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3812Y1 - 액체 충전기 - Google Patents

액체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12Y1
KR200323812Y1 KR20-2003-0011863U KR20030011863U KR200323812Y1 KR 200323812 Y1 KR200323812 Y1 KR 200323812Y1 KR 20030011863 U KR20030011863 U KR 20030011863U KR 200323812 Y1 KR200323812 Y1 KR 200323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supply
container
hub
suppl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갑
Original Assignee
(주)대용충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용충진기계 filed Critical (주)대용충진기계
Priority to KR20-2003-0011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점성이 큰 액체를 용기 내에 효율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개선된 액체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액체을 용기 내부에 충전하기 위한 액체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기체 공급부 및 액체 공급부가 구획된 허브와; 허브의 기체 공급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기체 공급관과; 허브의 액체 공급부에 연통되고, 기체 공급관의 동심부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액체 투입관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체 충전기{Device for filling up a container with a liquid}
본 고안은 시약과 같은 액체을 용기 내에 투입한 뒤에 포장하는 액체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점성이 큰 액체를 용기 내에 효율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개선된 액체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시약이라 함은 화학적 방법에 의한 물질의 검출이나 정량을 위한 반응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을 말하며, 사용목적이나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 정해져 있다. 한편, 이러한 시약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또는 유리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병 또는 튜브 등과 같은 용기 내에 밀봉적으로 보관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약과 같은 액체를 용기 내에 포장하는 공정은 용기 내부에 기체를 불어주어 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단계과, 이 살균된 용기의 내부에 클리닝 기체를 불어주어 용기 내부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이 용기 내부에 적정양의 액체을 투입하여 충전하는 단계와, 이 용기의 개방구 상에 캡을 가결합한 뒤에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화단계와, 진공 상태가 완료된 용기의 개방구에 캡을 완전히 밀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시약과 같은 액체를 용기 내에 투입하여 충전하는 종래의 액체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레임(5) 상에 설치된 투입관(1)으로 이루어지고, 이 투입관(1)은 그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 투입관(1)의 하단부를 용기(2)의 개방구 측에 근접하게 배치시킨 뒤에 외부의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투입관(1)을 통해 용기(2) 내부로 투입시켜, 일정량의 액체가 용기(2) 내부에 충전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액체 충전기는 그 투입관(1)의 직경이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액체가 용기(2) 내부에 투입되는 도중에 기포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점성이 상대적으로 큰 액체일 경우에는 액체의 점성 때문에 액체 공급이 중단된 후에도 액체가 투입관(1)의 내부 벽면 상에 응착되어 용기(2) 내부로 가늘고 긴 꼬리 모양의 액체 잔여물(3)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소정의 도구로 이 액체 잔여물(3)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액체 투입작업이 매우 번거러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시약과 같은 액체가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도중에 기포가 발생됨을 방지하고, 액체 공급이 중단된 후에 투입관 및 용기 사이에 가늘고 긴 꼬리 모양의 액체 잔여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가 턴테이블 방식의 액체 충전시스템 상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방식의 액체 충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2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허브
30 : 기체 공급관 40 : 액체 공급관
100 : 액체 충전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체를 용기 내부에 충전하기 위한 액체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기체 공급부 및 액체 공급부가 구획된 허브와; 허브의 기체 공급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기체 공급관과; 허브의 액체 공급부에 연통되고, 기체 공급관의 동심부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액체 투입관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입관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동심 유지용 돌기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충전기는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100)는 소정의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허브(20)와, 이 허브(20)의 하단부 상에 장착된 기체 공급관(30)과, 이 기체 공급관(30)의 동심부 상에 장착된 액체 공급관(40)을 포함한다.
허브(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공급부(31) 및 액체 공급부(41)로 구획되고, 이 기체 공급부(31)에는 소정의 기체 공급구(32)가 구비되며, 액체 공급부(41)에도 소정의 액체 공급구(42)가 구비된다. 또한, 액체 공급구(42) 및 기체 공급구(32) 각각은 외부의 액체 공급원(미도시) 및 기체 공급원(미도시)에 각각 연통된다.
기체 공급관(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허브(20)의 기체 공급부(31)에 연통되며 허브(20)의 하단부 상에 장착된다. 또한, 이 기체 공급관(30)의 토출구 상에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노즐(33)이 형성된다. 한편, 이 기체 공급관(30)으로 공급되는 기체로는 열풍 또는 고압의 에어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액체 공급관(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허브(20)의 액체 공급부(41)에 연통되며 기체 공급관(30)의 동심부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이 액체 공급관(40)의 토출구 상에는 상술한 기체 공급관(30)의 노즐(33)과 유사하게 테이퍼진 노즐(4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액체 공급관(40)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동심유지용 돌기(44)가 형성된다. 즉, 이 동심유지용 돌기(44)는 기체 공급관(30)의 동심부 상에 설치되는 액체 공급관(40)의 동심도를 정확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외부의 액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시약과 같은 액체가 공급되면, 액체는 허브(20)의 액체 공급부(41) 및 액체 공급관(40)을 통과하여 액체 공급관(40)의 노즐(43)을 통해 분사되어 용기(50)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액체는 액체 공급관(40)의 노즐(43)을 통해 용기(50) 내부로 투입됨에 따라 그 기포발생이 방지된다.
그런 다음에, 적정량의 액체가 용기(50) 내부에 충전되면, 사용자는 액체의 공급을 중지한다.
이렇게 액체의 공급이 중지되면, 외부의 기체원(미도시)으로부터 소정의 기체(열풍 또는 에어)가 허브(20)의 기체 공급부(31) 및 기체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고, 이 기체는 기체 공급관(30)의 노즐(33)을 통해 분사되면서 액체 공급관(40)의 노즐(43) 및 용기(50) 사이에 형성되는 가늘고 긴 꼬리 모양의 액체 잔여물(즉, 점성이 상대적으로 큰 액체 상태일 경우)을 제거하게 된다.
도 3은 다수의 용기(50)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원형의 회전대(70) 및 이 원형의 회전대(70)의 일측에 설치된 프레임(10)으로 이루어진 턴 테이블 방식의 액체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100)가 이 액체 충전시스템의프레임(10) 상에 예시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는 이상과 같은 턴테이블 방식의 액체 충전시스템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4는 다수의 용기(5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착대(80) 및 이 장착대(80)에 대응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10)으로 이루어진 액체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100)가 이 액체 충전시스템의 프레임(10) 상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즉,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는 이상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액체 충전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액체 충전기는 상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그외의 다양한 형태의 액체 포장장치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액체가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도중에 기포가 발생함을 방지하고, 액체 공급이 중단된 후에 투입관 및 용기 사이에 가늘고 긴 꼬리 모양의 액체 잔여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액체을 용기 내부에 충전하기 위한 액체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기체 공급부 및 액체 공급부가 구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기체 공급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기체 공급관과;
    상기 허브의 액체 공급부에 연통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의 동심부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하단부에 테이퍼진 노즐을 구비한 액체 투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입관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동심 유지용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충전기는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충전기.
KR20-2003-0011863U 2003-04-17 2003-04-17 액체 충전기 KR200323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63U KR200323812Y1 (ko) 2003-04-17 2003-04-17 액체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63U KR200323812Y1 (ko) 2003-04-17 2003-04-17 액체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12Y1 true KR200323812Y1 (ko) 2003-08-19

Family

ID=4941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63U KR200323812Y1 (ko) 2003-04-17 2003-04-17 액체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35B1 (ko) * 2005-06-10 2008-08-13 인다크 게젤샤프트 퓌어 인두스트리에베다르프 엠베하 운트 코. 베트리브즈 카게 주입구를 가진 자루들에 액체를 채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33249B1 (ko) * 2013-05-31 2013-11-26 이경옥 잔량 방지를 위한 장류 주입용 노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35B1 (ko) * 2005-06-10 2008-08-13 인다크 게젤샤프트 퓌어 인두스트리에베다르프 엠베하 운트 코. 베트리브즈 카게 주입구를 가진 자루들에 액체를 채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33249B1 (ko) * 2013-05-31 2013-11-26 이경옥 잔량 방지를 위한 장류 주입용 노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3174B2 (ja) 交換可能な液体容器のための液密シール構成
US5833088A (en) Container with closure cap and method of filling containers without gas bubbles
CN106103295B (zh) 可再密封容器和封闭包装物
US7909197B2 (en) High volume docking seal for bulk liquid dispensing cartridge
EP1321271A2 (en) Closure for containers, in particular plug for bottles
WO1998029310B1 (en) Multi use funnels
KR200323812Y1 (ko) 액체 충전기
TWI630150B (zh) 配件、用於施配系統的配件接合器及其製造方法
FI84161C (fi) Distributions- och blandningsanordning, som kan infogas i en behaollare, speciellt en vaetskebehaollare.
EP1261535A1 (en) Container with snap-on neck
JP6333986B2 (ja) 化学溶液収容瓶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22533A (zh) 输送塞
JP6200484B2 (ja) 口栓システム、口栓および口栓付き容器
CN211055705U (zh) 连接装置、内衬袋及化工桶
KR102071949B1 (ko) 용기 충전기용 거품제거장치
JP2005518317A (ja) 水等の液体飲料用の容器に用いられるフィッティング部材
CN109606913A (zh) 一种浓缩洗涤剂投放容器及包装瓶
JP3647874B2 (ja) 容器の外側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9001315A (ja) 飲料水用容器
CN218430678U (zh) 墨水瓶
CN208233469U (zh) 一种用于厌氧液体分装的定量分液器瓶口适配器
CN214880162U (zh) 一种方便加液的漏斗加固器
CN211767698U (zh) 一种固液型保健品用瓶
KR102069710B1 (ko) 거품 발생을 방지하는 용기충전장치
KR200313958Y1 (ko) 잉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8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