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32245A -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245A
KR20040032245A KR1020020061186A KR20020061186A KR20040032245A KR 20040032245 A KR20040032245 A KR 20040032245A KR 1020020061186 A KR1020020061186 A KR 1020020061186A KR 20020061186 A KR20020061186 A KR 20020061186A KR 20040032245 A KR20040032245 A KR 2004003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voice
information
phon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245A/ko
Publication of KR2004003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 또는 문맹자들에게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서 상대편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전화기에는 수신된 전화번호에서 콜러아이디(Caller ID)를 검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 중에서 콜러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통화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려주고 데이터를 음성변환부에 전송하는 CID검출부와, CID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콜러아이디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의 발신자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부어린이나 시각장애인들이 휴대전화기의 화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휴대전화기{ Method for providing voice data on the sender and cellular-phon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를 보면서 전화번호부를 이용할수 없는 시각장애인 이나 근시안, 또는 글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하여 발신자번호가 있는 전화통화를 음성전화번호부로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과 그 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휴대전화기에 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의 급속한 보급에 맞추어 휴대전화기의 사용층과 기능도 훨씬 다양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신체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여 다른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와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전화기의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일부 신체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은 여전히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시각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은 디스플레이화면을 볼 수 없는 탓에 휴대전화기의 기능이 대부분 디스플레이화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현재의 기술환경에서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약에 대하여 하나의 예를 든다면, 현재 거의 모든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 시스템을 사용한다. 발신자 번호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게 되는데 문자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글을 모르거나 시력이 좋지 안은 사람들에게는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에 점자를 가미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는 특허등록 제 10-0186219 호인 "맹인용 휴대폰"에 자세히 기술되어있다. 이를 도 1을 가지고 간략히 설명하면 맹인용 휴대폰은 본체의 최상단 모서리에 일방향으로 설치된 안테나 장치; 상기 안테나장치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하측으로 위치하며, 키상에 숫자나 심벌에 대응하는 점자형 라인이 다수개 돌출되어 맹인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엘씨디부가 삭제됨으로서 마련된 여유공간에 전체사이즈가 확장되어 가로세로 사이즈가 확장된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인 키패드; 및 본체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이크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도 본 발명의 휴대폰을 가지고 다른 전화기 사용자와 전화통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인용한 특허의 주요취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맹인용 휴대폰에서는 단지 시각장애인에게 전화통화만을 가능하게 하므로 현대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대인관계로 볼 때,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왜냐하면, 시각장애인으로써는 통화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죄다 외우고 있어야 통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기억용량에 한계가 있는 보통사람으로써는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전화기사용자와 전화통화해야 한다는 것은 상당히 고역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안된 것으로써, 시각장애인 또는 문맹자들에게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서 상대편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예로써 맹인을 위한 휴대전화기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전화기에는 수신된 전화번호에서 콜러아이디를 검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와,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종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전화통화로부터 콜러아이디를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전화번호부로부터 불러들여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발신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되어있는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단문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회로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 중에서 콜러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통화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려주고 데이터를 음성변환부에 전송하는 CID검출부와, CID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콜러아이디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의 발신자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와, 음성변환부에서 합성된 발신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처리부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는 발신자의 전화통화요청이 있으면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어린이나 시각장애인들이 휴대전화기의 화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에는 제어부(200), 키패드(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부(230), 오디오처리부(240), 무선회로부(250), CID검출부(260), 음성변환부(270) 등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각 구성요소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 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0)는 휴대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일반적인 이동통신 통화를 위한 동작 이외에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무선회로부(25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를 CID검출부(260)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면,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도록 음성변환부(270)에 알린다. 음성변환부가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오디오처리부(230)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된다.
키패드(210)는 휴대전화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종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이를 보고 자기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부(230)는 보통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중 플래쉬 메모리에는 기본적인 실시간(real time)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과 휴대전화기의 호처리 소프트웨어(software)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킨다. 그리고, 롬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며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롬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서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메터(parameter),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및 이름, 문자메세지, 동영상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써 휴대전화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이 부분에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본 발명에서는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전화통화로부터 콜러아이디를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전화번호부로부터 불러들여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발신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되어있는 전화번호부를 저장하게 된다.
오디오처리부(240)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변환부(270)에서 합성된 발신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회로부(250)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단문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에는 콜러아이디(CID; caller i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CID검출부(260)는 무선회로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 중에서 콜러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통화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려주고 데이터를 음성변환부(270)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성변환부(270)는 CID검출부(260)로부터 검출된 콜러아이디를 음성전화번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CID검출부에 검출된 발신자번호가 "011-111-1111"이라면 "공일일 일일일 일일일일"의 자음,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음성으로 변환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화번호부에 기록되어 있는 이름, 연락처, 등의 내용을 음성으로 합성한다. 즉, 순차적으로 발신자의 번호, 이름, 연락처 등이 다음과 같이 음성으로 합성되어 오디오처리부를 통하여 휴대전화기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공일일 일일일 일일일일", "김철수", "종로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휴대전화기 화면예에서 전화번호부 생성메뉴를 선택한다(단계 S300). 여기서 전화번호부 생성메뉴는 키패드에 특정 키버튼을 따로 두어 이 키버튼이 선택되면 바로 전화번호부 생성메뉴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달리 키패드에 특정용도를 위한 키버튼을 따로 두지 않고 보통 휴대전화기에 많이 쓰이는 메뉴버튼을 선택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리스트에서 해당메뉴를 선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예시한 두 가지 방식은 특정 키버튼을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를 가질 뿐이며, 기능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단 상기 설명한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전화번호부 생성메뉴가 선택된 이후의 과정을 실행순서대로 설명한 것이다.
상기 전화번호부 생성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휴대전화기는 사용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게되며, 이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발신자의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310). 입력되는 정보로는 발신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연락처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발신자의 정보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에 따라 키버튼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전화번호부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2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송하는 통신기기로부터 메시지전송신호가 있기까지 휴대전화기는 대기모드상태에 놓여있게 된다. 이러한 메시지전송신호가 있기까지 휴대전화기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전화기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 휴대전화기는 메모리부에 있는 롬에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읽어들여 램에 세팅한 다음 시스템과 동기를 시키고 해당지역에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전화기의 초기화는 휴대전화기를 부팅(booting)시키고 필요한 시스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말하며, 대기모드상태(idle state)는 휴대전화기가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동작을 완료한 다음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을 호출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순방향의 코드 채널)을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대기모드상태에서 휴대전화기는 무선회로부(240)를 통하여 국선으로부터 들어오는 링신호(Ring signal)를 검출한다. 만일 무선회로부에서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링신호가 검출되면(단계 S400), CID검출부(260)는 링신호에 포함되어있는 발신자의 콜러아이디를 읽어들이게 된다.
휴대전화기는 읽어들인 링신호에 콜러아이디가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10). 이 콜러아이디 검출단계에서 만일 콜러아이디가 없는 링신호이면 휴대전화기는 일반벨소리를 벨출력부인 오디오처리부(240)에 전송하여 벨소리를 출력한다(단계 S450).
이와 달리 단계 S410의 콜러아이디 검출단계에서 콜러아이디가 검출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S420). 확인결과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 있지 않다면 휴대전화기는 일반벨소리를 벨출력부인 오디오처리부(240)에 전송하여 벨소리를 출력한다(단계 S450).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부(230)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S430).
상기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있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있지 않다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와 음성정보를 음성변환부(270)에 전송하여 음성변환부가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와 음성정보를 합성한다(단계 S440).
음성변환부에 의하여 합성된 합성정보는 오디오처리부(240)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되게 된다(단계 S470). 이에 대하여 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 음성데이타로서 "○○○에서 전화왔습니다."가 소정의 양식으로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콜러아이디 검출부(260))에 의해 검출된 콜러아이디가 "xxx-xxxx"이면 기본 음성데이터와 콜러아이디가 합성되어 아래와 같이 하나의 합성된 음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xxx-xxxx에서 전화왔습니다."
또는 단순히 전화번호인 "xxx-xxxx"만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달리 상기 단계 S430에서 검출된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있는 번호이면 휴대전화기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정보를 읽어들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부에 있는 발신자의 정보를 합성하게 된다(단계 S460). 합선된 정보는 오디오처리부를 통하여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알아듣기 쉽도록 음성으로 출력된다(단계 S470).
상기 언급한 합성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CID검출부(260)에 의해 검출된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부에 등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콜러아이디에 해당하는 정보, 예를 들어 이름이 "홍길동"이고 주소가 "종로구" 이면 기본 음성데이터와 상기 정보가 합성되어 아래와 같이 하나의 합성된 음성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즉, 기본 음성데이터로는 "○○○"님으로부터 전화왔습니다." "전화번호는 ○○○입니다."이고 전화번호부에 있는 정보인 "홍길동", "종로구" 등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음성합성이 이루어진다.
"종로구 홍길동님으로부터 전화왔습니다." "전화번호는 xxx-xxx-xxxx입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언급한 것과 유사하게 단순히 이름인 "홍길동"과 "종로구", "전화번호"만을 음성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이는 기본 음성데이터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의하므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함양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서비스를 통해 일부어린이나 시각장애인들이 휴대전화기의 화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신된 전화번호에서 콜러아이디를 검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 발신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과,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어지는 숫자키버튼과, 일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와,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종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전화통화로부터 콜러아이디를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전화번호부로부터 불러들여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과 발신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되어있는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단문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무선회로부와,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 중에서 콜러아이디를 포함하고 있는 전화통화를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려주고 데이터를 음성변환부에 전송하는 CID검출부와,
    CID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콜러아이디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의 발신자정보를 음성정보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와,
    음성변환부에서 합성된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휴대전화기.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정보에는 전화번호, 발신자의 이름, 주소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휴대전화기.
  3.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지가 포함되어있는 전화번호부와 해당하는 내용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발신자번호를 검출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휴대전화기가 무선회로부를 통하여 국선으로부터 들어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링신호에 콜러아이디가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링신호로부터 콜러아이디가 검출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부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있는 번호이면 휴대전화기는 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정보를 읽어들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부에 있는 발신자의 정보를합성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콜러아이디 검출단계에서 콜러아이디가 없는 링신호이면 휴대전화기는 지정된 일반벨소리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신호로부터 콜러아이디가 검출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에는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전화기는 지정된 일반벨소리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콜러아이디가 전화번호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부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에는
    상기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있지 않으면 휴대전화기는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와 음성정보를 합성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
KR1020020061186A 2002-10-08 2002-10-08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20040032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86A KR20040032245A (ko) 2002-10-08 2002-10-08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86A KR20040032245A (ko) 2002-10-08 2002-10-08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45A true KR20040032245A (ko) 2004-04-17

Family

ID=3733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86A KR20040032245A (ko) 2002-10-08 2002-10-08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2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26B1 (ko) * 2005-02-07 2012-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의 음성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8279253B2 (en) 2007-03-15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ommunicating display apparatus and imag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28A (ja) * 1992-06-18 1994-01-14 Nec Corp 着呼識別機能付電話機
JPH0936960A (ja) * 1995-07-25 1997-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d識別端末
JP2001053833A (ja) * 1999-08-10 2001-02-23 Sony Corp 電話機及び電話機の着信報知方法
KR2003005606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KR20040029810A (ko) *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28A (ja) * 1992-06-18 1994-01-14 Nec Corp 着呼識別機能付電話機
JPH0936960A (ja) * 1995-07-25 1997-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d識別端末
JP2001053833A (ja) * 1999-08-10 2001-02-23 Sony Corp 電話機及び電話機の着信報知方法
KR2003005606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KR20040029810A (ko) *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26B1 (ko) * 2005-02-07 2012-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의 음성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8279253B2 (en) 2007-03-15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ommunicating display apparatus and imag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02320A (ja) 無線電話機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20040015918A (ko) 단문메시지를 통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JPH11252220A (ja) 電話端末装置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3757083B2 (ja) 電話機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JP2004229213A (ja) 携帯通信端末
KR101045358B1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JP2006128783A (ja) 携帯端末装置とその着信処理方法
KR200308131Y1 (ko)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04766A (ko) 데이터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구현한휴대전화기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JP3327203B2 (ja) 電話装置
JP2002271474A (ja) 携帯電話機
JP2005094431A (ja) コードレス親子電話装置
KR20030039154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전화번호부 구현 방법과 그 것을이용한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