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9909Y1 -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909Y1
KR200329909Y1 KR20-2003-0020776U KR20030020776U KR200329909Y1 KR 200329909 Y1 KR200329909 Y1 KR 200329909Y1 KR 20030020776 U KR20030020776 U KR 20030020776U KR 200329909 Y1 KR200329909 Y1 KR 20032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lever
opening
locking releas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원
Original Assignee
박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원 filed Critical 박진원
Priority to KR20-2003-0020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급유구에 자동차 시동키의 오프시 동작되는 보조잠금구를 구비하여 급유시 엔진 시동을 끄지 않으면 급유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여 급유과정에 있어 엔지작동으로 인한 화재 및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운전석측에 구비되는 급유구개방레버(21)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급유도어(22)의 개방을 제한하는 급유잠금구(23)가 구비되는 자동차 급유도어구조에 있어서; 키회동구(31)의 단부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캠(11)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해제캠(1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레버(1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상기 록킹해제레버(12)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몰입되어 급유도어(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13)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An oil supply-door structure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유구에 자동차 시동키의 오프시 동작되는 보조잠금구를 구비하여 급유시 엔진 시동을 끄지 않으면 급유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여 급유과정에 있어 엔지작동으로 인한 화재 및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급유구를 개폐할 수 있게한 급유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급유도어의 개방을 위한 급유구개방레버가 운전석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급유과정에 있어서는 휘발유의 발화성이 높아 급유시 엔진을 끈 상태에서 급유하도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이를 귀찮게 여겨 시동을 끄지 않거나, 별다른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여서 시동을 켠 상태에서 급유를 하고 있어 화재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 속에서 급유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동키의 오프회동과 연동하여 동작되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를 급유구에 구비하여서 시동을 끈 상태에서만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록킹해제캠 12 : 록킹해제레버
13 : 보조잠금구 14 : 레버회동제한구
21 : 급유구개방레버 22 : 급유도어
23 : 급유잠금구
31 : 키회동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급유시 시동을 끈 상태에서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운전석측에 구비되는 급유구개방레버(21)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급유도어(22)의 개방을 제한하는 급유잠금구(23)가 구비되는 자동차 급유도어구조에 있어서; 키회동구(31)의 단부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캠(11)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해제캠(1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레버(1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상기 록킹해제레버(12)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몰입되어 급유도어(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13)를 구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급유구개방레버(21)의 상측 측면에서 탄성 회동되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는 레버회동제한구(14)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석측에 구비되는 급유구개방레버(21)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급유도어(22)의 개방을 제한하는 급유잠금구(23)가 구비되는 자동차 급유도어구조에 있어서; 키회동구(31)의 단부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캠(11)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해제캠(1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레버(1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상기 록킹해제레버(12)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몰입되어 급유도어(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13)를 구비한 본 고안을 자동차에 적용하여 실시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동차 시동키를 오프하지 않고 급유구개방레버(21)를 동작시켜서 급유잠금구(23)를 해제 작동시켜서 급유도어(22)를 개방하려 하여도 시동키의 오프시 동작되는 보조잠금구(13)에 의하여 그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급유구가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자동차 시동을 오프 하여야 함을 인지하고 시동키를 오프 회동시키게 되면 록킹해제캠(11)이 회동되어서 록킹해제레버(12)를 해제 회동동작시키므로서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 있는 보조잠금구(13)가 탄성몰입되어서 급유도어(22)가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급유구개방레버(21)에 레버회동제한구(14)를 구비하므로서 운전자가 급유구의 개방조작을 함에 있어서 시동을 오프 하여야함을 인지시켜서 시동을 오프한 후 급유구의 개방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급유구의 시동키의 오프회동과 연동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를 구비하므로서 운전자가 급유시 엔진을 시동을 오프 하여야만 급유가 이루어지게 하여 급유중 엔진작동으로 인한 화재의 방지와 공회전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운전석측에 구비되는 급유구개방레버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급유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급유잠금구가 구비되는 자동차 급유도어구조에 있어서;
    키회동구(31)의 단부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캠(11)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해제캠(11)에 의하여 회동되는 록킹해제레버(1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어서 상기 록킹해제레버(12)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몰입되어 급유도어(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보조잠금구(13)를 구비하고, 급유구개방레버(21)의 상승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상기 급유구개방레버(21)의 상측 측면에서 탄성 회동되며 록킹해제레버(12)와 케이블을 매개로 결속되는 레버회동제한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KR20-2003-0020776U 2003-06-30 2003-06-30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KR20032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76U KR200329909Y1 (ko) 2003-06-30 2003-06-30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776U KR200329909Y1 (ko) 2003-06-30 2003-06-30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909Y1 true KR200329909Y1 (ko) 2003-10-11

Family

ID=4933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776U KR200329909Y1 (ko) 2003-06-30 2003-06-30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75B1 (ko) * 2007-03-20 2008-08-25 최성훈 주유중 엔진 정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75B1 (ko) * 2007-03-20 2008-08-25 최성훈 주유중 엔진 정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6857C (zh) 车辆用锁装置
MXPA06014371A (es) Dispositivo de seguro vehicular.
EP0425484A1 (en) Security device
CN115071842A (zh) 用于致动充电盖板或油箱盖板的致动机构
KR200329909Y1 (ko) 자동차용 급유도어구조
GB2431634A (en) Device to prevent incorrect fuelling of a vehicle
US3838587A (en) Automobile theft protector
JP4040857B2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KR200371928Y1 (ko) 자동차의 주유캡작동레버를 이용한 시동차단장치
KR200420761Y1 (ko) 주유구 자동 개폐 시스템
KR100853675B1 (ko) 주유중 엔진 정지장치
CN2430347Y (zh) 具有安全装置的油箱锁
CN2590834Y (zh) 控制摩托车给油的防盗装置
KR200323501Y1 (ko) 엔진 가동 중 주유 방지 키셋트
KR0124272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10037365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와 플립업글래스의 록킹 및 언록킹시스템
CN2274672Y (zh) 汽车前机盖保安锁
KR100690252B1 (ko) 자동차의 주유캡작동레버를 이용한 시동차단장치
KR100412033B1 (ko) Lpg 차량의 lpg 스위치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JPH09323555A (ja) フューエルキャップ閉め忘れ防止装置
KR0139416Y1 (ko) 자동차 퓨얼리드 오픈용 레버의 잠금장치
KR200196279Y1 (ko) 주유중 시동 정지 장치
KR101035718B1 (ko) 2중 파워락 잠금장치
KR19980045469U (ko) 연료탱크의 덮개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