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0241B1 -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 Google Patents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41B1
KR102620241B1 KR1020200162400A KR20200162400A KR102620241B1 KR 102620241 B1 KR102620241 B1 KR 102620241B1 KR 1020200162400 A KR1020200162400 A KR 1020200162400A KR 20200162400 A KR20200162400 A KR 20200162400A KR 102620241 B1 KR102620241 B1 KR 10262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insertion groove
joint
horizontal
cylindr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188A (ko
Inventor
김태훈
나지연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0016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넣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관절형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A set of articulated joints that can provide movement to a jointless doll}
본 발명은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넣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관절형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완구는 거의 대부분이 정형화된 형태로 완제품으로 시중에 유통되어 있다.
종래의 인형완구들은 완제품인 관계로 외형상 특이하거나 예쁜 형상의 차이만이 있을 뿐,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이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없는 종류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형의 각 관절부위에 설치한 경첩식 조인트는 축에 링을 끼워서 연결하는 축이음식 구성이고 팔,다리 등의 관절부위에 축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으로만 회동되는 한정된 작용을 하므로 인형의 팔, 다리, 허리 등을 인체처럼 각 방향으로 유연하게 회동시킬 수 없어 어린이들이 인형놀이를 할 때 인형의 포즈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팔, 다리 등을 회동이 불가능한 다른 방향으로 억지로 회동시켜 파손시키는 일이 있다.
또한, 단순히 캠과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다리의 구부림 각도만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고 인체의 다리처럼 사방으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없다.
한편, 구체 관절 인형의 경우, 구체 관절은 반구 형상의 소켓 부재에 볼 형상의 볼 부재가 단순히 끼워지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여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켓 부재와 볼 부재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소켓 부재의 소켓에서 볼 부재는 하방향으로 쳐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무관절로 판매되는 피규어, 아트토이 경우, 관절형으로 변형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형상 구현이 불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이외에 놀이용으로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관절로 판매되는 피규어, 아트토이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곳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위에 맞는 조인트를 부착해 인체와 비슷한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관절 조인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용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25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규어, 아트토이와 같은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 형상의 반구형삽입홈(110);
상기 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을 포함하는 암형반구조인트(100)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형부(210);
상기 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220);을 포함하는 수형구조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피규어, 아트토이와 같은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인체와 비슷한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의 암형반구조인트(100)와 수형구조인트(200)가 결합된 예시도이며, 도 4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의 암형기역자조인트(300)와 수형수직봉조인트(400)가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중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900)와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1000)를 무관절 인형에 결합시킨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에 구성된 조인트들이 결합될 경우 정면도이며, 도 9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측 및 하측에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에 구성된 조인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 형상의 반구형삽입홈(110);
상기 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을 포함하는 암형반구조인트(100)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형부(210);
상기 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220);을 포함하는 수형구조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각의 자석(2000)들의 자력에 의해 조인트와 조인트를 서로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본체부(310);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중앙구멍부(320);
상기 중앙구멍부의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기 위한 자석삽입홈(330);을 포함하는 암형기역자조인트(300)와,
수직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고 있는 자석삽입홈(4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면 일측에 수평봉(420)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구멍부(320)에 삽입될 경우에 수평봉에 의해 삽입 길이를 제한시키는 수형수직봉조인트(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수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원통형부(510);
상기 수평원통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5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520);을 포함하는 수형수평원통조인트(500)와,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610);
상기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6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620);을 포함하는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장구형부(710);
상기 수평장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7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720);을 포함하는 수형수평장구조인트(700)와,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810);
상기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8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820);을 포함하는 암형수평장구조인트(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일측이 개방된 경사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반구 형상의 경사반구형삽입홈(910);
상기 경사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920);을 포함하는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900)와,
구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경사진 단턱부(11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턱구형부(1100);
상기 경사단턱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0)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0);을 포함하는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크게, 조인트들을 일정 간격으로 위치시킨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관절형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절형 조인트 세트는, 암형반구조인트(100)와, 수형구조인트(200)와, 암형기역자조인트(300)와, 수형수직봉조인트(400)와, 수형수평원통조인트(500)와,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600)와, 수형수평장구조인트(700)와, 암형수평장구조인트(800)와,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900)와,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100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조인트는 암형조인트와 수형조인트를 1쌍으로 하여 구성되게 되는데, 각각의 조인트들에는 자석을 가지고 있어 자력에 의하여 조인트와 조인트 사이를 결착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게 되면 목 1, 팔꿈치 2, 어깨 2개, 엉덩이 2개, 무릎 2개, 손목 2개를 한 세트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관절로 나오는 피규어, 아트토이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곳을 절단하고 절단한 부위에 맞는 조인트를 부착해 사용하면 인체와 비슷한 움직임을 재현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이 되는 암형반구조인트(1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 형상의 반구형삽입홈(110);
상기 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반구 형상의 반구형삽입홈(110)을 형성하고 있으며, 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1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자석삽입형수직봉(120)에는 자석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형구조인트(200)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형부(21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2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석삽입형수직봉(220)에는 자석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암형반구조인트(100)에 수형구조인트(200)를 결합시키게 되면 하나의 관절이 완성되게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형기역자조인트(300)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본체부(310);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중앙구멍부(320);
상기 중앙구멍부의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기 위한 자석삽입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본체부(310)의 중앙 부근에 중앙구멍부(320)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고, 중앙구멍부의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기 위한 자석삽입홈(33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형수직봉조인트(400)는,
수직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고 있는 자석삽입홈(4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면 일측에 수평봉(420)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구멍부(320)에 삽입될 경우에 수평봉에 의해 삽입 길이를 제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기역자조인트(300)의 중앙구멍부(320)에 수형수직봉조인트(400)를 삽입하게 되면, 수평봉에 의해 삽입 길이를 제한시키게 된다.
따라서, 암형기역자조인트(300)에 수형수직봉조인트(400)를 결합시키게 되면 하나의 관절이 완성되게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사용 방법의 경우, 기본적으로 타공과 절단이 가능한 재질의 인형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인트를 사용할 부분을 반으로 자른 후, 조인트에 형성된 봉이 삽입될 부위에 타공한 후, 각각 조인트들을 끼워 넣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형수평원통조인트(500)는,
수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원통형부(510);
상기 수평원통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5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5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수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원통형부(510)를 구성하고, 수평원통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삽입형수직봉(5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형수직봉(520)의 상측에는 자석삽입홈(521)이 형성되고 여기에 자석(2000)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6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610);
상기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6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6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610)을 구성하고,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62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자석삽입형수직봉(620)의 상측에는 자석삽입홈(621)이 형성되고 여기에 자석(2000)을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600)에 수형수평원통조인트(500)를 결합시키게 되면 하나의 관절이 완성되게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형수평장구조인트(700)는,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장구형부(710);
상기 수평장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7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7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장구형부(710)를 구성하고, 수평장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72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자석삽입형수직봉(720)의 상측에는 자석삽입홈(721)을 형성하고, 여기에 자석(2000)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암형수평장구조인트(800)는,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810);
상기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8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8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수평하게 장구형으로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81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820)을 형성시키고, 자석삽입형수직봉(820)의 상측에 자석삽입홈(821)이 형성하고, 여기에 자석(2000)을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형수평장구조인트(800)에 수형수평장구조인트(700)를 결합시키게 되면 하나의 관절이 완성되게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900)는,
일측이 개방된 경사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반구 형상의 경사반구형삽입홈(910);
상기 경사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9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920);을 포함하게 된다.
즉, 일측이 개방된 경사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반구 형상의 경사반구형삽입홈(910)을 형성하고 있으며, 경사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9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자석삽입형수직봉(920)의 상측에 자석삽입홈(921)이 형성되고, 여기에 자석(2000)을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1000)는,
구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경사진 단턱부(11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턱구형부(1100);
상기 경사단턱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0)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0);을 포함하게 된다.
즉, 구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경사진 단턱부(11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턱구형부(1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경사단턱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자석삽입형수직봉(1200)을 형성시키게 되고, 자석삽입형수직봉(1200)의 상측에는 자석삽입홈(1210)이 형성되어 여기에 자석(2000)을 삽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900)에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1000)를 결합시키게 되면 하나의 관절이 완성되게 되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여 결합을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피규어, 아트토이와 같은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인체와 비슷한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암형반구조인트
200 : 수형구조인트
300 : 암형기역자조인트
400 : 수형수직봉조인트
500 : 수형수평원통조인트
600 :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
700 : 수형수평장구조인트
800 : 암형수평장구조인트
900 : 암형경사각반구조인트
1000 : 수형경사단턱구조인트

Claims (3)

  1.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 형상의 반구형삽입홈(110);
    상기 반구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120);을 포함하는 암형반구조인트(100)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형부(210);
    상기 구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220);을 포함하는 수형구조인트(200)와,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본체부(310);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중앙구멍부(320);
    상기 중앙구멍부의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기 위한 자석삽입홈(330);을 포함하는 암형기역자조인트(300)와,
    수직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일측에 자석(2000)을 삽입하고 있는 자석삽입홈(4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면 일측에 수평봉(420)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구멍부(320)에 삽입될 경우에 수평봉에 의해 삽입 길이를 제한시키는 수형수직봉조인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자석(2000)들의 자력에 의해 조인트와 조인트를 서로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수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원통형부(510);
    상기 수평원통형부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5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520);을 포함하는 수형수평원통조인트(500)와,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수평 반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반원통형삽입홈(610);
    상기 수평반원통형삽입홈의 상측에 연이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삽입홈(621)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삽입홈에 자석(2000)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삽입형수직봉(620);을 포함하는 암형수평반원통조인트(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KR1020200162400A 2020-11-27 2020-11-27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Active KR10262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00A KR102620241B1 (ko) 2020-11-27 2020-11-27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00A KR102620241B1 (ko) 2020-11-27 2020-11-27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88A KR20220074188A (ko) 2022-06-03
KR102620241B1 true KR102620241B1 (ko) 2024-01-03

Family

ID=8198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400A Active KR102620241B1 (ko) 2020-11-27 2020-11-27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1475A1 (en) 1995-12-11 1997-06-19 Primordial, L.L.C. Construction system
KR101916321B1 (ko) 2017-11-23 2018-11-08 김태엽 조립식 완구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30B1 (ko) 2008-04-25 2010-11-05 이재공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101700390B1 (ko) * 2014-12-30 2017-01-26 이경미 놀이교구
KR200487562Y1 (ko) * 2016-12-28 2018-10-08 최창수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KR20200030247A (ko) * 2018-09-12 2020-03-2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석을 구비한 조인트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1475A1 (en) 1995-12-11 1997-06-19 Primordial, L.L.C. Construction system
KR101916321B1 (ko) 2017-11-23 2018-11-08 김태엽 조립식 완구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88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70C (zh) 玩偶或木偶的活动关节结构
US6482063B1 (en) Articulating blocks toy
JP3341213B2 (ja) 人形玩具
US6692332B2 (en) Toy figure having plurality of body parts joined by ball and socket joints
KR101339585B1 (ko) 구체 관절 인형
US3628282A (en) Articulated fashion doll
US1746839A (en) Toy builders
US6494763B1 (en) Life-like doll
US4103451A (en) Doll with neck detachably secured between opposed baby means portions
US6817921B2 (en) Action figure
US20120094572A1 (en) Toy Construction System Having a Rotatable Connector/Spinner Device
US9227145B2 (en) Planar-part-based toy assembly set
CN101405063A (zh) 人偶玩具
US3234689A (en) Doll construction for natural movements and positions
US3952449A (en) Articulated figure toy
US3425155A (en) Doll construction for natural move ments and positions
KR102620241B1 (ko)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2015033563A (ja) 人形用磁力挟み込み式関節および該関節を備えた人形
CN214019174U (zh) 关节可动的人体娃娃
KR200438669Y1 (ko)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KR20200030247A (ko) 자석을 구비한 조인트 구조체
US1348216A (en) Jointed doll
CN116271870A (zh) 关节积木组件及玩具
US1289385A (en) Ball-and-socket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