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97Y1 -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7Y1
KR200300297Y1 KR20-2002-0028490U KR20020028490U KR200300297Y1 KR 200300297 Y1 KR200300297 Y1 KR 200300297Y1 KR 20020028490 U KR20020028490 U KR 20020028490U KR 200300297 Y1 KR200300297 Y1 KR 200300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or
temperature solution
unit inlet
pipe
coo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유범열
이호준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필
Priority to KR20-2002-0028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03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or composition of the re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1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 F25B2313/0212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being only used during dehumidif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재열 과정이 필요없는 연속순환식의 단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의 절감 효과와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재생기 탱크(10)로 구성하되, 상기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 사이로 고온용액 저장부(1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고온용액 분사공(13A)이 다수 형성된 고온용액 노즐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고온용액 노즐부(13)와 실외기 유입구(11) 사이에 재생기 충진재(14)가 구비된 재생기(1)와;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제습식 냉각기 탱크(20)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 사이로 저농도용액 저장부(2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저온용액 분사공(23A)이 다수 형성된 저온용액 노즐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저온용액 노즐부(23)와 실내기 유입구(21) 사이에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가 구비된 제습식 냉각기(2)와; 상기 재생기(1)와 제습식 냉각기(2) 사이에 압축기(31), 증발기(32), 팽창변(33), 응축기(34)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32)의 일측은 배관A(32A)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온용액 노즐부(2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B(32B)에 의해 재생기(1)의 고농도용액 출구(12)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34)의 일측은 배관C(34A)에 의해 재생기(1)의고온용액 노즐부(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D(34B)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농도용액 출구(22)에 연결된 열펌프(3)와;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재열 과정이 필요없는 연속순환식의 단순 구조를 갖게 되고, 이로인해 에너지 소비의 절감 효과와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Liquid dessicant cooling system using heat pump}
본 고안은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재열 과정이 필요없는 연속순환식의 단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의 절감 효과와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 실내공기는 실내외기의 공조 부하로 인해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서, 쾌적한 실내 조건의 유지를 위해서는 연속적인 냉각과 제습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실내공기 일부를 공기조화기로 순환시켜 냉각열교환기에 의해 냉각과 제습이 행하여지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냉방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실외기가 냉각기(101)의 쿨링코일(101A)을 통과하는 동안 열교환되면서 냉각되고, 이 냉각공기는 다시 보일러(102)의 히팅코일(102A)을 통과하면서 재열된 후, 송풍팬(103)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며, 실내기는 다시 흡입팬(104)에 의해 일부는 환기를 위하여 외부로 배기되고, 나머지는 실외기와 혼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 측으로 순환되어 연속적인 냉각 및 제습과정을 행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냉방장치에 의한 공기조화 과정을 보인 그래프로서, 실내기1와 외기3가 혼합하여 상태2가 되고, 상태2의 공기는 온도4로 유지된 냉각열교환기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냉각과 제습이 된다. 공기 중의 일부는 바이패스되므로 출구 상태는 5가 되는 것이며, 실내의 현열 및 잠열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급기의 출구 상태는 6이 요구되므로 상태 5에서 6까지의 재열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이같이 종래에는 원하는 조건만큼 제습을 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냉각과 재열이 요구되므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재열 과정이 필요없는 연속순환식의 단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의 절감 효과와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재생기에서 증발기로 송출되는 고온용액을 미리 열교환시켜 저온의 전처리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 및 냉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외기 유입구 및 고농도용액 출구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재생기 탱크로 구성하되, 상기 실외기 유입구 및 고농도용액 출구 사이로 고온용액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고온용액 분사공이 다수 형성된 고온용액 노즐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온용액 노즐부와 실외기 유입구 사이에 재생기 충진재가 구비된 재생기와;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내기 유입구 및 저농도용액 출구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제습식 냉각기 탱크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 유입구 및 저농도용액 출구 사이로 저농도용액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저온용액 분사공이 다수 형성된 저온용액 노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온용액 노즐부와 실내기 유입구 사이에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가 구비된 제습식 냉각기와; 상기 재생기와 제습식 냉각기 사이에 압축기, 증발기, 팽창변, 응축기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일측은 배관A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의 저온용액 노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를 갖는 배관B에 의해 재생기의 고농도용액 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의 일측은 배관C에 의해 재생기의 고온용액 노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를 갖는 배관D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의 저농도용액 출구에 연결된 열펌프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재생기의 재생기 충진재와 상기 제습식 냉각기의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는 하니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펌프의 배관B와 배관D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종래 냉방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의한 공기조화 과정을 보인 그래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재생기
10:재생기 탱크 11:실외기 유입구
12:고농도용액 출구 13:고온용액 노즐부
13A:고온용액 분사공 14:재생기 충진재
15:고온용액 저장부
2:제습식 냉각기
20:제습식 냉각기 탱크 21:실내기 유입구
22:저농도용액 출구 23:저온용액 노즐부
23A:저온용액 분사공 24:제습식 냉각기 충진재
25:저농도용액 저장부
3:열펌프
31:압축기 32:증발기
32A,B:배관A,B 33:팽창변
34:응축기 34A,B:배관C,D
35:펌프
4:열교환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재생기(1)와 제습식 냉각기(2)와, 열펌프(3)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들 기기를 순환하면서 농도변화되는 열매체는 염화리듐(LiCL) 수용액이다.
상기 재생기(1)는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재생기 탱크(10)로 구성하되, 상기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 사이로 고온용액 저장부(1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고온용액 분사공(13A)이 다수 형성된 고온용액 노즐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고온용액 노즐부(13)와 실외기 유입구(11) 사이에 재생기 충진재(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습식 냉각기(2)는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제습식 냉각기 탱크(20)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 사이로 저농도용액 저장부(2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저온용액 분사공(23A)이 다수 형성된 저온용액 노즐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저온용액 노즐부(23)와 실내기 유입구(21) 사이에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펌프(3)는 상기 재생기(1)와 제습식 냉각기(2) 사이에 압축기(31), 증발기(32), 팽창변(33), 응축기(34)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32)의 일측은 배관A(32A)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온용액 노즐부(2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B(32B)에 의해 재생기(1)의 고농도용액 출구(12)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34)의 일측은 배관C(34A)에 의해 재생기(1)의고온용액 노즐부(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D(34B)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농도용액 출구(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기(1)의 재생기 충진재(14)와 상기 제습식 냉각기(2)의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는 그 단면이 벌집모양으로 다수의 육각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관통형성된 하니컴(honeycom)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용액과 공기와의 접촉면적 확대, 즉 단위체적당 표면적을 크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함께 상기 열펌프(3)의 배관B(32B)와 배관D(34B)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는 재생기(1)에서 증발기(32)로 송출되는 고온용액을 열교환기(4)에 의해 미리 열교환시켜 저온의 전처리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32)에 의한 열교환 및 냉방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고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은 열펌프(3)의 증발기(3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이 냉각된 고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은 제습식 냉각기(2)의 저온용액 노즐부(23)에 의해 상부에서부터 작은 액적으로 분사되면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처리공기와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에서 열 및 물질 전달을 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의 온도는 하강하고 공기 중의 수분은 염화리듐 용액에 흡착되는 것이며, 수분을 흡수하면서 저농도가 된 염화리듐 용액은 제습식 냉각기(2)의 저농도용액 저장부(25)에 집수된다.
이 염화리듐 용액은 재생을 위해 펌프(35)에 의하여 재생기(1)로 보내지는데, 이때 재생기(1)로부터 오는 고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은 온도가 높으므로 열 회수를 위하여 열교환기(4)를 통해 이 용액과 열교환을 시킨다.
저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은 열펌프(3)의 응축기(34)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용액 내의 평형 수증기 분압이 상승되고, 이 고온, 저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은 재생기(1)의 고온용액 노즐부(13)에 의해 상부에서 분사하면서 재생기 충진재(14)에서 외기의 재생공기와 열/물질을 교환을 하면서 용액 내의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면서 다시 고농도의 염화리듐 용액이 되는 것이며, 외기공기는 고온, 저농도의 염화리듐 용액과 접촉하면서 온도와 습도가 상승하여 다시 외기로 배출된다.
이같이 본 고안, 즉 열펌프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은 원하는 급기 출구 조건을 직접 생성하므로 과도 냉각 또는 재열 과정이 없으며, 상태 B에서 상태F로 직접 도달하게 되므로 기존의 냉각 및 제습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가 대폭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실시예>
기존 방식과 본 고안에 의한 방식의 소요 열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적정한 가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실내공기는 25℃, 50%. 외기는 35℃, 40%, 공조부하의 현열비는 0.6, 냉각열교환기의 바이패스 팩터(bypass factor)는 0.2, 환기율은 30%라고 가정하였으며 이 수치들은 냉방시 가장 일반적인 조건이다.
바이패스 팩터(BF)=
환기율,
표 1에 시뮬레이션 결과를 요약한다. 기존 방식은 냉각열량 { q}_{L } = { h}_{3 } - { h}_{5 } 과 재열 열량 { q}_{ RH} = { h}_{6 }- { h}_{5 } 을 합한 열량이 필요하다. 열펌프 이용 액체 제습식 냉방 방식은 { q}_{HP } = { h}_{3 } - { h}_{6} 의 열량이 필요하다.
{ q}_{L } = { h}_{3 } - { h}_{5 } =56.67-34.76=21.91kJ/kg
{ q}_{ RH} = { h}_{6 }- { h}_{5 } =40.54-34.76=5.77kJ/kg
기존 방식,=21.91+5.77=27.68kJ/kg
열펌프 액체 제습 방식,=56.67-40.54=16.14kJ/kg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기존은 27.68 kJ/kg, 열펌프 액체 제습 방식은 16.14kJ/kg의 열량이 필요하므로 41.7%의 열량이 감소된다.
표 1 열펌프 이용 액체 제습식 냉방 장치의 시뮬레이션 결과
상태 1 2 3 4 5 6
T(℃) 25 35 28 10 13.6 19.25
φ(%) 50 40 47.23 100 86.12 60.08
w(g/kg) 9.883 14.13 11.16 7.631 8.345 8.345
h(kJ/kg) 50.33 71.48 56.67 29.29 34.76 40.54
두 방식의 소요되는 동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에너지 소비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재열 과정이 필요없는 연속순환식의 단순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의 절감 효과와 설치 및 운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생기와 제습식 냉각기에 사용되는 충진재를 하니컴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단위체적당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열교환 및 냉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생기에서 증발기로 송출되는 고온용액을 열교환기에 의해 미리 열교환시켜 저온의 전처리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 및 냉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재생기 탱크(10)로 구성하되, 상기 실외기 유입구(11) 및 고농도용액 출구(12) 사이로 고온용액 저장부(1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고온용액 분사공(13A)이 다수 형성된 고온용액 노즐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고온용액 노즐부(13)와 실외기 유입구(11) 사이에 재생기 충진재(14)가 구비된 재생기(1)와;
    하부 일측 및 타측에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를 갖는 상방 개구형의 제습식 냉각기 탱크(20)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 유입구(21) 및 저농도용액 출구(22) 사이로 저농도용액 저장부(25)를 형성하고, 상부측에는 하방의 저온용액 분사공(23A)이 다수 형성된 저온용액 노즐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저온용액 노즐부(23)와 실내기 유입구(21) 사이에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가 구비된 제습식 냉각기(2)와;
    상기 재생기(1)와 제습식 냉각기(2) 사이에 압축기(31), 증발기(32), 팽창변(33), 응축기(34)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32)의 일측은 배관A(32A)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온용액 노즐부(2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B(32B)에 의해 재생기(1)의 고농도용액 출구(12)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34)의 일측은 배관C(34A)에 의해 재생기(1)의 고온용액 노즐부(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35)를 갖는 배관D(34B)에 의해 제습식 냉각기(2)의 저농도용액 출구(22)에 연결된 열펌프(3)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제습식 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1)의 재생기 충진재(14)와 상기 제습식 냉각기(2)의 제습식 냉각기 충진재(24)는 하니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가습식 냉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펌프(3)의 배관B(32B)와 배관D(34B)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KR20-2002-0028490U 2002-09-23 2002-09-23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00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90U KR200300297Y1 (ko) 2002-09-23 2002-09-23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490U KR200300297Y1 (ko) 2002-09-23 2002-09-23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620A Division KR20040026242A (ko) 2002-09-23 2002-09-23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7Y1 true KR200300297Y1 (ko) 2003-01-14

Family

ID=4932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4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0297Y1 (ko) 2002-09-23 2002-09-23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781A (zh) * 2019-06-18 2019-08-27 格瑞智慧人居环境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溶液式户式壁挂机组
KR102257513B1 (ko) * 2020-09-29 2021-05-31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가습모드로 전환 될 수 있는 전외기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781A (zh) * 2019-06-18 2019-08-27 格瑞智慧人居环境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溶液式户式壁挂机组
KR102257513B1 (ko) * 2020-09-29 2021-05-31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가습모드로 전환 될 수 있는 전외기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6242A (ko)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JP5417213B2 (ja) 間接蒸発冷却型外調機システム
CN102282426B (zh) 无排水设备的空调装置
JP366878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9275955A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
KR20160018492A (ko) 천장형 액체 흡습제 공조 시스템
JP6018938B2 (ja) 外気処理用空調システム
EP3044518A1 (en) Branch controller,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N108895572B (zh) 溶液除湿机组
CN106369722B (zh) 一种双模式溶液调湿新风空调机组及空气湿度调控方法
KR100904592B1 (ko) 조습장치
CN113339901B (zh) 调节潮湿地区室内空气温湿度的控制系统及其方法
JP4011724B2 (ja) デシカント空調方法
CN105805868A (zh) 再生回热除湿热泵系统及其运行方法
KR200300297Y1 (ko) 열펌프를 이용한 액체 제습식 냉방장치
US10502437B2 (en) Dehumidifying and cooling apparatus
JPH11132500A (ja) 除湿空調装置
CN1328552C (zh) 一种室内空气环境调节方法
JP3373948B2 (ja) 空気調和装置
JPH0894130A (ja) 空気調和装置
CN111998437B (zh) 一种加新风的温湿度独立控制空调系统
CN111947237B (zh) 一种空调系统、除湿控制方法及装置
CN100575799C (zh) 湿度控制装置
CN113137777A (zh) 具有控湿功能的空调系统
CN213631235U (zh) 一种废气余热利用热泵干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3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24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