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8803A -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803A
KR20030058803A KR1020010089349A KR20010089349A KR20030058803A KR 20030058803 A KR20030058803 A KR 20030058803A KR 1020010089349 A KR1020010089349 A KR 1020010089349A KR 20010089349 A KR20010089349 A KR 20010089349A KR 20030058803 A KR20030058803 A KR 2003005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iltration tank
lay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613B1 (ko
Inventor
강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to KR10-2001-008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6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6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된 본체의 내부에 바닥 위로 중간판을 설치하여서 되는 집수조와, 본체의 입수구 측에는 미세스크린을 장착한 입수조를, 배수측에는 필터를 내장한 최종여과조 및 월류조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의 상방부 공간 중간 중간에 격판을 막아 제1여과조와 제2여과조 및 제3여과조를 형성하여, 상기 각 여과조의 중간판매 집수조와 역세수분사관 및 여과망을 설치하여 상기 여과망위에 잔모래층과 굵은모래층 및 자갈층을 다층으로 적층시켜 입수조의 원수가 제1여과조로는 하향흐름으로 2차여과조로는 상향역류되도록하고 3차여과조에서는 하향흐름으로 여과되었다가 최종여과조로 상향역류흐름으로 정수되도록하였으며, 상기 최종여과조에 설치한 흡수관을 공기흡입기와 함께 펌프의 흡입측에 연결시켜 최종여과조의 1급수를 펌프의 배출측에 연결된 세구공급관을 거쳐 역세수분사관을 통하여 각 여과조에 공기와 함께 물을 분출시켜 잔모래층과 굵은모래층 및 자갈층을 세정하도록하였으며, 또한 각 여과조내에 스컴흡입관을 설치하여 상기 역세수로 세정된 이물질을 스컴흡입관이 흡입하여 근에 가연결된 스컴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서된 것으로서, 종래 단층모래층으로 된 급속여과지 보다는 여과효율이 높고 이중여재를 포설하여 안트라사이트 경계면에서 과다한 섞임 현상을 나타내는 것보다는 정밀여과기능이 월등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Simple waterworks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정수장이나 상수시설이 열악한 농어촌이나 도서지역 또는 중소도시에서 식수를 공급하기위한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이나 중소도시의 여과장치는 모래를 여과재로 사용하는 단충 급속여과지의 모래와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등을 사용하는 복층 급속여과지, 또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급속여과지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급속여과지의 역세척방법에는 역세수만을 이용하여 역세척과 표면세척을 겸하는 방식과 물과 공기를 함께 이용 하여 역세척 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역세수만을 이용하여 ◎세척과 표면세척을 겸하는 것은 역세척 효율이 양호하지 못하고, 물과 공기를 함께 이용하여 세척하게된 것은 이중여재를 포설한 후에는 안트라사이트 경계면에서 과다한 섞임 현상으로 정밀여과기능이 저하되며 블로워(Blower)와 펌프((Pump)를 동시에 사용하므로 동력이 과다 사용하게되는 문제 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고도처리기술로는 모래를 이용한 사여과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원수의 유입형태에 따라 상향류식만을 택하여 여과지의 폐색으로 역세척을 자주 시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단층단순흐름에 따른 여과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래와 자갈등으로 되는 여과층을 다층다단으로 형서함과 동시에 하향류 및 상향류의 유로흐름을 번갈아 통과시킴으로써 여과층 표면폐색을 줄이고 여과기능을 향상시키며 펌프관로에 공기흡입장치를 부착하여 물과 공기가 동시에 유입하여 역세 효율을 향상시키며 동력을 최소화하고 역세척 후 부상하는 스컴을 무동력으로 수두차와 스컴제거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켜 역세척의 효율을 높이고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게되는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로되는 맨홀과 청소통로를 구비한 본체의 내부에 격벽과 받침판으로되는 여과실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여과실의 받침판상에 다수의 집수기와 역세척수관 및 여과망을 설치한다음 상기 여과망의 상면에 잔모래와 굵은 모래 및 자갈을 상하로 적층시켜서 되는 다층여과와, 입수구측에는 미세스크린에 의한 최초여과조를, 배수측에는 최종여과조를 형성하며, 각 여과조내에는 역세척시에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스컴제거관을 장설하여서 되는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횡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3,4: 맨홀. 5,6: 청소공.
7: 입수구. 8: 여과수배수구 9: 입수조.
10: 미세스크린. 11. 중간판. 12,13,14.:격판.
15: 제1여과조. 16: 제2여과조. 17: 제3여과조.
18: 최종여과조. 19,20,21,38: 통수기. 22,23,24: 역세수분사관.
25,26,27: 여과망. 28,29,30: 잔모래층. 31,32,33: 굵은모래층.
34,35,36: 자갈층. 37: 집수조. 39: 필터.
40: 월류조. 41: 월류언. 42: 염소자동공급기.
43,44: 슬러지배출구. 45: 흡수관. 46,47,48: 세수공급관.
49: 펌프. 50,51,52: 스컴흡입관. 53: 스컴배출관.
54: 스컴배출구. 55: 공기흡입기.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이며,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보면, 부호1은 인체에 무해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RTM공법으로 사각형상으로 제작된 본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면에는 맨홀(2)(3)(4)과 상기 맨홀 (2)(3)(4)중 맨홀(2)(4)에는 연통되는 청소공(5)(6)을 형성하고 좌측 상단측에는 입수구(7)를 우측 상단에는 여과수배수구(8)를 연결하여 상기 입수구(7)의 내부에는 입수조(9)를 형성 하는데 입수조(9)에 미세스크린(10)을 장설하여 입수구(7)를 통하여 입수된 원수가 미세스크린(10)을 거치는 동안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본체(1) 내부로 입수되도록하였어며, 본체(1) 내저부에 중간판(11) 형성하여 입수구(7)와 여과수배수구(8) 사이에 격판(12)(13)(14)을 형성하되 하향류의 제1여과조(15)와 상향류의 제2여과조(16), 하향류의 제3여과조(17) 및 상향류의 최종여과조(18)를 형성하여 상기 각 여과조(15)(16)(17)의 중간판(11)에 다수개의 통수기 (19)(20)(21)와 역세수분사관(22)(23)(24)을 설치한 다음 상기 통수기(19)(20)(21) 및 역세수분사관(22)(23)(24)의 바로 위에 여과망(25)(26)(27)을 깔고 상기 여과망 (25)(26)(27)의 상면에 잔모래층(28)(29)(30)과 굵은모래층(31)(32)(33) 및 자갈층 (34)(35)(36)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다층르로 적층하여서되는 다층여과층을 형성하는데 상기의 잔모래층(28)(29)(30)은 유효경이 0.45~0.7mm, 균등계수 17이하 이고, 굵은모래층 (31)(32)(33)은 유효경이 0.7~1.7mm, 균등계수 1.7이하 이며, 자갈층(34)(35)(36)은 유효경이 15~20mm, 균등계수는 1.7 이하로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일예를 들면 처리수가 원수의 하루 유입량이 12시간 동안 5㎥ 정도의 정수조에 잔모래층 깊이 30cm, 굵은모래층 깊이 15cm, 자갈 깊이 15cm를시설하였을 경우 손실수두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유입구(7)를 통하여 입수조(9)로 유입된 원수가 미세스크린(10)에 의하여 이물질이 거러지면서 제1여과조(15)로 유입되어 잔모래층(29)과 굵은모래층(32) 및 자갈층(35)을 햐향으로 흘러내려 1차적으로 정수되어 다수의 통수기(19)를 통하여 집수조(37)로 유입되고, 집수조(37)로 입수된 1차정수는 격벽(12)의 하단측 공간을 통하여 2차여과조(16)로 유입되어 이번에는 통수기(20)를 통하여 자갈층(35)과 굵은모패층(32) 및 잔모래층(29)으로 상향으로 역류하는 동안 2차적으로 정수되어 격벽(13)의 상단을 월류하여 3차여과조(17)로 입수되어 잔모래층(30)과 굵은모래층(33) 및 자갈층(34)으로 흘러 내리는 동안 3차적으로 정수되어 격벽(14)의 하단측 공간을 통하여 최종여과조(18) 바닥에 설치한 다수의 통수기(38)와 필터(39)를 통하여 최종여과조(18)로 1급수화되어 입수하게되며, 상기 최종여과조(18)의 중간에 설치된 월류조(40)의 월류언(41)을 넘쳐 월류조(40)로 입수되고 월류조(40)에 설치된 소독제인 염소를 자동 공급하는 염소자동공급기(42)에 의하여 식수화되어 여과수배수구(8)를 통하여 식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집수조(37)의 좌우 양측에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위한 슬러지배출구(43)(44)를 형성하여 집수조(37)의 정수중 슬러지를 배출시켜 집수조(37)를 세척하도록하고, 상기 흡입측을 월류조(40)에 설치한 흡수관(45)을 공기흡입기(55)와 함께 펌프(49)의 흡입측에 연결하고 펌프(49)의 배수측에는 역세수분사관(22)(23)(24)을 연결하여 펌프(49)의 구동으로 월류조(40)의 1급수가 흡입되는 흡인력에 의하여 공기흡입기 (54)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함께 흡입되어 세수공급관(46)(47)(48)에 물과 함께 공기를 공급시켜 각 여과조(15)(16)(17)의 역세수분사관(22)(23)(24)으로 분사하도록 하므로서 잔모래층(28)(29)(30)과 굵은모래층(31)(32)(33) 및 자갈층(34)(35)(36)의 이물질을 세정하도록하는데 상기 세정작업에 의하여 각 여과조(15)(16)(17)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하였으며, 상기 여과조(15)(16)(17)에는 스컴흡입관(50)(51) (52)을 설치하는데 상기 스컴흡입관(50(51)(52)을 별도의 펌핑력을 부여한 스컴배출관(53)과 연결시켜 상기의 각 여과조(15)(16)(17)의 수면위로 부상된 이물질을 스컴흡입관 (50)(51)(52)으로 흡입하여 스컴배출관(53)과 스컴배출구(54)를 통하여 외부로 비출시켜 각 여과조(15)(16)(17)를 역세수하도록 구성하여서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1)의 내부에 형성한 입수조(9)와 제1여과조(15)와 제2여과조(16), 제3여과조(17) 및 최종여과조(18)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여과조(15)(16)(17)에 잔모래층(28)(29)(30)과 굵은모래층(31)(32)(33) 및 자갈층(34)(35)(36)으로 되는 다층의 여과층을 형성한 것이어서, 종래 모래를 이용한 단층여과지는 물론 이중여재를 포설한 여과지 보다는 여과층의 세정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세정하기위한 동력원이 절감되게 사용되는 것이어서 상수도 시설이 빈약한 중소도시나 도서지방의 식수를 공급하기위한 상수도 여과장치로 매우 적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미세스크린을 장설한 입수조와 필터를 장설한 최종여과조 및 상기 최종여과조 내에 월류조를 형성하며 하부 좌우에 슬러지배출구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중간판과 수개의 격판을 설치하여 격판과 격판사이 공간의 중간판에 다수의 통수기와 역세수분사관 및 여과망을 설치하여 여과망위에 잔모래층과 굵은모래층 및 자갈층을 다층으로 적층하여서되는 다단의 제1여과층과 제2여과층 및 제3여과층과,
    상기 제1여과층과 제2여과층 및 제3여과층에 장설한 역세수분사관을 펌프의 배출측에 연결한 세구공급관에 연결하고, 상기 최종여과조 내에 설치한 흡수관을 펌프의 흡입측에 공기흡입기와 연결하고 상기 각 여과조에 설치한 스컴흡입관을 별도의 펌핑구동을 받는 스컴배출관에 연결하여 최도여과조의 여과수로 각 여과조의 잔모래층과 굵은모래층 및 자갈층을 세정하며 부유된 이물질을 스컴흡입관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서되는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2001-0089349A 2001-12-31 2001-12-31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8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349A KR100488613B1 (ko) 2001-12-31 2001-12-31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349A KR100488613B1 (ko) 2001-12-31 2001-12-31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803A true KR20030058803A (ko) 2003-07-07
KR100488613B1 KR100488613B1 (ko) 2005-05-11

Family

ID=3221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9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8613B1 (ko) 2001-12-31 2001-12-31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6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694B1 (ko) * 2004-02-06 2005-06-16 주식회사 현진기업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100681715B1 (ko) * 2005-04-06 2007-02-15 주식회사 동호이엔씨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0809360B1 (ko) * 2007-03-13 2008-03-05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상하향류식 이단 여과장치
CN107410159A (zh) * 2016-05-23 2017-12-01 潘坤福 景观水族过滤系统
KR102073043B1 (ko) * 2019-08-28 2020-02-04 주식회사 현진기업 벽체 보호판을 부착한 컨테이너 형상의 취수 여과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78B1 (ko) 2007-04-25 2008-11-17 앨트웰텍 주식회사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
KR101508489B1 (ko) * 2012-10-04 2015-04-06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간이 폐수여과장치
CN105293736B (zh) * 2015-11-17 2016-09-14 华北水利水电大学 山泉水预处理装置及山泉水预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9713A (ja) * 1987-02-26 1988-08-31 Tomiya Satou 飲料水濾過器
KR200257125Y1 (ko) * 1999-06-02 2001-12-24 김문희 물탱크의 정수장치
KR200205193Y1 (ko) * 2000-05-18 2000-12-01 임용택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KR200258654Y1 (ko) * 2001-08-17 2001-12-28 김삼식 상수도용 간이 급속 침전 여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694B1 (ko) * 2004-02-06 2005-06-16 주식회사 현진기업 보조여과탱크를 갖는 상수도 여과장치
KR100681715B1 (ko) * 2005-04-06 2007-02-15 주식회사 동호이엔씨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0809360B1 (ko) * 2007-03-13 2008-03-05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상하향류식 이단 여과장치
CN107410159A (zh) * 2016-05-23 2017-12-01 潘坤福 景观水族过滤系统
KR102073043B1 (ko) * 2019-08-28 2020-02-04 주식회사 현진기업 벽체 보호판을 부착한 컨테이너 형상의 취수 여과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613B1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9885A (zh) 一种污水沉淀池及其复合流自清的方法
KR20030058803A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0917400B1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CN101658739A (zh) 一种过滤体为片状滤材的过滤装置
CN102923842B (zh) 曝气生物滤罐
CN209778477U (zh) 一种新型小型调蓄净化设备
JP2017177042A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CN215924469U (zh) 核电厂含油废水过滤除油系统
CN212680207U (zh) 一种过滤器及其过滤系统
KR200321407Y1 (ko) 간이 정수장치
CN212818468U (zh) 一种排水装置
KR100945484B1 (ko) 정수 처리장치
CN110898505B (zh) 一种污水过滤和过滤筒壁清理的装置和方法
CN209815733U (zh) 一种新型斜板隔油池
CN110052080B (zh) 一种雨水处理系统
CN210438542U (zh) 一体化净水器
KR101505727B1 (ko) 정수장치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CN216808495U (zh) 一种园林设计的净化结构
KR100758508B1 (ko) 오,폐수 정화장치
JP4969071B2 (ja) 浄水装置
CN206560706U (zh) 一种多介质过滤器
KR200423268Y1 (ko) 오,폐수 정화장치
CN206486397U (zh) 一种餐消废水处理装置
CN218989033U (zh) 一种用于帘式膜的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416

Appeal identifier: 2005101000496

Request date: 20050126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1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7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4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1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