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78427A -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427A
KR20030078427A KR1020020017468A KR20020017468A KR20030078427A KR 20030078427 A KR20030078427 A KR 20030078427A KR 1020020017468 A KR1020020017468 A KR 1020020017468A KR 20020017468 A KR20020017468 A KR 20020017468A KR 20030078427 A KR20030078427 A KR 2003007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a
mugwort
extract
moxibustion
containing lo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800B1 (ko
Inventor
조봉관
이희정
Original Assignee
기장 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장 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장 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8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8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뜸쑥 추출물의 중량 기준으로, 에탄올 1∼2중량배, 수용성 연고 기제 4.5∼179.1중량배, 및 습윤제 0.9∼99.5중량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는 쑥뜸 시술 후 피부에 잔류되지 않아 시술시 경피를 통한 뜸쑥의 약리성분 흡수가 우수하여 쑥뜸 치료효과가 크고, 보관시 로션제의 건조없이 장기간 습윤상태가 유지되어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1)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처리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용매 처리 분획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및 그의 제조방법 {Lotion formulation containing moxa extract with improved epidermal absorption and storage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뜸쑥으로부터 인체에 유용한 약리성분을 추출한 후,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쑥뜸 시술방법은 간접구 방식과 직접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쑥뜸 방식들은 모두 뜸쑥 뭉치를 태울 때 연기가 발생하며, 시술시마다 매번 뜸쑥 뭉치에다가 불을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중에 뜸쑥 뭉치가 넘어져 화상당할 위험성이 있었다.
그리고 시술 후에는 시술부위로부터 뜸쑥 뭉치가 타고 남은 재를 번거롭게 청소해야 하고, 또한 시술 내내 시술자가 환자 곁에서 감시해야 하므로 시술자의 입장에서 많은 시간 낭비의 요소가 있어, 결국은 진료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개선을 위해, 쑥뜸 시술시 사용되는 뜸쑥 뭉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나 또는 뜸쑥 뭉치 대신에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뜸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과 그를 이용한 쑥뜸기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쑥뜸 시술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발명의 명칭 "쑥뜸용 기구"로 선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999-6494호)하여 등록(등록번호 제 10-297791호)된 바, 이에 의하면 쑥뜸기둥의 상부가 연소할 때 상부의 불똥이 떨어지지 않도록 쑥뜸 기둥을 고정할 수 있는 쑥뜸구를 구비하고, 시술후 피부에 묻어있는 쑥진을 닦아내지 않고 그위에 쑥뜸용 한지밴드를 붙여 약쑥의 약리작용을 도와주므로, 쑥진으로 인해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시술시 편리하도록 한 쑥뜸용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뜸쑥 뭉치 대신 뜸쑥 추출물 함유 제형을 사용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또 다른 선출원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 2001-20953호(원출원번호 제 1999-0036073호)에는 발열수단, 고정수단, 단열수단 및 패드수단으로 구성된 전자 쑥뜸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드수단에는 쑥엑스제 주입이 가능한 스펀지 막으로 된 액체 투과막이 구비되어 있어 발열수단이 발열하게 되면 투과막에 주입된 쑥엑스제가 녹아내려 약쑥성분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쑥뜸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자 쑥뜸기에 주입가능한 뜸쑥 추출물 함유 제형에 대해서도, 본 출원인은 발명의 명칭 "쑥엑스제 조제방법"으로 선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999-36073호 및 1998-40122호)하여 등록(등록번호 제 10-0297701호, 제10-0271821호)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약쑥 잎을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올과 같은 용매로 처리하여 쑥엑스를 얻고, 얻어진 쑥엑스를 에탄올로 희석하거나 분말화하여 팅크제 또는 로션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서 쑥엑스 함유 로션제 제조시 기제로서 바셀린을 사용하고 있으나, 바셀린의 물이나 알코올에 대한 용해성이 다소 낮아 쑥뜸 시술시 뜸쑥의 약리성분이 경피를 통한 흡수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시술 후에는 피부에 묻게 되어 그 잔류물을 제거하기가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바셀린의 비교적 높은 융점(38∼54℃)에 의해 보관시 응고가 쉽게 이루어져 쑥엑스제와 분리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쑥엑스 함유 로션제의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쑥뜸 시술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을 더욱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쑥으로부터 제조된 뜸쑥을 용매 처리하여 뜸쑥 추출물을 얻은 다음, 얻어진 뜸쑥 추출물을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와 함께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형화된 로션제가 경피를 통해서 뜸쑥의 약리성분 흡수가 개선되고, 습윤제의 흡습성에 의해 보관성이 크게 향상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뜸쑥의 약리성분의 경피흡수가 개선되고, 보관성이 향상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사용하기 위한 전자 쑥뜸기의 일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의 전자 쑥뜸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의 A-A'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열체, 2a, 2b : 전극단자, 3 : 전선,
4 : 프로브, 5 : 고정판, 6 : 제1열전달 매체,
7 : 케이스, 8 : 고무패드, 9 : 제2열전달 매체,
10 : 액체 투과막, 11 : 점착제.
본 발명에 따른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는 뜸쑥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에탄올 1∼2중량배, 수용성 연고 기제 4.5∼179.1중량배, 바람직하게는 6.3∼179.1중량배, 및 습윤제(humectant) 0.9∼99.5중량배, 바람직하게는 0.9∼59.7중량배를 포함한다.
쑥은 국화과의 아르테미시아속(Artemisia)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쑥으로는 사철쑥(인진, Artemisia capillaris), 사자발쑥(애초, Artemisia vulgaris), 비쑥(황호, Artemisia scoparia), 잔잎쑥(초고, Artemisia annua), 제비쑥(Artemisia japonica), 생당쑥(Artemisia messerschmidtiana), 흰쑥(Artemisia siebersiana)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용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쑥을 포함한다.
이러한 쑥은 그 종류마다 성분 조성이 다르지만, 사자발쑥의 경우 그 잎에는 정유 성분(시네올, α-투욘, 보르네올, 파라핀), 아데닌, 콜린, 비타민 A, B, 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쑥 외에도, 소량의 약재, 특히 육계(肉桂), 건강(乾薑), 정향(丁香), 목향(木香), 독활(獨活), 세신(細辛), 백지(白芷), 웅황(雄黃), 창출(蒼朮), 몰약(沒藥), 유향(乳香), 천초(川椒), 대산(大蒜), 황랍(黃蠟), 유황(硫黃)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쑥 이외에 상기 약재들이 갖는 약리작용을 더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뜸쑥"이라 함은, 쑥의 잎 부분을 건조하여 제분한 것을 말한다.
상기 수용성 연고 기제는 피부에 존재하는 염류, 지방질, 단백질 등을 쉽게 융해하여 쑥뜸 시술시 약리성분의 경피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과 같이 흡습성이 강한 물질로서, 상기 최종 제조되는 로션제가 건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수용성 연고 기제가 4.5중량배 미만에서는, 뜸쑥의 약리성분의 경피흡수가 미약하고, 179.1중량배를 넘는 경우에는 뜸쑥 추출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뜸쑥의 약리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없다. 또한 습윤제의 경우, 0.9중량배 미만에서는 흡습성이 만족스럽지 못해 시간 경과에 따라 본 발명의 로션제가 건조될 우려가 있고, 99.5중량배를 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전자쑥뜸기에 주입시 온열을 가하거나 외부 기온이 높을 때 습윤제가 본 발명에 따른 로션제의 제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상대적으로 수용성 연고 기제의 양이 적어져 약리 성분의 경피 흡수가 약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 쑥으로부터 뜸쑥을 제조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처리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용매 처리 분획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를 첨가하여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는, 사철쑥, 사자발쑥, 비쑥, 잔잎쑥, 제비쑥, 생당쑥 및 흰쑥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건조시킨 후 제분하여 뜸쑥을 제조하고, 뜸쑥 중량의 2∼5배의 메탄올에 침지시켜 약 1일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여과물을 제거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매를 동량 첨가하여 분별깔때기(separation funnel)에서 층분리시킨다. 이후, 용매층을 선택 분리한 다음, 여과, 감압농축하여 용매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의 용매 처리 분획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얻는다.
쑥뜸 시술을 위해,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사용할 수 있는 쑥뜸 치료용 전자 쑥뜸기 구조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전자 쑥뜸기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3의 전자 쑥뜸기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A-A' 단면부분을 확대시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사용할 수 있는 쑥뜸 치료용 전자 쑥뜸기는 전원공급수단,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을 하부에서 고정 및 지지하면서 상기 발열수단의 열을 피부에 간접 전달하기 위한 제1열전달 매체(6)를 구비한 발열체 고정수단, 상기 발열수단 및 발열체 고정수단의 상부와 측면 전체를 둘러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여 상기 발열수단의 열이 상부와 측면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수단, 및 피부와의 접촉면을 갖는 고무 패드(8)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열전달 매체에 의해 간접 가열되게 하고, 상기 제1열전달 매체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2열전달 매체(9)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발열체 고정수단에 착탈되는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을 포함한다.
즉, 전원 공급수단으로서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원 접속용 프로브(4)가 전선(3)을 통해 연결된 두 전극단자(2a)(2b)가 구비되어 있다.
발열수단으로서는, 상기 두 전극단자(2a)(2b)를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속하여 그 전극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일정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체(1)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열체는 양의 온도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갖는 세라믹 저항 발열체 또는 도전성 고분자 발열체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고분자 발열체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등의 고분자 물질에 카본 블랙 등의 전기 양도체를 혼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전성 고분자 발열체는 두 물질을 혼합하는 비율에 따라서 전기적 특성, 발열온도, 융점 등이 정해지므로 상기 혼합비율을 조정하는 것으로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저항체이다.
단열수단으로서는, 상기 발열체의 상부와 측면 전체를 둘러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체에 연결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전선 안내홈을 측면 소정 위치에 형성한 케이스(7)가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 고정수단에는, 상기 발열수단에 리드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판(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열전달 매체(6)의 중앙부분에 상기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과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제1버튼 접촉수단(6a)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수단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제1버튼 접촉수단(6a)을 각각 안내하기 위한 통공(1a)(5a)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열전달 매체(6)는 제1버튼 접촉수단(6a)이 상기 두 통공(1a, 5a)을 따라 안내되어 고정판과 발열체에 차례로 결합되고,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열전달 매체(9)의 중앙부분에 상기 제1버튼 접촉수단과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제2버튼 접촉수단(9a)을 형성하고, 상기 고무 패드(8)에도 상기 제2버튼 접촉수단을 안내하기 위한 통공(8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열전달 매체(9)는 제2버튼 접촉수단이 통공(8a)을 따라 안내되어 고무 패드(8)에 결합되고, 다시 상기 제1열전달 매체의제1버튼 접촉수단(6a)에 결합되어 제2열전달 매체에도 열 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무 패드(8)에는, 상기 피부와 접촉되는 면의 중앙부분 소정 위치에 피부 쪽으로 개구되는 홈(도 2에는 생략, 도 4 참조)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제2열전달 매체(9)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삽입한 스펀지 고무판으로 구성함으로써 고무 패드 전체에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에는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주입이 가능한 스펀지 막으로 된 액체 투과막(1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2열전달 매체에 의해 간접 가열되도록 상기 고무 패드의 피부 접촉면에 상기 제2열전달매체와 일체로 부착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 패드 뿐만 아니라 스펀지막에 주입된 로션제에 의해서도 쑥뜸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은 액체 투과막(10)에 로션제를 원하는 양만큼 임의로 주입하여 수회 반복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회용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쑥뜸용 패드수단에는 또한, 상기 고무 패드와 피부와의 점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무 패드의 피부 접촉면에 점착제(11)를 부착(도 4 참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쑥뜸기와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이용한 쑥뜸 시술 동작을 보면, 먼저,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가 주입된 액체 투과막(10)을 부착한 고무 패드(8)를 제2열전달 매체(9)와 제1열전달 매체(6)의 각 버튼 접촉수단(6a)(9a)을 이용하여 상기 발열체 고정수단에 결합시킨 후, 쑥뜸할 환부에 전자 쑥뜸기를 올려놓으면 전자 쑥뜸기의 점착제가 피부에 접촉되면서, 그와 동시에 고정된다. 그 이후에 상기 쑥뜸기의 프로브(4)를 통해 전원을 연결하여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 쑥뜸기 내부의 두 전극단자(2a)(2b)를 통해 발열체(1)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하게 되며, 상기 발열체가 발열하면서액체 투과막(10)에 주입되어 있던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가 녹아내리게 되고, 그 녹아내린 뜸쑥성분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쑥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전자 쑥뜸기는 특정온도(예를 들어 100℃) 이전까지는 양의 온도계수의 저항특성을 갖게 된다. 이때 발열체(1)는 조성된 물질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일정한 온도에서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라진 쑥의 생약성분이 피부 조직으로 침투하여 쑥의 약리작용과 발열체의 온열작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간편하게 쑥뜸 시술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사용가능한 전자 쑥뜸기의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주입가능한 모든 구조의 쑥뜸기 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재배 후 3년 숙성된 사자발쑥을 충분히 건조한 후, 제분하여 뜸쑥으로 만든 다음, 뜸쑥 중량 기준으로 2∼5중량배의 메탄올에 침지시킨 후, 24시간 후에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3번 반복하여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회전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한 후, 증류수에 용해시켜 분별깔때기에 넣고,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더 넣은 다음, 24시간 방치시켰다. 분별깔때기의 상층으로부터 뜸쑥 에틸아세테이트 용출부분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분별과정을 5회 반복하여 뜸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다. 얻어진 뜸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회전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뜸쑥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뜸쑥 추출물 1g을 에탄올 1.5ml에 용해시킨 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수용성 연고 기제 79.2g 및 글리세린(98%) 19.8g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최종적으로 제조하였다.
수용성 연고 기제의 성분 및 조성
성 분 함 량 (중량%)
경납스테아릴 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 4000농글리세린세탄올라우릴 황산나트륨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정제수 3.811.63.819.22.30.90.0870.012잔량
실시예 2
에틸아세테이트 대신에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수용성 연고 기제 대신에 바셀린 기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글리세린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 잔류도 측정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전자 쑥뜸기의 액체 투과막에 주입하고, 쑥뜸 시술을 진행한 후, 피부에 남아있는 잔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및 2의 로션제를 사용했을 경우 피부에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에서는 바셀린의 잔량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가 약리성분의 경피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응고도 측정
실시예 1 및 2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전자 쑥뜸기의 액체 투과막에 주입하기 위해 온도를 가한 후, 수일 동안 상온 방치하여도 물성에 전혀 변화가 없었고, 습윤상태가 계속 유지되었다.
비교예 1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전자 쑥뜸기의 액체 투과막에 주입하기 위해 온도를 가하였더니 뜸쑥 추출물과 바셀린의 분리가 관찰되었고, 비교예 2의 로션제를 주입한 후 방치하였더니 시간의 흐름에 따라 건조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에 포함된 글리세린이 습윤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는 시술 후 피부에 잔류하지 않아 시술시 경피를 통한 뜸쑥의 약리성분 흡수가 우수하여 쑥뜸 치료효과가 크고, 보관시 로션제의 건조없이 장기간 습윤상태가 유지되어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Claims (11)

  1. 뜸쑥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에탄올 1∼2중량배, 수용성 연고 기제 4.5∼179.1중량배, 및 습윤제 0.9∼99.5중량배를 포함하는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2. 제 1항에 있어서, 뜸쑥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에탄올 1∼2중량배, 수용성 연고 기제 6.3∼179.1중량배, 및 습윤제 0.9∼59.7중량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육계(肉桂), 건강(乾薑), 정향(丁香), 목향(木香), 독활(獨活), 세신(細辛), 백지(白芷), 웅황(雄黃), 창출(蒼朮), 몰약(沒藥), 유향(乳香), 천초(川椒), 대산(大蒜), 황랍(黃蠟) 및 유황(硫黃)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뜸쑥이 사철쑥, 사자발쑥, 비쑥, 잔잎쑥, 제비쑥, 생당쑥 및 흰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뜸쑥이 사자발쑥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연고 기제가 경납, 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농글리세린, 세탄올, 라우릴 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 부틸 및 정제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가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
  8. (1) 쑥으로부터 뜸쑥을 제조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뜸쑥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처리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용매 처리 분획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수용성 연고 기제와 습윤제를 첨가하여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뜸쑥이 사철쑥, 사자발쑥, 비쑥, 잔잎쑥, 제비쑥, 생당쑥 및 흰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뜸쑥이 사자발쑥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용매가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의 제조방법.
KR1020020017468A 2002-03-29 2002-03-29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468A KR100540800B1 (ko) 2002-03-29 2002-03-29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468A KR100540800B1 (ko) 2002-03-29 2002-03-29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427A true KR20030078427A (ko) 2003-10-08
KR100540800B1 KR100540800B1 (ko) 2006-01-10

Family

ID=3237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4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800B1 (ko) 2002-03-29 2002-03-29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85B1 (ko) * 2006-05-17 2007-10-17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가지는 비쑥추출물
KR101323930B1 (ko) * 2011-06-15 2013-10-31 주식회사 파이로젠 두향엽 추출물과 캡사이신을 이용한 뜸, 찜질 크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248A (ko) * 1987-10-29 1989-06-12 이흥복 약쑥(매엽)에 한방생약제가 함유된 전신피부보호 한방 약쑥 쓰킨로숀 제조 방법
JPH02119863A (ja) * 1988-10-28 1990-05-07 Yoshinobu Sugimoto 加温灸配合物
KR19980025262A (ko) * 1998-04-08 1998-07-06 유성인 한방 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한방찜수기
KR20000012260A (ko) * 1999-11-08 2000-03-06 경원석 약효증강 기능성 약뜸쑥·약뜸봉의 제조방법
KR100320035B1 (ko) * 2000-06-03 2002-01-09 조봉관 쑥엑스제 조제방법
KR100381441B1 (ko) * 2000-06-14 2003-04-26 기장 메디칼 주식회사 약쑥과 약재혼합쑥을 이용한 경피흡수제와 그 제조방법 및사용방법
KR101334078B1 (ko) * 2013-01-08 2013-11-28 (주)호명기술단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85B1 (ko) * 2006-05-17 2007-10-17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가지는 비쑥추출물
KR101323930B1 (ko) * 2011-06-15 2013-10-31 주식회사 파이로젠 두향엽 추출물과 캡사이신을 이용한 뜸, 찜질 크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800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4441B2 (en) Moxa extract formulation for electrical moibustion,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moxibustion using the formulation
EP0606786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thermal injuries of warm blooded mammals and human
CN106137801B (zh) 一种植物精油香膏及其制备方法
KR100962344B1 (ko)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070062191A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0800B1 (ko) 경피흡수성 및 보관성이 개선된 뜸쑥 추출물 함유 로션제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EP1925310A1 (en) Plant extracts from genera Plectranthus and Centella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enhancing healing of wounds for diabetics patients
Hausen et al. Sunflower allergy On the constituents of the trichomes of Helianthus annuus L.(Compositae)
JP2004359571A (ja) サイクリックAMP(cAMP)産生阻害剤
KR100320034B1 (ko) 전자 쑥뜸기
CA2493277C (en) Antipyrot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320035B1 (ko) 쑥엑스제 조제방법
Shekokar et al. A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f prospective of bhrungaraj (Eclipta alba Hassk.)
KR20150089234A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81441B1 (ko) 약쑥과 약재혼합쑥을 이용한 경피흡수제와 그 제조방법 및사용방법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302526B2 (ja) ヨモギ精油外用剤
KR101031092B1 (ko) 모기 기피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KR100507323B1 (ko)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97701B1 (ko) 쑥엑스제 조제방법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