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33Y1 -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Google Patents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3333Y1 KR200333333Y1 KR20-2003-0028300U KR20030028300U KR200333333Y1 KR 200333333 Y1 KR200333333 Y1 KR 200333333Y1 KR 20030028300 U KR20030028300 U KR 20030028300U KR 200333333 Y1 KR200333333 Y1 KR 2003333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memory
- mobile phone
- key
- sche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8—Automated outdi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RF 모듈, 컨트롤러, 메모리, 송수화부 유닛, 송수화부 유닛과 연결되는 오디오모듈, 키입력부, 배터리 전원부를 구비하여 고유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적인 핸드폰에 있어서,상기 키입력부로서 핸드폰의 몸체 외부로 설치되는 아빠, 엄마, 집 등을 상정하는 캐릭터형 키버튼을 세 개 정도 구비하고,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키버튼들 각각의 고유 단축 전화번호를 기억하고,상기 키버튼들의 조작에 따라 전화번호 각자의 통화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마다 상정되는 상기 고유 단축번호는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하여 입출력포트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 메모리, 입출력포트가 연계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단축번호들은 타 전화기를 이용하여 타 전화기의 키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포트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에서 스케줄을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스케줄을 음성 통보하기 위한 음성합성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제 1 항에 있어서, 타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후 타 전화기의 키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스케줄 입력 모드를 설정한 후 타전화기의 음성입력으로 스케줄 내용을 음성 저장시켜서 정해진 시간에 음성을 출력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목걸이 또는 손목시계 타입의 외형으로 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RF 모듈, 컨트롤러, 메모리, 송수화부 유닛, 송수화부 유닛과 연결되는 오디오모듈, 키입력부, 배터리 전원부를 구비하여 고유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적인 핸드폰에 있어서,상기 키입력부로서 핸드폰의 몸체 외부로 설치되는 아빠, 엄마, 집 등을 상정하는 캐릭터형 키버튼을 세 개 정도 구비하고,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키버튼들 각각의 고유 단축 전화번호를 기억하고,상기 키버튼들의 조작에 따라 전화번호 각자의 통화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구비하며,상기 키버튼마다 상정되는 상기 고유 단축번호는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하여 입출력포트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 메모리, 입출력포트가 연계구성되고,상기 고유 단축번호들은 타 전화기를 이용하여 타 전화기의 키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설정할 수 있고,또한 상기 입출력포트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에서 스케줄을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스케줄을 음성 통보하기 위한 음성합성기를 구비하며, 타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후 타 전화기의 키버튼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절차를 거쳐 스케줄 입력 모드를 설정한 후 타전화기의 음성입력으로 스케줄 내용을 음성 저장시켜서 정해진 시간에 음성을 출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8300U KR200333333Y1 (ko) | 2003-09-03 | 2003-09-03 |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8300U KR200333333Y1 (ko) | 2003-09-03 | 2003-09-03 |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3333Y1 true KR200333333Y1 (ko) | 2003-11-13 |
Family
ID=4941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300U KR200333333Y1 (ko) | 2003-09-03 | 2003-09-03 |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3333Y1 (ko) |
-
2003
- 2003-09-03 KR KR20-2003-0028300U patent/KR2003333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00416B2 (en) | Group specific simplified cellular telephones | |
US804139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dial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6728558B1 (en) |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381137B1 (ko) | 전화기에서 특정일 알림방법 | |
US20070265032A1 (en) | Group specific simplified cellular telephones | |
KR101154997B1 (ko) |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 |
US6804539B2 (en) | Single action audio prompt interface utilizing binary state time domain multiple selection protocol | |
TWI241831B (en) | Call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2001119467A (ja) | 携帯電話装置 | |
US7505579B2 (en) | Shortened dialing device and phone combined a frame | |
KR200333333Y1 (ko) |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 |
US7304563B2 (en) | Alarm clock | |
CA250994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CN205336365U (zh) | 智能通信宝 | |
KR100630099B1 (ko) | 휴대폰에서 스케쥴 표시 방법 | |
KR100604600B1 (ko)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 |
KR200385175Y1 (ko) | 사용이 간편한 자명핸드폰 | |
KR100687196B1 (ko) | 특정사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10000852A (ko) | 음악선택출력이 가능한 핸드폰 | |
KR19980067883A (ko) |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 |
JP2002344610A (ja) | 携帯電話装置 | |
KR20050098840A (ko) | 무선통신용 방법 및 시스템 | |
JPS62230144A (ja) | 携帯用番号記憶端末自動発信方式 | |
KR20080060856A (ko) | 가정용 디지탈 전화기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 |
KR20040032245A (ko) |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0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1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005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7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