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5932Y1 - 가스레인지용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932Y1
KR200315932Y1 KR20-2003-0006296U KR20030006296U KR200315932Y1 KR 200315932 Y1 KR200315932 Y1 KR 200315932Y1 KR 20030006296 U KR20030006296 U KR 20030006296U KR 200315932 Y1 KR200315932 Y1 KR 200315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ame
burner
burner body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철
Original Assignee
철인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인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철인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6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932Y1/ko
Priority to TW092206084U priority patent/TW59570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9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가스이동로(11)가 내부에 형성된 버너몸체(10)의 일측으로는 혼합가스를 상기 가스이동로(11)로 공급하는 혼합관(12)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된 혼합가스를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배출시키기 위한 염공(14)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중앙부에 화염분출공(16a)이 형성된 버너헤드캡(16)이 상기 염공(14) 및 가스이동로(11)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화염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 염공(14)에 의해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균일하게 배출되므로써,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집중 가열하게 되어 열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열 전달을 통하여 음식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설치될 경우에도 화염을 배출하는 염공(14)이 버너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므로써, 바람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화염이 쉽게 꺼지지 않게 되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의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버너{A Burner for a Gas Range}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이 버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방사됨과 동시에 나선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고화력을 통한 열효율의 향상 및 열 전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스레인지는 연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것으로 음식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가스레인지의 내부에는 연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혼합관을 통해 공기와 혼합시킨 후 이를 고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버너몸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몸체의 상부에는 혼합가스로 전환된 가스가 점화작치에 의해 연소될 경우 이를 균일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외주연에 다수의 염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버너헤드가 안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는 버너헤드캡을 통하여 밀폐시키고 있어 화염이 염공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원의 내부에 압축된 가스는 연료공급원의 개방에 의해 고속으로 배출되면서 버너몸체로 공급됨과 동시에 공기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로 전환되게 된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는 연료공급원의 노즐 끝에 있는 분출구멍으로부터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관 내에서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전환된 혼합가스는 연료공급원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버너몸체로 공급된 후 염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점화가 작동될 경우에는 연소되게 된다.
따라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열하게 되는 화염이 버너몸체의 상부에 안착된 버너헤드의 염공을 통하여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면서 음식용기의 저면을 가열하게 되어 이 음식용기에 담겨진 음식물들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스레인지용 버너는 버너헤드에 의해 사방으로 배출되는 화염을 통하여 음식용기의 저면을 가열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고는 있었으나, 이러한 화염을 배출시키는 염공이 버너헤드의 외주연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음식용기의 가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버너헤드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이 상기 버너헤드의 외주연에 형성된 염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퍼지는 형태로 방사되기 때문에,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보다는 상대적으로 외측부분만이 가열되게 되어 열 전달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버너헤드의 상면에 보조염공을 형성하여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는 단순히 버너헤드의 외주연에 형성된 염공을 보조하는 역할에 국한되어 있어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열 전달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염공 및 보조염공 등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 완전 연소되지 않을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으며,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수분 및 음식물 등이 끓어 넘치게 될 경우에는 화염이 쉽게 꺼질 수 있어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열효율 향상에 의한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이 버너헤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나선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열효율의 향상 및 열 전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열 전달을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스레인지용 버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가스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공급된 연소가스가 염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스레인지를 통한 음식용기의 가열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너몸체 11 - 가스이동로
12 - 혼합관 14 - 염공
16 - 버너헤드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가스이동로가 내부에형성된 버너몸체의 일측으로는 혼합가스를 상기 가스이동로로 공급하는 혼합관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스이동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를 버너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배출시키기 위한 염공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중앙부에 화염분출공이 형성된 버너헤드캡이 상기 염공 및 가스이동로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연료공급원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가 혼합관에 공급될 경우 이 가스는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가스로 전환되게 되고, 이 전환된 혼합가스는 연료공급원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버너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이동로로 공급되게 되며,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너몸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결합되는 버너헤드캡에 의해 차단되게 되어 외부로 개방된 염공을 통해서 배출되게 된다.
결국,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 염공에 의해 혼합가스는 버너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균일하게 배출되게 되어 점화작동이 이루어질 경우 연소되어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스레인지용 버너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염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이 버너헤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나선의 형태를 갖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내부에 가스이동로가 형성된 버너몸체의 일측으로는 연료공급원에서 배출된 가스를 외부의 공기와 혼합시킨 후 상기 가스이동로로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된 혼합관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스이동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를 내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염공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기 염공의 상부에는 중앙부에 화염분출공이 형성된 버너헤드캡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공급된 연소가스가 염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가스이동로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된 혼합가스가 버너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염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이 설치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이 설치된 가스레인지의 구성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스레인지를 통한 음식용기의 가열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을 통한 음식용기의 가열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가스이동로(11)가 내부에 형성된 버너몸체(10)의 일측으로는 연료공급원(20)에서 배출된 가스를 외부의 공기와 혼합시킨 후 상기 버너몸체(10)로 공급하기 위한 혼합관(12)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혼합관(12)의 내부에는 버너몸체(10)에 형성된 가스이동로(11)와 연결된 가스혼합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혼합부(12a)의 입구에는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조절장치(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스이동로(11)로부터 공급된 혼합가스를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염공(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이러한 버너몸체(10)를 가스레인지(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부(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염공(14)은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나선의 형태를 갖고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염공(14)이 상부에 형성된 버너몸체(10)의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추가적으로 흡입하여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15)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는, 혼합관(12)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외에 추가로 외부의 2차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염공(14)을 통하여 화염이 배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을 통하여 버너몸체(10)의 저면에 위치되는 2차공기를 버너몸체(10)의 중앙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공급부(10a)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흡입될 경우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그 화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너몸체(10)의 상부에는 가스이동로(11)와 염공(14)의 상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된 화염을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화염배출공(16a)이 형성된 버너헤드캡(16)이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너헤드캡(16)에 형성된 화염배출공(16a)은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이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이 상기 화염배출공(16a)에 간섭될 경우 화염의 화력이 저하되어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가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가스레인지용 버너(2)에 연료공급원(2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연료공급원(20)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혼합관(12)을 통과하면서 혼합가스로 전환되게 되고, 이 전환된 혼합가스는 연료공급원(20)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버너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되게 된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는 연료공급원(10)으로부터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스혼합부(12a) 내에서 공기와 혼합되게 되고, 이 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는 상기 가스혼합부(12a)를 거쳐 버너몸체(10)에 형성된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연료공급원(20)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 과정에서 버너몸체(10)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결합되는 버너헤드캡(16)에 의해 차단되게 되어 외부로 개방된 염공(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결국,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 염공(14)에 의해 혼합가스는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균일하게 배출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가스레인지용 버너(2)의 실시 예를 도 4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이, 휴대용 가스레인지(1)에 설치하여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고안이 설치되는 가스레인지의 내부에는 연료공급원(20)의 내부에 압축된 가스를 본 고안에 전달하기 위한 가버너(3)가 가스공급호스(2a)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스레인지(1)를 구성하는 케이싱(4)의 내부에는 본 고안인 가스레인지용 버너(2)가 수용되는 설치공간부(5)와 가버너(3)가 설치되는 수납공간부(6)가 연료공급원(20)을 상기 가버너(3)에 결합시키기 위한 각종 링크(미도시)가 설치된 격판(7)에 의해 구분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4)의 외부에는 가버너(3)를 개, 폐시키기 위한 노브(8) 및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9)가 설치된다.
이 외에도 가스레인지(1)의 외부에는 연료공급원(20)이 내부에 설치될 경우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격벽(7)에 설치되는 각종 링크와 연결된 락킹부재(21) 및 케이싱(4)의 상부를 덮는 뚜껑체(4a) 등이 음식용기의 저면을 지지하는 삼발이(4b)가 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락킹부재(21)를 통하여 연료공급원(20)이 가버너(3)에 결합된 후 노브(8)를 이용한 상기 가버너(3)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연료공급원(20)의 내부에 압축된 액화가스는 가버너(3)와 가스공급호스(2a)를 지나 혼합관(12)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혼합관(12)에 형성된 가스혼합부(12a) 내에서 혼합가스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이 혼합된 가스는 연료공급원(20)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가스이동로(11)를 통과한 가스는 염공(14)이 형성된 버너몸체(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던 가스는 가스이동로(11) 및 염공(14)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버너몸체(10)에 결합된 버너헤드캡(16)에 의해 차단되게 되어 외부로 개방된 염공(14)의 측면을 통해서만 배출되게 되며, 배출되는 과정에서 점화플러그(9)를 통한 점화가 작동될 경우에는 점화되어 연소되게 된다.
결국, 혼합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열하게 되는 화염이 염공(14)을 통하여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균일하게 배출된 후 화염분출공(16a)을 통과하여 삼발이(4b)의 상면에 안착된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을 균일하게 가열하게 되므로써, 이 음식용기에 담겨진 음식물들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효율 및 열 전달성이 향상된 가스레인지용 버너(2)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나타내어 설명하고는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가정 및 사업장의 주방 등에서 사용하게 되는 고정식 가스레인지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화염이 버너몸체에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 염공에 의해 버너의 내측방향에서 외측 상부로 나선형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므로써,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집중 가열하게 되어 열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용기의 효율적인 열 전달을 통하여 음식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설치될 경우에도 화염을 배출하는 염공이 버너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므로써, 바람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화염이 쉽게 꺼지지 않게 되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의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가스이동로(11)가 내부에 형성된 버너몸체(10)의 일측으로는 혼합가스를 상기 가스이동로(11)로 공급하는 혼합관(12)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스이동로(11)로 공급된 혼합가스를 버너몸체(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나선의 형태를 갖고 배출시키기 위한 염공(14)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중앙부에 화염분출공(16a)이 형성된 버너헤드캡(16)이 상기 염공(14) 및 가스이동로(11)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몸체(10)의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추가로 흡입하여 염공(14)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10a)가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KR20-2003-0006296U 2003-03-04 2003-03-04 가스레인지용 버너 Ceased KR200315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296U KR200315932Y1 (ko) 2003-03-04 2003-03-04 가스레인지용 버너
TW092206084U TW595702U (en) 2003-03-04 2003-04-17 Burner for gas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296U KR200315932Y1 (ko) 2003-03-04 2003-03-04 가스레인지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932Y1 true KR200315932Y1 (ko) 2003-06-12

Family

ID=3407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296U Ceased KR200315932Y1 (ko) 2003-03-04 2003-03-04 가스레인지용 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15932Y1 (ko)
TW (1) TW5957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45B1 (ko) 2006-01-20 200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복사 버너
KR101480123B1 (ko) 2013-01-24 2015-01-06 정무성 가스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2111B2 (ja) * 2018-12-11 2022-09-06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並びにガスコン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545B1 (ko) 2006-01-20 2007-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복사 버너
KR101480123B1 (ko) 2013-01-24 2015-01-06 정무성 가스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5702U (en)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423B2 (en) Jet type gas cooker
US20030194671A1 (en) Recreational cyclonic burner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KR101231948B1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KR101918730B1 (ko) 화덕 겸용 난로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264260Y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JP2000193211A (ja) コンロ用バ―ナ
JP2000205566A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バ―ナ―構造
CN209960486U (zh) 炉头及蒸煮饭桶
JP3581981B2 (ja) カセットコンロ装置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20070053916A (ko) 실드 더블 버너
KR10076357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렌지
KR101863742B1 (ko) 가스레인지의 에너지 절약 장치
JP3601989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イグナイター支持構造
KR20020079257A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200297778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KR101232006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2770180B1 (ko) 휴대용 가스 버너
CN215016044U (zh) 燃气式中式火锅装置
JP2005207668A (ja) ガスコンロ
KR200259757Y1 (ko) 가스버너용 조리대
KR200452565Y1 (ko)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3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