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5668Y1 -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 Google Patents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68Y1
KR200315668Y1 KR20-2003-0007729U KR20030007729U KR200315668Y1 KR 200315668 Y1 KR200315668 Y1 KR 200315668Y1 KR 20030007729 U KR20030007729 U KR 20030007729U KR 200315668 Y1 KR200315668 Y1 KR 200315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ing
head
movement
shap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철
Original Assignee
한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철 filed Critical 한규철
Priority to KR20-2003-0007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부착 및 탈착 가능하며 체위성 현훈의 진단과 치료시 머리의 위치를 지시하는 링형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신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대적 각도와 수평도를 측정하되, 신체 표면에 대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투명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표식(13, 14)이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이런 본체(10)의 배면에 고정되어 본체(10)를 신체 표면에서 탈착 및 부착되게 하는 접착 수단(18)과, 본체(10)의 내부에서 링형 터널(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이동 표시구(11)를 포함하며, 이동 표시구(11)가 신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이동하고 정지할 때 분할 표식(13, 14)을 지시한다.

Description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RING TYPE INDICATOR FOR HEAD POSTURE}
본 고안은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환자가 머리의 위치를 바꿀 때, 누워 있는 상태에서 돌아누울 때,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훈 발생시에 머리의 위치 각도를 지시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후 반고리관형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의 진단과 치료시에는 135도 현수두위 자세방법이 사용되고, 'Epley씨 방법'에서의 180도 두위 변환법이 사용되며, 측 반고리관형의 체위성 현훈에서 30도 하강시킬 때 등과 같이, 두부의 위치와 각도를 2차원 평면에 표시할 수만 있다면, 치료자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인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Benign paroxymal positional vertigo)의 진단과 치료에서 두위를 정확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수평면보다 45도 일측 하방으로 두부를 이동할 때, 회전성 안진이 나타난다면 후반고리관의 체위성 현훈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아울러 치료에서도 진단과 동일한 자세를 취한 후에 180도 반대방향으로 두부의 위치를 전환시킨 후에 다시 30도 가량 두부를 더 돌려 안면부가 바닥을 향하게 한 후에 일어나 앉게 함으로써 치료가 된다.
또한 측 반고리관은 해부학적으로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 30도 거상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진단과 치료에서 이러한 각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체위성 현훈으로 나타나는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는 두부의 각도를 정확히 측정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경험적으로 이러한 각도를 대강 맞추어 왔다.
또한, 이비인후과 등의 진료기관에서는 어지럼증의 유형에 따라 진단을 위한 평가와 처치가 다르기 때문에 의사가 어지럼증의 정확한 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성 체위성 현훈의 경우, 머리의 위치를 바꿀 때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중추성 원인 중 뇌간 허혈 및 경색일 때 시야 장애와 구음 장애가 수반될 수 있으며, 소뇌교각부 종양(CP angle tumor)의 경우에도 평형이상이나 불균형의 증상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렇게 복잡한 환자의 증상에 대해서 의사는 하기와 같은 다양한 진찰과 검사를 통해서 정확한 증상과 원인을 규명하는 실정이다.
즉, 일반적 진찰에서는 심혈관계(특히 기립성 저혈압 환자)에 대한 검사를 주로 하거나, 신경과적 진찰에서는 정확한 병력 및 운동계, 감각계, 반사와 소뇌 기능에 중점을 두며, 신경이과적 진찰(neuro-otologic examination)에서는 소리굽쇠, 이경검사, 전정기능 검사, 냉온검사(caloric test)를 수행하거나 체위성 현훈의 가능성이 있을 때에 체위변환 위치교정술(hallpike maneuver)을 시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체위성 현훈의 진단시 머리의 위치를 판단할 때, 환자의 머리 위치, 각도 등을 적당히 의사의 시술적 경험에 의존함으로써, 정확한 체위성 현운 발생 시점에 대응한 머리의 위치(수평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거나 기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체위성 현훈의 진찰, 검사 및 치료에 있어서, 머리의 기준 위치에서 변경 위치 사이의 각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특징적인 안진을 관찰하는 간단한 검사로 쉽게 진단을 내리는 경우가 많으며, 현훈이 나타나는 머리 위치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목운동 재활요법(물리 치료)을 무리하게 시행하여, 진찰이나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훈, 현기증,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피험자의 신체 부위, 안구 주위 등에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링형 구조로 형성되어서, 안진을 육안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각도를 측정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어지럼증 클리닉에서 체위성 현훈 등과 같은 신경이과적 진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부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이동 표시구
12 : 링형 터널 13, 14 : 분할 표식
18 : 접착 수단 19 : 삽입고정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신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대적 각도와 수평도를 측정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있어서, 신체 표면에 대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투명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표식이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이런 본체의 배면에 고정되어 본체를 신체 표면에서 탈착 및 부착되게 하는 접착 수단과, 본체의 내부에서 링형 터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이동 표시구를 포함하며, 이동 표시구가 신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이동하고 정지할 때 분할 표식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의해 달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부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람의 신체중 머리 부위에 탈부착되는 링 형상의 본체(10)가 제공된다.
피험자(1)(환자)의 목뼈 중에서 머리 부위가 움직일 때 중심이 되는 소정 목뼈의 위치를 머리 기준 위치라 하고, 이 머리 기준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 중에서 지면과 수직한 직선을 기준으로 머리 부위가 전, 후, 좌, 우로 꺾일 때의 위치를 머리 변환 위치라 한다.
즉, 머리 변환 위치의 피험자(1')가 체위성 현훈을 느끼고, 이를 시험자(의사)에게 표현한 경우, 의사는 본체(10)의 이동 표시구(11)가 가리키는 본체(10)의 분할 표식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머리 변경 위치에 해당하는 각도 또는 수평도를 측정한다. 부연 설명하면, 머리 위치 측정이란 의미는 머리 기준 위치와 머리 변환 위치의 상대적 사이각을 측정하거나, 머리 이동시의 상대적 수평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본체(10)는 복수개로 사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체(10)가 도 1에서와 같이 안구 주변에 부착되는 경우, 피험자(1, 1')의 머리를 좌, 우로 움직일 때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의 얼굴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머리를 전, 후로 움직일 때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런 본체(10)는 투명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체(10)의 크기는 건장한 성인 피험자 모델의 안구 주변에 부착될 때 피험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을 정도의 내경과, 튜브형 단면 형상에 대응한 소정 크기의 링형 터널이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예컨대, 본체(10)의 규격은 내경 4.5㎝, 외경 5㎝, 두께 0.5㎝, 링형 터널 내부의 직경은 본체(10)의 표피 두께에 대응하게 정해진다.
이동 표시구(11)는 본체(10)의 내부에서 링형 터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동 표시구(11)는 쇠구슬 등과 같은 원구이며, 쉬운 육안 확인을 위해서 적색, 형광색, 금속색 색상을 갖는다. 이동 표시구(11)는 적어도 본체(10)가 각도 5°~ 10°정도로 약간 기울어졌을 때, 이에 반응하여 움직일 수 있는 민감도를 발휘할 수 있는 질량, 크기, 표면 마찰계수를 갖는다. 이를 만족하는 이동 표시구(11)는 본체(10)의 링형 터널 내부의 직경보다 0.5㎜ 정도 작은 통상의 쇠구슬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작시에는 상기 본체(10)의 규격을 참조할 때, 길이 약 15㎝의 일자형 투명 튜브의 내부에 상기 쇠구슬을 삽입한다.
이후, 튜브를 링 형상으로 형성한 후, 삽입고정구(19)를 튜브의 양 끝단에 삽십시켜 본체(10)로 하여금 링 형상을 유지시킨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본체(10)의 양 끝단이 만나는 위치와 본체(10) 내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이 본체(10)의 최 하단에 만나는 지점을 기준점이라 하고, 이런 기준점에서의 각도는 0°이다.
기준점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본체(10)의 표면에는 각도 22.5°의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표식(13, 14)이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분할 표식(13, 14)은 이동 표시구(11)와 대조되는 색상과 질감의 돌출 라인 또는 함몰 라인으로서, 본체(10)의 정면에 배열되어 있다. 분할 표식(13, 14)의 주위에는 경우에 따라 각도에 상응하는 숫자 표시가 병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 표식(13, 14)의 사이에는 더욱 정밀한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브 분할 표식(도시 안됨)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신체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배면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수단(18)이 고정되어 있다.
본체(10)에 고정된 접착 수단(18)은 접착방지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어서,본체(10)로 하여금 평상시 어떠한 표면에도 부착되지 않게 하고, 사용자(시험자, 의사)가 접착방지 커버를 떼어낼 경우, 피험자의 신체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게 된다.
피험자의 신체 표면에 부착된 본체(10)의 내부에서 이동 표시구(11)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 각도에 대응하여서, 링형 터널(12)에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이 정지될 때 중력 방향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정지한다.
결국, 정지한 이동 표시구(11)가 가리키는 분할 표식(13, 14) 또는 병기된 숫자를 통해서 시험자는 머리 변경 위치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체(10)는 링 형상이면서 안구 주변에 탈부착될 수 있는 등의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의사로 하여금 환자의 안구 운동, 즉 안진을 진찰하면서, 즉각적으로 머리 부위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험자가 본체(10)를 피험자의 신체 표면에 부착시킬 때, 기준점 0°를 고집하여 조절할 필요 없이, 임의로 기준점을 잡아 그의 상대각 또는 수평도만을 측정할 수 있어서 사용이 용이하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각도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수은과 같은 반액체 상태의 물질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20)의 내부에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민감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수은 등과 같은 반액체 상태의 이동 표시구(11)가 결합되어 있다.
반 액체 상태의 이동 표시구(11)는 쇠구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식별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특히, 본체(20)는 서로 마주보는 양 끝단(29)을 초음파 접합에 의해서 완전 기밀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어서 사용상 매우 안전하다. 초음파 접합에 의한 경우 분자 결합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의 결합은 본체(20)의 재질과 같이 완전 결합 상태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 표시구(11)는 만일에 대비한 파손에 의해서도 의료 기구로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수평기, 수준기 등에서 사용되는 표시 물질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동 표시구(11)의 표시 물질에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며, 본체(20) 형상 구조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특징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고가의 골격의 경사각 측정장치 내지 전정기능 전자 진단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체위성 현훈에 대응하는 신체 위치 변경에 대한 각도와 수평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안구 주변에 직접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구 운동과 머리 위치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제작 단가가 매우 저렴하고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복수개로 머리에 부착되어 사용됨으로써, 머리의 전, 후, 좌, 우 위치 변경에 따른 각도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단순한 형상적 구성으로 체위성 현훈의 진단시 머리의 위치를 수치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며, 안구 주위뿐만 아니라 신체 모든 곳에 탈부착되어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어지럼증 클리닉의 진찰과 검사에 응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는 의사 및 환자간에 차이를 없앰으로써,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고, 치료의 표준화를 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신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대적 각도와 수평도를 측정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신체 표면에 대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투명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표식(13, 14)이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0)를 상기 신체 표면에서 탈착 및 부착되게 하는 접착 수단(18)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링형 터널(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이동 표시구(11)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표시구(11)가 상기 신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이동하고 정지할 때 상기 분할 표식(13, 14)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표시구(11)는 쇠구슬과 같은 원구이며, 쉬운 육안 확인을 위해서 적색, 형광색, 금속색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표시구(11)는 반액체 상태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KR20-2003-0007729U 2003-03-14 2003-03-14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729U KR200315668Y1 (ko) 2003-03-14 2003-03-14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729U KR200315668Y1 (ko) 2003-03-14 2003-03-14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68Y1 true KR200315668Y1 (ko) 2003-06-09

Family

ID=4933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7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668Y1 (ko) 2003-03-14 2003-03-14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89991B1 (ko) 정맥이나 기관의 압력 및/또는 탄성을 측정하고 초음파측정부와 결합되는 압력측정기, 압력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48622B (zh) 力和旋转感测装置及方法
KR101324868B1 (ko) 표면 근전도 검사 및 운동 범위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793418B2 (en) Sensor belt and positioning aid for electro-impedance tomography imaging in neonates
US20060251334A1 (en) Balance functio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20120245482A1 (en) Anesthesi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0847137B1 (ko)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ES2871950T3 (es) Aparato de detección de movimiento de objetos dentro de la región abdominal y/o pélvica
KR20150066563A (ko) 수면 상태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 장치
TWI531355B (zh) 量測裝置以及與量測系統
JP2710223B2 (ja) 重心動揺計
US2022036180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mpedance-based non-invasive intracranial monitoring
US9332904B2 (en) Quantifying ocular counter roll
ES2664330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rminación in vivo de la humedad del ojo
KR200315668Y1 (ko) 링형 머리 위치 측정기
EP40690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ble placement of ecg chest electrodes
US8915868B1 (e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osture of a patent
CN109431516B (zh) 一种颈椎活动度测量设备及颈椎活动度测量方法
CN213283050U (zh) 一种风湿类疾病检查用肌骨超声装置
CN100336486C (zh) 眼震图、耳末梢血流信号同步检测分析仪
Grim et 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Kutilek et al. Methods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eye, head and shoulders position in neurological practice
CN215019884U (zh) 一种支具压力检测和调节装置以及矫形支具
CN105078403B (zh) 一种测量眼球活动幅度和瞳孔直径的多功能尺及测量方法
CN219229873U (zh) 一种颞颌关节层面定位测量装置及扫描成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3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