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2249B1 -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49B1
KR100712249B1 KR1020050033312A KR20050033312A KR100712249B1 KR 100712249 B1 KR100712249 B1 KR 100712249B1 KR 1020050033312 A KR1020050033312 A KR 1020050033312A KR 20050033312 A KR20050033312 A KR 20050033312A KR 100712249 B1 KR100712249 B1 KR 10071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hubarb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oily skin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026A (ko
Inventor
윤경섭
김미진
홍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05003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은 피부의 모공수축효과, 항염효과 및 항여드름효과 평가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지의 과잉분비를 억제하고 뛰어난 여드름균 억제효과를 가진다.
지성피부, 화장료, 모공수축효과, 항염효과, 항여드름효과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Oily to acne skin cosmetics composite containing oriental herb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맑고 깨끗한 피부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누구나의 염원이지만 실상 이런 피부를 갖고 있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다. 사람마다 각기 여러 가지 피부트러블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넓은 모공은 얼굴이 지저분해 보이고 화장이 쉽게 지워질 뿐만 아니라, 한번 넓어지면 좀처럼 작아지기 힘들기 때문에 피부 최대의 적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모공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모공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화장품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가 변성되고 점차 감소함에 따라 피부탄력이 없어지고 쳐져서 모공이 늘어나 보이거나, 또는 과다한 피지 분비가 주원인이다. 피부표면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렌, 왁스에스텔 등 피지선 유래 지질인 피지와 인지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텔 등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표피유래 지질인 피표지질이 존재한다.
피지는 표피표면에서 얇은 피지막을 형성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막고 여러 가지 물질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또한 피부표면의 윤활작용과 수분증발 억제작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피지는 자외선에 의해 과산화지질을 생성하여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피지선 기능항진으로 인한 과다 피지분비로 피부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등의 박테리아균이 피지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해시켜 염증을 야기함으로서 여드름이 형성된다. 피지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은 여드름균이 생성하는 리파제(lipase)에 의해 유리지방산으로 분해되고, 이때 생기는 자극으로 피부표면에 각질화가 진행된다.
최근 화장품 개발에 있어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은 화장품이 피부에 미치는 독성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부작용을 줄이며, 피부의 각종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까지 갖춘 순수 한방 처방을 이용한 한방화장품 개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한방 약물이나 피부에 대한 올바른 지식없이 단순히 미용만을 위한 미용팩 등을 전문가와 상의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 또한 심각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지성피부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화장품 개발에 박차를 가 하고 있는 기술적 배경하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공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피부 각질화를 방지하면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미용적 효과 및 치료적 효과까지도 함께 발현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 지성피부 개선에 효과가 뛰어난 생약재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에 있어 각각의 함량이 추출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함량이 혼합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의 추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5 내지 37℃의 온도로 1 내지 15일간 침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의 추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50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20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성피부에서 흔히 보이는 피지의 과다분비를 열(熱)이 울체되어 나타난다고 보는 한방학적 이론에 근거한다. 이러한 열에는 풍한(風寒)이 피부에 울체되거나 비위의 습열(脾胃濕熱), 간담의 습열(肝膽濕熱) 등 실열(實熱)의 범주에 속하는 것과 혈열(血熱) 폐, 간, 신의 음허열(陰虛熱) 등 허열(虛熱)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한방에서 다수의 약물을 배합하여 하나의 처방을 구성할 때 근거하는 군신좌사(君臣佐使)의 원칙에 기초한다. 여기서 군은 군약(君藥)을 뜻하는 것으로 하나의 처방에서 가장 주된 작용을 하는 약물로 대표적인 증상에 적합한 것이다. 신약(臣藥)은 주(主) 작용 약물인 군약의 효력을 보조해주고 강화시키는 약물이다. 좌약(佐藥)은 군약이 유독(有毒)한 경우 그 독성을 완화해줄 때, 혹은 주된 증상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해소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이다. 사약(使藥)은 처방의 작용 부위를 질병 부위로 인도하는 작용과 여러 약들을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을 한의학에서 방제학(方劑學)이라 한다.
본 발명은 본초학의 한약의 약성을 기(氣), 미(味), 색(色)의 셋으로 구분하여 약물의 성질을 구분하는 약성학(藥性學)인 기미론(氣味論)과 성분 간의 상승효과를 위한 군신좌사 방제학 원리에 근거하여 선정한 과루근, 오매, 대황, 의이인, 백급, 고삼, 황련, 창이자, 부평초, 백지 등 50여종의 약재로부터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하여 선택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이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효과, 항염효과 및 항여드름효과를 가지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지의 과잉분비를 억제하고 뛰어난 여드름균 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약재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문헌인 『약초의 성분과 이용』(일월서각, 1991), 『한국본초도감』(교학사, 1998), 『한약자원식물학』(학문출판, 1999) 및 『한약생약규격집』(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 한국의약시험연구소, 2000) 등을 통해 알려져 있는 약리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추출되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황(大黃, Rhei Rhizoma)은 마디풀과(Polygonaceae) 대황(Rheum undulatum L.)의 뿌리이다. 6 내지 7년 경과한 원뿌리의 껍질과 우엉 모양을 한 잔뿌리들을 제거하여 그대로 또는 통째로 썰어서 말린 것을 사용한다. 다년생 초본식물로 굵은 황색 뿌리가 있고, 곧게 자란 원줄기의 높이는 1m에 달한다. 속이 비어 있으며, 잎 모양은 넓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잎몸 길이는 25 내지 30㎝이다. 뒷면의 잎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가 드물게 있고 끝도 둔한 편이다. 꽃은 7 내지 8월에 피고, 꽃자루가 있는 황백색 꽃이 꽃이삭에서 돌려난다. 지하부는 수직으로 내린 원뿌리에 우엉 모양의 뿌리가 많이 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삼각형 모양이며 날개가 있고 8월에 익는다. 원산지는 중국 서장, 청해 지방이며,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주성분은 안트라퀴논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탄닌 등이다. 안트라퀴논유도체들은 설사작용이 있고 탄닌은 수렴(지사)작용과 건위 작용을 한다. 대황은 실열(實熱)을 치료하고 강력한 사화해독(瀉火解毒)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지성피부로 유발되는 각종 피부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되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삼(苦蔘, Sophorae Radix)은 콩과(Leguminosae) 고삼(Sophora angustifolia S. et Z.)의 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대부분 벗긴 뿌리이다. 우리나라 전지역, 일본, 중국 등지의 양지 바른 풀밭에 분포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80 내지 100㎝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띠며 곧고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꽃은 6 내지 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가지 끝에 20㎝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나비 모양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9 내지 10월에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7 내지 8㎝의 협 과로 익으며 염주 모양이다.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d-마트린, d-옥시마트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마키아인계의 물질은 항피부사상균 작용이 있다. 항균, 소염, 항알러지, 항암, 이뇨 및 강심작용을 하고, 청열조습(淸熱燥濕) 및 거풍살충(祛風殺蟲)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염증성 피부질환과 소양감을 치료하고 남성호르몬 분비를 억제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되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황련(黃連, Coptidis Rhizoma)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황련(Coptis japonica M.)의 뿌리줄기이다. 여러해살이풀로 노란뿌리가 잇달아 있다하여 황련이라 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잎의 길이 5 내지 9㎝ 너비 7 내지 10㎝로 뿌리줄기 끝에 모여난다. 줄기는 지상경이 없고 근경은 짧으며 많은 잔뿌리가 난다. 꽃은 4 내지 5월에 분홍색으로 피며, 과실은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뿌리처럼 길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흑색이다. 알칼로이드의 베르베린(C20H19O5N) 등과 오바쿠논 및 오바쿠라톤을 함유한다. 황련의 베르베린은 혈압내림, 강심, 해열, 억균, 진정 및 항염작용이 있으며, 피부사상균이나 흰색칸디다균을 죽인다고 한다. 이와 같이 황련은 항균, 항바이러스, 소염 및 해열작용을 가진 대표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지성피부에서 생기는 각종 염증성 질환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되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창이자(蒼耳子, Xanthii Fructus)는 국화과(Compositae)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의 열매이다.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자란다. 여름에 연한 녹색 꽃이 피어 가을에 열매가 익는데 열매에 가시가 많아 스치기만 해도 옷에 잘 달라붙는다. 가장 널 리 흔하게 쓰는 민간 약초로, 가을에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한다. 창이자, 시이실, 호실, 지규, 시일, 상사 등으로 부르며 예로부터 나병, 축농증, 비염, 관절염 등의 치료약으로 이름이 높다. 잔토스트루마린(Xanthostrumarin), 지방유(리놀산, 올레인산, 포화지방산), 탄닌, 알칼로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C, 황산화합물, 색소 등을 함유하며, 요오드 함량이 높은 식물이다. 혈당 강하, 소염, 진통, 항균, 항암 및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혈액에 대한 작용 및 호흡기에 대한 작용이 있으며 풍습열(風濕熱)로 인한 피부의 발진과 소양증을 치료하는데, 이로 인해 여드름 피부에서 피지가 모공을 막아 발생하는 국소 염증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에 있어 각각의 함량이 추출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한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생약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본래 목적하는 효과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어느 한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생약재의 함량이 낮아져 본래 목적하는 모공수축, 항염 및 항여드름균 효과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림직하다. 추출물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 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사용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크림류, 세안용 화장품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함량은 혼합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한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생약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본래 목적하는 효과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달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어느 한 생약재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생약재의 함량이 낮아져 본래 목적하는 모공수축, 항염 및 항여드름균 효과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달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의 추출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정제수 및 메탄올, 에탄올, 프리필렌글라이콜, 프로필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 부틸알 코올,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매는 생약재 혼합물 총중량대비 1 내지 20배의 양으로 가해지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의 사용량이 생약재 혼합물 총중량대비 1배 미만이면 생약재 전체가 골고루 추출되기 어려워 본래 목적하는 추출효과를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추출용매의 함량이 생약재 혼합물 총중량대비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 후 유효성분의 함량이 낮을 수 있어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의 추출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추출방법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출하는 냉침법, 냉침법과 유사하나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침출하는 온침법,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침출하는 가열추출법, 퍼콜레이터(percolater)를 사용하는 퍼콜레이션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추출방법으로는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한 후, 5 내지 37℃의 온도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 추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거나,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냉각콘덴서를 장착시킨 후 50 내지 95℃의 온도조건에서 1 내지 20시간 열을 가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실온추출 혹은 가열추출 모두가 바람직하나, 실온추출 방법이건 가열추출 방법이건 추출온도가 너무 낮거나 추출시간이 너무 짧으면 유효성분이 유효하게 추출되지 못하여 본래 목적하는 추출효과를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추출에서 유효성분이 충분히 유효하게 추출되는 조건보다도 추출온도가 높거나 추출시간이 길어도 추출된 유효성분에 영향은 주지 않으나 유효성분이 충분히 유효하게 추출되는 조건보다 가혹한 조건으로 추출하는 것은 굳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실시예 1 내지 3
정선된 대황 1000g을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1과 같은 각각의 추출용매 5㎏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분말상태의 대황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추출 실시예 추출용매 대황 추출물(g)
1 30% 함수 에탄올 35.0
2 70% 함수 에탄올 32.5
3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28.6
추출 실시예 4 내지 6
정선된 고삼 1000g을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2와 같은 각각의 추출용매 5㎏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분말상태의 고삼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추출 실시예 추출용매 고삼 추출물(g)
4 30% 함수 에탄올 29.5
5 70% 함수 에탄올 32.7
6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22.1
추출 실시예 7 내지 9
정선된 황련 1000g을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3과 같은 각각의 추출용매 5㎏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분말상태의 황련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추출 실시예 추출용매 황련 추출물(g)
7 30% 함수 에탄올 35.4
8 70% 함수 에탄올 32.6
9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23.7
추출 실시예 10 내지 12
정선된 창이자 1000g을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4와 같은 각각의 추출용매 5㎏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분말상태의 창이자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추출 실시예 추출용매 창이자 추출물(g)
10 30% 함수 에탄올 39.4
11 70% 함수 에탄올 37.1
12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25.2
추출 실시예 13 내지 15
정선된 대황 250g, 고삼 250g, 황련 250g 및 창이자 250g을 정량하여 추출기에 넣은 후, 하기 표 5와 같은 각각의 추출용매 5㎏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6일간 침적하여 추출한 후, 40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다음, 0.45㎛ 필터로 2차 여과하였다. 이 추출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분말상태의 혼합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추출 실시예 추출용매 혼합 추출물(g)
13 30% 함수 에탄올 32.3
14 70% 함수 에탄올 34.0
15 30% 함수 부틸렌글라이콜 23.8
실험예 1. In vitro 모공수축효과 평가시험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서 알부민을 사용하여 알부민의 응집 정도로 모공수축효과를 판단하였으며, 전술한 실시예 3, 6, 9, 12 및 15에 따라 수득된 생약재 추출물의 모공수축효과를 평가하였다.
0.3% 알부민을 0.05M 구연산완충액(pH 4.5)에 용해시킨 후, 0.3% 알부민 용액 2㎖에 고형분 2㎎을 함유한 추출물 시료 1㎖를 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 후, 650㎚ 파장대역에서 자외선-가시광선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모공수축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생약재 추출물 시료 대신 구연산완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알부민 용액 대신 완충액을 넣어 생약재 추출물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흡광도의 값이 클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추출 실시예 추출물 시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고형분 양(㎎) 흡광도
대조군 구연산완충액 - 0.0002
3 대황 추출물 2.0 0.3827
6 고삼 추출물 2.0 0.0010
9 황련 추출물 2.0 0.0005
12 창이자 추출물 2.0 0.0049
15 대황+고삼+황련+창이자 추출물 2.0 0.4747
상기 표 6에 나타낸 결과에서와 같이,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4종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모공수축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In vitro 항염효과 평가시험
전술한 실시예 3, 6, 9, 12 및 15에 따라 수득된 생약재 추출물의 항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에 대한 활성저해를 측정하였다.
염증 발생경로의 주된 원인으로 효소의 활성에 의한 염증 생성요인을 들 수 있다. 세포막의 인지질을 포함한 구조 단백질들은 그들을 분해하는 효소나 자외선 또는 기타 주변 환경 등에 의해서 분해되는 경로를 거쳐 다량의 프리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염증의 정도는 커진다. 즉, 염증의 생성요인인 리폭시게네이즈 활성저해율을 측정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항염효과를 평가하였다.
리폭시게네이즈의 활성저해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mM 리놀레산(linoleic acid) 1㎖에 고형분 0.2㎎을 함유한 추출물 시료 0.1㎖ 및 0.1M의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0)에 용해시킨 50,000 units/㎖ 리폭시게네이즈 0.9㎖를 넣은 후, 25℃의 수욕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20%(w/v)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0.5㎖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0.6%(w/v) 티오바비튜릭산(thiobarbituric acid, TBA)을 1㎖ 넣은 후 끓는 물에서 10분간 발색시켰다. 그 후 얼음물에 2분간 냉침시키고, n-부탄올 2㎖를 넣고 진탕혼합한 후, 3,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n-부탄올층)을 취하여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 535㎚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리폭시게네이즈의 활성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항염효과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리폭시게네이즈 대신 완충액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항염효과를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20893179-pat00001
추출 실시예 추출물 시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고형분 양(㎎) 저해율(%)
3 대황 0.2 13
6 고삼 0.2 16
9 황련 0.2 -
12 창이자 0.2 35
15 대황+고삼+황련+창이자 0.2 26
상기 표 7에 나타낸 결과에서와 같이,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단일추출물의 경우 대황 13%, 고삼 16%, 및 창이자 35%의 리폭시게네이즈의 활성저해율을 보였으며, 황련의 경우 상기 실험 농도에서는 리폭시게네이즈의 활성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4종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26%의 리폭시게네이즈의 활성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창이자 추출물 외에 각각의 단일 생약재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항염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단일 추출물에 대한 저해율의 단순한 평균값보다 항염효과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시험 (최소저해농도(MIC) 측정)
전술한 실시예 3, 6, 9, 12 및 15에 따라 수득된 생약재 추출물에 대한 항여드름균 효과를 시험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여드름균 균주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이며,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을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lction for Type Cultures, KCTC)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한 최소저해농도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여드름균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BHI (brain heart infusion) 액체 배지에서 48시간 전배양하였다. 각 추출된 생약재추출물을 제균 필터하여 시료용액으로 제조한 다음, 시료용액에 미리 전배양시킨 여드름균의 균액을 1%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37℃의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여드름균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추출 실시예 추출물시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고형분 농도(%)
0.05 0.02 0.01 0.005 0.001
3 대황 - + + + +
6 고삼 - - - + +
9 황련 - - - + +
12 창이자 - + + + +
15 대황+고삼+황련+창이자 - - - - +
상기 표 8에 (-)는 여드름균의 사멸을 의미하며, (+)는 균이 사멸되지 않고 존재함을 의미한다. 표 8에 나타낸 결과에서와 같이,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단일 추출물의 경우, 대황 0.05%, 고삼 0.01%, 황련 0.01% 및 창이자 0.05%의 농도에서 MIC를 나타내었고,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4종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황련보다도 2배 정도 낮은 농도인 0.005%에서 MIC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 추출물이 각각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여드름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 추출물은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의 적용효과를 검정하는 모공수축효과, 항염효과 및 항여드름효과를 가지며, 각각의 단일 생약재 추출물보다도 상승된 효과를 보여 적은 함량을 사용하여도 지성피부 개선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
상기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한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수를 하기 표 9의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1번 성분에 2 내지 4번 성분을 가하고, 6 내지 7번 성분을 5번 성분에 용해시킨 혼합물과 8번 성분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명 (단위 : 중량%)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 글리세린 1.0 1.0
4 피이지-1500 0.5 0.5
5 에탄올 10.0 10.0
6 폴리소르베이트 80 0.2 0.2
7 방부제 미량 미량
8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 0.5 -
제형 실시예 2 및 제형 비교예 2
상기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한 지성피부 개선용 에멀젼을 하기 표 10의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1 내지 7번 성분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8 내지 11번 성분을 12번 성분에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13번 성분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14번 성분을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2에 대한 제형 비교예 2는 14번 성분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형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명 (단위 : 중량%) 제형 실시예 2 제형 비교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2 1.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4 0.4
3 폴리소르베이트 60 0.9 0.9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유동파라핀 2.0 2.0
6 스쿠알란 3.0 3.0
7 아프리코트커넬오일 2.0 2.0
8 부틸렌글라이콜 4.0 4.0
9 카보머 0.12 0.12
10 산탄검 0.02 0.02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정제수 잔량 잔량
13 아르기닌 0.12 0.12
14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 1.0 -
제형 실시예 3 및 제형 비교예 3
상기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한 지성피부 개선용 팩을 하기 표 11의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1번 성분에 2 내지 5번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혼합물을 제조한 후, 분취된 1번 성분에 6 내지 7번 성분을 75℃의 온도에서 분산시켜 전술한 1번 성분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분산시켰다. 상기 조성물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미리 가용화시킨 8 내지 11번 성분과 12번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형 실시예 3에 대한 제형 비교예 3은 12번 성분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형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명 (단위 : 중량%) 제형 실시예 3 제형 비교예 3
1 정제수 잔량 잔량
2 구연산 0.05 0.05
3 부틸렌글라이콜 5.0 5.0
4 세리사이트 15.0 15.0
5 글리세린 5.0 5.0
6 폴리비닐알코올 12.0 12.0
7 폴리비닐피롤리돈 4.0 4.0
8 에탄올 7.0 7.0
9 로즈힙오일 0.1 0.1
10 폴리소르베이트 60 0.5 0.5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추출 실시예 15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 1.5 -
피부의 여드름 개선효과 및 피부자극 관능시험
본 발명에 따른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지억제효과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 실시예 2와 제형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지성피부 개선용 에멀젼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여드름이 있는 20 내지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2와 제형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일반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3개월 동안 사용하여 피부자극을 평가하게 하였으며, 특히 지성피부의 개선으로서 피부의 모공수축효과를 포함한 여드름 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제형 비교예 2의 에멀젼을 기준으로 제형 실시예 2의 에멀젼이 나타내는 개선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관능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3점), 보통(0점), 나쁨(-3점), 매우 나쁨(-5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2에서 피부자극 항목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평가항목인 피부자극은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의 현상에 대한 평가이며, 지성피부에 대한 개선효과는 상대적으로 피지의 분비가 감소하고 여드름이 감소하는 정도에 대한 평가이다.
번호 피부자극 지성피부 개선효과
제형 실시예 2 제형 비교예 2
1 5 5 5
2 4 5 4
3 5 5 5
4 4 4 4
5 5 5 4
6 4 5 4
7 5 5 5
8 4 4 4
9 5 5 5
10 5 5 5
11 4 4 4
12 5 5 5
13 4 4 4
14 5 5 5
15 4 4 5
16 4 5 4
17 5 5 5
18 4 4 4
19 5 5 5
20 4 5 5
평균 4.43 4.62 4.55
상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43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제형 비교예 2과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형 비교예 2 대비 제형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인 지성피부의 개선효과는 평가점수 4.55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은 지성피부와 관련된 과잉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효과, 항염효과 및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항여드름효과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뛰어난 지성피부 개선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여드름 피부에 대한 피지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여드름을 감소시키는 개선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수축, 항염 및 항여드름균 효과를 갖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추출물에서 각각의 함량은 추출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대비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크림류, 세안용 화장품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물, 에탄올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대황, 고삼, 황련 및 창이자 각각의 함량은 혼합물 총중량대비 1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5 내지 37℃의 온도로 1 내지 15일간 침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50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20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33312A 2005-04-21 2005-04-2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71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12A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5-04-2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312A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5-04-2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026A KR20060111026A (ko) 2006-10-26
KR100712249B1 true KR100712249B1 (ko) 2007-04-30

Family

ID=3761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312A Expired - Lifetime KR100712249B1 (ko) 2005-04-21 2005-04-21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926A (zh) * 2013-10-12 2014-01-08 肖晓芬 一种治疗酒齄鼻、痤疮的外用药
CN104374847A (zh) * 2014-07-31 2015-02-25 甘肃中天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黄药材的检测方法
KR20190006303A (ko) 2017-07-10 2019-01-18 정문석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290A (ko) 2018-09-10 2020-03-18 윤성준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070B (zh) 2009-08-14 2017-06-1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天然提取物的组合物
KR101596576B1 (ko) 2014-05-08 2016-02-22 김형길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CN108498423A (zh) * 2018-05-23 2018-09-07 佛山市芊茹化妆品有限公司 一种清爽控油的化妆品组合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916A (ko) * 1996-05-14 1997-12-10 최진영 한방미용 비누 조성물
KR19990052470A (ko) * 1997-12-22 1999-07-05 성재갑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9990053083A (ko) * 1997-12-23 1999-07-15 성재갑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작용과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 항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916A (ko) * 1996-05-14 1997-12-10 최진영 한방미용 비누 조성물
KR19990052470A (ko) * 1997-12-22 1999-07-05 성재갑 면포 용해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9990053083A (ko) * 1997-12-23 1999-07-15 성재갑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작용과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스에 항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926A (zh) * 2013-10-12 2014-01-08 肖晓芬 一种治疗酒齄鼻、痤疮的外用药
CN103494926B (zh) * 2013-10-12 2015-08-26 肖晓芬 一种治疗酒齄鼻、痤疮的外用药
CN104374847A (zh) * 2014-07-31 2015-02-25 甘肃中天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黄药材的检测方法
KR20190006303A (ko) 2017-07-10 2019-01-18 정문석 누룩으로 발효시킨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290A (ko) 2018-09-10 2020-03-18 윤성준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026A (ko)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76693B1 (ko)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EP3689330B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21358A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3055B1 (ko) 하눌타리의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