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5932Y1 -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32Y1
KR200325932Y1 KR20-2003-0018165U KR20030018165U KR200325932Y1 KR 200325932 Y1 KR200325932 Y1 KR 200325932Y1 KR 20030018165 U KR20030018165 U KR 20030018165U KR 200325932 Y1 KR200325932 Y1 KR 200325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hair
belt
seat
infant safety
inf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8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으로 하여 사용할 때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받쳐주어 유아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시트부위의 밑에서부터 뒤쪽까지 벨트통과공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자동차의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를 반대측으로 통과시켜 그 선단부의 체결플레이트를 체결버클에 꽂아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 자동차용 유아안전의자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트에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안착시킬 때 벨트통과공을 통과한 어깨벨트의 위쪽을 걸어주어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부위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벨트걸이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유아 안전의자를 눕혀 자동차의 시트에 후향으로 안착시킬 때 어깨벨트를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에 구비된 벨트걸이에 한번 더 걸어주게 되므로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가 어깨벨트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이 발생되어도 유아 안전의자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는 영아기의 아이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Belt hanger using exclusively in the back direction of safety chair for young child i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으로 하여 사용할 때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받쳐주어 유아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의 시트 및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되어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압박하였던 바, 이를 감안하여 유아들의 몸에 맞는 사이즈로 안락한 시트부위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위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연결하도록 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가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아를 앉히는 시트부위를 받침부위와 별도로 분리 구성하여 유아의 상태에 따라 시트부위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된 것도 안출된 바 있다.
한편, 신생아에서부터 12개월 정도까지의 영아기에 있는 아이들은 허리힘이 완전하지 못하여 유아 안전의자를 사용할 때 시트부위를 뉘인 자세에서 자동차의 시트에 안착시켜야 하며, 따라서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유아 안전의자에는 시트부위의 밑에서부터 뒤쪽까지 안전벨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벨트통과공이 길게 관통 형성되어 있어 유아 안전의자를 자동차의 시트에 안착시킨 후에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를 모두 꺼내어 그 선단 체결플레이트를 벨트통과공을 통해 반대측으로 인출하여 체결버클에 꽂아 벨트가 가로방향과 대각방향의 3점식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유아 안전의자를 전방을 향하게 안착시킬 때에는 허리벨트 및 어깨벨트가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에 가깝게 짧은 길이로 인출되어 유아 안전의자의 하부와 대각방향을 지지하게 되고, 유아 안전의자의 시트백 뒤쪽에 접하여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이 위치하므로 어느 정도의 충격이 발생되어도 안정감이 있게 되지만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안착시킬 때에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길게 인출되어 유아 안전의자의 벨트통과공을 통해 3점식으로만 고정되므로유아 안전의자의 하부와 중간부는 어느 정도 지지력을 가지게 되지만 상부는 전혀 지지되지 못하여 약간의 충격에도 유아 안전의자가 전방으로 쏠려 넘어질 우려가 있었으며, 이는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는 영아기의 아이들에게는 굉장히 위험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 양측에 후방을 향해 개방된 벨트걸이를 고정하여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사용할 때 벨트통과공을 통과한 어깨벨트를 한번 더 걸어줌으로써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지지하여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걸이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부위 2 : 벨트통과공 3 : 어깨벨트
4 : 허리벨트 5 : 체결플레이트 6 : 체결버클
7 : 벨트걸이 S : 자동차 시트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위(1)의 밑에서부터 뒤쪽까지 벨트통과공(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자동차의 어깨벨트(3) 및 허리벨트(4)를 반대측으로 통과시켜 그 선단부의 체결플레이트(5)를 체결버클(6)에 꽂아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 자동차용 유아안전의자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트(S)에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안착시킬 때 벨트통과공(2)을 통과한 어깨벨트(3)의 위쪽을 걸어주어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부위(1)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벨트걸이(7)를 각각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생아에서부터 12개월 정도까지의 유아들은 허리힘이 완전하지 못하여 자동차에 탑승시킬 때 유아 안전의자의 시트부위(1)를 눕혀 안착시켜야 함은 전술한 바 있다.
즉, 이는 신생아에서부터 12개월 정도까지의 유아들은 유아 안전의자의 시트부위(1)를 눕혀야만 안정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며, 그 각도는 통상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약 45°정도가 되고, 이러한 상태로 유아 안전의자를 자동차의 시트(S)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이 되게 할 수밖에 없다.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이 되게 한 후 이를 자동차에 고정할 때에는 자동차의 허리벨트(4)와 어깨벨트(3)를 인출하여 유아 안전의자의 벨트통과공(2)을 통해 반대측으로 빼낸 후 그 선단부의 체결플레이트(5)를 체결버클(6)에 고정하면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가 지지되지 않아 조그마한 충격이 가해져도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유아 안전의자의 시트부위(1) 상부 양측에 후방으로 개방된 벨트걸이(7)를 각각 고정한 것으로, 허리벨트(4)와 어깨벨트(3)를 인출하여 유아 안전의자를 고정한 후 사용자는 어깨벨트(3)를 상방향, 즉 그 인출측으로 당겨 벨트걸이(7)에 걸어주고, 벨트걸이(7) 위쪽에서 다시 한번 당겨 인출부위에 어깨벨트(3)를 넣어줌으로써 유아 안전의자 전체가 어깨벨트(3)와 허리벨트(4)에 의해 타이트하게 고정되면서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가 지지될 수 있어 자동차에 충격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으로 유아 안전의자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아 안전의자에 앉혀진 영아기의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벨트걸이(7)는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 유아 안전의자를 자동차내의 어떠한 시트(S)에 안착시키거나 상관없이 어깨벨트(3)를 걸어줄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 안전의자를 눕혀 자동차의 시트에 후향으로 안착시킬 때 어깨벨트를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에 구비된 벨트걸이에 한번 더 걸어주게 되므로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가 어깨벨트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이 발생되어도 유아 안전의자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는 영아기의 아이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부위(1)의 밑에서부터 뒤쪽까지 벨트통과공(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자동차의 어깨벨트(3) 및 허리벨트(4)를 반대측으로 통과시켜 그 선단부의 체결플레이트(5)를 체결버클(6)에 꽂아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 자동차용 유아안전의자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트(S)에 상기 유아 안전의자를 후향되게 안착시킬 때 상기 벨트통과공(2)을 통과한 어깨벨트(3)의 위쪽을 걸어주어 상기 유아 안전의자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위(1)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벨트걸이(7)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KR20-2003-0018165U 2003-06-10 2003-06-10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Expired - Lifetime KR200325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165U KR200325932Y1 (ko) 2003-06-10 2003-06-10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165U KR200325932Y1 (ko) 2003-06-10 2003-06-10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32Y1 true KR200325932Y1 (ko) 2003-09-06

Family

ID=4941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165U Expired - Lifetime KR200325932Y1 (ko) 2003-06-10 2003-06-10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934A (en) Child car s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4662683A (en) Juvenile car seat
KR930012099B1 (ko) 자동차용 유아보조의자
US7464990B2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apparatus
KR19980070368A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 좌석
US20090167065A1 (en) Reboard system
AU2017316615A1 (en) Child safety seat
AU2017201937B2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200325932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후향전용 벨트걸이
JP2008503378A (ja) 子供用安全キャリアのベース
US20080048482A1 (en) Infant seat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JP2001328471A (ja) 年少者座席
US3279848A (en) Child's car seat
JPH10226251A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WO1997015469A1 (en) Child restraints for vehicles
JP200318241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RU72183U1 (ru) Детское автомобильное кресло
JP2004098954A (ja) 自動車用子供座席
JP4148621B2 (ja) 車の後座席背部内に設置の収納形ベビーシート
JPH0641876Y2 (ja) 子供用拘束装置
JP2001137081A (ja) 自動車用ベビーベッド
KR200141434Y1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보호대를 구비한 유아용 차량안전의자
KR100210144B1 (ko) 차량의 유아용 시트벨트
KR20250037395A (ko) 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