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6357Y1 -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357Y1
KR200326357Y1 KR2019980010065U KR19980010065U KR200326357Y1 KR 200326357 Y1 KR200326357 Y1 KR 200326357Y1 KR 2019980010065 U KR2019980010065 U KR 2019980010065U KR 19980010065 U KR19980010065 U KR 19980010065U KR 200326357 Y1 KR200326357 Y1 KR 200326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ver
lower cover
upper cov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579U (ko
Inventor
정제을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201998001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35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3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실내 전방좌석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의 커버가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커버(20)는 일측선단이 하부커버(10)에 힌지축(3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하부커버(10)에는 모니터(10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이 수납공간에 모니터(100)가 힌지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40)에는 하부커버(10)에 대해 모니터(1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텐션스프링(5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커버(20)의 측면에는 만곡된 형태의 장공(60)이 형성되고, 이 장공(60)에 모니터(100) 상단에 부착된 가이드로울러(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커버의 전방에 상부커버(20)를 하부커버(10)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버튼부(80)가 갖춰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콘솔박스 상부에 모니터를 수납/인출하여 사용함으로서, 좁은 차량의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만 모니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어 모니터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An loading structure of monitor of AV system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솔박스에 설치되어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AV system)의 모니터 인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에는 청각적인 요소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라디오 같은 오디오 장비가 기본사양으로 장착되어 있고, 또한 근래에는 시각적인 요소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모니터 같은 비디오 장비가 선택사양으로 장착되어 있는 바, 이러한 AV 시스템은 특히 하루의 대부분을 차안에서 보내는 운전자의 경우에, 잠깐 휴식을 취할 때나 유익한 정보를 얻기위해 필요한 장비들이다.
상기 모니터는 차량의 전방착석자를 위해서는 인스트루먼트패널부에 설치되고, 후방착석자를 위해서는 통상 전방 시트 사이의 콘솔박스 상부에 고정설치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종래의 모니터는 단지 콘솔박스 상단에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콘솔박스 사용이 어렵고, 모니터 자체의 각도조절이 불가능하고, 조절을 할 수 있더라도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모니터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서, 시청자에게 일정한 시청방향만을 제공해주게 되고 보다 편리하게 보고자 하는 시청자의 요구를 충분하게 만족시켜 주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가 차실내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서, 좁은 차내부의 공간활용에 문제가 있으며,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도난의 위험성도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니터를 콘솔박스에 수납식으로 내장시켜 원하는 경우에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인출된 모니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AV시스템의 모니터 인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실내 전방좌석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의 커버가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커버는 일측선단이 하부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하부커버에는 모니터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이 수납공간에 모니터가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에는 하부커버에 대해 모니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텐션스프링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에는 만곡된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고, 이 장공에 모니터 상단에 부착된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커버의 전방에 상부커버를 하부커버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버튼부가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콘솔박스의 버튼부를 눌러 상부커버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커버에 눕혀져 있던 모니터가 회동되어 세워지면서 상부커버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을 따라 모니터의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딩되면서 상부커버 또한 세워지는 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모니터가 세워져 시청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인출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니터 인출구조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커버 20 : 상부커버
30 : 힌지축 40 : 힌지축
50 : 스프링 60 ; 장공
70 : 로울러 80 : 버튼부
90 : 댐퍼기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인출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모니터 인출구조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차실내 전방좌석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의 커버를 상하로 분리시켜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10)로 나누고 하부커버(10)에 모니터(100)를 수납하면서 상부커버(20)가 개방되면 수납되어 있던 모니터(100)가 회동되어 세워져 시청가능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은 차실내 전방좌석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의 커버가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커버(20)는 일측선단이 하부커버(10)에 힌지축(3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하부커버(10)에는 모니터(10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이 수납공간에 모니터(100)가 힌지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40)에는 하부커버(10)에 대해 모니터(1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텐션스프링(5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커버(20)의 측면에는 만곡된 형태의 장공(60)이 형성되고, 이 장공(60)에 모니터(100) 상단에 부착된 가이드로울러(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커버의 전방에 상부커버(20)를 하부커버(10)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버튼부(80)가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80)는 상부커버(20)의 하부에 설치된 후크(81)와, 이 후크(81)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부커버(10)에 형성된 걸림홈(82), 이 걸림홈(82)에 걸린 후크(81)를 밀어내기 위해 하부커버(10)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8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83)을 누러게 되면 걸림홈(82)에 걸려 있는 후크(81)가 밀려나가면서 상부커버(2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10)의 힌지축에는 댐퍼기어(90)를 설치하여 탄성스프링(50)의 회동력에 의해 모니터(100)가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막고 부드럽게 회동되어 세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콘솔박스의 버튼부(80)의 버튼(83)을 눌러 상부커버(20)의 고정을 해제시키게 되면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부커버(10)에 눕혀져 있던 모니터(100)가 회동되어 세워지면서 상부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60)을 따라 모니터(100)의 가이드로울러(70)가 슬라이딩되면서 상부커버(20) 또한 세워지는 바,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10) 사이에 모니터(100)가 세워져 시청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100)를 시청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커버(20)가 하부커버(10)에 닫혀져 있는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00)는 하부커버(10)의 수납공간에 눕혀져 있고, 상부커버(20)는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후크(81)가 하부커버(10)의 걸림홈(82)에 걸려 회동이 제어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모니터(100)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커버(10)의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버튼(83)을 눌러 상부커버(20)를 개방시키게 되는 바, 버튼(83)의 누름동작에 의해 하부커버(10)의 걸림홈(82)에 걸려 있던 후크(81)가 빠지면서 상부커버(20)는 하부커버(10)에 대해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하부커버(10)의 수납공간에 눕혀져 있던 모니터(100)는 모니터(100)가 수평상태로 눕혀지면서 압축되었던 텐션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부커버(20)는 모니터(100)의 회동에 따라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모니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70)가 상부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60)에 끼워져 있는 바, 모니터(100)가 세워지면서 상기 로울러(70)는 장공(6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부커버(20)는 로울러(70)의 회동각을 따라 하부커버(10)와의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20)의 회전축(30)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기어(90)에 의해 급격한 회동은 제어되어 모니터(100)는 부드럽게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100)는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모니터(100)의 상부 로울러(70)와 결합되어 있는 상부커버(20)를 들어올리게 되는 바,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 사이로 모니터(100)가 세워져 노출되게 되어 후방 좌석 탑승자가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니터(100)의 설치공간은 콘솔박스의 커버에 한정되므로, 상기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10)로 이루어진 콘솔박스의 커버를 개방하면 콘솔박스 내부의 공간은 종래와 동일하게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AV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에 의하면, 콘솔박스 상부에 모니터를 수납/인출하여 사용함으로서, 좁은 차량의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만 모니터를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어 모니터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차실내 전방좌석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콘솔박스의 커버가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커버(20)는 일측선단이 하부커버(10)에 힌지축(3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하부커버(10)에는 모니터(10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이 수납공간에 모니터(100)가 힌지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40)에는 하부커버(10)에 대해 모니터(1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텐션스프링(5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커버(20)의 측면에는 만곡된 형태의 장공(60)이 형성되고, 이 장공(60)에 모니터(100) 상단에 부착된 가이드로울러(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커버의 전방에 상부커버(20)를 하부커버(10)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버튼부(80)가 갖춰진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KR2019980010065U 1998-06-12 1998-06-12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26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65U KR200326357Y1 (ko) 1998-06-12 1998-06-12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065U KR200326357Y1 (ko) 1998-06-12 1998-06-12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79U KR20000000579U (ko) 2000-01-15
KR200326357Y1 true KR200326357Y1 (ko) 2003-11-15

Family

ID=4941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0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6357Y1 (ko) 1998-06-12 1998-06-12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5B1 (ko) * 2009-01-13 2009-04-29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 수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498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차량용 암레스트의 모니터 장착구조.
KR20040016577A (ko) * 2002-08-19 2004-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솔 암레스트에 수납되는 av용 모니터 수납 인출장치
KR100792899B1 (ko) * 2006-09-14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적용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51149A1 (en) * 2016-03-04 2017-09-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hin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5B1 (ko) * 2009-01-13 2009-04-29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 수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79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734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ビデオ撮影装置
JP4132294B2 (ja) 乗り物内に取付け可能な表示装置
JP4647663B2 (ja) ディスプレイ開閉角度検出機構
EP1577164B1 (en) Front panel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505108A (ja) 一体に組込まれた保管用コンパートメントを備えた,自動車の車内用のバックミラー
CN100358750C (zh) 车载用电子设备
KR200326357Y1 (ko)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구조
KR200256470Y1 (ko) 모니터가 부착된 헤드레스트
JP271545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乗用車
CA2471728C (en) Electrical device for attachment to a holder and holder therefor
US20030209643A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JPS6353144A (ja) 車載用テレビ収納装置
EP1592582B1 (en) Installation module
JP5935087B2 (ja) ミラー装置
KR100573829B1 (ko) 차량용 모니터 개폐 구조
JP4007753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7367647B2 (ja) 車両用内装品
JPH10309996A (ja) 表示装置
JPH0811650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00580U (ko) 자동차용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인출장치
JP3647298B2 (ja) 盗難防止機能付きの車載用電子機器
KR20230172869A (ko) 선글라스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용 룸미러
JPH05338502A (ja) 自動車用電話機格納装置
KR200231074Y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잠금장치
JPH0640022Y2 (ja) 車載用画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1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08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309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