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9397Y1 -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97Y1
KR200329397Y1 KR20-2003-0019910U KR20030019910U KR200329397Y1 KR 200329397 Y1 KR200329397 Y1 KR 200329397Y1 KR 20030019910 U KR20030019910 U KR 20030019910U KR 200329397 Y1 KR200329397 Y1 KR 200329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signal
sneak
de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용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솔테크
Priority to KR20-2003-0019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을 일체로 구비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몰래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검출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에 따라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통화를 제어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몰래카메라의 검출 및 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와, 전화통화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송수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몰래카메라의 검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몰래카메라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detecting function of stealth camera}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몰래 카메라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능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몰래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잇도록 하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몰래카메라가 불법적으로 성행하게 되고, 크기도 소형화되어, 각종 문구류, 어항, 연필꽂이, 화분 및 커튼고리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사생활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몰래 카메라는, 초소형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고성능의 소형 무선송신기가 결합된 것으로서 공중목욕탕, 화장실, 탈의실, 호텔룸, 사무실 및 개인 룸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해 놓고, 이들 장소의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청취하고, 이를 녹화하여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몰래카메라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무선 송신기능을 갖거나 무선송신기가 결합된 몰래카메라를 감시 대상 장소에 가만히 설치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며, 상기 몰래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소정의 감청거리 이내에 몰래카메라용 수신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무선으로 송출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원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게 구성된다.
상기 몰래카메라는 통상적으로 300㎒∼2㎓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고, 무선신호의 도달거리는 상황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적으로 5m∼100m 정도이다.
이러한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종래에는몰래카메라가 송신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 및 파형 정형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여러 가지의 몰래카메라 검출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는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면서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서 휴대가 매우 불편하고, 또한 언제 사용할 지도 모르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를 항상 휴대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을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필요시 몰래카메라의 설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에 따라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동작하도록 하여 필요 없는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통화를 제어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몰래카메라의 검출 및 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와, 전화통화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송수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따라 몰래카메라의 검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몰래카메라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는, 상기 안테나의 수신신호에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수신부와, 상기 고주파 수신부의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증폭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부의 출력신호를 파형 정형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파형 정형부를 구비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수신부, 증폭부, 검파부 및 파형 정형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어부 110 : 안테나
120 :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 121 : 고주파 수신부
123 : 증폭부 125 : 검파부
127 : 파형 정형부 129 : 스위치
130 : 고주파 송수신부 140 : 전화 통화부
150 : 경보부 160 : 키 입력부
170 : 표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통화를 제어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몰래카메라의 검출 및 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안테나(110)의 수신신호들 중에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시키는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와, 상기안테나(110)를 통해 전화통화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송수신부(13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송수신부(13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부(14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몰래카메라의 검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150)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시키는 키 입력부(16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몰래카메라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는, 상기 안테나(110)의 수신신호에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수신부(121)와, 상기 고주파 수신부(121)의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3)와, 상기 증폭부(123)의 증폭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125)와, 상기 검파부(125)의 출력신호를 파형 정형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시키는 파형 정형부(127)와,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전원(Vcc)을 스위칭하여 상기 고주파 수신부(121), 증폭부(123), 검파부(125) 및 파형 정형부(127)에 동작전원(Vcc)을 공급하는 스위치(12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화통화를 할 경우에 키 입력부(160)의 동작명령에 따라 제어부(100)가 고주파 송수신부(130)를 제어하여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게 하고, 전화 통화부(140)를 제어하여 전화 통화부(140)가 고주파 송수신부(130)를 통해 전화 통화 음성신호를 송수신 및 전화 통화를 하게 되며, 전화통화의 상태 등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70)가 표시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키 입력부(160)를 통해 몰래카메라의 검출을 명령하면, 제어부(100)는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의 스위치(129)를 제어하여 접속시킨다.
그러면, 동작전원(Vcc)이 상기 스위치(129)를 통해 고주파 수신부(121), 증폭부(123), 검파부(125) 및 파형 정형부(127)에 공급되어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가 정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주파 수신부(121)는 안테나(110)의 수신신호들 중에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고주파 수신부(121)의 수신신호는 증폭부(123)에서 증폭되고, 검파부(125)에서 검파되어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가 검출되며, 검출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는 파형 정형부(127)에서 파형 정형되어 제어부(100)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기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의 파형 정형부(127)로부터 입력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레벨과 비교하여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음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부(150)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출력함과 아울러 표시부(170)를 제어하여 몰래카메라가 있음을 표시하면서 경보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단계(200)에서 키 입력부(160)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단계(202)에서 입력된 키신호가 몰래카메라의 검출을 명령하는 키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202)의 판단 결과 몰래카메라의 검출을 명령하는 키신호일 경우에 제어부(100)는 단계(204)에서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의 스위치(129)를 점속시켜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가 정상으로 동작되게 한 후 단계(206)에서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120)의 파형 정형부(127)가 출력하는 몰래카메라의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단계(208)에서 그 입력한 몰래카메라의 검출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208)의 판단 결과 몰래카메라의 검출신호가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경우에 제어부(100)는 단계(210)에서 몰래카메라가 있음을 판단하고, 단계(212)에서 경보부(150) 및 표시부(170)를 제어하여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음을 경보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면서 전화 통화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몰래카메라의 검출기능을 일체로 구비하여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휴대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항상 휴대하면서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통화를 제어하고,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몰래카메라의 검출 및 경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면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
    전화통화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송수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송수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몰래카메라의 검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키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몰래카메라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래카메라 무선신호 검출부는;
    상기 안테나의 수신신호에서 몰래카메라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고주파 수신부;
    상기 고주파 수신부의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의 증폭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 및
    상기 검파부의 출력신호를 파형 정형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파형 정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몰래카메라 검출명령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수신부, 증폭부, 검파부 및 파형 정형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3-0019910U 2003-06-24 2003-06-24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29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10U KR200329397Y1 (ko) 2003-06-24 2003-06-24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10U KR200329397Y1 (ko) 2003-06-24 2003-06-24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97Y1 true KR200329397Y1 (ko) 2003-10-17

Family

ID=4933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9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9397Y1 (ko) 2003-06-24 2003-06-24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94B1 (ko) * 2020-05-06 2021-02-16 김선욱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US12052794B2 (en) 2020-06-18 2024-07-3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amera det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694B1 (ko) * 2020-05-06 2021-02-16 김선욱 몰래 카메라 검출용 안경 및 그 몰래 카메라 검출방법
US12052794B2 (en) 2020-06-18 2024-07-3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amera de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730B2 (en) Aided ear bud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EP1521436A3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enter apparatus
US2018018075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lephone
KR200329397Y1 (ko)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0288B1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다기능 티브이
KR100658021B1 (ko) 통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21806A (ja) 通信機器
KR200226149Y1 (ko)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
JPS61296859A (ja) テレビ機能付電話装置
KR19990049847A (ko) 휴대폰의 온도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4068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H02218291A (ja) ワイヤレス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1024783A (ja) 盗聴・盗撮検知器
JPS60119142A (ja) コ−ドレステレホン装置
KR200276557Y1 (ko) 외부 소음 감지에 따른 전자 음향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JP2005536107A (ja) 鳴動起動型ミュート
KR200241018Y1 (ko) 비상벨 기능을 가진 휴대폰
JP200426054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41019Y1 (ko) 비상벨 기능을 가진 영상 휴대폰
KR200247583Y1 (ko)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101524617B1 (ko) 오디오 입출력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385336B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5289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확인 장치
JP2003087364A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