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191A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3191A KR20030083191A KR1020020021627A KR20020021627A KR20030083191A KR 20030083191 A KR20030083191 A KR 20030083191A KR 1020020021627 A KR1020020021627 A KR 1020020021627A KR 20020021627 A KR20020021627 A KR 20020021627A KR 20030083191 A KR20030083191 A KR 200300831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ront panel
- link
- suction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이 간편하게 완전 개방되어 에어 필터의 청소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필터가 전면 중앙에 착탈되고 공기가 흡토출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에 하단이 착탈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 여닫힘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 패널을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할 경우 흡입 패널의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을 지지하는 링크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환할 경우 프론트 패널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므로, 에어 필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그릴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입패널이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 탈착되는 에어 필터의 청소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전면이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와, 상기 섀시(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섀시(10)와의 사이에 송풍기(미도시) 및 열교환기(6)의 수용공간을 갖는 프론트 패널(20)과,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홈부(21)에 걸이부(3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론트 패널(20)의 전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흡입 그릴(32)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20)에는 상기 흡입 패널(30)의 흡입 그릴(32)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 혼재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름되는 에어필터(22)와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전기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기(24)가 착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송풍기가 회전되면 공기조화기 전방의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32)을 통해 흡입 패널(30)의 후방으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필터(22)를 지나면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름되며, 상기 열교환기(6)에서 냉기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기는 프론트 패널(20)의 하부측에 형성된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상기한 공기조화기는 청결을 위하여 상기 에어 필터(22)를 청소하거나 교환하여야 할 경우 상기 흡입 패널(30)을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홈부(2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을 개방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는 상기 에어 필터(22)의 청소나 교환을 위해 상기 흡입 패널(30)을 수동으로 들어올려야 하고, 상기 흡입패널(3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 필터(22)를 장착 또는 탈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여러 차례 행하는 과정에서 흡입 패널(30)의 걸이부(34) 또는 프론트 그릴(20)의 홈부(21)가 닳아서 흡입 패널(30)이 프론트 패널(20)에서 자주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이 간편하게 완전 개방되어 에어 필터의 청소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전면이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동 정지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동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에어 필터를 착탈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섀시 53: 흡입구
53a: 상면 흡입그릴53b: 전면 흡입홀
54: 토출구56: 프론트 패널
56a: 상부 장식 패널56b: 하부 장식 패널
56c: 관통홀56e: 힌지 봉
57: 에어 필터58: 집진기
59: 안전벽 61a: 힌지 걸이
62: 흡입 패널64: 모터
66: 제 1 링크66a: 샤프트 끼움부
66b: 링크 연결부66c: 돌기
67: 제 2 링크67c: 힌지봉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는 에어 필터가 전면 중앙에 착탈되고 공기가 흡토출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에 하단이 착탈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의 전면 중앙에 여닫힘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 패널을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흡입 패널의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을 지지하는 링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동 정지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동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에어 필터를 착탈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벽에 장착되는 섀시(52)와, 상기 섀시(52)에 결합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3)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4)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56)과, 상기 섀시(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프론트 패널(56)과 섀시(52)의 사이로 강제 송풍시키는 팬(70)과, 상기 팬(7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71)와, 상기 흡입구(53)와 팬(70) 사이에 배치토록 상기 섀시에 지지되어 냉매에 의해 주변 공기를 냉기로 바꾸는 열교환기(76)와, 상기 토출구(54)에 설치되어 열교환기(76)를 지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디스챠지 그릴(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53)는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흡입그릴(53a)과,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전면 흡입홀(53b)로 구성되어 실내의 공기가 프론트 패널(56)의 상측과 전방에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54)는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76)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흡입홀(53b) 내측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름되는 에어 필터(57)와,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전기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집진기(58)가 착탈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56)에는 상기 전면 흡입홀(53b)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하부에 하단이 착탈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 여닫힘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패널(62)과; 상기 프론트 패널(56)에 배치된 모터(64)와; 상기 모터(64)에 연동되어 상기 흡입 패널(62)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 패널(62)을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흡입 패널(62)의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하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56)을 지지하는 링크(66,6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는 상기 흡입패널(62)의 하단에 돌출된 포크 형상의 힌지 걸이(61a)와,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홈(56d) 내부의 힌지봉(56e)으로 구성되어 힌지 걸이(61a)가 힌지 봉(56e)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된다.
즉, 상기 흡입 패널(62)이 회전될 때 상기 힌지 걸이(61a)는 힌지봉(56e)에 끼움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흡입 패널(62)을 프론트 패널(56)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 패널(62)을 들어 올리면 상기 힌지 걸이(61a)가 힌지봉(56e)에서 분리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상,하부 장식 패널(56a,56b)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 양측에는 상기 링크(66,67)가 관통되는 관통홀(56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패널(62)은 상기 링크(66,67)가 배면에 연결된 내판(62a)과, 상기 내판(62a)의 전면에 배치되고 강화유리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투명하게 성형되며 배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막(62b)이 도포된 외판(62c)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 전면부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막(62b)은 강화유리이나 합성수지의 배면을 연마하여 도포되는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이거나, 증착되는 유전체 다층막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판(62c)이 거울로서 작용한다.
또, 상기 흡입 패널(62)은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 패널(56a,56b) 사이에 단차없이 배치되어 상기 전면 흡입홀(56b)을 막고, 공기조화기의 구동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 흡입홀(56b)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에어 필터(57)나 집진기(58)의 착탈시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에서 분리되어 그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모터(64)는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스텝모터로서, 송풍량의 조절시 상기 링크(66,67)의 회전각을 가변시켜 상기 흡입 패널(56)의 배치각을 조절한다.
상기 링크(66,67)는 상기 모터(64)의 샤프트(64a)에 연결된 제 1 링크(66)와, 상기 제 1 링크(66)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 패널(62)의 배면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6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64) 및 제 1, 2 링크(66,67)는 상기 전면 흡입홀(56b) 양옆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흡입패널(62)의 양측을 보다 안정감 있게 회동시키고 지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시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내측면에는 프론트 패널(56)의 내측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벽(59)이 상기 관통홀(56c)의 옆에 사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전벽(59)의 옆에는 상기 모터(64)가 스크류(64b)로 고정되며, 상기 모터(64)의 샤프트(64a)는 상기 안전벽(59)의 일측벽에 형성된 홀(59a)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 1 링크(66)는 상기 모터(64)의 샤프트(64a)가 끼움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끼움부(66a)와, 상기 샤프트 끼움부(66a) 일측에 직교하게 돌출되고 단부에 상기 제 2 링크(67)의 일단(67a)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연결된 링크 연결부(66b)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 연결부(66b)에는 상기 모터(64)의 구동시 제 2 링크(67)를 흡입패널(62)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흡입패널(62)을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제 2 링크(67)가 링크 연결부(66b)와 180 미만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링크(67)가 걸림되는 돌기(66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링크(67)는 타단(67b)이 상기 흡입 패널(62)의 배면 상부에 힌지 연결된다.
즉, 상기 제 2 링크(67)는 타단(67b)에 힌지봉(67c)이 관통되는 힌지홀(67d)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 패널(62)에는 상기 제 2 링크(67)의 힌지홀(67d)과 대응되는 힌지홀(61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봉(67c)이 관통되는 좌, 우 돌기(61c)가 상기 제 2 링크(67)의 타단(67b) 두께보다 큰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상기 제 2 링크(67)의 타단(67b)이 상기 좌, 우 돌기(61c)의 사이에 놓인 후 상기 힌지봉(67c)이 상기 힌지홀(61c,67d)을 차례로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구동시에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64)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링크(66)가 회전되면, 상기 링크 연결부(66b)가 모터(64)의 샤프트(64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링크 연결부(66b)에 형성된 돌기(66c)는 상기 제 2 링크(67)에 걸림되어 상기 제 2 링크(67)를흡입패널(62)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흡입패널(62)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56)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흡입홀(53b)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팬모터(71)가 구동되어 상기 팬(70)이 회전되게 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전면 흡입홀(53b)과 상면 흡입그릴(53a)를 통해 프론트 패널 내측으로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필터(57)를 지나면서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집진기(58)를 지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온화되어 포집된다. 상기 에어 필터(57)와 집진기(58)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6) 주변을 지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차갑게 냉각되고, 상기 섀시(52)와 디스챠지 그릴(78)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토출구(54)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공기조화기의 송풍량을 변경시키는 경우, 상기 모터(64)는 상기 흡입 패널(62)의 경사각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상기 제 1 링크(66)의 회전각을 크게 또는 작게 하고, 상기 흡입패널(62)과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과의 간격을 변화되어 흡입 공기가 양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에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모터(71)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팬(70)이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모터(64)가 공기조화기 구동시와 반대로 구동되어 상기 제 1 링크(66)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66)의 링크 연결부(66b)는 상기 제 2 링크(67)를 끌어당기고, 상기 제 2 링크(67)는 상기 흡입 패널(62)을 전면 흡입홀(53b)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상기 흡입 패널(62)은 상기 힌지걸이(61a)가 힌지봉(56e)에 끼움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6) 전면 중앙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 흡입홀(63b)을 밀폐시킨다.
한편, 상기 에어 필터(57)나 집진기(58)의 청소 또는 교환을 위해 상기 흡입 패널(62)을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하여야 할 경우, 상기 흡입 패널(62)의 상부를 에어 필터(57)의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긴 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힌지 걸이(61a)는 상기 힌지봉(56e)에서 분리되고, 상기 흡입 패널(62)은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62)을 도 7,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부 전방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흡입 패널(62)은 상기 제 2 링크(67)에 매달린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장식 패널(56b)의 전방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전면 중앙은 완전 개방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에어 필터(57)의 전방에 흡입 패널(62)이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간섭 없이 에어 필터(57)를 편리하게 착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링크(67)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66)의 돌기(66c)에 걸림되어 180°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상기 흡입 패널(62)의 상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56)의 하부 장식패널(56b)의 전방 아래로 과이동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패널(62)의 외판(62c)에 사진, 표장, 휘장 등의 인쇄물(80)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인쇄물 삽입홈(62d)이 형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전면부에 사진, 표장, 휘장 등의 인쇄물(80)이 삽입되게 되면, 공기조화기 전면부의 미관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가 거울 이외에 액자 기능도 겸할 수 있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 패널이 내판(62a)과, 원목 문양의 불투명 재질로 성형된 외판(미도시)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벽걸이형 이외에 실내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등 다양한 종류의 공기조화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구조는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 배치된 흡입 패널이 공기조화기의 구동시에 전면 흡입홀을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에 전면 흡입홀을 밀폐시키므로, 공기조화기의 구동 정지시 전면 흡입홀 내측을 보호할 수 있고, 에어 필터의 청소나 교환을 위해 흡입패널을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할 경우, 흡입 패널의 상단이 프론트 패널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게 되어 프론트 패널 전면 중앙이 완전 개방되므로, 에어 필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흡입 패널은 링크수단이 배면에 연결된 내판과, 상기 내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강화유리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투명재질로 성형되며 배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막이 도포되어 유리로 작용하는 외판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 전면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모터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스텝모터로서, 송풍량의 조절시 상기 흡입 패널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제 1 링크와 흡입 패널의 배면에 힌지로 연결된 제 2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 패널의 분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 제 1 링크의 링크 연결부에는 흡입패널의 분리시 제 2 링크가 링크 연결부와 180 미만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링크가 걸림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흡입 패널이 필요 이상으로 처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 에어 필터가 전면 중앙에 착탈되고 공기가 흡토출되는 프론트 패널과;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에 하단이 착탈 가능한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 여닫힘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패널과;상기 프론트 패널에 배치된 모터와;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흡입 패널을 프론트 패널의 전면 중앙에서 분리할 경우 흡입 패널의 상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면 하부 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을 지지하는 링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흡입 패널은 상기 링크수단이 배면에 연결된 내판과, 상기 내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재질로 성형되며 배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막이 도포된 외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외판은 강화유리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외판은 일측에 인쇄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모터는 송풍량의 조절에 따라 상기 흡입 패널의 배치각을 가변시키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 패널의 배면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모터의 샤프트가 끼움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끼움부와, 상기 샤프트 끼움부 일측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단부에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연결된 링크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링크 연결부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시 제 2 링크를 흡입패널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흡입패널의 분리시 상기 제 2 링크가 링크 연결부와 180 미만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링크가 걸림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흡입 패널의 배면 상부에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링크는 타단에 힌지봉이 관통되는 힌지홀이 형성되고,상기 흡입 패널에는 상기 제 2 링크의 힌지홀과 대응되는 힌지홀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봉이 관통되는 좌, 우 돌기가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 두께보다 크게 이격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3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1627A KR20030083191A (ko) | 2002-04-19 | 2002-04-19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AU2002314572A AU2002314572A1 (en) | 2001-06-19 | 2002-06-18 | Air conditioner |
PCT/KR2002/001148 WO2002103248A2 (en) | 2001-06-19 | 2002-06-18 | Air conditioner |
MYPI20022266A MY136575A (en) | 2001-06-19 | 2002-06-18 | Air conditioner |
JP2002177818A JP3735592B2 (ja) | 2001-06-19 | 2002-06-18 | 空調装置 |
ES05078038T ES2314556T3 (es) | 2001-06-19 | 2002-06-19 | Acondicionador de aire. |
EP05078038A EP1657499B1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CNB200410055984XA CN1247941C (zh) | 2001-06-19 | 2002-06-19 | 空调机 |
CN02282980U CN2589858Y (zh) | 2001-06-19 | 2002-06-19 | 空调机 |
DE60229569T DE60229569D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AT05078040T ATE412146T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P06024670A EP1793178A3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PT02254266T PT1271065E (pt) | 2001-06-19 | 2002-06-19 | Ar condicionado |
EP06024669A EP1793177A3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DE60229568T DE60229568D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S02254266T ES2277986T3 (es) | 2001-06-19 | 2002-06-19 | Acondicionador de aire. |
TW091113368A TW593938B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US10/173,883 US6725684B2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DE60216541T DE60216541T2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S05078041T ES2314559T3 (es) | 2001-06-19 | 2002-06-19 | Acondicionador de aire. |
CNB021498695A CN1209579C (zh) | 2001-06-19 | 2002-06-19 | 空调机 |
AT05078038T ATE412144T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P05078040A EP1657501B1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DE60229566T DE60229566D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P02254266A EP1271065B1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ES05078039T ES2314557T3 (es) | 2001-06-19 | 2002-06-19 | Acondicionador de aire. |
AT05078041T ATE412147T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DE60229565T DE60229565D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P05078039A EP1657500B1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EP05078041A EP1657502B1 (en) | 2001-06-19 | 2002-06-19 | Air conditioner |
AT05078039T ATE412145T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ES05078040T ES2314558T3 (es) | 2001-06-19 | 2002-06-19 | Acondicionador de aire. |
AT02254266T ATE347675T1 (de) | 2001-06-19 | 2002-06-19 | Klimaanl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1627A KR20030083191A (ko) | 2002-04-19 | 2002-04-19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3191A true KR20030083191A (ko) | 2003-10-30 |
Family
ID=3237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1627A KR20030083191A (ko) | 2001-06-19 | 2002-04-19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8319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877B1 (ko) * | 2003-09-30 | 2007-04-20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100884047B1 (ko) | 2007-10-31 | 2009-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181644B1 (ko) * | 2005-10-26 | 2012-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1250131B1 (ko) * | 2006-01-16 | 201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2002
- 2002-04-19 KR KR1020020021627A patent/KR200300831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877B1 (ko) * | 2003-09-30 | 2007-04-20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101181644B1 (ko) * | 2005-10-26 | 2012-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1250131B1 (ko) * | 2006-01-16 | 201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0884047B1 (ko) | 2007-10-31 | 2009-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35592B2 (ja) | 空調装置 | |
KR20020019819A (ko) |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 |
KR2006007594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30083191A (ko)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
JP3828377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437047B1 (ko) |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 |
JPH11316032A (ja) | 窓型エアコンのグリルヒンジ装置 | |
KR100437050B1 (ko)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 |
KR20030083193A (ko) |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장치 | |
KR2006012876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144795B1 (ko) | 공기 청정 유닛 | |
KR20040084281A (ko) | 공기조화기 | |
KR20060057361A (ko) | 조명 기능을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302255Y1 (ko) | 결로 제거 장치 | |
KR20020002101A (ko) |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 |
KR20060122291A (ko) | 공기조화기 | |
KR200154579Y1 (ko) |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 |
JPH11248188A (ja) | 空調装置における室内吹出口構造 | |
KR100688210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17622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20100055929A (ko) | 공기조화기 | |
KR200154580Y1 (ko) |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 |
KR20100055928A (ko) | 공기조화기 | |
KR100319691B1 (ko) | 전면그릴을 갖춘 일체형 공기조화기 | |
CN100348921C (zh) | 相框式空调机的前面格栅的安装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