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2870A -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870A
KR20030062870A KR1020020003324A KR20020003324A KR20030062870A KR 20030062870 A KR20030062870 A KR 20030062870A KR 1020020003324 A KR1020020003324 A KR 1020020003324A KR 20020003324 A KR20020003324 A KR 20020003324A KR 20030062870 A KR20030062870 A KR 2003006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node
power supply
transistor
feedback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168B1 (ko
Inventor
천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168B1/ko
Priority to US10/349,386 priority patent/US6781891B2/en
Priority to JP2003012425A priority patent/JP2004005403A/ja
Priority to DE10302527A priority patent/DE10302527B4/de
Publication of KR2003006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개한다. 그 회로는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능동 저항, 제1능동 저항에 병렬 연결된 제1수동 저항,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회로,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회로,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제2능동 저항에 병렬 연결된 제2수동 저항,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Half supply voltage generato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is circuit}
본 발명은 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1/2 전원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궤환되는 1/2 출력 전원전압이 PMOS트랜지스터와 NMOS트랜지스터로 인가되도록 구성되고, 궤환되는 1/2 출력 전원전압의 레벨 변화에 따라 PMOS트랜지스터와 NMOS트랜지스터의 저항 값이 변화됨으로써 일정한 1/2 출력 전원전압을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1/2 출력 전원전압의 레벨이 PMOS트랜지스터 및/또는 NMOS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회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회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쌍 및 데이터 라인쌍을 1/2 전원전압 레벨로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전압을 발생하는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로도 사용되는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프리차지 전압의 레벨 또한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회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1형태는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1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2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2형태는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1형태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수단으로 1/2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이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1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2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2형태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수단으로 1/2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이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3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4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가 적용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PMOS트랜지스터들(P1, P2, P3), 및 NMOS트랜지스터들(N1, N2, N3)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서,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소스와 노드(B)에 연결된 게이트와 노드(C)에 연결된 드레인을 가진 PMOS트랜지스터(P1), PMOS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과 게이트와 노드(A)에 연결된 소스를 가진 NMOS트랜지스터(N1), 노드(A)에 연결된 소스와 노드(D)에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가진 PMOS트랜지스터(P2), 노드(D)에 연결된 드레인과 노드(B)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소스를 가진 NMOS트랜지스터(N2),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소스와 노드(C)에 연결된 게이트와 노드(B)에 연결된 소스를 가진 NMOS트랜지스터(N3), 및 노드(B)에 연결된 소스와 노드(D)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드레인을 가진 PMOS트랜지스터(P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PMOS트랜지스터들(P1, P3)의 기판은 벌크 전원전압에, PMOS트랜지스터(P2)의 기판은 소스에, NMOS트랜지스터들(N1, N2, N3)의 기판은 벌크 접지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드(A)의 전압이 1/2 VCC가 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출력전압(VOUT) 또한 1/2 VCC가 된다. 노드(A)의 전압이 1/2 VCC이면 노드(C)의 전압은 1/2 VCC + VTN이 되고, 노드(D)의 전압은 1/2 VCC - VTP가 된다. 여기에서, VTN은 NMOS트랜지스터(N1)의 문턱전압이고, VTP는 PMOS트랜지스터(P2)의 문턱전압이다. 따라서, NMOS트랜지스터(N3)와 PMOS트랜지스터(P3)는 완전하게 온되기 직전의 상태로 되어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면, PMOS트랜지스터(P1)의 저항값이 작아지고, NMOS트랜지스터(N2)의 저항 값이 커져서, 노드(A)의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노드(C)의 전압이 상승하고 노드(D)의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NMOS트랜지스터(N3)가 온되고, PMOS트랜지스터(P3)가 오프되어 노드(B)의 전압을 상승한다.
반면에, 출력전압(VOUT)이 높아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2)의 저항값이 작아지게 되고, PMOS트랜지스터(P1)의 저항값이 커져서, 노드(A)의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노드(C)의 전압이 감소하고 노드(D)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어, PMOS트랜지스터(P3)가 온되고, NMOS트랜지스터(N3)가 오프되어 노드(B)의 전압이감소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PMOS트랜지스터(P1)와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의 레벨보다 낮아지게 되면 PMOS트랜지스터(P1) 또는 NMOS트랜지스터(N2)가 오프되어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낮은 전원전압(VCC)의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데, 전원전압(VCC)의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구성하는 MOS트랜지스터들의 문턱전압을 낮출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PMOS트랜지스터(P1)의 문턱전압이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PMOS트랜지스터(P1)의 문턱전압에 의해서 회로의 동작이 결정된다.
따라서, 도1에 나타낸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VCC)이 전압(VTP+VTN) 이하가 되면 회로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원전압(VCC)의 레벨이 1.5V이고,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0.75V이고, PMOS트랜지스터(P1)의 문턱전압이 0.8V이고,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이 0.75V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0.75V에서 0.65V로 천이하면 PMOS트랜지스터(P1)의 소스와 게이트사이의 전압이 0.85V가 되고, NMOS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와 소스사이의 전압이 0.65V가 된다. 그러면, NMOS트랜지스터(N2)가 오프되어 회로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된다.
또한,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0.75V에서 0.85V로 천이하면, PMOS트랜지스터(P1)의 소스와 게이트사이의 전압이 0.65V가 되고, NMOS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와 소스사이의 전압이 0.85V가 된다. 그러면, PMOS트랜지스터(P1)가 오프되어 회로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된다.
즉, 도1에 나타낸 종래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VCC)의 레벨이 전압(VTP + VTN = 1.55V)보다 낮을 때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0.8V이하로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전압(VOUT)의 레벨이 PMOS트랜지스터(P1) 및/또는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보다 낮아지게 됨으로써 PMOS트랜지스터(P1) 및/또는 NMOS트랜지스터(N2)가 오프되어 회로의 동작이 디스에이블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도1에 나타낸 회로에 저항들(R1, R2)을 추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2에서, 저항(R1)은 PMOS트랜지스터(P1)의 소스와 드레인사이에 연결되고, 저항(R2)은 NMOS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과 소스사이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나타낸 회로와 마찬가지로, 노드(A)의 전압이 1/2 VCC가 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출력전압(VOUT) 또한 1/2 VCC가 된다. 따라서, NMOS트랜지스터(N3)와 PMOS트랜지스터(P3)는 완전하게 온되기 직전의 상태로 되어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출력전압(VOUT)이 낮아지게 되면, PMOS트랜지스터(P1)의 저항값이 작아지고, NMOS트랜지스터(N2)의 저항 값이 커져서, 노드(A)의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노드(B)의 전압이 낮아져서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NMOS트랜지스터(N2)가 오프되더라도 저항(R2)에 의해서 회로의 동작이 인에이블된다. 그러면, 노드(C)의 전압이 상승하고 노드(D)의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NMOS트랜지스터(N3)가 온되고, PMOS트랜지스터(P3)가 오프되어 노드(B)의 전압을 상승한다.
반면에, 출력전압(VOUT)이 커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2)의 저항 값이 작아지게 되고, PMOS트랜지스터(P1)의 저항 값이 커져서, 노드(A)의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노드(B)의 전압이 높아져서 PMOS트랜지스터(P1)의 문턱전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PMOS트랜지스터(P1)가 오프되더라도 저항(R1)에 의해서 회로의 동작이 인에이블된다. 그러면, 노드(C)의 전압이 감소하고 노드(D)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어, NMOS트랜지스터(N3)가 오프되고, PMOS트랜지스터(P3)가 온되어 노드(B)의 전압을 감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출력전압의 레벨이 낮아져서 PMOS트랜지스터(P1) 및/또는 NMOS트랜지스터(N2)가 오프되더라도 회로가 동작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압(VOUT)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도2에 나타낸 회로는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안정된 1/2 VCC를 발생하기 위해서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NMOS트랜지스터(N3)의 폭에 비해서 매우 크게 만들어 PMOS트랜지스터(P3)의 저항 값을 줄여주어야만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낮은 전원전압(VCC)에서는 노드(B)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PMOS트랜지스터(P3)의 게이트와 소스사이에 전압 차가 작아지게 된다. 그런데, PMOS트랜지스터(P3)의 문턱전압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PMOS트랜지스터(P3)의 저항 값을 줄여주어야만 PMOS트랜지스터(P3)가 온되어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도2에 나타낸 회로의 PMOS트랜지스터(P3)의 기판이 소스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도3에 나타낸 회로는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 PMOS트랜지스터(P3)의 기판을 소스에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낸 회로는 도2에 나타낸 회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 도2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 설명을 참고로 하기 바란다.
도4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3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도2에 나타낸 회로에서, 저항(R2)을 제거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낸 회로 또한, 도2에 나타낸 회로와 마찬가지로 노드(A)의 전압이 1/2 VCC가 되도록 설계되고,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은 아주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정상에서, PMOS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낮추기는어렵지만, NMOS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4의 회로에서는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을 아주 낮은 값을 설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4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에는 전원전압(VCC)의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노드(B)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NMOS트랜지스터(N2)의 문턱전압이 낮게 설정되어 있어, NMOS트랜지스터(N2)가 디스에이블되지 않으므로 회로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4에 나타낸 회로 또한,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PMOS트랜지스터(P3)의 기판이 소스에 연결되어 PMOS트랜지스터(P3)의 문턱전압이 너무 높기 때문에 출력전압(VOUT)을 1/2 VCC로 만들기 위해서는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NMOS트랜지스터(N3)의 폭보다 크게 만들어야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의 제4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도4에 나타낸 회로의 PMOS트랜지스터(P3)의 기판이 소스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도5에 나타낸 회로는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 PMOS트랜지스터(P3)의 기판을 소스에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5에 나타낸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낮은 전원전압(VCC)에서 PMOS트랜지스터(P3)의 폭을 크게 하지 않더라도 안정된 1/2 VCC를 출력전압(VOUT)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5에 나타낸 회로는 도4에 나타낸 회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 도4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 설명을 참고로 하기 바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저항들(R1, R2)이 하나만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저항들(R1, R2) 각각은 소정 개수의 저항들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들 각각은 선택신호들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선택신호들에 의해서 저항들의 값이 조정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가 적용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 10-16) 각각의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의 좌측에 연결된 프리차지 회로(14-1), 및 비트 라인 아이솔레이션 회로(12-1),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 10-n) 각각의 비트 라인쌍들(BL1, BL1B)의 우측에 연결된 프리차지 회로(14-2), 및 비트 라인 아이솔레이션 회로(12-2), 비트 라인 아이솔레이션 회로들(12-1, 12-2) 각각의 사이 또는 좌우측에 연결된 비트 라인 센스 증폭기들(10-12, 10-1, 10-2), 및 프리차지 회로들(14-1, 14-2)로 프리차지 전압(VPRE)을 인가하기 위한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20)로 구성되어 있다. 비트 라인 센스 증폭기(10-12)는 좌우측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BLK1 ~ BLK16) 각각의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사이에 공유되고, 비트 라인 센스 증폭기(10-1)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1)의 비트 라인쌍들((BL2, BL2B), ...)의 좌측에 위치하며, 비트 라인 센스 증폭기(10-2)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n)의 비트 라인쌍들((BL2, BL2B), ...)의 우측에 위치한다. 비트 라인 아이솔레이션 회로들(12-1, 12-2) 각각은 NMOS트랜지스터들((N1, N2), (N3, N4))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서, 신호들(ISO1 ~ ISOn) 각각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 10-n)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블록 선택신호들을 나타낸다.
도6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20)가 동작하여 프리차지 전압(VPRE)을 발생한다.
그리고, 프리차지 동작시에 프리차지 회로들(14-1, 14-2)이 동작하여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 각각을 1/2 전원전압으로 프리차지한다. 이때,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20)로부터 발생되는 프리차지 전압(VPRE)의 레벨에 변동이 발생하면 도2에 나타낸 프리차지 전압 발생회로(20)에 의해서 안정된 1/2 전원전압을 프리차지 전압(VPRE)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채용함으로써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져서 프리차지 전압(VPRE)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더라도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안정된 프리차지 전압(VPRE)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2 전원전압 발생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더라도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3)

  1.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1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2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은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소스와 상기 궤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가진 제1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PMOS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기판이 공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동 저항 수단은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궤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소스를 가진 제1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동 저항 수단은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조정수단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게이트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소스를 가진 제2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 조정수단은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가진 제2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드레인과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가진 제3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3NMOS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드레인을 가진 제3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PMOS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기판이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2.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은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소스와 상기 궤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드레인을 가진 제1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PMOS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기판이 공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저항 수단은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궤환 출력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소스를 가진 제1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조정수단은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드레인과 게이트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소스를 가진 제2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 조정수단은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드레인을 가진 제2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드레인과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가진 제3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3NMOS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제3노드에 연결된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드레인을 가진 제3P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PMOS트랜지스터의 소스와 기판이 공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22.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수단으로 1/2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이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되고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1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2능동 저항 수단에 병렬 연결된 제2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수단으로 1/2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1/2 전원전압 발생수단이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수동 저항 수단;
    상기 전원전압과 제1노드사이에 연결된 제1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1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2노드와 제3노드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상기 제3노드의 전압을 소정 전압 레벨만큼 조정하는 제2전압 조정수단;
    상기 제3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궤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2능동 저항 수단;
    상기 제1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상승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궤환 출력전압의 레벨을 하강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20003324A 2002-01-21 2002-01-21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0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324A KR100607168B1 (ko) 2002-01-21 2002-01-21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349,386 US6781891B2 (en) 2002-01-21 2003-01-21 Half power supply voltage generato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JP2003012425A JP2004005403A (ja) 2002-01-21 2003-01-21 1/2電源電圧発生回路及び半導体メモリ装置
DE10302527A DE10302527B4 (de) 2002-01-21 2003-01-21 Teilspeisespannungserzeugungsschaltung und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324A KR100607168B1 (ko) 2002-01-21 2002-01-21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870A true KR20030062870A (ko) 2003-07-28
KR100607168B1 KR100607168B1 (ko) 2006-08-01

Family

ID=1971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3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7168B1 (ko) 2002-01-21 2002-01-21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81891B2 (ko)
JP (1) JP2004005403A (ko)
KR (1) KR100607168B1 (ko)
DE (1) DE1030252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7157B2 (ja) * 2005-08-08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2次電池保護用半導体装置
US20070264296A1 (en) * 2006-05-10 2007-11-15 Myntti Matthew F Biofilm extracellular polysachharide solvating system
US20090168779A1 (en) * 2007-12-31 2009-07-02 Nguyen Loc Q Integration of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375A (en) * 1987-11-24 1995-03-28 Hitachi, Ltd Voltage converter arrangement for a semiconductor memory
JP3626521B2 (ja) * 1994-02-28 2005-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準電位発生回路、電位検出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847579A (en) * 1997-03-20 1998-12-08 Xilinx, Inc. Programmable logic array with improved interconnect structure
JP3967002B2 (ja) * 1997-09-11 2007-08-2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
US6137318A (en) * 1997-12-09 2000-10-2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Logic circuit having dummy MOS transistor
US6172522B1 (en) * 1998-08-13 2001-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lew rate controlled predriver circuit
JP2000155620A (ja) * 1998-11-20 2000-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
KR100336751B1 (ko) * 1999-07-28 2002-05-13 박종섭 전압 조정회로
KR100353838B1 (ko) * 1999-12-30 2002-09-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가진 전압 조정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05403A (ja) 2004-01-08
KR100607168B1 (ko) 2006-08-01
US20030137883A1 (en) 2003-07-24
DE10302527A1 (de) 2003-08-28
DE10302527B4 (de) 2006-07-13
US6781891B2 (en) 2004-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8958B2 (en) Sense amplifie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7038963B2 (en) Current sense amplifier circuits having a bias voltage node for adjusting input resistance
US5087834A (en) Buffer circuit including comparison of voltage-shifted references
US6347058B1 (en) Sense amplifier with overdrive and regulated bitline voltage
US8068369B2 (en) Sense amplifier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2210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센싱회로 및 그 방법
KR102193622B1 (ko) 전압 생성 회로
US6104655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20170365308A1 (en) Memory device including memory cell for generating reference voltage
KR2005010186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5663915A (en) Amplifier and method for sensing having a pre-bias or coupling step
US6222780B1 (en) High-speed SRAM having a stable cell ratio
US672121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read method thereof
KR10041679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전압 발생방법
KR100607168B1 (ko) 1/2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682117A (en) Half power supply voltage generating circuit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728643B2 (en) Delay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16984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e amplifiers
KR015295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837803B1 (ko) 전압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 전압 발생 장치
GB2308706A (en) High speed sense amplifier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4390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위들러형 기준전압 발생 장치
KR013733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중간전압 발생회로 및 그 방법
KR100502674B1 (ko) 센스 앰프 조절 회로
KR10065643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누설 전류 감소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4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3241

Request date: 200407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22

Effective date: 200604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40722

Decision date: 20060427

Appeal identifier: 200410100324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