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8477Y1 -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477Y1
KR200318477Y1 KR20-2003-0010039U KR20030010039U KR200318477Y1 KR 200318477 Y1 KR200318477 Y1 KR 200318477Y1 KR 20030010039 U KR20030010039 U KR 20030010039U KR 200318477 Y1 KR200318477 Y1 KR 200318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nector
connector
coupling
terminal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찬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477Y1/ko
Priority to PCT/US2004/009316 priority patent/WO2004093258A1/en
Priority to CNB2004800128194A priority patent/CN100511859C/zh
Priority to EP04758992A priority patent/EP1614196B1/en
Priority to DE602004006617T priority patent/DE602004006617T2/de
Priority to JP2006509349A priority patent/JP4191763B2/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각종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각각 일체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핀을 일체로 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소켓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암커넥터, 일측에 핀단자가 삽입되는 한편, 암커넥터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암커넥터를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암커넥터를 수용공간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소켓단자와 핀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가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수용되면 암커넥터가 이탈되지 않게 암커넥터를 수용공간부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소켓단자는 암커넥터의 하우징에 일체로 삽입되고, 핀단자는 수커넥터의 하우징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내 다수의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일체로 삽입하여 이를 결합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접속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해당 단자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for cars coupling as one body a number of pin}
본 고안은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각종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각각 일체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커넥터라 함은 차량 내부의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기계적 혹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끝에 단자가 구비된 다수의 전선이 하우징 내부로 끼워져 배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회로구성에 따라서 상기 단자들을 서로 도통시키기 위한 단자판이 홀더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단자들은 회로의 구성에 따라서 성형된 단자판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는 차량의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되어 각종 퓨즈, 릴레이 및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은 전원 단자측과 시그널 단자측이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는 많은 수의 단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차량내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고, 또한 외부의 충격시 쉽게 끊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각종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각각 일체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내 다수의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일체로 삽입하여 이를 결합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접속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텍터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숫커넥터와 래치의 결합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의 동작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암커넥터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부재의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암커넥터와 록킹부재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숫커넥터 14 : 래치
16 : 암커넥터 18 : 록킹부재
121 : 결합공간부 122 : 단자고정부
123 : 절개부 124 : 결합가이드홈
126 : 래치지주 121a,121b,121c : 제1,제2,제3가이드부
141 : 록킹홈 145 : 래치가이드공
161 : 결합안내돌기 161b: 결합안내홈
181 : 록킹단 182,183 :제1,제2결합핀
185 : 결합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내부에 소켓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암커넥터, 일측에 핀단자가 삽입되는 한편, 암커넥터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암커넥터를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암커넥터를 수용공간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소켓단자와 핀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가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수용되면 암커넥터가 이탈되지 않게 암커넥터를 수용공간부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소켓단자는 암커넥터의 하우징에 일체로 삽입되고, 핀단자는 수커넥터의 하우징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텍터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숫커넥터와 래치의 결합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의 동작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암커넥터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부재의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암커넥터와 록킹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는 크게, 숫커넥터(12), 래치(14), 암커넥터(16), 및 록킹부재(1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숫커넥터(12)는 하우징(12a)이 암커넥터(16)의 하우징(16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21)와 핀단자(196)가 끼워지는 격벽(122)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부(121)가 암커넥터(16)를 수용하면서 암커넥터(16)에 끼워진 소켓단자(198)들이 숫커넥터(12)의 격벽(122)에 끼워진 핀단자(198)와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핀단자(196)와 소켓단자(198)의 접속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한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에는 그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차량의 운전에 따른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핀단자(196)와 소켓단자(198)가 그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숫커넥터(12)의 하우징(12a)은 크게, 암커넥터(1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공간부(121)와 핀단자(196)를 내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격벽(122)으로 이루어진다.
수용공간부(121)는 상기한 수용공간에 암커넥터(16)를 수용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암커넥터(16)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격벽(122)은 수용공간부(121)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한 수용공간부(121)에 암커넥터(16)가 수용됨과 동시에 핀단자(196)와 소켓단자(198)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격벽(122)은 상기한 수용공간부(121)의 후방에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되어 그 내부에 핀단자(196)가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삽입공(12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자(196, 198)끼리 정확한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수용공간부(12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암커넥터(16)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도면서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 내 정확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핀단자(196)와 소켓단자(198)은 3V, 5V, 12V의 단자로서 상기한 단자삽입공(122a, 166)에 각각 끼워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일체로 접속된다.
제1,제2,제3가이드부(121a, 121b, 121c)는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 내 정확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가 1차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먼저, 제1가이드부(121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수용공간부(121)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격벽(122)까지 연장형성되고,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결합시에 암커넥터(16)의 제1가이드홈(162a)에 삽입되면서 그 결합을 가이드한다.
이와 함께, 수용공간부(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수용부(123)는 후술한 암커넥터(16)의 록킹부재결합부(164)를 수용하는 것으로, 제1가이드부(121a)와 내측으로 후퇴한 후퇴선단면(123a)에 의해 형성되며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수용시에 록킹부재결합부(164)가 수용된다.
더욱이, 상부수용부(123)의 후방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데, 함몰된 부분의 하부에는 역시 암커넥터(16)의 결합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부(121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21b)는 상기한 함몰된 부분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격벽(122)까지 연장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암커넥터(16)의 제2가이드홈(163)에 삽입되어 가이드한다.
수용공간부(121)의 하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제3가이드부(121c)가 소정 간격을 두고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형성된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121c)는 격벽(122)까지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21c)는 후술한 암커넥터(16)의 제3가이드홈(164)에 삽입되어 암커넥터(16)와의 결합시 제3가이드홈(164)를 따라 이동하면서 암커넥터(16)의 수용 및 결합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한 제1,제2,제3가이드부(122a,122b,122c)는 가이드 기능 뿐만 아니라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2차 결합시 이루어지는 매개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수용공간부(121)의 양측부에는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릿(124)이 형성된다. 슬릿(124)은 암커넥터(16)의 결합시 암커넥터(16)의 결합안내돌기(161)가 그 내부에 위치하여 슬릿(124)을 따라 이동하므로 암커넥터(16)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더욱이, 숫커넥터(12)의 하우징(12a) 양측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래치지주(126)가 형성되는데, 래치지주(126)는 후술한 래치(14)의 래치공(1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래치지주(126)는 래치지주(126)의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방지턱(126a)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턱(126a)은 래치공(144)으로부터 래치지주(12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숫커넥터(12)의 하부에는 단자고정부재(192)가 설치된다.
단자고정부재(192)는 단자고정부재(192)가 숫커넥터(16)에 바람직하게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고정부재(192)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단자고정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단자고정부재(192)는 단자(198)가 격벽(122)에 고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삽입공(192a)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자삽입공(192a)으로 단자(196)가 삽입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고정부재(192)를 단자고정부재홈의 일정 부분까지 삽입한 다음, 핀단자(198)를 숫커넥터(12)의 단자삽입공(122a)과 단자고정부재(192)의 단자삽입공(194a)을 통해 삽입한 후, 단자고정부재(194)를 하우징(162)의 단자고정부재홈에 완전히 삽입시켜 소켓단자(198)가 단자삽입공(166) 내부에 고정설치되게 한다.
래치(14)는 상기한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2차 결합을 가이드하고, 그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이러한 래치(14)는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14a)에는 한 쌍의 록킹홈(141)이 형성되는데, 록킹홈(141)에 후술한 록킹부(18)의 록킹단(181)이 위치하여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결합시 숫커넥터(12)에 설치된 래치(14)가 회동할 수 없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심부(18a)에 돌출성형된 래치돌기(142)는 록킹부재(18) 결합시 록킹부재(18)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록킹부재(18)가 차량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암커넥터(16)의 록킹부재결합부(16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중심부(14a)의 양측부분은 수직으로 절곡된 래치암(143)이 형성되어 래치(14)는 전체적으로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래치암(1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14a)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그 중심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래치공(144)이 형성된다. 래치공(144)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므로 상기한 래치지주(126)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래치공(144)에는 래치지주(126)가 래치공(144)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126a)의 외형에 대응되게 이탈방지턱 삽입홈(144a)이 형성된다. 또한, 래치공(144)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47)이 형성되는 데, 걸림턱(147)은 래치(14)가 록킹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후술한 이탈방지턱(126a)에 걸려 래치(14)가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래치(1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정확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래치공(144)의 이탈방지턱 삽입홈(144a)을 통해 이탈방지턱(126a)이 끼워지는 경우, 래치(14)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이탈시키지 않는 한, 래치지주(126)는 이탈방지턱(126a)에 의해 래치공(14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래치암(143)에는 래치가이드공(145)이 형성된다. 래치가이드공(145)은 상기한 래치공(144)을 중심으로 래치(14)의 중심부(14a)와 반대 위치에 형성된다. 래치가이드공(145)은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수용시 결합안내돌기(161)가 위치한다. 따라서, 래치가이드공(145)은 래치(14)가 회동하여 록킹부재(18)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까지 형성된다.
한편, 결합안내돌기(161)는 암커넥터(16)의 전방에 그 내측을 향해 함몰된 결합확인홈(161b)이 형성되고, 래치암(143)에는 래치가이드공(145)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확인돌기(145a)가 형성되어,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수용되는 경우 암커넥터(16)의 결합안내돌기(161)가 래치가이드공(145)를 따라서 이동하여 암커넥터(16)의 결합확인홈(161b)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확인홈(161b)과 결합확인돌기(145a)는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1차 결합시에 결합안내돌기(161)의 결합확인홈(161b)에 래치암(143)의 결합확인돌기(145a)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암커넥터(16)가 결합공간부(121)에 수용되는 1차결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는 상기한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일정거리만큼만 수용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래치(14)를 회전시키면 암커넥터(16)의 결합안내돌기(161)가 래치가이드공(145)를 따라 이동하여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에 완전히 수용되면서 래치안내돌기(161)가 래치가이드공(145) 내의 결합확인돌기(145a) 타측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안내돌기(161)가 래치가이드공(145)에 갇혀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때 상기한 록킹부재(18)가 암커넥터(16)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래치(14)를 록킹시키므로 완전한 2차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암커넥터(16)는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소켓단자(198)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자삽입공(166)이 형성되는데, 단자삽입공(166)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된다. 따라서 단자삽입공(166)에 끼워지는 다수의 소켓단자(198)는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가 결합함과 동시에 숫커넥터(12)의 핀단자(196)에 접속되게 된다.
암커넥터(1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커넥터(12)의 수용공간부(121)에 바람직하게 수용되어 소켓단자(198)가 수용공간부(121)의 후방에 설치되는 격벽(122)의 단자(196)와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제2제3가이드홈(162a, 162b, 162c)을 구비한다.
제1가이드홈(162a)은 암커넥터(16)의 상부에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홈으로서, 암커넥터(16)가 숫커넥터(12)의 수용공간에 수용시에 상기한 숫커넥터(12)의 제1가이드부(121a)가 그 공간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한다.
제2가이드홈(162b)은 상기한 제1가이홈(162a) 사이에서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이다. 제2가이드홈(121a) 역시 암커넥터(16)가 숫커넥터(12)의 수용공간에 수용시에 숫커넥터(16)의 제2가이드부(121b)가 그 공간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한다.
마지막으로 제3가이드홈(162c)은 암커넥터(16)의 하부에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으로서, 제3가이드홈(162c) 역시 숫커넥터(16)의 제3가이드부(121c)가 그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그 결합을 안내한다.
따라서,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의 결합시에 숫커넥터(12)에 형성된 제1,제2,제3가이드부(121a, 121b, 121c)가 암커넥터(16)에 형성된 제1,제2,제3가이드홈(162a, 162b, 162c)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면서 핀단자(196)와 소켓단자(198)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암커넥터(16)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제2가이드홈(162b)의 후방에는 상기한 록킹부재(18)가 설치되는 록킹부재결합부(164)가 형성된다.
록킹부재결합부(164)는 제2가이드홈(162b)의 후방에 형성되어 록킹부재(18)와 결합됨으로써,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의 1차결합 후 래치(14)가 회동하였을시 록킹부재(18)와 함께 래치(14)를 고정시켜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가 서로 록킹되는 2차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록킹부재결합부(1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홈(162b)의 후방에 설치되는데, 이는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의 결합시에는 래치(14)의 중간부(14a)가 제2가이드홈(162b)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록킹부재결합부(164)는 상부로 일정높이, 바람직하게는 록킹부재(18)가 암커넥터(16)에 설치되었을 경우 록킹부재(18)의 록킹단(181)이 래치(14)의 록킹홈(141)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된다. 한편, 록킹부재결합부(164)의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록킹부재결합홈(164a)이 형성된다.
록킹부재결합부(164)의 상부에는 록킹부재(18)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도록 암커넥터(18)의 결합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된 결합돌기(168)가 형성된다.
록킹부재결합부(164)는 하부 즉, 록킹부재결합홈(164a)을 형성하는 양측부분에는 상기한 록킹부재(18)의 제1결합핀(182)이 걸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관통된 제1걸림공(164b)가 형성된다.
또한, 록킹부재결합부(164)의 양측엔 록킹부재(18)의 결합을 안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록킹부재(18)가 록킹부재결합부(1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록킹부재고정벽(167)이 구비된다.
록킹부고정벽(16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18)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록킹부재결합부(164)의 양측부에서 상향으로 록킹부재(18)의 높이 정도로 돌출된다. 한편, 록킹부재고정벽(167)은 록킹부고정벽(167)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167a)가 형성되어 외측으로 절곡성형된 록킹부재(18)의 제2걸림핀(183)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암커넥터(16)의 하부에는 단자고정부재(164)가 설치된다.
단자고정부재(164)는 단자고정부재(194)가 암커넥터(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자고정부재(194)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단자고정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단자고정부재(194)는 소켓단자(198)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삽입공(194a)이 형성된다. 따라서, 단자고정부재(194)를 단자고정부재홈의 일정 부분까지 삽입한 다음, 소켓단자(198)를 암커넥터(16)의 단자삽입공(166)과 단자고정부재(194)의 단자삽입공(194a)을 통해 삽입한 후, 단자고정부재(194)를 단자고정부재홈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소켓단자(19)를 단자삽입공(166) 내부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암커넥터(16)의 측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안내돌기(161)가 설치된다.
결합안내돌기(161)는 암커넥터(16)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그 단부가 기타 부분에 비해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61c)가 형성된다. 또한,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에는 결합확인홈(161b)이 형성되고, 암커넥터(16)의 결합안내돌기(161)의 후방에는 결합안내돌기(161)가 슬릿(124)에 위치되면서 암커넥터(16)가 상하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는 요동방지돌기(161a)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안내돌기(161)는 암커넥터(16)가 수용공간부(12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한 슬릿(124)을 통해 이동한다. 그 결과 결합안내돌기(161)가 래치(14)의 래치가이드공(145)에 위치하게 되면서 결합확인홈(161b)에는 결합확인돌기(145a)가 삽입되어 암커넥터(16)가 숫커넥터(12)와 바람직하게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숫커넥터(12)에 설치된 래치(14)를 회전시키면, 래치가이드공(145)을따라 결합안내돌기(161)가 이동하게 되고, 이탈방지부(161c)는 암커넥터(16)가 숫커넥터(12)의 수용공간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록킹부재(18)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커넥터(12)와 암커넥터(16)가 완전한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록킹단(181), 제1결합핀(182), 제2결합핀(183), 압력부(184), 및 결합홈(185)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결합홈(185)은 록킹부(18)의 하부에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록킹부재결합부(164)의 결합돌기(168)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결합핀(182)은 록킹부재(18)의 하단 중심부분에 하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고 그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성형된다. 이는 상기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록킹부재결합부(164)의 제1걸림공(164b)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결합핀(183)은 제1결합핀(182)의 양측부에서 하향으로 한 쌍이 돌출되고 그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성형된다. 이는 상기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167a)에 제2결합핀(182)이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러서, 록킹부재(18)의 결합홈(185)이 록킹부재결합부(164)의 결합돌기(168)에 끼워지면서 제1결합핀(182)과 제2결합핀(183)이 제1걸림돌기(164a)와 제2걸림돌기(167a)에 걸려 록킹부재(18)가 록킹부재결합부(164)에 결합하게 된다.
록킹단(181)은 래치(14)의 록킹홈(141)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록킹부(18)의 양측부에서 암커넥터(16)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된다.
압력부(184)는 록킹단(181)의 반대측에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록킹부재(18)를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록킹부재(18)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결합핀(182)과 제2결합핀(183)에 의해 암커넥터(16)에 고정되면서, 록킹단(181)이 상기한 래치(14)의 록킹홈(141)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기 때문에, 래치(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래치(14)를 고정시킴으로서, 외력에 의해 래치(14)가 회동하게 되어 암커넥터(16)와 숫커넥터(12)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그러한 분리에 의해 각 단자(196, 198)의 전기적 접속도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내 다수의 핀단자와 소켓단자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일체로 삽입하여 이를 결합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접속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해당 단자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소켓단자(198)가 삽입되는 하우징(162)을 구비하는 암커넥터(16), 일측에 핀단자(196)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암커넥터(16)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암커넥터(16)를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21)가 형성된 하우징(12a)을 구비하여 상기 암커넥터(16)를 상기 수용공간부(121)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단자(198)와 핀단자(19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숫커넥터(12), 및 상기 암커넥터(16)가 상기 수용공간부(161)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암커넥터(16)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암커넥터(16)를 상기 수용공간부(161)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198)는 상기 암커넥터(16)의 하우징(162)에 일체로 삽입되고, 상기 핀단자(196)는 상기 수커넥터(12)의 하우징(12a)에 일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2003-0010039U 2003-04-02 2003-04-02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318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39U KR200318477Y1 (ko) 2003-04-02 2003-04-02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PCT/US2004/009316 WO2004093258A1 (en) 2003-04-02 2004-03-26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means
CNB2004800128194A CN100511859C (zh) 2003-04-02 2004-03-26 具有改进的锁定装置的杠杆式电连接器组件
EP04758992A EP1614196B1 (en) 2003-04-02 2004-03-26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means
DE602004006617T DE602004006617T2 (de) 2003-04-02 2004-03-26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und mit verbesserten verriegelungsmittel
JP2006509349A JP4191763B2 (ja) 2003-04-02 2004-03-26 レバー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39U KR200318477Y1 (ko) 2003-04-02 2003-04-02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477Y1 true KR200318477Y1 (ko) 2003-06-27

Family

ID=3678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039U KR200318477Y1 (ko) 2003-04-02 2003-04-02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18477Y1 (ko)
CN (1) CN1005118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8592A (ko) 2023-01-27 2024-08-05 주식회사 은전 차량용 커넥터 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7048B2 (ja) * 2006-08-07 2012-01-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70160A (ja) * 2008-01-11 2009-07-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8717770B2 (en) 2011-04-28 2014-05-06 Finisar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s for pluggable electronic devices
CN105846242B (zh) * 2016-05-20 2018-01-23 苏州思科赛德电子科技有限公司 手柄式高压连接器
DE102017003296B3 (de) * 2017-04-04 2018-05-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DE102020201331B4 (de) * 2019-08-23 2024-07-0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Baugruppe
JP7218268B2 (ja) * 2019-10-04 2023-0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規制部材及び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8592A (ko) 2023-01-27 2024-08-05 주식회사 은전 차량용 커넥터 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1859C (zh) 2009-07-08
CN1788394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342B2 (ja) ターミナル位置保証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67601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94073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445016B2 (ja) 交換可能な電源プラグユニットを有するプラグイン電源
KR100501561B1 (ko) 전기 터미널용 카울 커넥터
JP2018139209A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4456142B2 (ja) リテーナ付きモールドケース
CN102640363B (zh) 具有第一和第二插头和配合插头的插头插座连接器装置
WO2008127518A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728093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7098222A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07534257B (zh) 接头连接器
WO2016208368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594199B1 (ko) 전기 커넥터
KR200318477Y1 (ko) 다중핀을 일체로 결합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100748573B1 (ko) 커넥터
JP2010165624A (ja) 1対の誤嵌合防止キー及び該キー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4095346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KR200318478Y1 (ko) 이중 록킹구조를 갖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CN100530845C (zh) 触发系统的接插件和短路组件
TW200406957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18476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 가이드구조
ES2350602T3 (es) Conjunto de conector eléctrico.
KR100543773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318480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록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71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