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998Y1 - 바닥타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바닥타일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7998Y1 KR200307998Y1 KR20-2002-0039018U KR20020039018U KR200307998Y1 KR 200307998 Y1 KR200307998 Y1 KR 200307998Y1 KR 20020039018 U KR20020039018 U KR 20020039018U KR 200307998 Y1 KR200307998 Y1 KR 2003079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tile
- adhesive
- floor
- til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수명이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15)과, 이 베이스판(15)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된 타일부재(25)와, 상기 베이스판(15)에 구비되며 상기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어 이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수평 설치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5)와 베이스판(15)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35)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관통된 접착제 주입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체 주입공(45)의 둘레벽에는 다수개의 접착체 유출공(50)이 연통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유출공(50)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된 접착제(5)에 의해 상기 고정구(35)가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수명이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실이나 불가마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부착설치되며 그 저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타일부재와,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 상기 타일부재의 결합공에 고정 결합되어 이 타일부재를 베이스판의 상면에 고정하는 스크류 등의 금속재 고정구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판에 타일부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스크류를 일일이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사우나실이나 불가마실 또는 욕실 등에서 많이 발생되는 습기나 물기에 의해 상기 금속재의 고정구가 부식되거나 녹이 슬면서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상기 타일부재가 베이스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적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금속재의 고정구에 톱이나 기타 절단도구가 걸리게 되어 제대로 절단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수명이 연장되도록 이루어진 바닥타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닥타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베이스판 25. 타일부재
35. 고정구 45. 접착제 주입공
50. 접착제 유출공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15)과, 이 베이스판(15)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된 타일부재(25)와, 상기 베이스판(15)에 구비되며 상기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어 이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수평 설치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5)와 베이스판(15)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35)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관통된 접착제 주입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체 주입공(45)의 둘레벽에는 다수개의 접착체 유출공(50)이 연통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유출공(50)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된 접착제(5)에 의해 상기 고정구(35)가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닥타일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대략 사각형의 베이스판(15)과, 이 베이스판(15)의 상면에 부착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된 타일부재(25)와, 상기 베이스판(15)의 관통공과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끼워져 이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5)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상기 고정구(35)와 베이스판(15)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타일부재(25)는 원목이나 강화목으로 이루어진 길다란 판으로서, 경우에 따라 석재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35)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5)에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15)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그 상부가 베이스판(15)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35)의 상부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고정구(35)의 중앙에는 상하단부로 관통되는 접착제 주입공(45)이 형성되고, 이 접착제 주입공(45)의 둘레벽에는 주입된 접착제(5)가 고정구(35)의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접착제 유출공(5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구(35)의 상부를 타일부재(25)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28)에 삽입한 다음, 상기 접착제 주입공(45)의 하측에서 고정구(35)의 내부로 접착제(5)를 주입하면, 상기 접착제 유출공(50)을 통하여 접착제(5)가 외부로 누출되면서 응고되어, 상기 고정구(35)를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시키므로, 상기 베이스판(15)의 상면에 상기 타일부재(25)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스크류와 같은 금속재의 고정구(35)를 일일이 체결하여 상기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하였던 종래와 달리, 상기 베이스판(15)에 일체화된 고정구(35)의 상부를 상기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구(35)의 중앙에 형성된 접착제 주입공(45)을 통하여 접착제(5)를 주입하기만 하면, 상기 고정구(35)가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면서 이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므로, 작업 매우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구(35)가 합성수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5)과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사우나실이나 욕실 등에서 많이 발생되는 습기나 물기에 의해 상기 고정구(35)가 부식되거나 녹이 스는 경우가 없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타일부재(25)가 고정구(35)의 부식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5)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적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정구(35)가 톱이나 기타 절단도구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절단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바닥타일 어셈블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타일부재가 베이스판의 상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우나실이나 불가마실 또는 욕실 등에서 많이 발생되는 습기나 물기에 의해 상기 고정구가 쉽게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타일부재가 베이스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없으며, 상기 고정구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톱이나 기타 절단도구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절단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 베이스판(15)과, 이 베이스판(15)의 상면에 부착 설치되며 그 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된 타일부재(25)와, 상기 베이스판(15)에 구비되며 상기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어 이 타일부재(25)를 베이스판(15)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수평 설치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5)와 베이스판(15)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35)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관통된 접착제 주입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체 주입공 둘레의 벽면에는 주입되는 접착제(5)가 외부로 누출되도록 다수개의 접착제 유출공(50)가 연통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 유출공(50)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된 접착제(5)에 의해 상기 고정구(35)가 타일부재(25)의 결합공(28)에 고정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타일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9018U KR200307998Y1 (ko) | 2002-12-30 | 2002-12-30 | 바닥타일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9018U KR200307998Y1 (ko) | 2002-12-30 | 2002-12-30 | 바닥타일 어셈블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6923A Division KR20040061141A (ko) | 2002-12-30 | 2002-12-30 | 바닥타일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7998Y1 true KR200307998Y1 (ko) | 2003-03-17 |
Family
ID=4933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90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7998Y1 (ko) | 2002-12-30 | 2002-12-30 | 바닥타일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7998Y1 (ko) |
-
2002
- 2002-12-30 KR KR20-2002-0039018U patent/KR200307998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5563B2 (en) | Mounting ring for water closet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US566426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built-in-sink | |
KR200307998Y1 (ko) | 바닥타일 어셈블리 | |
KR20040061141A (ko) | 바닥타일 어셈블리 | |
US8572910B2 (en) | Cap-on-cap mounting block | |
US20050039254A1 (en) | Sink clip | |
KR200362318Y1 (ko) | 주방 싱크대의 싱크볼 고정구조 | |
KR200290213Y1 (ko) |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 |
KR200436104Y1 (ko) |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 |
KR200351243Y1 (ko) |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 |
KR200166387Y1 (ko) |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 |
KR19990014922U (ko) | 케이블브래킷 | |
KR20040052727A (ko) | 건축물의 천정판 설치용 인써트 | |
KR200271765Y1 (ko) | 유로폼 고정용 플레이트 타이 | |
KR200451184Y1 (ko) | 파이프 장착구 | |
KR970005529Y1 (ko) | 단열재 고정클립 | |
KR200362210Y1 (ko) | 창호틀 보강재 | |
KR200352435Y1 (ko) | 거푸집 매립형 세파타이 | |
KR200164461Y1 (ko) | 계단용 손잡이구조 | |
KR200400013Y1 (ko) | 흙손 손잡이 고정구조 | |
JPH084256A (ja) | 床板の取付構造 | |
KR200290214Y1 (ko) |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 |
KR200343882Y1 (ko) | 발코니용 난간고정구의 보강 장치 | |
KR20050036090A (ko) | 조립식 물탱크용 패널조립볼트 | |
KR200275170Y1 (ko) | 커텐레일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0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3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23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