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51243Y1 -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43Y1
KR200351243Y1 KR20-2004-0002903U KR20040002903U KR200351243Y1 KR 200351243 Y1 KR200351243 Y1 KR 200351243Y1 KR 20040002903 U KR20040002903 U KR 20040002903U KR 200351243 Y1 KR200351243 Y1 KR 200351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bead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행
Original Assignee
이철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행 filed Critical 이철행
Priority to KR20-2004-0002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4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단열보드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비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 및 지지하기 위한 "ㄴ"자형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판과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 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앵커볼트와 체결나사에 의해 건물 외벽과 비드 및 단열보드와의 삽입.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는 건물 외벽에 포함된 철근이나 다른 이물질 등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의 위치변동을 최소화하여 일정 간격 및 수평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는 브라켓트의 설치가 용이하여 고정.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Bracket for fixing bead}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단열보드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비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 및 지지하기 위한 "ㄴ"자형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고정판과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 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앵커볼트와 체결나사에 의해 건물 외벽과 비드 및 단열보드와의 삽입.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켓트는 다양한 종류의 고정물 또는 피고정물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분산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설치상태의 보존기간을 장기화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2003-60743호에 따른 종래의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일체로 된 "ㄴ"자형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중심에는 각각 하나의 장공(112)(122)이 통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브라켓트(100)를 다수개 구비하여 건물 외벽(W)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그 고정방법은 먼저, 앵커볼트(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건물 외벽(W)에 고정공(W')을 천공시킨 다음 상기 고정판(110)에 형성된 장공(112)을 상기 고정공(W')과 일치되게 한 이후 앵커볼트(B)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10)이 건물 외벽(W)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일정 간격의 거리는 하기되는 규격화 된 단열보드(140)의 폭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하나의 단열보드(140)를 건물 외벽(W)에 부착한 후에 그 표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150) 및 마감재(160) 등의 과중한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 및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건물 외벽(W)에 견고하게 고정된 브라켓트(100)의 지지판(120) 상에는소정 길이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제 1 및 제 2플레이트(132)(134)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비드(130)가 올려지게 되고, 그 상부에 단열보드(140)를 거치한 다음 상기 지지판(120)에 형성된 장공(122)을 통해 체결나사(102)로 체결하여 상기 비드(130) 및 단열보드(140)를 상기 브라켓트(100)의 지지판(120)에 동시에 견고하게 체결.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드(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브라켓트(100)는 앵커볼트(B) 및 체결나사(106)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장공 (112)(122)이 각각 하나씩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제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 첫번째는 건물 외벽(W)에 다수의 브라켓트(100)를 고정시킬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트(100)를 반드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건물 외벽(W)에 일정 간격의 고정공(W')을 우선하여 천공시켜야 하는데 상기 고정공(W')이 천공되는 건물 외벽(W)의 위치에 철근이나 다른 이물질 등이 존재하게 되면 천공시키기가 매우 곤란하여 상기 고정공(W')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브라켓트(100)가 고정되는 위치도 변경되게 되므로 상기 비드(130)에 다수의 단열보드(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시공된 벽체의 조기파손이 우려되었다.
두번째는 상기 브라켓트(100)의 고정판(120) 상에 형성된 장공(122)을 통해 비드(130) 및 다수의 단열보드(140)를 체결할 경우, 상기 단열보드(140)의 일측이 서로 면접되는 부분이 공교롭게 상기 장공(122)과 일치하여 이 장공(122)을 통해체결되는 체결나사(102)의 결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상기 비드(130) 및 단열보드 (1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없으므로 시공상 하자가 많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보수비용을 가중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해 본 고안은 브라켓트를 이루는 고정판과 지지판 상에 형성된 각각의 장공 주변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켜 설치 작업의 편리성과 용이성 및 상기 브라켓트와 비드 및 단열보드의 결착력을 향상시켜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켓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트 10 : 고정판
12 : 삽입공 20 : 지지판
22 : 체결공 112, 122 : 장공
130 : 비드 132, 134 : 제 1, 제 2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에 각각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지지판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상에 형성된 장공의 주변에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된 장공의 주변에 다수의 체결공을 일체로 통공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판(10)과 지지판(20)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질의 브라켓트(1)를 사출성형하되, 상기 고정판(10) 상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앵커볼트(B)의 삽입이 용이한 직경을 갖도록 다수의 삽입공(12)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비드(130) 및 단열보드(140)가 올려지는 수평의 지지판(20) 상에는 체결수단인 체결나사(106)가 용이하게 삽입.체결될 수 있게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체결공(22)을 일체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 수평의 고정판(10) 및 지지판(20) 상에 다수의 삽입공(12) 및 체결공(22)이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1)를 건물 외벽(W)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개의 브라켓트(1)를 일정 간격으로 수평을 이루며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건물 외벽(W)에 다수의 고정공(W')을 천공시키되, 상기 고정공(W')을 천공시키는 위치의 건물 외벽(W)에 철근 또는 다른 이물질등에 의해 천공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고정판(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2) 중 원활한 천공이 이루어지는 삽입공(12)의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공(W)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브라켓트(1)의 위치변동이 없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브라켓트(1)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소정의 길이로 사출성형된 비드(130)의 제 1플레이트(132) 상에는 선택된 상기 삽입공(12)과 일치되는 위치에 앵커볼트(B)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드릴(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결합공(132')을 형성한 다음 건물 외벽(W)에 형성된 고정공(W')과 고정판(10)의 삽입공(12) 및 비드(130)의 결합공(132')을 일치되게 위치시켜 앵커볼트(B)로 긴밀하게 고정하면 상기 브라켓트(1)의 지지판(20) 상에 수평상태의 비드(130)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1)의 지지판(20) 상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비드(130)의 제 2플레이트(134)에는 규격화 된 다수의 단열보드(140)가 연속되게 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된 체결공(22)을 통해 드릴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 2플레이트(134)에 결합공(13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된 체결공(22)의 하부로부터 체결나사(102)를 삽입.체결하여 브라켓트(1)의 지지판 (20)과 비드(130)의 제 2플레이트(134') 상에 상기 단열보드(140)를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보드(140)를 비드(130)의 제 2플레이트(134) 상에 체결나사(102)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단열보드(140)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된 체결공(22)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체결공(22)을 제외한 다른 체결공(22)을 선택하여 제 2플레이트(134) 상에 결합공 (134')을 형성한 다음 체결나사(102)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트(1)의 지지판(20)과 비드(130)의 제 2플레이트(134) 및 단열보드(140)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므로서 건물 외벽에 포함된 철근이나 다른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브라켓트의 위치변동을 최소화하여 일정 간격 및 수평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는 브라켓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므로서 고정.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 각각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지지판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상에 형성된 장공의 주변에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된 장공의 주변에 다수의 체결공을 일체로 통공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KR20-2004-0002903U 2004-02-06 2004-02-06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351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03U KR200351243Y1 (ko) 2004-02-06 2004-02-06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03U KR200351243Y1 (ko) 2004-02-06 2004-02-06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43Y1 true KR200351243Y1 (ko) 2004-06-01

Family

ID=4934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9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1243Y1 (ko) 2004-02-06 2004-02-06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19B1 (ko) 2012-01-25 2012-11-09 이원우 고정철물을 이용한 건물 외벽 스치로폼 고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19B1 (ko) 2012-01-25 2012-11-09 이원우 고정철물을 이용한 건물 외벽 스치로폼 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7535B1 (en) Height-adjustable concrete mold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11306475B2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EP0874943B1 (en) Bar system
KR200351243Y1 (ko)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100583675B1 (ko) 경량철골 천정마감재 설치용 구조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8002577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할구조의 조립식 거푸집
KR200415531Y1 (ko) 쇼핏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쇼핏거푸집 설치구조
JP2009007751A (ja) 人が乗れる天井パネル吊り構造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KR200291278Y1 (ko) 시스템박스의 상판지지부재
JP2008014052A (ja) Alcパネルの取付構造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380138Y1 (ko) 복합패널 조립체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KR20150021631A (ko) 건축물 바닥 중공 시공용 일체형 경량 블록
KR200173800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행거구조
KR20043214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할구조의 조립식 거푸집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200339870Y1 (ko) 천정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2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