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93286A -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 Google Patents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286A
KR20030093286A KR10-2003-7012603A KR20037012603A KR20030093286A KR 20030093286 A KR20030093286 A KR 20030093286A KR 20037012603 A KR20037012603 A KR 20037012603A KR 20030093286 A KR20030093286 A KR 20030093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on
press
longitudinal
pressing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베르너 쇼엘링
Original Assignee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790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9328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9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2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2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2037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grooves or ribs, having a main axis in the radi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65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2013/15715Shaping or making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단부(32), 회수단부(34), 회수테이프(35) 및 종축선을 갖는 여성 위생용 탐폰에 관한 것이다. 탐폰(30)은 외부면을 갖는 압축된 섬유재료로 제조된다. 탐폰(30)의 외부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 종방향 리브(40)를 한정하는 나선형의 압축된 종방향 홈들(42)을 구비한다. 탐폰(30)은 양호하게 종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압축된다. 탐폰은 그 횡단면에 걸쳐 실제로 균일한 밀도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고도로 압축된 섬유재료의 코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코어로부터 종방향 리브들이 방사상 외부로 연장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탐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탐폰이 착용된 후에, 탐폰이 신체 유체를 흡수하는 시간을 연장하고, 탐폰의 표면을 확장하여, 특히 섬유 코어의 영역에서 탐폰의 삽입후 신체 유체의 신속한 흡수에 유용한 섬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누설 위험의 상당한 감소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Tampon having spirally shaped grooves}
탐폰과, 이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한 기술 상태는 루타일러(Leutwyler)씨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911,712호, 제5,813,102호 및 5,832,576호에 공개되어 있다. 탐폰은 삽입단부, 회수테이프가 달린 회수단부, 그 단부들 사이로 연장하는 중앙부를 가진다. 탐폰은 압축된 대체로 원통형 중실 섬유질 코어를 가지며, 이 코어로부터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종방향 리브들이 방사상 외부로 연장한다. 각각의 리브는, 그러한 리브가 인접한 리브로부터 분리되어 압축된 섬유코어로부터 이격된 범위 보다 더 큰 범위로 압축된 섬유코어 부근의 인접한 리브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섬유코어는 탐폰의 회수단부의 영역에서보다 중앙영역에서 더 강하게 압축될 수 있다. 탐폰의 회수단부는 또한 둥근 돔을 갖는 삽입단부와 핑거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끝으로, 탐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투과성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러한 탐폰은 다음 단계들, 즉 원주면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탐폰 블랭브를 형성하기 위해 연속 섬유질 웨브의 길이를 감는 단계와; 상대적으로 압축된 코어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하는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종방향 리브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다수의 종방향 홈을 형성하기 위해 이격된 방법으로 배치된 탐폰 블랭크의 원주면의 좁은 스트립형 섹션들을 동시적 방사상 압축하고, 코어가 탐폰의 나머지 영역보다 회수단부의 영역에서 더 작은 정도로 압축되는 단계와; 리브들의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섬유질 구조가 보존되는 동안 부드러운 평탄한 원주면을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리브들의 외측단부들을 방사상 외부로 압축하는 단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탐폰 블랭크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액체 투과성 층을 제공하도록 액체 투과성 외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질 웨브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술 상태의 탐폰의 홈 및 리브의 형성은 프리스(Friese)씨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6,310,269호에 공개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밀집된 중앙코어 및 부드러운 외부면을 갖는 특히 손가락 탐폰(digital tampon)으로서 유용한 탐폰을 제공한다.
이 탐폰이 앞서 상업적인 탐폰에 비해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개선해야 할 영역이 남아 있다. 필요한 개선사항 중 하나는 탐폰의 표면 아래로 조기의 유체 누설의 가능성을 감소하기 위해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은 코일형 탐폰이 개선된 가요성을 가지도록(브렛트의 미국특허 제3,011,495호, 및 시르메르 등의 미국특허 제2,965,101호에 공지된 것), 그리고 조기에 제거되도록(시마타니의 미국특허 4,328,804호 및 스나이더의 미국특허 제4,351,339호에 공개된 것)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코일형 탐폰은 재료중 하나 이상의 로프(ropes)를 꼬아서 형성된다. 그러나, 가요성 및 제거 특성의 이러한 개선은 칼럼(column)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탐폰이 착용된 후에, 탐폰이 신체 유체를 흡수하는 시간을 연장하고, 탐폰의 표면을 확장하여, 특히 양호한 실시예로서 섬유 코어의 영역에서 탐폰의 삽입후 신체 유체의 신속한 흡수에 유용한 섬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누설 위험의 상당한 감소를 달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탐폰, 방법 및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된 나선형 홈들을 갖는 여성 위생용 탐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탐폰의 실시예의 도면 및 탐폰 제조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의 도면을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나선형 종방향 리브들 및 종방향 홈들을 갖는 탐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탐폰에서 나선형 홈의 원주방향 각도 α의 측정에 대한 후단부에서 취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에 의한 나선형 종방향 리브들 및 종방향 홈들을 갖는 탐폰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라인 Ⅱ-Ⅱ를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의한 탐폰 제조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선 Ⅳ-Ⅳ를 따라 프레스에서 압축된 섬유체 또는 프리폼을 취한 단면도.
도 7은 탐폰 블랭크에 의한 개방 상태와 프리폼에 의한 프레스 죠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프레스의 전방측 또는 입구측 도면.
도 8은 도 7에 의한 프레스의 폐쇄 상태의 도면.
도 9는 프레스 죠의 후방도면.
도 10은 도 9의 프레스 죠의 후방 및 측면 사시도.
도 11은 배치된 프리폼에 의한 압축 치수에서 프레스를 도시하며, 프레스의 원주면이 배럴형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는 중앙 종방향 단면도.
도 12는 도 11과 유사하지만 배치된 프리폼에 의해 간극 치수에서 프레스를 도시하며, 그 원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도면.
도 13은 압축 치수에서 분할된 프레스 죠을 갖는 프레스의 중앙 종방향 단면도.
도 14는 프리폼의 사출을 위해 프레스 죠의 간극 위치에 있는 도 13의 프레스의 도면.
도 15는 최종 성형공구의 입구측의 사시도.
도 16은 도 5의 세부 Ⅷ 을 확대한 크기의 탐폰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세부 Z를 확대한 도면.
본 발명은 삽입단부, 회수단부 및 종축선을 갖는 여성 위생용 탐폰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 탐폰은 외부면을 갖는 압축된 섬유재료로 제조된다. 탐폰의 외부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선형의 압축된 종방향 홈들을 구비한다. 탐폰은 종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양호하게 압축된다. 탐폰은 그 횡단면에 걸쳐 실제로 균일한 밀도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고도로 압축된 섬유재료의 코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코어로부터 종방향 리브들이 방사상 외부로 연장한다. 따라서, 종방향 리브들은 나선형의 압축된 종방향 홈들에 의해 한정된다.
더 긴 길이의 결과로서, 종방향 리브들의 나선형 디자인과 탐폰의 표면을 따라 리브들 사이로 연장하는 나선형 홈들에 의해 신체 유체가 덮이고, 나선형 종방향 홈에서 액체의 관련된 장시간의 지체시간의 결과, 탐폰의 흡수 및 팽창 능력이 상당히 양호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탐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얽혀있는 섬유재료의 탐폰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와; 탐폰의 흡수표면을 확장하기 위해 탐폰 블랭크를 압축하여 탐폰의 외부면에 나선형 종방향 홈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호하게, 탐폰 블랭크는 그 원주면의 좁은 라인에서 종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압축된다. 다시, 탐폰 블랭크는 탐폰의 횡단면에 걸쳐 실제로 균일한 밀도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수 있고, 또는 비교적 높은 압축도를 갖는 코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코어로부터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종방향 리브들이 방사상 외부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탐폰의 한 실시예는 탐포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프레스 축선(press axis)에 대하여 별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실제로 균등한 치수의 프레스 죠(jaw)들을 갖는 프레스를 가진다. 상기 죠들은 프레스 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의 공통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로 동기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죠들은 상호 대향한 종방향 측면에서 서로 지탱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스 죠는 단계식 압축면을 가지며, 프레스 죠들의 압축면들은 40 내지 70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 둥근 횡단면의 프레스 구멍을 양호하게 형성한다. 덧붙여, 각각의 압축면은 프레스 구멍을 향하여 지향된 프레싱 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의 특정한 측면 플랭크에만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에 프레스 축선에 대해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지향되는 프레싱 숄더를 가진다. 프레싱 숄더는 프레싱 블레이드의 자유 내측단부에서 프레싱 에지에 대하여 프레스 축선에 관한 외측에 대해 오프셋되고, 프레싱 숄더의 영역은 각각의 프레스 죠의 프레싱 블레이드의 프레싱 에지 보다 크다. 프레싱 블레이드 및 프레싱 숄더를 포함한 압축면은 나선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은 여성 위생용 탐폰(30)을 도시하며, 삽입단부(32), 회수단부(34), 종축선 L을 가지며 상기 단부들 사이에 놓여 있는 종방향 섹션(36), 및 회수 테이프(35)를 구비한다. 탐폰(30)은 양호하게 방사상 압축된 섬유재료로서 구성된다.
탐폰(30)의 외부면은 압축된 종방향 홈(42)들에 의해 한정된 종방향 리브(40)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한다. 종방향 리브(40)는 삽입단부(32)와 회수단부(34) 사이의 축방향에서 나선형 또는 헬리컬(helical) 모양으로 형성되고, 탐폰 외주의 적어도 약 80°에 걸쳐 연장한다. 그러나, 원주각 α는 탐폰의 치수에 따라, 적어도 150°의 범위에서, 양호하게는 탐폰(30)의 8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종방향 리브(40)의 개수는 예를 들어 탐폰의 직경 및/또는 흡수재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양호하게, 적어도 약 4개의 리브가 있고, 보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6개이다. 공지된 탐폰과 같이 본 발명이 짝수개의 리브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을 홀수개의 리브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탐폰들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고 있는 프리스의 미국특허 제6,310,269호 및 루타일러 등의 미국특허 제5,832,576호의 설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문헌에 공개된 장치 및 방법들은 본 발명의 탐폰을 형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또한, 압축된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은 네이프만 등의 미국특허 제2,798,260호, 및 월프 등의 미국특허 제3,422,496호의 설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한다. 다시, 이들 문헌에 공개된 장치 및 방ㅂ법들은 본 발명의 탐폰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원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히, 개개의 프레스 죠 및 부품들은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40)를 한정하는 나선형 종방향 홈(42)은 원주각 α를 각각 탐폰의 적어도 150°까지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탐폰(30)의 섬유재료가 횡단면에 걸쳐 실제로 균일한 밀도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홈(42)은 탐폰의 표면을 확장하며, 탐폰 주위로 누설이 발생하기 전에 산체 유체가 횡단하기 위한 긴 길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은 홈의 어떤 깊이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홈은 적어도 약 1 mm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양호하다. 도 3 및 4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홈은 약4 mm 이상, 양호하게 약 4 mm 내지 약 6 mm 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 리브들은 코어에 근접해 있는 인접한 리브로부터, 나선형 리브가 코어에서 이격된 인접한 리브로부터 분리되는 범위 보다 더 큰 범위로 분리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탐폰(30)은 고도의 압축도를 갖는 압축된 중앙의 중실 원통형 섬유코어(38)를 가지며, 이것은 탐폰(30)을 신체 공간내로 손가락으로 삽입하는 동안 탐폰(30)의 칼럼 강도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종방향 리브(40)는 상대적으로 압축되지 않으며, 특히 탐폰(30)의 원주면(46)에서 부드러운 섬유질 구조를 가진다. 종방향 리브(40)는 상기 중실 섬유코어(38)로부터 균등한 원주 각도 간격으로 방사상 외부로 연장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 종방향 리브(40)는 적어도 섬유코어(38)에 근접하여 대응하는 나선형 종방향 홈(42)에 으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탐폰의 원주면 및 그 섬유코어는 또한 원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실제로 원통형이 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종방향 홈(42)은 적어도 탐폰(30)의 원주면(46)에서, 탐폰(30)의 부드러운 폐쇄된 원주면(46)을 형성하기 위해 인접한 종방향 리브(40)의 측면 플랭크(44)들이 접촉할 때, 폐쇄된다. 이러한 탐폰(30)의 원주면(46)은 탐폰(30)을 신체 공간내로 더욱 부드럽게 따라서 기분좋게 삽입할 수 있게 하며 탐폰의 높은 흡수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인접한 종방향 리브(40)의 측면 플랭크(44)의 서로 접촉한 외측단부들이 종방향 홈(42)을 폐쇄한다는 사실 때문에, 종방향 홈(42)은 각각의 경우 8개의 폐쇄된 나선형 안내 덕트(50)(도 4)를 형성하고, 이 덕트들은 각각의 경우 삽입단부(32)와 회수단부(34)에서만 양호하게 개방된다(삽입단부(32)에서의 개방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내 덕트(50)는 각각 방울형 횡단면을 가지며, 이것은 섬유코어(38)에서 가장 크고, 인접한 종방향 리브(40)가 그 측면 플랭크(44)의 방사상 외측단부에 의해 서로 접해 있는 위치까지 방사상 외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탐폰(30)이 신체 공간내로 삽입된 직후, 탐폰(30)의 흡수능력 및 팽창 능력을 증가시키며 폐쇄된 안내 덕트(50)의 개방을 방사상 외부로 가속화하도록 코어의 섬유재료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나선형 안내 덕트(50)는 신체 유체를 섬유코어(38)로 운반한다. 따라서,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나선형 안내 덕트(50) 또는 종방향 홈(42)의 배치는 탐폰(30)의 표면을 확장시키며, 결과적으로 신체 유체를 위한 지체 시간 또는 흡수 시간의 연장을 가져오고, 이것이 섬유코어(38)의 흡수능력 및 팽창능력을 크게 개선시킨다. 동시에, 탐폰에서 사용되는 섬유재료의 중량 감소가 가능하며, 이는 탐폰(30)의 보다 경제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탐폰(30)의 회수단부(34)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핑거 리세스(48)를 구비하고. 이 핑거 리세스는 회수단부(34)를 팽창시키며 이어서 탐폰(30)을 삽입하여 탐폰(30)의 팽창을 가속화하도록 손가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또한 탐폰(30)의 삽입단부(32)는 둥근 돔(52)을 가지며, 이 돔의 외측 에지는 평탄하거나 챔퍼(chamfer)되어 있다. 대략 반구형 돔(52)이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나선형 종방향 홈(42)은 탐폰(30)의 최적 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탐폰(30)은 6 내지 17 mm 범위의 대략 원형 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형의 압축된 섬유코어(38)는 최대 5 mm 의 직경을 가진다. 탐폰(30)은 양호하게 공지되어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액체 투과성 외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이것의 실예는 프리스의 미국특허 제4,816,100호에 공개되어 있으며 본원에서 참고로 한다. 상기 외피는 예를 들어 얽혀 있는, 적어도 일부의 열가소성, 열 밀봉성 섬유 또는 다공성 플라스틱 필름(3차원 구멍난 필름과 같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부직포 덮개재료가 탐폰 외피에 사용될 때, 탐폰(30)의 원주면(46)은 평탄하게 되며, 이는 적절하면 열의 인가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그러한 외피는 삽입 안락감을 개선하며, 탐폰(30)을 신체 공간내로 삽입하거나 신체 공간에서 회수할 대 섬유들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끝으로, 탐폰(30)은 회수단부(34)의 영역에서 방사상으로 더욱 약하게 압축될 수 있으므로, 섬유재료가 약하게 압축되며, 탐폰(30)의 삽입전에 회수단부(34)에서 섬유재료의 팽창이 더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 따라, 탐폰의 원주면 및 섬유코어는 배럴 모양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배럴형 볼록 영역에서 탐폰의 횡단면 전체에 걸쳐 섬유재료의 관련된 작은 압축의 결과, 중실 섬유코어를 둘러싸는 나선형 종방향 리브의 형태로 된 섬유재료 뿐만 아니라 섬유코어의 상대적으로 크게 압축된 섬유재료가 신체 유체의 작용을 받을 때 더욱 신속하게 팽창할 수 있고 더구나 더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양호하게, 탐폰은 주로 섬유로 형성된다. 제한하지 않는 유용한 섬유는, 셀룰로식(cellulosic), 폴리에스터, 폴리비닐 알콜, 폴리올레핀,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이며, 이들은 멀티 림(multi-limb) 및 림이 없는 것을 포함하여 어떤 유용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한하지 않는 유용한 셀룰로식은, 무명, 목재 펄프, 황마, 대마, 스파그넘(sphagnum) 등과 같은 천연섬유와; 재생된 셀룰로스(레이욘을 포함),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카복실메틸 셀룰로스 등과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를 포함한 가공된 재료를 포함한다. 멀티 림의 재생된 셀룰로식 섬유들은 여러 해 동안 상업상 유용하였다. 상기 섬유들은 림 없는 섬유에 비하여 증가된 비흡수성(specific absorbency)을 소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섬유의 상업적 보기를 들면, 영국, 스폰돈의 아코르디스 리미티드(Acordis Ltd.)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Danufil®VY 멀티 림 비스코스 레이욘 섬유이다. 이 섬유들은 윌케스 등의 미국특허 제5,458,835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본원에서 참고로 한다.
탐폰은 양호하게 종래 섬유들 보다 더 딱딱하고 탄성이 큰 적어도 일정량의 섬유 예로서 25%를 함유한다. 그러한 탄성 섬유들은 Danufil®VY 섬유들을 포함하고, 결과적으로 탐폰(30)의 흡수능력을 증가시키는 상당히 증가된 메모리 효과를 가지며, 폴리에스터 섬유들을 포함한다.
탐폰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호한 장치는:
- 프레스 축선 x에 대해 별 모양으로 배치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공통 평면에서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 상호 대향한 종방향 측면들에서 서로 지지되는 균등한 치수의 프레스 죠들을 갖는 프레스;
- 각각의 프레스 죠에 있는 계단형 압축면을 구비하고;
- 상기 프레스 죠들의 압축면들은 40 내지 70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 둥근 횡단면의 프레스 구멍을 형성하고;
- 각각의 압축면은 프레스 구멍을 향하여 지향된 프레싱 블레이드와, 프레싱 블레이드의 특정 측면 플랭크에만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 프레스 축선 x에 대해 동일한 원주방향에서 지향되고, 프레싱 블레이드의 자유 내측 단부에서 프레싱 에지에 대하여 프레스 축선 x에 대해 외측으로 오프셋되는 프레싱 숄더를 가지며, 이 프레싱 숄더의 영역이 각각의 프레스 죠의 프레싱 블레이드 보다 크고, 각각의 프레스 죠에서 프레싱 블레이드 및 프레싱 숄더로 구성되는 각각의 경우의 압축면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탐폰(30)을 제조하는 장치(60)는 다른 것의 뒤에 동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소자들, 즉 공급-배출 장치(62), 폐쇄 또는 프레싱 위치에서 프리폼(84)을 압축하는 프레스 죠(66)를 갖는 별모양 프레스(64), 최종 성형공구(68) 및 순환 또는 회전 운반장치(70)로서 구성된다. 상기 운반장치(70)는 예를 들어 운반 슬리브(74)가 균등한 원주각 및 반경으로 고정되어 있는 리볼버(revolver:72)이다. 리볼버(72)는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운반 슬리브(74)가 장치(62)에 의해 최종 성형공구로부터 배출된 최종 탐폰(30)을 각각의 경우 수령하기 위해 최종 성형공구(68)의 배출 단부의 전방에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12에 의한 공급-배출 장치(62)는 공지되어 있고, 프레스(64)의 프레스 구멍(78)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는 공급 추진기(76)로서 구성된다. 공급 추진기(76)는 탐폰 블랭크(55)(도 7)가 양호하게 감긴 블랭크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면(80)을 가지며, 이 원형면에 의하여 탐폰 블랭크(55)는 개방된 프레스(64)내로 동축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형 이젝터(82)는 공급 추진기(76) 내부에 동축상으로 공급 추진기(76)에 대하여 전후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이젝터의 직경은 프레스 죠(66)의 상승 위치에서 프레스 구멍(78) 보다 작다. 이젝터(82)는 단일 작동으로서, 프레스(64)에서 압축된 하나의 프리폼(84)을 최종 성형공구(68)를 통해 리볼버(72)의 운반 슬리브(74) 중 하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 성형공구(68)에서, 프리폼(84)이 상술한 마무리 압축된 탐폰(30)의 최종 형상을 취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프리폼(84)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종방향 리브(40)의 횡단면은 프리폼(84)의 원주면(46)을 향해 방울 모양으로 방사상 외부로 넓어진다. 반대로, 종방향 홈(42)은 섬유코어(38)를 향해 횡단면이 방울 모양으로 방사상 내부로 연장하므로, 프리폼(84)의 원주면(46)의 영역에서보다 종방향 리브(40)의 저부에서 더 넓다.
도 7 및 8에서, 양호한 프레스(64)는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 간격에서 동일한 방사상 거리로 공통 평면에서 별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8개의 동일한 프레스 죠(66)로서 구성된다. 프레스에 짝수개의 프레스 죠들을 장착할 수 있지만, 홀수개의 프레스 죠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레스 죠(66)의 개수는 예를 들어, 탐폰(30)에 계획된 재료의 중량 및 구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8개 보다 작거나 많게 할 수 있으며, 대체로 4개 이하로는 하지 않는다. 프레스 죠(66)는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동기적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다(도 7). 폐쇄 또는 프레싱 위치에서, 프레스 죠(66)는 각각의 경우 상호 대향한 측벽(86, 88)에서 서로 지지되며, 이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7 및 8은 프레스(64)의 입구측을 도시하며, 프레스 죠(66)가 개방 및 폐쇄 위치에 있다. 각각의 프레스 죠(66)는 안내 스트립(도시 안됨)에 소자들(도시 안됨)을 고정하기 위한 3개의 관통구멍(110)을 갖는 죠 푸트(jaw foot:108)를 구비한다.
프레스 죠(66)의 윤곽(profile)은 도 7 및 8에서 프레스(64)의 전방 도면에서 볼 수 있고, 필수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각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의 측면에서 죠 푸트(108)로부터 프레스 구멍(78)으로 L자형으로 연장한다. 각각 긴 L-레그(112)의 윤곽은 짧은 L-레그(114)를 향하여 삼각형 모양으로 방사상으로 테이퍼지며, 이 테이퍼후에, 방사상 내측단부에서 스트라이킹 헤드(striking head:116)(도 7)와 결합하며, 이 헤드는 둥근 윤곽을 가지며 직선형의 짧은 L-레그(114)의 부품이고, 상기 짧은 L-레그는 긴 L-레그에 비하여 시계방향으로 각진다. 상기 각진 모양은 스트라이킹 리세스(118)의 형태이고, 이 리세스의 둥근 횡단면 윤곽은 프레스 구멍(78)의 방향에서 대략 90°의 원호에 걸쳐 연장하며, 시계방향에서 인접한 프레스 죠(66)의 스트라이킹 헤드(116)의 횡단면 윤곽과 일치한다. 짧은 L-레그(114)의 단부는 프레스 죠의 축선 y에서부터 작은 거리에 놓이고 프레싱 블레이드(92)를 형성한다.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윤곽의 종방향 중간축선 z는 관련된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와 각도 α/2를 형성하며, 상기 각은 각각의 경우에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개방된다.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종방향 중간축선 z와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 사이의 각도 α/2는 도 7 및 8에서 원주각의 절반 α/2, 즉 이 경우 60°와 일치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종방향 홈(42)이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120°의 원주각에 걸쳐 나선형으로 연장한다. 이것으로부터 동일한 프레스 죠(66)의 다른 후방단부(도 7 및 8에서 보이지 않음)의 윤곽이 도 7 및 8에 도시된 전방 프레스 죠의 윤곽에 비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또는 도 7 및 8에서 시계방향으로 개방되어 잇는 관련된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와 각도를 둘러싸며, 전체 120°의 원주각의 제2 절반의 원주각 α/2와 일치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프레스 죠(66)의 긴 L-레그(112)에서, 폐쇄구멍(111)이 각각의 경우 가열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프레싱 블레이드(92)의 근방에 배치된다. 폐쇄구멍(111)은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최적의 가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능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배치된다. 프레스 죠(66)의 온도는 80℃ 내지 120℃의 범위에 있고, 가능한 작은 허용오차 범위를 관찰하면서 전자 펄스의 수단으로서 조절된다. 각각의 프레스 죠(66)는 자체의 온도 센서를 구비한다.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단열재는 독일, 71154 누프링겐 소재의 엔싱거 게엠베하에 의해 제조된 합성물질로 구성되며, 이는 고온 및 고압 또는 압축력에 견딘다. 프레스 죠(66)를 가열함으로써, 탐폰(30)이 완성된 후에 발생하는 현재의 고흡수성 및 고팽창성 섬유재료의 메모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가열된 프레스 죠(66)에 의하여, 탐폰(30)의 표면은 프레싱 및 푸싱아웃(pushing out) 중에 동시에 부드럽게 되며, 경량의 탐폰에서도 양적으로 개선된 표면이 발생되며, 탐폰(30)의 안정성이 보존된다. 섬유재료의 메모리 효과는 탐폰(30)의 섬유재료가 신체 유체로 젖게 될 때 다시 효과를 발휘한다.
도 9 및 10은 각각의 프레스 죠(66)가 계단진 유효 압축면(90)을 갖는 것을 분명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축면(90)은 길이가 40 mm 내지 70 mm의 범위에 있는 둥근 횡단면의 프레스 구멍(78)을 형성한다. 각각의 압축면(90)은 프레스 구멍(78)을 향하여 지향되어 있는 프레싱 블레이드(92)와, 프레싱 블레이드(92)의 특정 측면 플랭크(44)에만 배치되는, 즉 각각의 경우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프레싱 숄더(96)를 구비한다. 상기 계단부는 프레싱 숄더(96)가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자유 내측단부에서 프레싱 에지(94)에 대하여 프레스 축선 x에서 외부로 오프셋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또한, 프레싱 숄더(96)의 영역은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의 프레싱 에지(94)의 영역보다 크다. 동시에, 각각의 프레스 죠(66)에서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로서 구성되는 압축면(90)은 나선형 모양이다.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관련된 프레싱 숄더(96)는 프레스(64)의 폐쇄 또는 압축 위치에서 적어도 150°까지 원주각 α에 걸쳐 연장하며, 프레싱 구멍(78)의 직경은 8 내지 17 mm 범위에 있다. 일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프레스 죠(66)에서,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와 프레싱 숄더(96)의 원주각 α는 80° 내지 150°, 양호하게는 이 경우에 120°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에 따라, 도 11의 압축위치 d에 있을 때 프레스 죠(66)는 그 실질적으로 나선형 압축면(90)이 가상의 배럴형 포위면(barrel-shaped envelope surface:104)에 접촉한다. 압축위치에서,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반드시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지향된다.(도 7 및 8) 모든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는 도 12의 간극위치 d+에 있을 때 가상의 실질적인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에 접촉한다. 이 연결에서, 프레스 죠(66)의 간극 치수 d+의 원통형 포위면(106)의 직경은 적어도 프레스 죠(66)의 압축 치수 d의 배럴형 포위면(104)의 가장 큰 직경과 일치한다. 그 결과, 프레스로부터 프리폼의 개선된 배출이 달성되고, 따라서 압축된 섬유체의 양질의 표면이 달성된다.
또한, 나선형 압축면(90)의 아치형 곡률(102)의 0°정점은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에 놓여 있다. 압축면(90)은 프레스 죠(66)의 나선형 압축면(90)의 적어도 75° 범위에서 원주각 α의 절반에 걸쳐 각각의 경우 상보적 형태로 양단부를 향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상황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플레싱 블레이드(92)의 횡단면은 방울 모양이고, 가장 두꺼운 부분은 전방의 좁은 둥근 프레싱 에지(94) 뒤에 놓이며, 목과 같은 수축부(122)는 플레싱 블레이드 푸트(95)를 향하여 제공된다. 프레싱 숄더(96)는 각각의 경우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양 측면(98, 100)중 하나의 특정 측면에만 프레싱 블레이드(92)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배치된다(도 9). 모든 프레스 죠(66)의 특정 측면(98 또는 100)은 프레싱 숄더(96)에 인접하며, 각각의 경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만 균일하게 지향된다. 프레스(64)의 전방측을 도시하는 도 7 및 8에서, 프레싱 숄더(96)를 향해 마주보는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측면(98)은 각각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지향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프레싱 숄더(96)는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좁은 프레싱 에지(94)에 대하여 프레스 축선 x에서 방사상 외부를 향하여 섬유코어(38)와 프리폼(84)의 원주면(46) 사이의 방사상 거리만큼 오프셋되고, 프레스 구멍(78)의 원주방향에서 프레싱 블레이드(92)의 프레싱 에지(94) 보다 넓은 영역을 가진다. 모든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숄더(96)의 곡률 중심은 프레스 죠(66)의 간극 위치 d+ 에서만 프레스(64)의 축선 x상에 놓여 있다.
프레스(64)이 후방 또는 출구측에서 프레스 죠(66)의 단부면을 도시하는 도 9 및 10에 따라, 프레싱 숄더(96)는 대조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지향된다.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로서 구성되는 압축면(90)은 프레스 구멍(78)의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연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는 양 단부 사이에서 압축된 프리폼(84)의 120°의 원주각에 걸쳐 연장한다. 절반의 원주각 α/2는 각각의 경우 60°에 걸쳐 연장하고 이 경우에서는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 y의 양측면에서 대칭적 또는 상보적 형태로 연장하므로, 프레스 죠(66)가 그 전체 횡단면에 걸쳐 가해진 압축력에 의해 균일한 하중을 받는다.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는 탐폰(30)의 전술한 120°의 원주각 α에 해당하는 종방향에서 나선형으로 구부러질 뿐만 아니라, 프레스 죠(66)의 한 단부에서부터 동일한 프레스 죠(66)의 다른 단부까지 곡률(102)(도 10 및 11)을 가진다. 상기 곡률(102)은, 각각의 프레스 죠(66)의 유효 압축면(90)이 각각의 경우 프리폼(84)의 특정 원주각, 즉 이 경우 특정 경사각 β(도 3)에서 대략 원통형 탐폰 블랭크(55)의 원주면의 120°에 걸쳐 연장하여야 하는 나선형 종방향 홈(42)을 압축하여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탐폰 블랭크(55)(도 7)는 대체로 프리폼(84)(도 11)의 압축 치수로 압축되며, 여기서 각각의 프레싱 블레이드(92)는 프레스 축선 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놓인 위치를 지나서 이동된다. 그 결과, 프레스 죠(66)에 의해 형성된 프레스 구멍(78)의 명확한 횡단면이 양단부에서부터 이것으로부터 형성된 프레스 구멍(78) 또는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심까지 넓어지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압축 치수 d 또는 압축 위치에서 배럴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프레싱 블레이드(92) 또는 프레싱 숄더(96)와 접촉하는 포위면(104)은 약간 배럴 모양의 외형( 도 5 및 11 참조)을 가지며, 따라서 프레스 구멍(78)의 양단부를 향하여 좁아진다. 따라서, 또한 프리폼(84)은 도 5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64)에서 대응하는 형상을 취한다. 프리폼(84)이 그 종축선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프레스(64)로부터 완전하게, 즉 그 표면의 섬유구조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스 죠(66)는 특정 치수 d+ (도 12) 만큼 상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간극 치수 d+ 는 코드 A를 분리하는 방사상 거리와 적어도 일치하며, 이것은 도 11에서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도 11의 탄젠트 B에서부터 프레스 구멍(78)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탄젠트 B는 프레싱 블레이드(92)의 방사상 외부의 아치형 곡률(102)의 정점 °에 놓이며, 유사하게 프레스 구멍(78)에 평행하게 지향된다. 또한, 간극 치수 d+ 는 배럴형 포위면(104)의 가장 큰 직경과 적어도 일치하도록 한정될 수 있으며, 포위면은 압축 위치에서 프레싱 블레이드(92) 또는 프레싱 숄더(96)에 접촉된다. 직경 13 mm인 탐폰의 경우에, 상기 간극 치수 d+ = d + 0.6 mm, 이에 의해 프레스 죠(66)는 도 12에 따라 프레스 구멍(78)의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상 외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프레싱 블레이드(92) 또는 프레싱 숄더(96)는 간극 치수 d+ 에서 실제로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형으로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에 접촉하며, 결과적으로 프리폼(84)의 배출을 위해 원형 원통형 프레스 구멍(78)을 형성한다.
도 7 및 8은, 방울 형상에 의하여 발생된 각각의 프레싱 블레이드(92)의 목 모양의 수축부(122)가 압축중에 대략 방사상 외부로 섬유재료의 큰 변위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명백히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 프레스 죠(66)의 압축 치수는 예를 들어 섬유코어(38)의 직경의 이전 4.8 mm에서부터 4 mm 까지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안정성 및 개선된 흡수능력을 가지며, 탐폰(30)의 부드러운 표면이 보존된다. 또한, 섬유재료가 프레스 구멍(78)의 방사상 외부에 생긴 표면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둥근 프레싱 에지(94)의 폭도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섬유코어(38)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섬유의 양은, 탐폰의 동일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탐폰이 신체 공간내로 삽입된 후 즉시 액체 흡수에 이용될 수 있는 섬유의 양에 비하여 감소될 수 있다.
외부로 제거된 섬유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싱 숄더(96)는, 종래의 6.55 mm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 6.2 mm 로 감소된 숄더 반경을 가지며, 반시계 방향으로 지향된 프레스 죠(66)의 그 측면에 대략 평행한 윤곽으로 연장하며, 이것은 짧은 L-레그(114)와 결합하여 스트라이킹 헤드(116)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의 프레스 죠(66)에 의해 달성된 섬유재료의 외부 제거는 섬유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최종 직경 13 mm이고, 길이 50 mm를 갖는 손가락 탐폰(30)을 만들 수 있게 한다.
특히,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퀴징 리브(squeezing rib:120)가 프레싱 숄더(96)의 외부 측면상에서 그의 높이와 비슷하게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레스(64)의 폐쇄 상태(프레싱 치수 d)에서, 프레싱 숄더(96)의 이 스퀴징 리브(120), 및 또한, 각 프레스 죠(66)의 스트라이킹 헤드(116)는 프레싱 블레이드(92)의 목 모양의 수축부(122)의 전방에서 프레스 죠(66)의 라운드형 스트라이킹 리세스(118)에 대하여 지지된다(도 7 및 도 8). 각 프레싱 숄더(96)의 외부 측면은 도 9 및 도 10에서 두 개의 평행한 스퀴징 리브(120)를 구비하며, 이들은 프레스 구멍(78)에 관련하여, 그리고, 따라서, 각 경우에, 프리폼(84)의 나선형 종방향 리브(40)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에 관련하여, 인접 프레스 죠(66)의 스트라이킹 리세스(118)와 스트라이킹 헤드(116) 사이에 프레스 축선(x)에 관하여 거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갭(124)을 닫는다. 결과적으로, 탐폰 블랭크(55)의 섬유 재료가 인접 프레스 죠(66) 사이의 갭(124)내로 침입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섬유가 인접 프레스 죠(66) 사이의 갭(124)으로 침입하는 경우에, 스퀴징 리브(120)는 섬유 찌끼가 프레스 외측으로 떨어지고 흡입에 의해 추출될 수 있도록 이들 섬유의 꺾여진 길이(staple length)를 절단한다. 결과적으로, 각 나선형 종방향 리브(40)의 버어(burr)가 없는 평활한 연성 반경방향 외부 표면이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일 단부면에서, 스트라이킹 헤드(116)가 프레싱 블레이드(92) 보다 추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명백히 도시하며, 이 프레싱 블레이드는 스트라이킹 헤드(116)에 관하여 프레싱 숄더(96)의 폭 만큼 뒤로 밀려나 있고, 스트라이킹 헤드(116)에 관하여, 스트라이킹 헤드(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을 향해 각도 형성되어 있다. 측벽(86, 88)에 의해, 프레스 죠(66)는 그 종방향 중간축선(y)에 수직인 단면을 가지며, 이는 각 경우에 그 전체 단면에 걸쳐, 즉,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y)의 방향으로 프레스 죠(66)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의 상술한 균일한 분포가 보증되도록 나선형 프레스 죠 곡률(102)의 원주각(α)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도 11은 프레스(64)의 프레싱 치수(D)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 프레싱 치수(D)는 배럴-형상 포위면(104)에 대응하며, 이 포위면은 폐쇄 상태 또는 프레싱 치수(D)에서 프레스(64)의 프레스 죠(66)의 나선형 프레스 블레이드(92)와 프레싱 숄더(96)에 의해 형성된다. 이 프레싱 치수(D)는 닫혀진 프레스(64)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서, 관련된 탐폰(30)의 특정 조성 및 목적에 의존하여, 6과 17mm 사이이며,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13mm이다.
도 11에 도시된 이 프레싱 위치의 프레스(64)로부터 프리폼(84)를 배출하는 동안, 배출력은 내부에 위치된 프리폼 및 프레스 구멍(78)의 배럴-형상 단면의 결과로서 크게 증가한다. 프리폼(84)의 표면상의 섬유는 섬유 조성물 외측으로 찢겨지며, 프리폼(84)의 평활한 표면은 대응적으로 손상되고, 섬유 손실이 유발된다.이 때문에, 주어진 간극 치수(d+)까지 프레스(64)를 개방한 이후에, 프레싱 블레이드(92) 또는 프레싱 숄더(96)에 의해 형성 또는 접촉된 가상 포위면(106)이 원형 원통형이 되게 하며, 그래서, 프리폼(84)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현저한 저항도 없이 프레스(64)로부터 최종 성형공구(68)을 통해 운반 슬리브(74)내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운반 슬리브는 나선형 프레싱 블레이드(92)가 프리폼(84)의 종방향 홈(42)에 결합하는 결과로서 동시성 회전을 가진다.
도 12에서, 프레스 죠(66)의 나선형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는 가상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을 수납 또는 접촉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프레싱 치수(d)에 관련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d+ 0.6mm인 주어진 간극 치수(d+) 만큼 반경방향 외측으로 후퇴 이동되어 있으며, 이는 배럴 형상으로 프레스되어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나선형 종방향 홈(42)을 구비하는 프리폼(84)가 공급 추진기(76)의 이젝터(82)에 의해, 현저히 감소된 마찰로 프레스(64)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12에 따라, 모든 프레스 죠(66)의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프레싱 숄더(96)는 각각 적어도 그 길이의 현저한 부분에 걸쳐 나선형 선상에서 가상의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이 접촉한다. 즉, 프리폼(84)의 회수 단부(34)에서 섬유 재료의 보다 낮은 수준의 압축이 바람직하며, 프레스 구멍(78)의 출구 측면(79)의 영역에서 프레스 축선(x)으로부터의 유효 프레싱 에지(94)의 반경방향 거리는 프레싱 에지(94)의 나머지 종방향 영역에 걸쳐서 보다 프레스 죠(66)의 폐쇄 상태에서, 다소 보다 크며, 그래서, 프레싱 에지(94)의 이 부분은 프레스 죠(66)의 간극치수(d+)에서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과 접촉하지 않지만, 그러나, 이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의 다소 반경방향 외측에 놓여진다.
도 13 및 도 14는 다중-부품 프레스 죠(132)를 구비한 프레스(13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분할된 프레스 죠(132)는 서로 독립적으로 프레스 축선(x)에 관해 반경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스 죠(132)는 프레스 축선(x)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평면(T)에서 분할된다.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 프레스 죠(132)는 2-부품 디자인이다. 2-부품 프레스 죠(132a, 132b)의 분할면(T)은 그 종방향 중심(M)에서, 프레스(130)의 축(x) 및 그 압축면(134)의 0°정점과 교차한다. 프레스(130)의 출구 측면(79)과 연계된 프레스 죠 반부(132a)는 현저히 감소된 마찰로 프레스(도 14)로부터 프리폼(84)을 배출할 수 있게 하도록 프레스 축선(x)에 관하여 그 프레싱 위치(d)로부터 간극 위치(d+)내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스 축선(x)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프레스 죠(132)의 배수 분할에 의해, 그리고, 죠(132)의 수에 의존하여, 원주각 α는 150°를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죠의 적절한 디자인은 특정 탐폰 요구조건에 의존하여 탐폰의 외부 윤곽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죠(66; 132)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프레스 죠는 쌍으로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코어(38)를 제조하는 설명된 프레스 죠(66; 132)에 부가하여, 섬유 코어(38)의 제조 이외의 목적을 수행하는 프레스 죠를 프레스(64; 130)내에 장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로서, 프리폼(84)를 프레싱하는 동안, 장식 및/또는 물리적 목적을 위한 탐폰(30)의 표면상 또는 내의 패턴 또는 부각을 스템핑하기 위해 프레스(64)내의 프레스 죠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 16 및 17은 최종 성형공구(68)을 도시하며, 이는 안내판(140)으로 구성되고, 이 안내판은 프레스(64)와 동축으로 바로 뒤편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며, 프리폼(84)를 위한 평활 부시(150)와 단일 부재로 설계된다. 최종 성형공구(68)은 프리폼(84)를 위한 원추형 최종 성형 채널(152)을 포함하며, 이는 안내판(140) 및 평활 부시(150)를 통해 연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140)은 프레스(64)의 출구 측면(79)의 바로 전방에 배열되고, US 특허 5,911,712 호에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프레스 죠(66; 132)와 동일한 원주각 간격으로 배열되는 프레스 죠(66; 132)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142)을 프레스(64)에 대면한 그 측면상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홈(142)은 최종 성형 채널(152)에 관하여 접선방향인 프레스 구멍(78)의 방향으로 프레스 죠 축선(y)에 평행하게, 그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한다.
도 5 및 도 9 내지 도 14로부터, 프레스 죠(66; 132)는 프레스(64)의 출구 측면(79)에 관하여 돌출하면서 각 경우에 측방향 유격을 가지고 이들 홈(142) 중 하나와 결합하는 위치설정 웨브(160)를 그 후방 단부에 각각 구비한다. 위치설정 웨브(160)의 내부, 자유 전방 단부는 프레스 죠(66; 132)의 압축면(90; 134)의 콤포넌트이며, 최종 성형공구(68)과 프레스(64; 130) 사이의 축방향 갭 위에 도달한다. 그 간극 위치(d+)에서, 프레스 죠(66; 132)의 압축면(90; 134)은 평활 부시(150)의 입구(154) 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는 위치설정 웨브(160)가프레싱 및 프레스(64)로부터의 탐폰(30)의 배출 동안, 회수 테이프(35)(운반 방향(x)(도 16, 17)에서 전방에 배치된 탐폰 블랭크(55)의 회수 단부(34)에 나선형으로 미리 권취된)의 중앙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원형 입구(154)로부터 최종 성형 채널(152)은 평활 부시(150)의 출구(156)까지 원추형으로 테이퍼진다. 이에 관하여, 평활 부시(150)의 원추형 형상은 평활 부시(150)를 통해 프레스(64) 외측으로 프리폼(84)을 밀고, 탐폰(30)의 최종 치수에 동심으로 이를 압축하기 위해, 가능한 작은 배출력이 소요되도록 설계된다.
도 5 및 도 14 내지 도 16은 최종 성형공구(68)이 나선형 프레싱 블레이드(92)의 것에 대응하는 경사각(β) 및 프레스 죠(66)의 것에 대응하는 수의 나선형으로 성형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평활 리브(170)를 구비하는 것을 도시한다. 프리폼(84)의 윤곽이 보전되지만, 프리폼(84)의 배럴 형상에 의해 섬유 코어(38)의 단면의 확장이 유발되도록, 프레스(64)를 벗어나는 프리폼(84)의 나선형 종방향 홈(42)내에 다소 집중적으로 프레싱 및 평활화(smoothing) 방식으로 나선형의 평활 리브(170)가 직접적으로 결합한다. 평활 부시(150)는 필요시 평활화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80°내지 12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평활 리브(170)는 평활 부시(150)의 출구(156)의 전방으로 거리를 두고 종결하며, 평활 부시(150)의 평활한 원통형 단부 섹션(172)내로 합쳐진다. 평활 부시(150)의 이 단부 섹션(172)은 완성된 압축 탐폰(3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평활 부시(150)의 이 평활한 원통형 단부 섹션(172)에서 여기까지 열려진 프리폼(84)의 나선형 종방향 홈(42)이 탐폰(30)의 최종 직경에 대해 인접 나선형 종방향리브(40)의 측면 플랭크(44)의 반경방향 외부 단부에서 닫혀진다(도 4). 이 방식으로, 종방향 홈(42)은 탐폰(30)의 양 단부를 향해 개방되는 것이 적합한 액체 안내 덕트(50)가 된다(도 3 및 도 4).
도 5, 14 및 15에서, 운반 장치(70)가 실질적으로 파단식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본 경우에는 순환 또는 회전 운반 장치의 일부로서, 리볼버(72)로 구성되어 있다. 리볼버(72)는 횡단 구멍(148)을 구비하고, 횡단 구멍 내부에 원통형 운반 슬리브(74)가 끼워지며, 리볼버(72)의 순환 평면에 직각으로 고정된다. 운반 슬리브(74)는 동일한 원주각 간격 및 반경으로 리볼버(72)에 고정되며, 그래서, 완성된 압축 탐폰(30)을 부가적인 제조 스테이션으로 공급하기 위해, 각 경우에, 하나의 운반 슬리브(74)가 단계식으로 연속적으로 평활 부시(150)의 출구(156)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제조 스테이션(미도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삽입 단부(32)는 둥근 돔(52)을 구비하고, 동시에, 회수 단부(34)가 핑거 리세스(48)를 구비할 수 있다.
탐폰(30)이 프레스(64)로부터 평활 부시(150)를 통해 운반 슬리브(74)내로의 배출시의 한번의 단일 동작에서, 나선형 프레스 죠(66) 및 나선형 평활 리브(170)에 의해 회전을 받을 때, 그 입구에서 짧은 길이에 걸쳐 원추형으로 확장되어 있는 원통형 운반 슬리브(74)는 탐폰(30)의 섬유 구조 및 표면의 높은 품질이 보전되는 것을 보증한다. 이에 관련하여, 운반 슬리브(74)의 원통형 내벽에 대한 탐폰(30)의 지연된 배설이 완성된 압축 탐폰(30)의 섬유 재료의 연장부에 의해 유발, 즉, 프레싱 직후 탐폰의 섬유 재료의 이 팽창을 허용하도록 운반 슬리브(74)의 직경이 대응적으로 보다 커지게 치수설정된다. 이는 운반 슬리브(74)의 원통형의 평활한 내벽에 대한 탐폰(30)의 능동적 접촉이, 관련된 탐폰(30)이 그 회수 단부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평활 부시(150)의 출구(156)를 거의 또는 완전히 남겨둘 때, 프레싱 이후 그 팽창의 결과로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그 에지가 쌍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프레스 죠(66)의 출구 측면 나선형 프레싱 에지(94)가 프레스(64)의 출구 단부(79)로 넓어지는 각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도 16에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섬유 코어(38)는 프리폼(84)의 회수 단부(34)에서 보다 약하게 압축되며, 그래서, 섬유 재료가 사용 이전에 다소 벌어져서 탐폰의 손가락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17에서, 탐폰의 초기 팽창 및 그 결과로 F에서 운반 슬리브(74)의 원통형 내벽에 대하여 접속을 초래하는 것이 특히 명백히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현저한 팽창성 섬유 비율의 메모리 효과 때문에, 운반 슬리브(74)내에 위치되고 나서만 팽탐폰(30)이 팽창한다는 사실은 탐폰의 높은 제조 속도에 기여할 수 있다. 탐폰(30)이 배출 동안 받게되는 회전 운동은 어떠한 현저한 저항도 발생하지 않으며,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나선형 섬유 구조는 그 완전한 범위로 보전된다는 현저한 장점이 이와 연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탐폰 제조 방법은
탐폰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얽혀진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탐폰 블랭크를 제공하는 단계와,
- 동일한 원주각 만큼 서로 분리된 그 원주면의 좁은 모선상에 탐폰 블랭크를 압축하여, 종방향 홈과 비교적 덜 압축된 종방향 리브가 그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인 원통형 섬유 코어를 형성하고, 탐폰 블랭크가 탐폰의 흡수면을 확장하기 위해, 나선형 종방향 리브와, 그에 평행한 나선형 종방향 홈을 형성하도록 나선 모선상에 압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그 회수 단부(34)가 프레스 축선(x)의 방향으로 또는 공급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원통형 탐폰 블랭크가 그후, 공급 추진기(76)에 의해 프레스(64)내로 동축으로 도입된다. 이어서, 탐폰 블랭크(55)는 각 경우에 그 원주면의 동일한 경사각(β)의 동일한, 좁은 나선형으로 성형된 섹션위로 프레스(64)내에서 프레스 죠(66)에 의해 방사상으로 압축되며, 이 섹션은 동일한 원주각 만큼 서로 분리된다. 이 방식으로, 적합하게는 배럴-형상 윤곽의 프리폼(84)가 제조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지만, 배럴 형상 때문에, 중앙-길이에서 단면이 넓어지는 고도로 압축된 중실형 섬유 코어(38)상의 나선형 연장 종방향 홈(42)을 가지고, 섬유 코어(38)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하면서 프리폼(84)의 종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진행하는 종방향 리브(40)를 갖는다. 이에 관하여, 나선형으로 성형된 섹션은 각 경우에 최소 150°까지의 원주각,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20°, 본 경우에는 120°의 각도에 걸쳐 프레스된다. 프레스(64)에서, 섬유 재료는 탐폰 블랭크(55)의 나머지 섬유 재료 보다 탐폰 블랭크(55)의 회수 단부(34)의 영역에서 보다 낮은 방사상 압축 압력을 받는 것이 적합하다. 탐폰 블랭크(55)는 사용된 섬유 재료의 특징에 의존하여, 특히, 강한 메모리 효과를 가지는 불규칙 단면의 고 팽창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섬유의 메모리 효과를 제거함으로써 섬유 재료의 양호한 치수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80°내지 120℃의 프레스 죠(66)의 온도에서 탐폰(30)의 최종 형상으로 프레스되며, 이는 체액과 다시 효과적으로 접촉하게 하며, 따라서, 섬유 재료의 가능한 최소의 사용으로 탐폰(30)의 팽창 및 흡수 속도를 증가시킨다.
프레스(64; 130)에서, 탐폰 블랭크(55)는 적절히 가열할 수 있는 경우에, 프레스(64)로부터의 배출시 평활 부시(150)의 하류에서 최종 성형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배럴 형상 프리폼(84)을 형성하도록 단일 프레싱 작업으로 압축된다. 이 최종 성형은 희망시 80℃내지 120℃로 가열될 수 있는 평활 부시(150) 및 평활 리브(170)에 의해 나선형 종방향 홈(42) 및 나선형 종방향 리브(40)의 외부 단부상에 작용되는 약한 방사상 압력을 포함한다. 이 약한 방사상 압력은 인접 종방향 리브(40)의 서로 대향한 측면 플랭크(44)의 외부 단부가 평활 부시(150)의 출구(156)의 영역에 있는 평활한 원형 단면의 최종 성형 채널(152)에 의해 서로에 대해 프레스될 수 있게 하여, 탐폰의 종방향 홈(42), 그리고, 따라서, 외부의 거의 원통형인 부드러운 폐쇄 원주면(46)이 성형되고, 나선형 액체 안내 덕트(50)가 이제 방사상 외향으로 닫혀진 종방향 홈(42)의 영역에 생성되게 하며, 이 덕트는 탐폰이 회수 단부와 삽입 단부에서 개방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방식으로, 탐폰의 흡수 용량의 현저한 증가가 사용자를 위한 매우 편안한 삽입과 함께 달성된다. 또한, 평활 리브(170)는 본 실시예의 프리폼(84)의 배럴 형상에 의해 유발되는 섬유 코어(38)의 단면 확장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시, 평활 부시(150)로부터 운반 장치(70)의 운반 슬리브(74)내로의 마감된 압축 탐폰(30)의 회전 이동과 연계하여, 새롭게 압축된 섬유성 재료는 운반 슬리브(74)의 원통형의, 평활한 내벽과 탐폰(30)의 표면상의 섬유 재료 사이에서 발생하는, 표면 품질을 손상시킬 수 있는 마찰 저항 없이 운반 슬리브(74)의 매우 평활한, 원통형 내벽에 관하여 팽창하며, 그래서, 나선형 종방향 리브(40)와 종방향 홈(42)을 구비한 탐폰(30)의 높은 품질이 대량 제조시에도 보증된다. 이에 관하여, 탐폰(30)의 표면의 외피 재료 스트립의 자유로운 외부 단부의 임베딩이 유지되도록, 그 단부에 외피 재료가 외측에 고정되는 단위 길이의 섬유 부직포가 탐폰 블랭크(55)를 형성하도록 권취되는 회전 방향이 나선형 프레스 죠와 평활 리브에 의해서도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명세서 및 실시예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완전한 비한정적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가 그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하기에 첨부된 청구항에 존재한다.
참조 번호
30탐폰
32삽입 단부
34회수 단부
35회수 테이프
36종방향 섹션
38섬유 코어
40종방향 리브
42종방향 홈
44측면 플랭크
46원주면
48핑거 리세스
50안내 덕트
52둥근 돔
55탐폰 블랭크
60장치
62공급-배출 장치
64프레스
65단부 L-형 프레스 죠 윤곽
66프레스 죠
68최종 성형공구
70운반 장치
72리볼버
74운반 슬리브
75입구(운반 슬리브)
76 공급 추진기
78프레스 구멍
79출구 측면(프레스 구멍)
80원형면
82이젝터
84 프리폼
86, 88 프레스 죠의 측벽
90유효 압축면
92 프레싱 블레이드
94프레싱 에지
95프레싱 블레이드 기부
96 프레싱 숄더
98,100 프레싱 블레이드의 측면 표면
102 곡률
104배럴-형상 포위면
106원형 원통형 포위면
108 죠 푸트(jaw foot)
110구멍
111폐쇄구멍
112긴 L- 레그
124짧은 L- 레그
116 스트라이킹 헤드
118스트라이킹 리세스
120스퀴징 리브
122목 모양의 수축부
124갭
130프레스
132프레스 죠
132a,132b 프레스 죠 반부
134압축면
140안내판
142홈
144횡단방향 구멍
150평활 부시
152최종 성형 채널
154통로 개구
156출구
160위치설정 웨브
170나선형 평활 리브
172단부 섹션(평활 부시)
d프레싱 위치, 프레싱 치수
d+간극 위치, 간극 치수
x프레스 축선
y종방향 중간축선(프레스 죠 66)
z 종방향 중간면(프레싱 블레이드(92)
T분할 평면
M종방향 중심
α원주각
α/2절반 원주각
β경사각
A코드
B접선
F접촉점
L종축(탐폰 30)
Z디테일

Claims (52)

  1. 삽입 단부(32), 회수 단부(34), 종축선, 및 외부면을 구비하고, 압축된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성 위생을 위한 탐폰(30)에 있어서,
    상기 탐폰의 상기 외부면은 나선형 압축된 종방향 홈(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은 상기 종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압축되는 탐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의 상기 섬유 재료는 상기 탐폰(30)의 횡단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밀도를 가지는 탐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은 고도로 압축된 섬유 재료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압축된 종방향 홈(42)에 의해 규정되는 종방향 리브(40)가 상기 코어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하는 탐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브(40)는 상기 코어(38)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교적 덜 압축되는 탐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리브(40)는 상기 삽입 단부(32)와 상기 회수 단부(34) 사이에서, 동일한 원주각 간격으로 방사상 외향 연장하는 탐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코어 및 상기 탐폰의 원주면은 배럴-형상으로 굴곡되는 탐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코어 및 상기 탐폰의 원주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탐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홈(42)은 각각 상기 탐폰(30)의 적어도 약 150°까지의 원주각(α)에 걸쳐 연장하는 탐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각(α)는 약 80°내지 약 120°인 탐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홈(42)에 의해 한정된 각 종방향 리브(40)는 이런 종방향 리브(40)가 상기 압축된 섬유 코어(38)로부터 떨어져서 이런 인접 종방향 리브(40)로부터 분리되는 범위 보다 큰 범위로 상기 섬유 코어(38)로부터 연장하는 인접 종방향 리브(40)로부터 분리되는 탐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홈(42)은 적어도 상기 압축된 섬유 코어(38)로부터 떨어져서 닫혀지는 탐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근접한 리브의 분리는 상기 홈의 닫혀진 부분과 협력하여 나선형 액체 안내 덕트(50)를 형성하는 탐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안내 덕트(50)는 상기 탐폰(30)의 상기 삽입 단부(32)와 상기 회수 단부(34)에서 개방되는 탐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은 액체-투과성 외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되는 탐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코어(38)는 상기 탐폰(30)의 상기 회수 단부(34) 근방에서, 그 나머지 종방향 영역에서 보다 약하게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탐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의 상기 삽입 단부(32)는 둥근 돔(52)을 구비하는 탐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의 상기 회수 단부(34)는 핑거 리세스(48)를 구비하는 탐폰.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30)은 약 6 내지 약 17mm의 근사 원형 직경과, 약 5mm 까지의 압축된 섬유 코어(38)를 가지는 탐폰.
  2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탐폰(30)의 외부 원주면(46)은 평활한 탐폰.
  21. 탐폰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종축선을 가지는 얽혀진 섬유 재료의 탐폰 블랭크(55)를 제공하는 단계와;
    - 삽입 단부(32)와 회수 단부(34)를 가지는 탐폰(30)의 외부 원주면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탐폰 블랭크(55)를 압축하고, 상기 탐폰(30)의 외부 원주면에 나선형으로 성형된 종방향 홈(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폰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외부 원주면의 좁은 선상에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종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탐폰(30)의 상기 섬유 재료가 상기 탐폰(30)의 단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밀도를 갖도록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탐폰(30)이 고도의 압축을 가지는 코어(38)를 구비하고, 그로부터 비교적 덜 압축된 종방향 리브(40)가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종방향 리브(40)가 상기 코어(38)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교적 덜 압축되도록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상기 종방향 리브(40)가 상기 삽입 단부(32)와 상기 회수 단부(34) 사이에서, 동일한 원주각 간격으로 방사상 외향 연장하도록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탐폰으로 압축되고,
    상기 외부 원주면과 그 섬유 코어는 배럴-형상으로 방사상 외향 굴곡되는 탐폰 제조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탐폰으로 압축되고, 상기 외부 원주면과 그 섬유 코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탐폰 제조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의 좁은 선은 상기 탐폰 블랭크(55)의 적어도 약 150°까지의 원주각(α)에 걸쳐 각각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의 좁은 선은 약 80°내지 약 120°의 원주각(α)에 걸쳐 각각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실온에서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탐폰 블랭크(55)는 약 80°내지 약 120℃의 범위의 온도에서 압축되는 탐폰 제조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나선형 종방향 홈(42)의 상기 프레싱 이후에, 상기 종방향 리브(40)의 방사상 외부 단부는 미소한 집중 압력을 동시에 받게되어, 인접 나선형 종방향 리브(40)의 대향 측면 플랭크(44)의 단부가 서로의 위에 깔려지고, 상기 탐폰의 부드러운 폐쇄 원주면(46)을 형성하며,
    상기 탐폰(30)의 상기 외부 원주면(46)상의 상기 나선형 종방향 홈(42)은 상기 종방향 홈(42)으로부터 액체 안내 덕트(50)가 형성되도록 닫혀지는 탐폰 제조 방법.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종방향 홈(42)은 상기 탐폰(30)의 최종 형상으로 압축되기 이전에 평활화(smoothing)되는 탐폰 제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종방향 리브(40) 및 종방향 홈(42)의 평활화는 약 80°내지 약 120°에서 수행되는 탐폰 제조 방법.
  37. 탐폰 제조 장치에 있어서,
    - 중심 프레스 축선(x)에 대하여 별 모양으로 배열되고,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스 축선(x)에 관하여 방사상으로 공통 평면내에서 동기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폐쇄 위치에서 그 서로 대향한 종방향 측면상에서 서로 지지되는 동일 치수의 프레스 죠(66)를 가지는 프레스(64)와;
    - 각 프레스 죠(66)상의 계단형 압축면(90)을 포함하고,
    -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압축면(90)은 약 40 내지 약 70mm의 길이를 가지는 둥근 단면의 프레스 구멍(78)을 형성하고,
    - 각 압축면(90)은 프레스 구멍(78)을 향해 배향된 프레싱 블레이드(92)와,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의 특정 측면 플랭크(44)상에만 배열되어 상기 프레스 축선(x) 둘레에서 동일한 원주 방향으로 배향되는 프레싱 숄더(96)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싱 숄더(96)는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자유로운 내부 단부에서 프레싱 에지(94)에 관하여 상기 프레스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상기 프레싱 숄더(96)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은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상기 프레싱 에지(94)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보다 크고,
    각 프레스 죠(66)상의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와 상기 프레싱 숄더(96)로 구성되는 각 경우의 상기 압축면(90)은 나선형으로 성형되는 탐폰 제조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각 프레스 죠(66)의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와 상기 프레싱 숄더(96)는 약 6 내지 약 17mm 범위의 상기 프레스(78)의 직경을 가지는 상기 프레스(64)의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150°까지의 원주각(α)에 걸쳐 연장하는 탐폰 제조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각 프레스 죠의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와 상기 프레싱 숄더(96)의 상기 원주각(α)는 상기 프레싱 블레이드(92)가 1-부품 프레싱 블레이드일 때, 80°내지 120°인 탐폰 제조 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66)는 프레싱 위치(d)에 있을 때, 그 실질적인 나선형 압축면(90)을 갖는 배럴-형상 포위면(104)을 형성하는 탐폰 제조 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프레스 죠(66)의 상기 나선형 프레싱 블레이드(92) 및 나선형 프레싱 숄더(96)는 간극 위치(d+)에 있을 때, 실질적인 원형의 원통형 포위면(106)을 형성하는 탐폰 제조 장치.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간극 위치(d+)에서만 상기 나선형 프레싱 블레이드(92)의 윤곽의 종방향 중간축선(z)이 상기 프레스 축선(x)과 교차하는 탐폰 제조 장치.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간극 위치(d+)에서만 상기 프레싱 숄더(96)의 곡률 중심이 상기 프레스 축선(x)상에 위치하는 탐폰 제조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간극 치수(d+)의 상기 원형 원통형 포위면(106)은 적어도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프레싱 치수(d)의 상기 배럴-형상 포위면(104)의 최대 직경에 대응하는 탐폰 제조 장치.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압축면(90)의 아치형 곡률(102)의 0°정점은 각 프레스 죠(66)의 종방향 중간축선(y)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면(90)은 각 경우에 상기 프레스 죠(66)의 상기 나선형 압축면(90)의 적어도 약 75°까지의 범위의 절반 원주각(α/2)에 걸쳐 상보적 형태로 그 양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탐폰 제조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반 원주각(α/2)는 약 60°인 탐폰 제조 장치.
  47.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132)는 다중-부품 죠인 탐폰 제조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132a, 132b)의 부품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프레스 축선(x)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탐폰 제조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132a, 132b)는 상기 프레스 축선(x)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평면(T)으로 분할되는 탐폰 제조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죠(132a, 132b)는 2 부품인 탐폰 제조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프레스 죠 반부(132a, 132b)를 형성하는 분할 평면(T)은 상기 프레스 축선(x)과 그 압축면(90)의 다중-부품 프레스 죠(132a, 132b)의 종방향 중간축선에 형성된 0°정점과 교차하는 탐폰 제조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프레스(132)의 출구측(79)과 연관된 프레스 죠 반부(132a)는 프레스 축선(x)에 대하여 압축 위치 (d)로부터 간극 위치(d+)내로 방사상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탐폰 제조 장치.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132)의 출구 측면(79)과 연계된 상기 프레스-죠 반부(132a)는 상기 프레스 축선(x)에 관하여 그 프레싱 위치(d)로부터 간극 위치(d+)로 방사상 외향 이동될 수 있는 탐폰 제조 장치.
KR10-2003-7012603A 2001-03-26 2002-03-22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KR20030093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4786.4 2001-03-26
DE10114786A DE10114786C2 (de) 2001-03-26 2001-03-26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PCT/EP2002/003262 WO2002078586A2 (en) 2001-03-26 2002-03-22 Tampon having spirally shaped groo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286A true KR20030093286A (ko) 2003-12-06

Family

ID=76790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601A KR20030094305A (ko) 2001-03-26 2002-03-22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KR10-2003-7012603A KR20030093286A (ko) 2001-03-26 2002-03-22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601A KR20030094305A (ko) 2001-03-26 2002-03-22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5) US9173778B2 (ko)
EP (2) EP1383453B2 (ko)
KR (2) KR20030094305A (ko)
CN (2) CN1531415A (ko)
AR (2) AR033446A1 (ko)
AT (2) ATE336215T1 (ko)
AU (2) AU2002315264B2 (ko)
BR (2) BR0208438B1 (ko)
CA (2) CA2442041C (ko)
DE (4) DE20121759U1 (ko)
DK (1) DK1381339T3 (ko)
ES (2) ES2269719T3 (ko)
MX (2) MXPA03008862A (ko)
NO (2) NO20034292L (ko)
PT (1) PT1381339E (ko)
RU (2) RU2338498C2 (ko)
WO (2) WO2002078586A2 (ko)
ZA (2) ZA200308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6678A1 (de) * 2003-02-18 2004-08-26 Hysalma Gmbh Vaginal-Tampon
DE10109608A1 (de) * 2001-02-28 2002-09-12 Johnson & Johnson Gmbh Tampon-Primärverpackung
DE20121759U1 (de) 2001-03-26 2003-05-22 Johnson & Johnson GmbH, 40474 Düsseldorf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7047608B2 (en) * 2002-03-18 2006-05-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shaped tampon
US7727208B2 (en) 2002-09-12 2010-06-01 Playtex Products, Inc. Ergonomic tampon applicator
DE10244874C5 (de) 2002-09-26 2010-10-07 Johnson & Johnson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für die Frauenhygiene
US9192522B2 (en) 2003-05-02 2015-11-2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Tampon assembly having shaped pledget
AU2004237751B2 (en) 2003-05-02 2008-06-05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ssembly having shaped pledget
CN101259064A (zh) * 2003-10-31 2008-09-10 强生消费者公司 提供干净的手指插入的吸收棉塞
US7087045B2 (en) 2003-11-21 2006-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having recessed portions
US7214218B2 (en) * 2003-11-21 2007-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raised portions having multiple widths
US7097638B2 (en) * 2003-11-21 2006-08-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having recessed portions
US7338483B2 (en) * 2003-11-21 2008-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US7549982B2 (en) * 2003-11-21 2009-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recessed portions having multiple widths
US7311699B2 (en) * 2003-11-21 2007-12-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raised portions
US20050113787A1 (en) * 2003-11-21 2005-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diverse surface areas
US7070585B2 (en) * 2003-11-21 2006-07-0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Tampon having recessed portions
US20050113807A1 (en) * 2003-11-21 2005-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recessed portions
US20050113780A1 (en) * 2003-11-21 2005-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EP1547554A1 (en) * 2003-12-22 2005-06-29 Ontex N.V. Absorbent article
SI1547555T1 (sl) 2003-12-22 2007-06-30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Vpojni artikel
ATE404144T1 (de) * 2004-02-05 2008-08-15 Procter & Gamble Tampon mit versetzten rillen
USD511832S1 (en) * 2004-03-12 2005-11-22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barrel
US7618403B2 (en) 2004-05-14 2009-11-17 Mcneil-Ppc, Inc. Fluid management device with fluid transport element for use within a body
US8864640B2 (en) * 2004-05-14 2014-10-21 Mcneil-Ppc, Inc. Methods of packaging intravaginal device
US6939340B1 (en) 2004-05-21 2005-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adjacent wide and narrow raised portions
US7846171B2 (en) 2004-05-27 2010-12-07 C.R. Bar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prosthetic fabric into a patient
ATE526922T1 (de) 2005-01-19 2011-10-15 Ontex Internat N V Tampon
US20060167428A1 (en) * 2005-01-21 2006-07-27 Federica Denti Tampon having indicators
US7785308B2 (en) 2005-01-21 2010-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absorbency indicators on package
US7654991B2 (en) * 2005-01-21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duct array having indicators
US7175616B2 (en) 2005-01-21 2007-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cy protuberance identifier disposed on each tampon in the article array
ES2293524T3 (es) * 2005-02-24 2008-03-16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Un aplicador de tampon.
DK1704841T3 (da) * 2005-03-25 2009-01-19 Georgia Pacific France Indföringskonstruktion til tamponer
CN101193615B (zh) * 2005-06-28 2011-04-27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卫生棉条
US8216288B2 (en) * 2005-07-21 2012-07-10 Harry Lee Pin site wound protection system
DE102005050514A1 (de) * 2005-10-21 2007-04-26 Hysalma Hygiene Sales Und Marketing Gmbh Vaginal-Tampon
JP5249786B2 (ja) * 2006-02-02 2013-07-31 オンテックス ヒジェンアーティケル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ーエムビーエイチ タンポン
RU2417064C2 (ru) 2006-06-12 2011-04-27 Плейтекс Продактс, Инк. Аппликатор (варианты) и вкладыш тампона
WO2008005009A1 (en) * 2006-06-30 2008-01-10 Personal Product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make an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WO2008038983A1 (en) * 2006-09-29 200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JP5226689B2 (ja) 2006-11-08 2013-07-03 プレイテックス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バイパス漏れ保護性を高めたタンポン用綿撒糸
EP2094217B2 (en) 2006-11-24 2018-10-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Catamenial and sanitary tampons
US8574210B2 (en) * 2007-02-09 2013-11-05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with improved absorption capacity
US20080262464A1 (en) * 2007-04-18 2008-10-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0080275417A1 (en) * 2007-05-03 2008-11-06 Steven Ray Gilbert Tampon with patterned e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0080287902A1 (en) 2007-05-17 2008-11-20 Playtex Products, Inc. Tampon pledget for increased by-pass leakage protection
US8028385B2 (en) * 2007-09-25 2011-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tterned tampon and method of making
DE102008020640B4 (de) 2008-04-24 2010-09-09 Frank Ruhlmann Tampon
US20090281514A1 (en) 2008-05-06 2009-11-12 Playtex Products, Inc. Tampon pledget with improved by-pass leakage protection
EP2355763A2 (en) * 2008-11-13 2011-08-17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with a perforated outer cover
EP2367682B1 (en) * 2008-11-21 2014-04-16 McNeil-PPC, Inc.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ed substrates for articles of manufacture used in contact with human body surfaces
AU2009316439B2 (en) * 2008-11-21 2015-01-22 Kenvue Brands Llc Location of fatty acid esters on tampons and toxin inhibiting efficacy
US20110238028A1 (en) * 2008-12-16 2011-09-29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with modified constricted withdrawal end
JP5396131B2 (ja) * 2009-04-03 2014-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US9107775B2 (en) 2009-04-15 2015-08-1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Tampon pledget with improved by-pass leakage protection
US9155665B2 (en) 2009-06-29 2015-10-13 Sca Hygiene Products Ab Menstrual tampon
AT508455B1 (de) * 2009-06-29 2015-06-15 Ruggli Projects Ag Presse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AT508682B1 (de) * 2009-08-24 2015-11-15 Ruggli Projects Ag Presse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US8460262B2 (en) 2009-10-19 2013-06-11 Mcneil-Ppc, Inc. Tampon with segmented grooves
EP2590608B1 (en) 2010-07-09 2014-11-05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Press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EP2404584B2 (en) 2010-07-09 2023-09-27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disposed with longitudinal grooves and indentations
WO2012053986A1 (en) * 2010-10-20 2012-04-26 Tosama Tovarna Sanitetnega Materiala D.D. Hygienic tampon with improved sliding 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9814630B2 (en) 2010-12-23 2017-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device having a support portion with plurality of foldable areas
US9022919B2 (en) * 2010-12-23 2015-05-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ginal insert device having a support portion with plurality of struts
US8938866B2 (en) * 2011-05-03 201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grated tampon and method for making
US8916015B2 (en) * 2011-12-21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method of manufacture
AT513070B1 (de) * 2012-07-06 2014-04-15 Ruggli Projects Ag Alltagstampon
US8827975B2 (en) 2012-09-27 2014-09-09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with extended groove forms
US8834439B2 (en) 2012-09-27 2014-09-16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with continuous groove forms
US9168184B2 (en) 2012-09-27 2015-10-27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with penetrating groove segments
US9078787B2 (en) * 2012-09-28 2015-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utter press compressor with shaping elements
US9072629B2 (en) 2012-09-28 201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utter press compressor with movable jaws
US9072628B2 (en) * 2012-09-28 201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utter press compressor
USD804655S1 (en) * 2014-03-25 2017-12-05 Johnson & Johnson Gmbh Catamenial tampon
BE1021606B1 (nl) * 2014-04-07 2015-12-17 Ontex Bvba Tampon
US9873105B2 (en) * 2014-10-24 2018-01-23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orbent material and a method for enhancing sorption performance thereof
US9622919B2 (en) 2014-11-13 2017-04-18 Johnson & Johnson Gmbh Method of shaping a tampon for feminine hygiene
CN205849990U (zh) * 2016-06-23 2017-01-04 北京英佳麦迪克医用材料有限公司 一种妇科疾病治疗兼经期卫生用海绵
CN109475440A (zh) * 2016-07-29 2019-03-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制造棉塞的方法
USD834189S1 (en) 2016-07-29 2018-1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MX393178B (es) * 2016-07-29 2025-03-24 Kimberly Clark Co Tampon.
US11071656B2 (en) * 2016-11-07 2021-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I627943B (zh) * 2017-01-25 2018-07-01 簡元正 Tampon
CN108338868A (zh) * 2017-01-25 2018-07-31 简元正 卫生棉条
RU2761372C2 (ru) 2017-06-01 2021-12-07 Джонсон Унд Джонсон Гмбх Зажимные губки для тампонов
RU2689610C1 (ru) * 2018-01-16 2019-05-28 Юань-Чэн ЧИЭНЬ Деформируемый тампон
CH714846A9 (de) * 2018-03-29 2020-01-15 Ruggli Projects Ag Vorrichtung zur Formung von Tampons.
USD850783S1 (en) * 2018-05-08 2019-06-11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Case for menstrual product
US20210220184A1 (en) * 2018-08-03 2021-07-22 Anne's Day Ltd Absorbent tampon for treatment of menstrual symptoms
WO2020180571A1 (en) * 2019-03-01 2020-09-10 Tampro Inc. Reduced-leakage tampon
USD927686S1 (en) * 2019-08-20 2021-08-10 Tampro Inc. Feminine hygiene product
US12059331B2 (en) 2019-09-27 2024-08-13 Johnson & Johnson Gmbh Shaped tampon
US11918443B2 (en) 2019-09-27 2024-03-05 Johnson & Johnson Gmbh Apparatus for forming a catamenial tampon
AU2020354523A1 (en) * 2019-09-27 2022-05-19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press and shaped tampon
US11950986B2 (en) 2019-09-27 2024-04-09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press
USD977632S1 (en) 2020-02-26 2023-02-07 Tampro Inc. Tampon
USD1039690S1 (en) 2020-09-01 2024-08-20 Tampro Inc. Tampon
SI26083A (sl) * 2020-10-13 2022-04-29 Tosama Tovarna Sanitetnega Materiala D.O.O. Oblikovno stabilen fiziološko sprejemljiv in biološko razgradljiv higienski tampon ter postopek izdelave tovrstnega tampona
USD1046123S1 (en) 2023-04-28 2024-10-08 Tampro Inc. Tampon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712A (en) 1897-10-12 Plate-turner for rolling-mills
GB113275A (en) 1918-11-17 1918-10-10 Edmund Morse Pond Improvements in or pertaining to Medicated Tampons.
US2099931A (en) * 1935-04-15 1937-11-23 Int Cellucotton Products Tampon
US2798260A (en) 1950-10-31 1957-07-09 Niepmann Friedrich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and packing of pressings of fibrous material
US2761490A (en) * 1953-11-09 1956-09-04 Victor G Dugal Condensing of sheet materials
US2796260A (en) * 1954-10-26 1957-06-18 Moore Business Forms Inc Card stacker
US2815756A (en) 1955-10-12 1957-12-10 Personal Products Corp Flexible product
GB811756A (en) * 1956-10-22 1959-04-08 Stanley Constant Broggi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wab wires
US2965101A (en) * 1958-02-11 1960-12-20 Personal Products Corp Absorbent product
US3011495A (en) 1958-02-11 1961-12-05 Personal Products Corp Absorbent product
US3063453A (en) * 1960-04-06 1962-11-13 Personal Products Corp Absorbent product
NL142066B (nl) * 1964-09-14 1974-05-15 Hahn Carl Dr Kg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tampons.
NL6414000A (ko) * 1964-12-02 1966-06-03
US3854481A (en) 1967-01-13 1974-12-17 Hahn Carl Kg Tampon having an insertion end of lesser density than the body portion
GB1280499A (en) 1968-10-17 1972-07-05 Procter & Gamble Tampon and method of preparation
US3618605A (en) 1969-11-12 1971-11-09 Jacob A Glassman Catamenial tampon
CH586038A5 (ko) 1975-05-30 1977-03-31 Ruggli Ag Karl
US4175561A (en) * 1977-02-10 1979-11-27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s with improved absorption
SE414269B (sv) 1978-10-18 1980-07-21 Moelnlycke Ab Menstruationstampong
US4328804A (en) 1978-11-16 1982-05-11 Kazuo Shimatani Hygienic tampon and tampon applicator
US4379398A (en) 1980-06-12 1983-04-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Pull-back type indirect extrusion press
DE3049581C2 (de) 1980-12-31 1987-02-26 Dr. Carl Hahn GmbH,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mit einem Rückholband versehenen Tampons für die Frauenhygiene
US4335721A (en) * 1981-02-17 1982-06-22 Kimberly-Clark Corporation Tampon containing fusible portions
US4351339A (en) 1981-04-14 1982-09-28 Sneider Vincent R Tampon with a protective accordion-style cover
EP0089271B1 (fr) 1982-03-12 1986-05-28 Can Tran Dinh Perfectionnements à la fabrication des cotons-tiges et à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US4627849A (en) * 1982-06-30 1986-1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Tampon
DE3347649A1 (de) 1983-12-30 1985-07-11 Johnson & Johnson GmbH, 4000 Düsseldorf Tampon fue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DE3606150A1 (de) 1986-02-26 1987-08-27 Ver Papierwerke Ag Tampon-presse
US4755166A (en) * 1986-12-18 1988-07-05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fingered tampon applicator combination
GB2208277B (en) 1987-07-30 1991-11-13 Courtaulds Plc Cellulosic fibre
GB8907302D0 (en) 1989-03-31 1989-05-17 Smith & Nephew Tampons
DE3934153A1 (de) 1989-10-12 1991-04-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ue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JP3136742B2 (ja) * 1992-02-14 2001-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通信装置
DE4237795A1 (de) * 1992-11-09 1994-05-11 Johnson & Johnson Gmbh Verpackungsmaterial mit mindestens einer Schwächungslini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283952B1 (en) 1992-12-30 2001-09-04 Tambrands, Inc. Shaped tampon
DE4304505C2 (de) 1993-02-15 1995-05-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JP3386174B2 (ja) 1993-04-09 2003-03-17 忠弘 大見 フッ素樹脂成形品の平滑化方法および平滑成形品
DE4325220C2 (de) * 1993-07-28 1996-08-29 Ruggli Ag Karl Tampo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US6433246B1 (en) 1995-12-22 2002-08-13 Mcneil-Ppc, Inc. Tampon having improved early expansion characteristics
DE19747633C1 (de) * 1997-10-29 1999-03-11 Med Sse System Gmbh Alfred Von Tampon, insbesondere Analtampon
GB9905470D0 (en) * 1999-03-11 1999-05-05 Smith & Nephew Absorbent articles
DE20121759U1 (de) * 2001-03-26 2003-05-22 Johnson & Johnson GmbH, 40474 Düsseldorf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D477075S1 (en) * 2001-09-26 2003-07-0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with compressed grooves
US20030167048A1 (en) 2002-03-01 2003-09-04 Nini Policappelli Comfortable tampon
DE10244874C5 (de) * 2002-09-26 2010-10-07 Johnson & Johnson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für die Frauenhygiene
EP1481656A1 (en) * 2003-05-26 2004-12-01 Ontex N.V. Tampon having differentiated expansion capacity
US7070585B2 (en) 2003-11-21 2006-07-0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Tampon having recessed portions
EP1547554A1 (en) * 2003-12-22 2005-06-29 Ontex N.V. Absorbent article
US6939340B1 (en) 2004-05-21 2005-09-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adjacent wide and narrow raised por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3453B1 (en) 2006-08-16
ES2327394T3 (es) 2009-10-29
EP1381339A2 (en) 2004-01-21
EP1383453A2 (en) 2004-01-28
RU2003131345A (ru) 2005-04-20
NO20034290L (no) 2003-11-18
RU2003131349A (ru) 2005-04-20
DE60213961T3 (de) 2019-10-10
KR20030094305A (ko) 2003-12-11
WO2002076357A9 (en) 2003-01-09
US8735647B2 (en) 2014-05-27
ES2269719T3 (es) 2007-04-01
BRPI0208461B8 (pt) 2021-06-22
NO20034292L (no) 2003-11-19
ATE429885T1 (de) 2009-05-15
CA2442041C (en) 2011-10-04
WO2002076357A3 (en) 2003-11-20
DE10114786C2 (de) 2003-07-17
US20100205792A1 (en) 2010-08-19
MXPA03008863A (es) 2004-05-05
WO2002076357A2 (en) 2002-10-03
WO2002078586A3 (en) 2003-11-20
NO20034290D0 (no) 2003-09-25
BR0208461B1 (pt) 2012-06-26
ZA200308273B (en) 2004-10-25
US9125771B2 (en) 2015-09-08
RU2338497C2 (ru) 2008-11-20
US20120227228A1 (en) 2012-09-13
EP1381339B1 (en) 2009-04-29
DE10114786A1 (de) 2002-10-10
BR0208461A (pt) 2004-03-02
ZA200308275B (en) 2004-10-25
AR033447A1 (es) 2003-12-17
WO2002078586A2 (en) 2002-10-10
CN1535128A (zh) 2004-10-06
US20180078427A9 (en) 2018-03-22
CA2442271C (en) 2011-10-04
DE60213961T2 (de) 2007-02-01
CA2442271A1 (en) 2002-10-03
AR033446A1 (es) 2003-12-17
DE20121759U1 (de) 2003-05-22
DK1381339T3 (da) 2009-08-24
US10245189B2 (en) 2019-04-02
US10098793B2 (en) 2018-10-16
US9173778B2 (en) 2015-11-03
BR0208438A (pt) 2004-03-30
RU2338498C2 (ru) 2008-11-20
US20140276523A1 (en) 2014-09-18
MXPA03008862A (es) 2004-05-05
ATE336215T1 (de) 2006-09-15
CA2442041A1 (en) 2002-10-10
AU2002257702B2 (en) 2006-10-19
AU2002315264B2 (en) 2007-04-26
DE60232142D1 (de) 2009-06-10
PT1381339E (pt) 2009-08-05
US20020151859A1 (en) 2002-10-17
BR0208438B1 (pt) 2011-10-04
US20140265026A1 (en) 2014-09-18
EP1383453B2 (en) 2019-05-01
NO20034292D0 (no) 2003-09-25
DE60213961D1 (de) 2006-09-28
CN1531415A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3286A (ko) 나선형 홈들을 갖는 탐폰
AU2002315264A1 (en) Tampon having spirally shaped grooves
AU2002257702A1 (en) Tampon having spirally shaped grooves
CA2114373C (en) Tampon, especially for feminine hygiene,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it
US8905989B2 (en) Tampon with segmented grooves
EP1251815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digital tampon with uneven number of ribs
RU2665433C2 (ru) Тампоны с проникающими сегментами желобка
EP1547554A1 (en) Absorbent article
US11395770B2 (en) Tampon press jaws
US20140088541A1 (en) Tampon with continuous groove forms
ZA200604427B (en) Absorbent tampon providing clean digital insertion
AU2014200424A1 (en) Tampon with segmented gro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7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