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43932A - 개선된 쵸핑 혼합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쵸핑 혼합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932A
KR20030043932A KR10-2003-7002318A KR20037002318A KR20030043932A KR 20030043932 A KR20030043932 A KR 20030043932A KR 20037002318 A KR20037002318 A KR 20037002318A KR 20030043932 A KR20030043932 A KR 2003004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ping
mixer
input
sign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473B1 (ko
Inventor
클랏트나댕
로렌조-로쎄에디
바스타니바바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4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4Balanc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수신된 신호들(Ip, In, LOp, LOn)을 혼합하는 바이폴라 혼합기단(140); 출력 쵸핑단(160); 및 혼합된 신호를 출력 쵸핑단에 결합하는 AC 결합단(150)을 구비한 향상된 쵸핑 혼합기(100)에 대한 장치 및 방법. 쵸핑 출력단에 앞선 신호는 DC가 아닌 쵸핑 클럭 주파수를 중심으로 한다. AC 결합에 의해서 원하는 주파수 범위 내 공통 모드 신호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싱글 단 출력 상에 나타나는 2차 성분은 AC 결합 캐패시터들에 의해 DC가 차단될 것이므로 향상된 2차 IP2 성능으로 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쵸핑 혼합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chopping mixer}
본 발명의 분야에서, 셀룰라 전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용의 라디오 수신기들에 다이렉트 변환 혹은 제로-IF 수신기들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신기들에서는 수신에 사용되는 채널의 스펙트럼 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한된 협대역 선택도로 인해서, 2차 상호변조 왜곡(IM2 ; secon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의해, 관련 신호 대역 내엔 원하지 않는 스펙트럼 성분이 나타난다. 이것은 2 또는 그 이상의 간섭하는 신호들의 주파수 차이가 원하는 신호의 IF 대역폭보다 아래로 되는 이들 2 또는 그 이상의 간섭하는 신호들이 어떤 2차 비선형성으로 인해 서로 혼합하여 기저대 스펙트럼 성분을 생성할 때 발생한다. 신호 경로에서의 중요 회로 블록들 내에서의 2차 상호변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 기술에는 차동 회로들(differential circuits)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론적으로, 차동 회로들은 2차 상호변조 왜곡에 대해 무한의 감쇄를 갖는 것이지만, 그러나, 실제로 이것은 적지 않게, 장치 오정합들, 기생 언밸런스, 불완전한 레이아웃, 및 이 외, 원하는 2차 입력 차단점(IIP2)보다 낮은 것을 제공하는 언밸런스를 야기하는 장치의 특성이 고르지 못한 것에 기인하여, 사실과는 멀다.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아는 바와 같이, 집적화된 혼합기 기술에서 현재까지 달성된 최상의 IIP2는 시스템 요건들이 현격하게 부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의 문제들이 극복될 수 있게 향상된 쵸핑 혼합기 성능을 제공하는 것은 극히 잇점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향상된 쵸핑 혼합기 성능을 혼합기회로들, 스위치 회로들, 및 이 외, 기생 오정합 혹은 언밸런스를 나타내는 성분들을 채용하는 무선 및 유선 통신들의 장치들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잇점이 있을 것이다.
미국특허 US-A-5 859 559(RAYTHEON)에는 집적회로의 일부로서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혼합기 구조가 기술되어 있다. 입력 차동 증폭기의 상호 콘덕턴스를 향상시키는 소량의 전류들을 도입함으로써 의사 신호들이 회피된다.
영국 특허 출원 GB-A-2 151863(도시바)에는 제1 및 제2 차동 증폭기들을 구비한 증폭기 회로가 기술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에 의해서 출력 신호들의 동적 범위가 증가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제1 및 제2 출력들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와의 적(product)을 얻기 위해서 부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의 문제점(들)이 완화될 수 있는 쵸핑 혼합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쵸핑 혼합기들(chopping mixer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를테면 다이렉트 변환 수신기들과 같은 라디오 주파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이렉트 변환 라디오 수신기에서의 제1 AC 쵸핑 혼합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C 쵸핑 혼합기에서 사용되는 클럭 신호들의 파형 타이밍도이다.
도 3은 제2 AC 쵸핑 혼합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면에 따라서, 청구항 1에 청구된 쵸핑 혼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면에 따라서, 청구항 13에 청구된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이제공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쵸핑 혼합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에 의해 기술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1은 다이렉트 변환 라디오 수신기(110)에서 사용하기 위한 AC 쵸핑 혼합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혼합기(100)는 두 쌍의 MOSFET 쵸퍼 트랜지스터들(122 및 124, 126 및 128)로 구성된 입력 쵸퍼 셀(120)을 구비한다. 쵸퍼 트랜지스터들(122 내지 128)은 쵸퍼 클럭 신호들 clkp, clkn(도 2 참조) 및 RF 입력 포트에서 교차 결합된 차동 입력 신호들 RFp, RFn을 수신하도록 결합된다. 입력 쵸퍼 셀(120)은 쵸핑된 차동 전압 출력 신호들 Vip, Vin을 생성한다.
전압 전류(V-I) 변환기(130)는 그들의 베이스 전극들이 베이스 전압 Vb을 수신하도록 공통으로 결합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32, 134)로 구성된다. 입력 쵸퍼 셀(120)의 쵸퍼 트랜지스터들(122 내지 128)로부터의 출력들은 전압 전류 변환기(130)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32, 134)의 이미터 전극들에 각각 접속되어, 그 결과 트랜지스터들은 그들의 콜렉터 전극들에서 입력 쵸퍼 셀(120)로부터의 전압 출력 신호들 Vip 및 Vin에 각각 비례하는 전류들 Ip 및 In을 떨어뜨린다.
라디오 주파수(RF) 혼합기 셀(140)은 두 쌍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2 및 144, 146 및 148)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들(142, 148)의 베이스 전극들은 입력 신호 LOn를 수신하도록 공통으로 결합되고, 트랜지스터들(144, 146)의 베이스 전극들은 입력 신호 LOp를 수신하도록 공통으로 결합되고, 신호들 LOp, LOn은 차동 입력 신호 RFp, RFn(RF 입력 포트에서의)와 혼합될 차동 입력 신호(LO 입력 포트에서의)를 형성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2, 144)의 에미터 전극들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32)의 콜렉터 전극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6, 148)의 에미터 전극들은 전압 전류 변환기(130)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34)의 콜렉터 전극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2, 146)의 콜렉터 전극들은 기준 전위원 Vpp에 공통으로 결합되고(저항 Rip을 통해서), 이 기준 전위원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4, 148)의 콜렉터 전극들이 또한 공통으로 결합된다(저항 Rin을 통해서).
AC 결합 셀(150)은 캐패시터들 Cn, Cp로 구성된다. 캐패시터 Cn의 일 전극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2, 146)의 공통 접속된 콜렉터 전극들에 접속되고, 캐패시터 Cp의 일 전극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144, 148)의 공통 접속된 콜렉터 전극들에 접속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캐패시터들 Cn, Cp은 이들의 용량이 가변될 수 있게 프로그램 가능 캐패시터 구조(도시생략)로서 실현될 수도 있다.
출력 쵸퍼 셀(160)은 두 쌍의 MOSFET 쵸퍼 트랜지스터들(162 및 164, 166 및168)로 구성된다. 쵸퍼 트랜지스터들(162 내지 168)은 쵸퍼 클럭 신호들 clkp, clkn을 수신하도록 결합되고 각각 캐패시터들 Cn, Cp로부터의 전압 신호들 Vnc, Vpc을 수신하도록 AC 결합 셀(150)에 접속된다. 쵸퍼 요소들(162, 164)의 출력들은 차동 출력 신호들 Von, Vop(BB 출력 포트에서의)을 생성하도록 교차 결합되고, 이들 차동 출력 신호들 Von, Vop은 차동 입력 신호들 RFn, RFp(RF 입력 포트에서의) 및 LOp 및 LOn(LO 출력 포트에서의)로부터 혼합된다.
AC 쵸핑 혼합기(100)의 성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다.
쵸퍼 출력단에서, 차동 출력 대 차동 입력 관계는,
clkp가 활성일 때(clkp=1, clkn=0), Vop = Vpc 및 Von = Vnc이고,
clkn가 활성일 땐(clkp=0, clkn=1), Vop = Vnc 및 Von = Vpc가 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등식들로 된다.
clkp가 활성일 때, Vop-Von = Vpc-Vnc,
clkn가 활성일 땐, Vop-Von = -(Vpc-Vnc)
이 된다.
이에 따라, 차동 입력 Vp - Vn은 클럭신호 Clk와 곱하여지므로 이 신호 Vp-Vn는 clk에서 DC로 하향변환되고, 따라서,
Vop-Von = (clkp-clkn)(Vpc-Vnc)
가 된다. 그러나, 공통 모드에 있어선 상황이 다르다. 즉, 공통 모드 출력 대 공통 모드 입력의 관계는,
clkp가 활성일 때, Vop+Von = Vpc+Vnc,
clkn이 활성일 땐, Vop+Von = Vpc+Vnc
가 된다. 이에 따라, 쵸퍼단의 출력에서의 공통 모드는 입력과 동일하므로,
Vop+Von = Vpc+Vpn
이 된다. 따라서, 출력단은 공통 모드 신호들의 입력을 변경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F 혼합기 셀은 쵸퍼단처럼 행동할 것임을 알 것이다. 즉, 차동 출력 대 차동 입력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질 것이다.
LOn이 활성일 때(LOn=1, LOp=0), Vp-Vcc = -Rip.Ip 및 Vn-Vcc = -Rin.In,
LOp가 활성일 때(LOn=0, LOp=1), Vp-Vcc = -Rip.Ip 및 Vn-Vcc = -Rin.Ip
이다. 그러므로,
LOn이 활성일 때, Vp-Vn = Ri(In-Ip),
LOp가 활성일 때, Vp-Vn = Ri(Ip-In)
이므로, Vp-Vn = (LOp-LOn)Ri(Ip-In)
이다.
또한, 공통 모드 출력 대 공통 모드 입력과의 관계는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LOn이 활성일 때, Vp+Vn = -Ri(Ip+In)+2 Vcc,
LOp이 활성일 땐, Vp+Vn = -Ri(Ip+In)+2 Vcc
이므로, RF 혼합기단은 공통 모드 신호 입력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V-I 변환기는 선형단인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출력 전류에 비선형의행동을 유발할 것이며 이것은 전압 입력 Vip, Vin에 대해 다항식 관계로서 모델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2차 출력 전류만을 고찰하고 유용한 신호를 무시하면 다음의 관계식들이 주어진다.
Ip = a2p(Vip)2
In = a2n(Vin)2
발생된 2차 전류 성분들은 저주파에서 나타날 것이다. 이들 2차 전류들은 공통 모드 전류 신호를 발생시킨다.
Ip+In = a2p(Vip)2+a2n(Vin)2
이것은 RF 혼합기 출력에서 공통 모드 전압 신호, 즉, 저주파에서 전류 신호와 동일한 스펙트럼을 점유하는,
Vp+Vn = -Ri(a2p(Vip)2+a2n(Vip)2)+2Vcc
로 될 것이고, 따라서, AC 결합 네트워크는 이들 저주파수들의 성분을 감소시킬 것이다(AC 결합 코너 주파수는 쵸핑 클럭 주파수의 대략 2.5% 내지 5%의 범위 내에 놓이도록 선택될 수 있고, 위에 언급한 프로그램 가능한 캐패시터 구조를 사용하여 이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이들 2차 성분들에 대한 RF 혼합기 출력에서의 싱글 단 전압을 고찰하면(현재 Rip가 Rin과는 다른 것으로, 즉 저항기 오정합이 있는 것으로 가정함), 다음의 관계식들이 나온다.
Vp를,
Vp = Vcc-Rip(a2p(Vip)2+a2n(Vin)2)/2
+(LOp-Lon)Rip(a2p(Vip)2-a2n(Vin)2)/2
로서 나타내도록 하고, Vn을
Vn = Vcc-Rin(a2p(Vip)2+a2n(Vin)2)/2
+(LOp-Lon)Rin(a2p(Vip)2-a2n(Vin)2)/2
으로서 나타내도록 하였을 때,
LOn이 활성일 때, Vp = Vcc-Rip a2p(Vip)2,
LOp가 활성일 때, Vp = Vcc-Rip a2n(Vin)2
이다. 이들 Vp 및 Vn에 대해서, Rix(a2p(Vip)2+a2n(Vin)2)/2 항은 캐패시터들에 의해 DC가 차단되어 감소될 2차 성분들에 기인하여 저주파 공통 모드 변동으로서 나타난다. 항 (LOx-LOn)Rix(a2p(Vip)2-a2n(Vin)2)/2는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에 의해 옮겨질 것이므로 이의 기여가 최소화되게 쉽게 필터링될 것이다.
두 번째 항을 무시함으로써 Vpc 및 Vnc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pc = Hpc*Vcc-Rip(a2p(Vip)2+a2n(Vin)2)/2*Hpc,
여기서 Hpc는 포지티브 경로 상의 고역 통과 필터이고, *는 콘볼루션 연산을나타내며,
Vnc = Hnc*Vcc-Rin(a2p(Vip)2+a2n(Vin)2)/2*Hnc,
여기서, Hnc는 네가티브 경로 상의 고역 통과 필터이고, *는 콘볼루션 연산을 나타낸다.
출력 쵸퍼에서, 다음의 관계들이 만족된다.
Vop+Von = Vpc+Vnc, 및
Vop-Von = (clkp-clkn)(Vpc-Vnc)이고,
Vop+Von = (Hpc+Hnc)*Vcc-(a2p(Vip)2+a2n(Vin)2)/2*(Rip Hpc+Rin Hnc),
의 관계들도 되고,
2차 공통 모드 성분은 AC 결합에 의해 감소되고,
Vop-Von = (clkp-clkn)(Hpc-Hnc)*Vcc
+(clkp-clkn)(a2p(Vip)2+a2n(Vin)2)/2 *(Rin Hpc-Rip Hnc),
이 된다.
이것은 완벽하게 정합된 출력 쵸퍼단, 즉 {clip}={clkn}을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게 정합된 출력 쵸퍼(예를 들면, 50%가 아닌 듀티 사이클의 클럭 혹은 비유사 스위치들에 기인한)는 차동 2차 성분의 감소를 제한할 것이고
(dutycycle-50%)(a2p(Vip)2+a2n(Vin)2)/2*(Rin Hnc-Rip Hpc)
과 동일한 항의 값을 발생할 것이다.
이 경우, AC 결합은 저주파 영역(0 내지 200KHz)에서 (Rin Hnc-Rip Hpc)가 (Rin-Rip)보다 훨씬 작다면 비Ac 결합 네트워크에 대해 추가의 IP2 이득 향상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출력 쵸퍼에 의해 유발되는 2차 비선형성들은 IM2 차동 성능들을 제한할 것이다.
도 3에서, 제2 AC 쵸핑 혼합기(200)(전술한 AC 쵸핑 혼합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는 많은 성분들을 혼합기(100)와 공유하며, 이들 공유된 성분들엔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제2 AC 쵸핑 혼합기(200)는 (제1 혼합기(100)에서 LO 입력은 혼합기 셀(140)에 직접 결합되고, RF 입력은 쵸핑 셀(120) 및 전압-전류 변환기 셀(130)을 통해 혼합기 셀(140)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제2 혼합기(200)에서 LO 입력은 쵸퍼 셀(220)(MOSFET 쵸퍼 트랜지스터들(222, 224, 226, 228)로 구성됨)을 통해 혼합기 셀(140)에 결합되고, RF 입력은 전압 전류 변환기 셀(130)을 통해 혼합기 셀(140)에 결합되는 점에서 혼합기(100)와는 다르다. 제2 혼합기(200)에서, 혼합기(100)에서처럼, 혼합기 셀(140)의 출력은 BB 출력에 출력이 접속되는 출력 쵸핑 셀(160)에 AC 결합 셀(150)을 통해 결합됨을 알 것이다.
제2 혼합기(200)는 전술한 혼합기(100)와 유사하게 기능함을 알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혼합기들은 쵸핑 클럭 신호들 clkn, clkp의 정수배의 주파수 fclk에 의해 LO 입력 포트에서의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와는 다른 RF 입력 포트에서의 신호들에 대해 이상적이지 않게 응답할 것이다. 그러나, 제2 혼합기(200)에서 이 이상적이지 않은 신호 응답은 제1 혼합기 내 RF 입력 포트로부터의 입력 쵸핑단을 제2혼합기 내 LO 입력 포트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혼합기(100)에 비해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2 혼합기(200)는 보다 큰 의사 응답 분리를 통해서 제1 혼합기(100)보다는 나은 성능을 제공함을 알 것이다.
전술한 쵸핑 혼합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는 다음의 잇점들을 제공함을 알 것이다.
·쵸핑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바이폴라 혼합기 출력을 AC 결합함으로써, 출력 쵸핑단 전의 신호는 DC가 아닌 쵸핑 클럭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게 되므로 잇점이 얻어진다.
·또한, AC 결합에 의해서 0 내지 200KHz의 요구되는 주파수 범위에서 공통 모드 신호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싱글 단 출력에 나타나는 2차 성분은 결합 캐패시터들에 의해 DC가 차단될 것이므로, 2차 IP2의 향상으로 된다.
·쵸퍼 혼합기들 및 RF 바이폴라 혼합기는 서로 행동이 유사하므로, 이들의 공통 모드 출력 대 공통 모드 입력은 1과 같게 되고 어떠한 주파수도 옮겨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차동 입력은 주파수가 옮겨질 것이다. 이것은 전체 혼합기 구성 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공통 모드 신호들(0 내지 200khz)만이 저주파 공통 모드 신호들로서 출력에 존재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들 저주파 공통 모두 신호들 대부분은 혼합기 구성, 주로 V-I 변환기단에서의 2차 비선형성들에 의해 발생되지만, AC 결합으로 이들 성분들이 차단되고 이들의 레벨들이 감소될 것이다.

Claims (23)

  1. 쵸핑 혼합기(100)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들(Ip, In, LOp, LOn)을 혼합하여 그로부터 혼합된 신호(Vp, Vn)를 생성하는 혼합기 수단(140);
    출력 쵸핑 수단(160); 및
    상기 혼합된 신호를 상기 출력 쵸핑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AC 결합 수단(Cn, C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핑 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결합 수단은 DC 신호들은 차단하는 반면 AC 신호들을 통과시키는 용량 수단(Cn, Cp)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혼합기(142, 144, 146, 148)를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쵸핑 수단(160)은 MOSFET 트랜지스터들(162 내지 168)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된 입력 신호를 쵸핑하고 상기 쵸핑된 입력 신호를 상기 혼합기 수단에 결합하는 입력 쵸핑 수단(120, 220)을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에 인가하기 위해 전압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혼합기 수단의 입력에 결합된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된 입력 신호를 쵸핑하고 그로부터 쵸핑된 입력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쵸핑 수단(120); 및
    상기 쵸핑된 입력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입력 쵸핑 수단과 상기 혼합기 수단 간에 결합된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의 제1 입력에 결합되어, 입력 쵸핑 수단에 인가되는 쵸핑된 입력 신호를 그에 인가하는 상기 입력 쵸핑 수단(220); 및
    상기 혼합기 수단의 제2 입력에 결합되어,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그에 인가하는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9.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쵸핑 수단(120, 220)은 MOSFET 트랜지스터들(122 내지 128, 222 내지 228)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은 차동 신호들인, 쵸핑 혼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C 결합 수단은 상기 쵸핑 수단의 주파수의 약 2.5%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코너 주파수를 갖는, 쵸핑 혼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쵸핑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변환 라디오 수신기(110).
  13. 쵸핑 혼합기(100)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공된 신호들(Ip, In, LOp, LOn)을 혼합하여 그로부터 혼합된 신호(Vp, Vn)를 생성하는 혼합기 수단(140)을 제공하는 단계;
    출력 쵸핑 수단(160)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신호를 상기 출력 쵸핑 수단에 결합하는 결합 수단(150)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AC 결합 수단(Cn, C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C 결합 수단은 DC 신호들은 차단하는 반면 AC 신호들을 통과시키는 용량 수단(Cn, Cp)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혼합기(142, 144, 146, 148)를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쵸핑 수단(160)은 MOSFET 트랜지스터들(162 내지 168)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된 입력 신호를 쵸핑하고 상기 쵸핑된 입력 신호를 상기 혼합기 수단에 결합하는 입력 쵸핑 수단(120, 220)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에 인가하기 위해 전압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혼합기 수단의 입력에 결합된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가된 입력 신호를 쵸핑하여 그로부터 쵸핑된 입력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쵸핑 수단(120)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쵸핑된 입력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그에 인가하기 위해 상기 입력 쵸핑 수단과 상기 혼합기 수단 간에 결합된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수단의 제1 입력에 결합되어 입력 쵸핑 수단에 인가되는 쵸핑된입력 신호를 그에 인가하는 입력 쵸핑 수단(220)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기 수단의 제2 입력에 결합되어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신호를 그에 인가하는 전압 전류 변환기 수단(130)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21. 제17항,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쵸핑 수단(120, 220)은 MOSFET 트랜지스터들(122 내지 128, 222 내지 228)을 포함하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은 차동 신호들인,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C 결합 수단은 상기 쵸핑 수단의 주파수의 약 2.5%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코너 주파수를 갖는, 쵸핑 혼합기 동작 방법.
KR1020037002318A 2000-08-17 2001-07-16 쵸핑 혼합기 및 직접 변환 무선 수신기 KR100799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402301A EP1184971A1 (en) 2000-08-17 2000-08-17 Switching mixer
EP00402301.6 2000-08-17
PCT/EP2001/008154 WO2002015385A1 (en) 2000-08-17 2001-07-16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chopping mi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932A true KR20030043932A (ko) 2003-06-02
KR100799473B1 KR100799473B1 (ko) 2008-01-30

Family

ID=817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318A KR100799473B1 (ko) 2000-08-17 2001-07-16 쵸핑 혼합기 및 직접 변환 무선 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3766B2 (ko)
EP (1) EP1184971A1 (ko)
JP (1) JP2004507139A (ko)
KR (1) KR100799473B1 (ko)
CN (1) CN1448006A (ko)
AU (1) AU2001289658A1 (ko)
TW (1) TW543285B (ko)
WO (1) WO2002015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780B2 (en) * 2002-01-16 2004-11-0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Filter circuit and detection circuit having filter circuit
US7382984B2 (en) * 2002-10-03 2008-06-03 Nortel Networks Limited Electrical domain compensation of optical dispersion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JP2004180281A (ja) * 2002-11-13 2004-06-24 Renesas Technology Corp 直交ミキサ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KR100519876B1 (ko) * 2004-01-30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 혼변조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직접 변환용 믹서 회로및 이를 이용한 직접 변환 송수신기
US7538596B2 (en) * 2004-05-25 2009-05-26 Silicon Laboratories, Inc. Low distortion quadrature mixer and method therefor
US7251468B2 (en) * 2004-07-14 2007-07-31 Motorola, Inc. Dynamically matched mixer system with improved in-phase and quadrature (I/Q) balance and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IP2) performance
US7177616B2 (en) 2004-08-13 2007-02-1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 linearity and low noise CMOS mixer and signal mixing method
US8228110B1 (en) * 2004-12-06 2012-07-24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low voltage phase interpolator
US20060133558A1 (en) * 2004-12-20 2006-06-22 Swartz Ronald W Mechanism to aid a phase interpolator in recovering a clock signal
CN100428641C (zh) * 2005-08-25 2008-10-22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直接转换型射频接收器的混波器
US7512393B2 (en) * 2005-10-14 2009-03-31 Skyworks Solutions, Inc. Downconverting mixer
KR100720643B1 (ko) * 2005-10-20 2007-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 혼변조 왜곡 보정 회로
US8059758B2 (en) * 2006-02-10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Conversion of multiple analog signals in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7620381B2 (en) * 2006-05-21 2009-11-17 Realtek Semiconductor Corp. Tri-state chopper for frequency conversion
US7826816B2 (en) * 2006-07-11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conversion
US8099072B2 (en) * 2006-11-21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changer circuits
US8805274B2 (en) * 2007-01-25 2014-08-12 Thomson Licensing Frequency translation module interface
US20080186057A1 (en) * 2007-02-01 2008-08-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frequency detector including common input voltage sensor
US20090079497A1 (en) * 2007-09-21 2009-03-26 Nanoamp Solutions, Inc. (Cayman) Phase tuning techniques
US7865164B2 (en) * 2007-09-27 2011-01-0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ownconvert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20090088121A1 (en) * 2007-09-27 2009-04-02 Nanoamp Solutions Inc. (Cayman) High Linearity and Low Noise Mixer
US20090197552A1 (en) * 2008-01-07 2009-08-06 Peter Kurahashi Bandwidth tunable mixer-filter using lo duty-cycle control
US8401512B2 (en) 2010-04-08 2013-03-19 Viasat, Inc. Compact high linearity MMIC based FET resistive mixer
TWI455498B (zh) * 2011-07-26 2014-10-01 Mstar Semiconductor Inc 直接轉換接收器及其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634A (en) * 1978-05-06 1980-12-30 Enertec Electronic multiplying circuits
JPS60130204A (ja) * 1983-12-17 1985-07-11 Toshiba Corp 掛算回路
WO1992002929A1 (en) * 1990-08-01 1992-02-20 Maxtor Corporation Sample data position error signal detection for digital sector servo
JP2950739B2 (ja) * 1994-11-11 1999-09-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デュアルモード送信装置
US5630228A (en) * 1995-04-24 1997-05-13 Motorola, Inc. Double balanced mixer circuit with active filter load for a portable comunication receiver
JP3189633B2 (ja) 1995-07-25 2001-07-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ミキサ
US5859559A (en) * 1997-07-31 1999-01-12 Raytheon Company Mixer structures with enhanced conversion gain and reduced spurious signals
US6125272A (en) * 1998-09-25 2000-09-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protection
DE19844970C2 (de) * 1998-09-30 2001-02-22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m Mischen eines Eingangssignals und eines Oszillatorsignals miteinander
US6594478B1 (en) * 2000-11-03 2003-07-15 Motorola, Inc. Self oscillating mi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3285B (en) 2003-07-21
US20040041616A1 (en) 2004-03-04
CN1448006A (zh) 2003-10-08
EP1184971A1 (en) 2002-03-06
WO2002015385A1 (en) 2002-02-21
JP2004507139A (ja) 2004-03-04
AU2001289658A1 (en) 2002-02-25
KR100799473B1 (ko) 2008-01-30
US6933766B2 (en)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473B1 (ko) 쵸핑 혼합기 및 직접 변환 무선 수신기
US6313688B1 (en) Mixer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120414B2 (en) Circuit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mixing radio frequencies in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7062248B2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having a low pass pole implemented with an active low pass filter
US5768700A (en) High conversion gain CMOS mixer
US5995819A (en) Frequency converter and radio receiver using same
US8140044B2 (en) Mix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US6125272A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protection
US6993310B2 (en) Current driven polyphase filters and method of operation
US7792215B2 (en) Direct-conversion receiver and sub-harmonic frequency mixer thereof
US7039383B2 (en) Quadrature mixer circuit including three-input local mixers
US20080284488A1 (en) Mixer Circuit
US66312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ixer circuit with anti-series transistors
EP1111773B1 (en) Semiconductor circuit
US5521545A (en) Collector-injection mixer with radio frequency signal applied to collectors of lower transistor pair
US7877065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7109795B2 (en) Amplifier-mixer device
JP3476318B2 (ja) 周波数変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受信機
US7002396B2 (en) Frequency converter
US5973539A (en) Mixer circuit for mixing two signals having mutually different frequencies
US20030064698A1 (en) Linearization apparatus for mixer
US20060006921A1 (en) Mixer
WO2009059831A2 (en) Mixing apparatus
US20040116095A1 (en) High dynamic range radio frequency mixer
Molnar N-Path Mixers Beyond CM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