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5258A -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258A
KR20030065258A KR1020020022538A KR20020022538A KR20030065258A KR 20030065258 A KR20030065258 A KR 20030065258A KR 1020020022538 A KR1020020022538 A KR 1020020022538A KR 20020022538 A KR20020022538 A KR 20020022538A KR 20030065258 A KR20030065258 A KR 2003006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using
permanent magnets
inlet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102002002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258A/ko
Publication of KR2003006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에 것으로,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라인상에 설치되어 연료를 가압, 가속시킴과 동시에 와류를 발생시켜 분자를 미립화시키므로써 연료의 완전 연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료탱크측의 연료관(2)이 접속되는 인입측 하우징(1)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통공(8a)을 갖는 제 1 영구자석(8)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일단에는 엔진측 연료관(4)이 접속되는 토출측 하우징(3)과, 상기 토출측 하우징의 내부에 제 1 영구자석과 동일극성이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통공(9a)을 갖는 제 2 영구자석(9)과,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중심부에는 연료 통과공(10a)이 형성된 격판(10)과, 상기 격판의 양측에 제 1, 2 영구자석과 동일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각각 통공(11a)(12a)을 갖는 제 3, 4 영구자석(11)(12)과, 상기 제 1, 3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1차적으로 확산시키는 제 1 확산판(13)과, 상기 제 2, 4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재차 확산시키는 제 2 확산판(14)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A Fuel Economizer For Smoke Reduc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에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라인상에 설치되어 연료를 가압, 가속시킴과 동시에 와류를 발생시켜 분자를 미립화시키므로써 연료의 완전 연소를 도모하는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또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내연기관 등의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에는 배기가스의 감소, 연료소비량의 저감, 출력향상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내연기관에 적용되는 연료분사장치는 흡입공기량을 전기적으로 검출한 다음 검출된 공기흡입량에 따라 연료를 엔진의 운전조건에 알맞게 적용하여 분사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해 제어부를 구비하게 된다.
인젝터는 제어부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각 기통의 흡기매니폴드에 연료를 분사하는 부품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플런저 및 니들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플런저가 흡인되어 플런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니들밸브를 잡아 당겨 분사구를 개방하므로써 연료가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연료의 분사량은 니들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 즉 솔레노이드 코일이 통전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인젝터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는 크게 전압제어식과 전류제어식으로 대별되는데, 전압제어식과 전류제어식은 저항(레지스터)의 사용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엔진으로 연결되는 유입구측에는 인젝터에서 분사된 연료가 와류를 일으키도록 하는 연료절감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료절감기는 다양한 형태로 알려진바 있다.
따라서 인젝터에서 분사된 연료는 연료절감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실 내에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므로 점화플러그 근처에서 혼합비가 농후해지는 일명 희박연소에 의해 엔진의 유동강화를 유도할 수 있어 완전연소에 의한 출력증가와 연료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료절감기는 연소실의 점화플러그 근처에서 혼합비가 농후해지는 일명 희박연소에 의해 폭발력이 증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연료가 절감되도록 하므로 연료의 절감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그 와류정도가 강력하지 못하고 연료 자체의 성질에 변화를 주지 못하여 기대만큼의 큰 연료 절감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한 쌍의 확산판과 다수개의 영구자석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연료에 더욱 강력한 와류를 발생시켜 연료를 미립화시킴과 동시에 극성이 다른 다수개의 영구자석에 의해 분자를 서로 밀어내도록 하여 더욱 미립화시키므로써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의 완전 연소로 인해 매연이 감소되도록 함과 동시에 완전연소에 따른 폭발력 상승으로 출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연료탱크측의 연료관이 접속되는 인입측 하우징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통공을 갖는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일단에는 엔진측 연료관이 접속되는 토출측 하우징과, 상기 토출측 하우징의 내부에 제 1 영구자석과 동일극성이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통공을 갖는 제 2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중심부에는 연료 통과공이 형성된 격판과, 상기 격판의 양측에 제 1, 2 영구자석과 동일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통공을 갖는 제 3, 4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3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1차적으로 확산시키는 제 1 확산판과, 상기 제 2, 4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재차 확산시키는 제 2 확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입측 하우징3 : 토출측 하우징
8 : 제 1 영구자석9 : 제 2 영구자석
10 : 격판11 : 제 3 영구자석
12 : 제 4 영구자석13 : 제 1 확산판
14 : 제 2 확산판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연료탱크측의 연료관(2)이 인입측 하우징(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입측 하우징에는 엔진측 연료관(4)이 연결되는 토출측 하우징(3)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하우징(1)(3)에 연료관(2)(4)을 연결하기 위해 니플(5)(6)을 하우징(1)(3)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형성하여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분할 형성된 하우징(1)(3)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숫나사부(1a)와 암나사부(3a)로 적용하고, 이들의 결합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7)을 위치하였다.
그리고 인입측 하우징(1)의 내부에는 중심부에 통공(8a)이 형성된 제 1 영구자석(8)이 고정되어 있고 토출측 하우징(3)의 내부에는 제 1 영구자석과 동일극성이 마주보도록 통공(9a)을 갖는 제 2 영구자석(9)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3)의 중간부위에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격판의 중심부에는 연료 통과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판(10)의 양측에는 중심부에 통공(11a)(12a)을 갖는 제 3, 4 영구자석(11)(12)이 제 1, 2 영구자석(8)(9)과 동일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3 영구자석(8)(11)사이에는 연료를 1차적으로 확산시키는 제 1 확산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4 영구자석(9)(12)의 사이에는 연료를 재차 확산시키는 제 2 확산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2 확산판(13)(14)은 제 1, 4 영구자석(8)(12)에 형성된 통공(8a)(12a)내에 위치하는 인입측(13a)(14a)으로부터 프로펠러형태의 확산날개(13b)(14b)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제 1, 4 영구자석(8)(12)의 통공(8a)(12a)을 통과한 연료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확산날개(13b)(14b)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면서 미세하게 분쇄되도록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1, 2 확산판(13)(14)의 확산날개(13b)(14b)는 인입측 하우징(1)과 토출측 하우징(3)의 내벽에 접속되어 있다.
이는, 확산날개(13b)(14b)에 부딪힌 연료가 하우징(1)(3)의 내부에서 최대한 확산되면서 미립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하우징(1)(3) 및 격판(10)의 양측에 극성이 상호 마주보도록 영구자석(8)(9)(11)(12)을 고정함과 동시에 각 영구자석(8)(9)(11)(12)의 사이에 제 1, 2 확산판(13)(14)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료가 연료펌프의 압력으로 인입측 하우징(1)의 내부로 인입되면 연료는 제 1 영구자석(8)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8a)을 통과한 다음 제 1 확산판(13)의 확산날개(13b)에 부딪히게 되므로 인입측 하우징(1)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최대한 확산된다.
이와 같이 연료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인입측 하우징(1)의 내부에는 제 1 확산판(13)을 사이에 두고 제 1, 3 영구자석(8)(11)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3 영구자석(8)(11)은 마주보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띠고 있어 연료가 제 1 확산판(13)에 의해 확산되면서 미립화되는 과정에서 극성이 다른 제 1, 3 영구자석(8)(11)의 자력에 의해 가압, 가속되어 더욱 미립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확산판(13) 그리고 제 1, 3 영구자석(8)(11)에 의해 1차적으로 미립화된 연료는 격판(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료 통과공(10a)을 통과하여 토출측 하우징(3)의 내부에서 제 2 확산판(14)에 의해 재차 확산됨과 동시에 동일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 2, 4 영구자석(9)(12)에 의해 더욱 미립화되므로 연소실에서 연료의 완전 연소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연료절감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연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1, 2 확산판에 의해 와류를 일으켜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확산된 연료를 극성이 다르게 배치된 다수개의 영구자석에 의해 미립화된 분자를 서로 밀어내어 더욱 미립화시키게 되므로 연료의 완전 연소를 도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료를 절감시키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매연감소 연료절감기를 자동차에 장착하여 80Km 정속 주행하였던 결과, 장착 전과 장착후의 연료 절감 효과는 15 ∼ 20%로 나타났다.
둘째, 폭발과정에서 연료의 완전 연소로 폭발력이 향상되므로 내연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음 감소로 인해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셋째, 연료의 완전 연소로 인해 매연의 발생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3)

  1. 연료탱크측의 연료관이 접속되는 인입측 하우징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통공을 갖는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인입측 하우징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일단에는 엔진측 연료관이 접속되는 토출측 하우징과, 상기 토출측 하우징의 내부에 제 1 영구자석과 동일극성이 마주보도록 고정되며 통공을 갖는 제 2 영구자석과,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며 중심부에는 연료 통과공이 형성된 격판과, 상기 격판의 양측에 제 1, 2 영구자석과 동일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통공을 갖는 제 3, 4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3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1차적으로 확산시키는 제 1 확산판과, 상기 제 2, 4 영구자석사이에 설치되어 연료를 재차 확산시키는 제 2 확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확산판은 제 1, 4 영구자석에 형성된 통공내에 위치하는 인입측으로부터 프로펠러형태의 확산날개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확산판의 확산날개가 인입측 하우징과 토출측 하우징의 내벽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KR1020020022538A 2002-04-24 2002-04-24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KR2003006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538A KR20030065258A (ko) 2002-04-24 2002-04-24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538A KR20030065258A (ko) 2002-04-24 2002-04-24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111U Division KR200274284Y1 (ko) 2002-01-31 2002-01-31 연료절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258A true KR20030065258A (ko) 2003-08-06

Family

ID=3222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538A KR20030065258A (ko) 2002-04-24 2002-04-24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2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475A (ko) * 2002-05-10 2003-11-14 김성모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541U (ja) * 1983-04-15 1984-10-27 高橋 文夫 燃料油改質装置
WO1991019897A1 (en) * 1990-06-13 1991-12-26 Green Development As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treating of fuel
KR19990081746A (ko) * 1998-04-29 1999-11-15 김영신 자동차의 연료절감기
KR19990083089A (ko) * 1998-04-14 1999-11-25 정태영 자성체를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200227785Y1 (ko) * 2001-01-08 2001-06-15 서수봉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274284Y1 (ko) * 2002-01-31 2002-05-04 김성모 연료절약기
KR20030000167A (ko) * 2001-06-22 2003-01-06 김기풍 열기관의 연소율 증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541U (ja) * 1983-04-15 1984-10-27 高橋 文夫 燃料油改質装置
WO1991019897A1 (en) * 1990-06-13 1991-12-26 Green Development As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treating of fuel
KR19990083089A (ko) * 1998-04-14 1999-11-25 정태영 자성체를 이용한 연료활성화장치
KR19990081746A (ko) * 1998-04-29 1999-11-15 김영신 자동차의 연료절감기
KR200227785Y1 (ko) * 2001-01-08 2001-06-15 서수봉 연료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 활성장치
KR20030000167A (ko) * 2001-06-22 2003-01-06 김기풍 열기관의 연소율 증대 장치
KR200274284Y1 (ko) * 2002-01-31 2002-05-04 김성모 연료절약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475A (ko) * 2002-05-10 2003-11-14 김성모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2155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1301948A (ja) 内燃エンジン
KR20030087475A (ko)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KR20030065258A (ko) 내연기관용 매연감소 연료절감기
KR20040005552A (ko)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감소 연료절감기
US20050224058A1 (en) Device for reduction of exhaust gas and fuel economy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KR200274284Y1 (ko) 연료절약기
US5601062A (en) Intake system for engine
CN114483286A (zh) 预燃点火装置、燃烧装置及发动机
KR100696373B1 (ko)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감소 연료절감기
KR200142656Y1 (ko) 내연기관용 연료정화장치
KR19990074441A (ko) 내연기관의 린번 시스템
KR200157990Y1 (ko) 내연기관의 흡기구조
TWI588350B (zh) Manifold structure for at least two injectors
JP200418359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0230867B1 (ko)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KR0132164Y1 (ko) 엔진의 흡기장치
KR200431166Y1 (ko)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감소 연료절감기
KR100205994B1 (ko) 내연기관의 흡기구조
TW200532102A (en) Device for reduction of exhaust gas and fuel economy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KR820001327B1 (ko) 내연기관의 연소실
TWM518733U (zh) 可供至少雙噴油嘴設置之歧管結構
KR200152907Y1 (ko) 자동차용 흡기장치
KR820000594B1 (ko) 엔 진
KR20000042275A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포트용 와류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20424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