 구더기도 생기지 않지만, 용수를 저장하는 물통이 빌 때마다 시설관리자가 일일이 채워주어야 하는 관리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화장실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오수처리조(분뇨처리용 탱크)에 배설물과 변기세척용 용수가 함께 들어가기 때문에 오수를 방류하기 위한 배수구가 없는 경우에는 정화조를 자주 비워야 하고, 반대로 배수구가 있는 경우에는 미생물 함량(농도)이 높은 처리수가 하천에 그대로 흘러 들어 하천오염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수세식 간이화장실은 벽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제품이기 때문에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수세식 간이화장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울 때에는 화장실 내부를 시원하게 만들고, 반대로 추울 때에는 내부를 따뜻하게 하며, 오수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와 강우 시 받아 둔 우수를 변기세척용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화장실의 악취 제거는 물론 시설관리자에게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변 하천이나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 화장실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우수(雨水)저장부, 2...체크밸브,
3...처리수저장부, 4...오수(汚水)처리조,
5...배수구.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은, ① 소변기나 좌변기 또는 양변기 등이 갖추어진 본체와 ② 각종 변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시킨 오수처리조를 포함한다.
A) 상기 본체는 종래 간이화장실과 마찬가지로 와옥(瓦屋)이나 박스 형태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소재로서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글라스-울 등이 사용된 샌드위치 패널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칸막이벽)으로 분리시킨 2 이상의 저수공간을 상기 본체의 측벽이나 천정벽 등의 벽면에 형성하여, 이들 각각의 저수공간에 우수(雨水) 또는 오수처리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수공간 중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저장부 쪽에서 상기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저장부 쪽으로만 물이 흘러 들도록 상기 격벽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우수저장부와 처리수저장부의 공간 크기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공간 배치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이격하여 임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지붕 외면이나 물매 쪽에 우수(雨水) 유입구멍을 형성하여 비가 올 때 상기 우수 유입구멍을 통해 빗물이 우수저장부로 흘러 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붕에 떨어진 낙엽 등이 우수저장부 안으로 휩쓸려 들어가지 못하게 망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벽면에 저수된 우수와 처리수의 보온/냉각 작용에 의해 간이화장실의 내부가 겨울에는 따뜻하게 유지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유지된다.
또한, 저수공간을 분리하는 상기 격벽이 본체의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벽면에 저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수저장부 쪽에서 처리수저장부 쪽으로만 물이 흐르기 때문에 빗물이 넘쳐나는 경우에도 미생물 함량(농도)이 높은 처리수는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망에 의해 낙엽 등이 걸러져 물 구멍이 막히는 일이 없다.
B) 상기 오수처리조(또는 정화조)는 통상 에프알피(FRP) 소재로 만들며 본체와의 분리 및/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제작되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게 다단계로 분리된 것이 좋다.
변기에서 쏟아져 내린 배설물과 변기세척용 용수는 오수처리조의 전단으로 유입되어 후단 쪽을 향해 서서히 진행하게 되며, 이때 각종 처리가 이루어져 최 말단에서는 꽤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가 나오게 된다.
이후, 상기 처리수는 아래의 회수라인을 따라 우수저장부 안으로 펌핑된다.
한편, 오수처리조의 최말단에 종래 처럼 배수구를 두어 주기적으로 내용물(분뇨)을 수거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C) 또한, 상기 본체의 처리수저장부와 오수처리조의 최말단 사이에는 펌프와 통상의 파이프로 구성된 회수라인이 채용되어, 처리수가 계속해서 순환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매 일정주기마다 분뇨를 수거할 때를 빼곤 처리수가 전혀 바깥으로 방류되지 않으며,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도 화장실의 정상적인 사용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시설관리자의 업무가 대폭 줄면서 관리의 편의성을 볼 수 있다.
D) 또한, 상기 처리수저장부와 변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에, 세정액 공급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공급수단은 비눗물이나 상표명 "청크린" 등의 세정액이 담긴 용기 및 상기 연결배관과 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분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변기의 푸시버튼에 연동되는 밸브가 분기관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E) 그 밖의 구성요소로서 본체의 벽면 상단에 환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에서 보듯이,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의 뒷쪽 벽면에 우수저장부(1)와 처리수저장부(3)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저장부(1)의 상단은 간이화장실의 본체 지붕 쪽에 개구(우수 유입구멍)되어 있으며, 상기 우수 유입구멍 위로 망(網)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 지붕 위에 떨어진 나뭇잎이나 잔가지 등의 불순물이 이 망에 의해 걸러지고, 우수(雨水)만 흘러 들어가게 된다.
상기 우수저장부(1)와 처리수저장부(3)를 나누는 격벽 상에는 체크밸브(2)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하부에 설치된 오수처리조(4)의 말단 부분과 상기 처리수저장부(3)가 펌프(P)를 개재한 회수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세척에 사용되는 용수는 처리수저장부(3)에서 변기 쪽으로만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처리수저장부(3)의 내부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체크밸브(2)가 우수의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우수가 처리수저장부(3) 쪽으로 흘러 들어 가게 되지만, 저장된 우수가 없거나 부족하여 체크밸브(2)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회수라인을 통해 오수처리조(4)에서 처리수가 펌핑된다.
또한, 상기 오수처리조(4)의 말단 일측에 배수구(5)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기간이 3개월/6개월/1년 등과 같이 오수처리조(4)를 청소할 시기에 도달한 때 상기 배수구(5)나 청소용 구멍(미도시)를 통해 오수처리조(4)의 내용물(분뇨)을 비워 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은 화장실의 본체 벽면에 우수와 처리수가 저장됨으로써 이들 물의 온도조절작용에 의해 더울 때에는 화장실 내부가 시원하게 유지되고 추울 때에는 내부가 따뜻하게 유지된다.
또한, 오수처리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와 강우 시 받아 둔 우수가 변기세척용 용수로 사용됨으로써 화장실의 악취 제거는 물론 시설물 관리도 매우 쉽게 이루어지며, 하천이나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이 방지된다.

Claims (4)

  1. 변기가 갖추어진 본체에 오수처리조가 연결된 수세식 간이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본체 벽면에 형성된 우수(雨水)저장부와;
    상기 본체 벽면에 형성된 처리수저장부와;
    상기 우수저장부와 상기 처리수저장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저장부에서 상기 처리수저장부 쪽으로만 물이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오수처리조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저장부로 유도하는 회수라인; 을 포함하는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저장부와 상기 변기 사이의 연결배관에 세정액 공급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조는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조는 내용물을 주기적으로 비우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KR20-2003-0028434U 2003-09-04 2003-09-04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Expired - Fee Related KR200336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34U KR200336577Y1 (ko) 2003-09-04 2003-09-04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34U KR200336577Y1 (ko) 2003-09-04 2003-09-04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577Y1 true KR200336577Y1 (ko) 2003-12-18

Family

ID=4942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4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6577Y1 (ko) 2003-09-04 2003-09-04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5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849B1 (ko) 하수관거 미설치 지역에 적합한 대소변 분리형 복합간이화장실
CN209336644U (zh) 用于交通工具的灰水污物收集系统及交通工具
US4608175A (en) Integral waste disposal system
CN101182722A (zh) 一种带中水箱的节水马桶系统
KR200336577Y1 (ko) 무방류형 수세식 간이화장실
ZA200309908B (en) Toilet system.
JP3448423B2 (ja) 移動式ユニットトイレ
CN110359519A (zh) 一种防冻节水型水冲厕所系统
CN211847230U (zh) 公园雨水收集净化系统
CN209083059U (zh) 一种楼房建筑物节水、减排环保配置工程
CN208884656U (zh) 一种防淤积储水式粪道
CN201343774Y (zh) 倾倒式节水坐便器补水装置
CN201010942Y (zh) 环保及多功能的洗手间
CN201236380Y (zh) 节水型翻转式座便器、蹲便器
KR100485527B1 (ko) 초기우수배제 (雨水排除)장치를 가진 다목적 우수처리시스템
CN111350244B (zh) 卫生间节水系统
CN217734989U (zh) 水旱两用厕所
KR100397073B1 (ko) 간이수세식 변기를 사용하는 이동화장실용 물 공급장치
CN214659099U (zh) 一种生态环保型水旱两用厕
CN2365274Y (zh) 卫生间大容量冲洗便池蓄水装置
CN212346372U (zh) 一种移动双翁生物户外蹲便厕所
CN212281167U (zh) 一种生态型封闭式旱厕
WO2006001577A1 (en) Energy saving toilet bowl system recycling wash water
JPH0752202Y2 (ja) 簡易中水道用貯留装置
CN2464820Y (zh) 坐便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