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4655Y1 - 마네킹 - Google Patents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55Y1
KR200304655Y1 KR20-2002-0033419U KR20020033419U KR200304655Y1 KR 200304655 Y1 KR200304655 Y1 KR 200304655Y1 KR 20020033419 U KR20020033419 U KR 20020033419U KR 200304655 Y1 KR200304655 Y1 KR 200304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roove
binding
curved coupling
sphe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실
Original Assignee
최정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실 filed Critical 최정실
Priority to KR20-2002-0033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마네킹의 관절부를 곡면접촉 관절부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팔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하여서 의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마네킹의 관절부를 곡면 접촉부로 구성하되, 상기 곡면 접촉부는 요입된 곡면결합홈(10)과, 상기 곡면결합홈(10)에 끼워 결합되며 구형으로 형성된 곡면결합구(20)와, 상기 곡면결합홈(10)과 곡면결합구(20)가 상호 결속되어서 곡면접촉되게 하는 결속구(3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절부를 곡면접촉되게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어 의상의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네킹{A manikin}
본 고안은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네킹의 관절부를 곡면접촉 관절부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팔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하여서 의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네킹은 의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팔과 다리의 관절부위는 핀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힌지 결합구성으로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각도로 조절하여서 의상을 디스플에이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네킹은 그 관절의 회동각도가 일방향으로 한정되고 각도의 고정성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관절부를 곡면 접촉부로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곡면결합홈
11 : 각형홈 12 : 결속돌기
20 : 곡면결합구
21 : 절개홈 22 : 힌지핀
30 : 결속구
31 : 미끄럼접촉부 32 : 홈 결속바
33 : 결속고리 34 : 결속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마네킹을 사용함에 있어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마네킹의 관절부를 곡면 접촉부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곡면 접촉부는 요입된 곡면결합홈(10)과, 상기 곡면결합홈(10)에 끼워 결합되며 구형으로 형성된 곡면결합구(20)와, 상기 곡면결합홈(10)과 곡면결합구(20)가 상호 결속되어서 곡면접촉되게 하는 결속구(30)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결속구(30)는 내면이 곡면결합구(20)와 미끄럼 접촉되고 외면이 곡면결합홈(10)과 미끄럼접촉되는 컵형상의 미끄럼접촉부(31)와, 상기 곡면결합홈(10)의 중앙에 관통형성한 각형홈(11)에 끼워 결합되는 홈 결속바(32)와, 상기 홈 결속바(32)의 중앙을 관통하여 곡면결합구(20)의 중앙절개홈(21)에 구비된 힌지핀(22)에 걸려지며 후단이 너트 결속되는 결속고리(33)와, 상기 홈 결속바(32)가 이탈되지 않게 각형홈(11)의 내벽에 돌출형성한 결속돌기(12)에 걸려 구속되는 결속편(34)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서, 관절부의 곡면 접촉부를 요입된 곡면결합홈(10)과, 상기 곡면결합홈(10)에 끼워 결합되며 구형으로 형성된 곡면결합구(20)와, 상기 곡면결합홈(10)과 곡면결합구(20)가 상호 결속되어서 곡면접촉되게 하는 결속구(30)로 구성한 본 고안은 후선 결속구(30)의 결속고리(33)를 곡면결속구(30)의 힌지핀(22)에 끼워 결속한 후 후단부를 홈 결속바(32)를 관통시켜서 후단에 너트체결하여 결속시킨다.
그리고, 상기 홈 결속바(32)를 곡면결합홈(10)에 끼워 결합하므로서 홈 결속바(32)의 후단에 돌출형성한 결속편(34)이 결속돌기(12)에 걸려져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중앙절개홈(21)을 따라 회동시키고 홈결속구(30)측으로 전체적으로 좌후 회동시키므로서 다양한 각도록 관절부를 회동시켜 의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절부를 곡면접촉되게 구성하므로서,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어 의상의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마네킹의 관절부를 곡면 접촉부로 구성하되,
    상기 곡면 접촉부는 요입된 곡면결합홈(10)과, 상기 곡면결합홈(10)에 끼워 결합되며 구형으로 형성된 곡면결합구(20)와, 상기 곡면결합홈(10)과 곡면결합구(20)가 상호 결속되어서 곡면접촉되게 하는 결속구(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30)는 내면이 곡면결합구(20)와 미끄럼 접촉되고 외면이 곡면결합홈(10)과 미끄럼접촉되는 컵형상의 미끄럼접촉부(31)와, 상기 곡면결합홈(10)의 중앙에 관통형성한 각형홈(11)에 끼워 결합되는 홈 결속바(32)와, 상기 홈 결속바(32)의 중앙을 관통하여 곡면결합구(20)의 중앙절개홈(21)에 구비된 힌지핀(22)에 걸려지며 후단이 너트 결속되는 결속고리(33)와, 상기 홈 결속바(32)가 이탈되지 않게 각형홈(11)의 내벽에 돌출형성한 결속돌기(12)에 걸려 구속되는 결속편(3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KR20-2002-0033419U 2002-11-08 2002-11-08 마네킹 Expired - Fee Related KR200304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19U KR200304655Y1 (ko) 2002-11-08 2002-11-08 마네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19U KR200304655Y1 (ko) 2002-11-08 2002-11-08 마네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55Y1 true KR200304655Y1 (ko) 2003-02-15

Family

ID=4940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41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4655Y1 (ko) 2002-11-08 2002-11-08 마네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5A (ko) * 2014-09-24 2016-04-01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KR20160092689A (ko) * 2015-01-28 2016-08-05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5A (ko) * 2014-09-24 2016-04-01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KR101712393B1 (ko) 2014-09-24 2017-03-06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KR20160092689A (ko) * 2015-01-28 2016-08-05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KR101651846B1 (ko) 2015-01-28 2016-08-29 권대학 마네킹용 관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233A (en) Articulated limb toy figure
US8834225B2 (en) Creature construction toy
US4274224A (en) Toy figure having movable limb members
US3628282A (en) Articulated fashion doll
US20050112993A1 (en) Doll with angled and jointed torso
JP4235230B2 (ja) 形態変形玩具用脚部材
JP2017170113A (ja) 人形玩具の手首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304655Y1 (ko) 마네킹
JPH0513258Y2 (ko)
JPS6141590B2 (ko)
US4135327A (en) Doll construction with pivotable torso members
JP2002122129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6156Y2 (ja) 人形の腹部関節構造
CN217851673U (zh) 一种360度旋转转动饰品
KR101712393B1 (ko) 마네킹용 관절구
JP2017169832A (ja) 人形玩具の手首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WO2019052106A1 (zh) 折叠玩具
JP3136907U (ja) 多段調整可能な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の枢軸
CN211511117U (zh) 升降桌的手摇柄
CN207505272U (zh) 具备支架的保护壳
KR200329645Y1 (ko) 마네킹 어깨관절
KR102620241B1 (ko)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KR200284325Y1 (ko) 스탠드형절첩식거울
KR200168997Y1 (ko) 마네킹용 관절구
KR101651846B1 (ko) 마네킹용 관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