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9163A -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163A
KR20030029163A KR10-2003-7003498A KR20037003498A KR20030029163A KR 20030029163 A KR20030029163 A KR 20030029163A KR 20037003498 A KR20037003498 A KR 20037003498A KR 20030029163 A KR20030029163 A KR 20030029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mmunication terminal
sound
portable communication
transdu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678B1 (ko
Inventor
타케시 시모카와토코
시게루 토모에다
코지 사노
테츠야 모리
카주타카 쿠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는 개구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전기 음향 변환기(이하 변환기)를 사용한다. 변환기의 개구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케이스 또는 변환기의 케이스와 일체로 설치된 음향관에 결합된다. 음향관의 개구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된 개구에 대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는 음향 진동판의 전면, 후면에 진동판의 외주와 밀착된 커버 및 프레임을 설치하고,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설치한 변환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는 저소비전력이고, 소형이지만 큰 음압 출력을 방사할 수 있다. 더욱이,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표시 부분과 방향이 합치된 자연적인 음을 낸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ED FOR THE SAME}
종래의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의 일 예로서 도 11a,11b,11c 및 도 12의 휴대 전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1a는 사용시의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도 11b는 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11c는 배면도, 도 12는 휴대 전화기에 내장된 변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에서,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다이얼 버튼 등의 조작부 (1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는 송화기 부분(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전면 상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표시부(10b)와, 수화기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c에서, 이면에는 개구(10c)를 설치하여 변환기(11)에 의해 발생된 음(音)을 외부로 도출한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변환기(11)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기 진동을 발생하는 원형의 다이어프램(diaphragm:1)의 외주부는 접착제로 다수의 제 1 음공(音孔:2a)을 설치한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다이어프램(1)의 중심부에는 보이스 코일(3)의 일단부가 고착되고, 보이스 코일(3)의 양단은 프레임 (2)의 주연 하방에 설치된 터미널부(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프레임(2)의 중앙 공부(孔部)에는 마그넷(magnet:5), 탑 플레이트(6), 요크 (7)로 구성된 자기회로가 설치되며, 이 자기회로의 탑 플레이트(6)의 외주와 요크 (7)의 내주 사이의 공간내에 보이스 코일(3)이 끼워 넣어진다.
제 2 음공(8a)이 설치된 프로텍터(8)는 다이어프램(1)을 보호하며, 이 프로텍터(8)와 프레임(2)으로 변환기의 케이스를 구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휴대 전화기에서는 내장된 변환기(11)의 프로텍터(8)의 제 2 음공(8a)로부터 음만을 상기 개구(10c)에서 외부로 방사한다. 한편, 프레임(2)의 제 1 음공(2a)으로부터의 음은 휴대 전화기(10)내에 방사되도록 스페이서를 끼워서 프로텍터(8)를 휴대 전화기(10)의 내벽에 접합하여 변환기(11)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음공(2a)으로부터의 음과 프로텍터(8)의 제 2 음공(8a)으로부터의 음이 간섭되지 않도록 분리한다.
최근, 휴대 전화 장치는 종래의 전화 기능에서 정보 단말기기로 크게 변모하고 있어 표시부측의 대형화, 컬러화로 대표되는 대화형 기기로서의 표시부측의 출력 음압(音壓) 등의 특성의 향상 등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게임 재생음이나 버튼 인식음 등, 화면의 조작시에 음을 내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화면 조작시에 재생음을 내는 경우, 종래의 변환기나 설치 구조에서는 변환기의 출력이 제 2 음공(8a)에서만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회절 효과에 의하여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의 전면측으로의 지향성이 나빠져서 휴대전화기의 전면측으로의 충분한 음량 ·음질을 확보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휴대 전화기나 PHS나 통신용 모뎀을 탑재한 휴대용 컴퓨터 등의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및 이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이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 본체의사용 상태의 정면도.
도 1b는 동 측면 반단면도.
도 1c는 동 배면도.
도 2는 동 휴대 전화기 본체에 사용되는 변환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변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환기의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환기의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휴대 전화장치의 사시도.
도 5b는 동 이면측 사시도.
도 5c는 휴대 전화장치의 수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개예(展開例)의 사시도.
도 6b는 동 이면측 사시도.
도 7a는 다른 전개예의 사시도.
도 7b는 동 이면측 사시도.
도 7c는 다른 전개예의 요부측 단면도.
도 8은 또 다른 전개예의 사시도.
도 9a는 다른 전개예의 사시도.
도 9b는 이면측 사시도.
도 10은 동 전개예의 휴대 전화장치의 표시부측에서의 음압 주파수 특성도.
도 11a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 본체의 사용 상태의 정면도.
도 11b는 동 측면 반단면도.
도 11c는 동 배면도.
도 12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 본체에 사용되는 종래의 변환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3: 진동판 2b,32a: 프레임
3,34: 보이스 코일 4: 터미널부
5: 마그넷 6: 탑 플레이트
7: 요크 8,8b: 프로텍터(커버)
8a: 음공 10a,42: 조작부
10b,41: 표시부
10d,43,45,47,49,51: 제 1 개구
10e,44,46,48,50,52: 제 2 개구
12; 휴대 전화기 본체 13: 전기 음향 변환기
13a,32b: 제 1 음향관 13b,32c: 제 2 음향관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는 개구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변환기를 사용한다. 변환기의 개구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케이스 또는 변환기의 케이스와 일체로 설치된 음향관에 결합된다. 음향관의 개구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된 개구에 대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는 음향 진동판의 전면, 후면에 진동판의 외주와 밀착한 커버 및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커버와 프레임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설치한 변환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변환기는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이 프레임 또는 커버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환기는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커버에 설치되고, 그 커버와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개구부의 면적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휴대 전화기를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일실시예인 휴대 전화기의 사용시의 정면도, 도 1b는 동일부 단면으로 한 측면도, 도 1c는 동 배면도, 도 2는 동 요부인 휴대 전화기에 내장된 변환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동 분해사시도이다.
도1a~도3에서, 휴대 전화기 본체(12)의 표시부(10b)측에는 제 1 개구(10d)가, 표시부(10b)의 이면측에는 제 2 개구(10e)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 본체(12)에 내장된 변환기(13)에는 제 1 개구(10d)로 변환기 (13)로부터의 음을 도출하는 제 2 음향관(13b)과, 제 2 개구(10e)로 변환기(13)로부터의 음을 도출하는 제 1 음향관(1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음향관(13a)은 진동판을 커버하는 프로텍터(커버)(8b)의 수지 성형시에 프로텍터(8b)와 일체로 성형되고, 제 2 음향관(13b)은 프레임(2b)의 수지 성형시에 프레임(2b)과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음향관의 형성은 반드시 프로텍터(8b)나 프레임(2b)과 동시에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동시 성형이 코스트적으로는 유리하다. 더욱이, 휴대 전화기 본체 (12)의 케이스의 성형시에 동시에 음향관 부분을 성형하고, 변환기(13)의 제 1, 제 2의 음향관 형성 부분에 개구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변환기(11)에는 프레임(2)측에 음공(2a)이 설치되어있지만, 프레임(2)측에 자기 회로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어려워서 음공(2a)은 진동판(1)의 구동시의 진동을 억제하여 프로텍터(8)의 음공(8a)으로부터의 방음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작은 개구 면적으로 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음향관(13a)의 개구 면적과 제 2 음향관(13b)의 개구부의 면적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청감상의 차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은 제약조건이 없기 때문에 음향관(13a,13b)의 개구부의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변환기(13)로부터의 음을 외부로 방사할 수 있어 음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음향관(13a)과 제 2 음향관(13b)이 진동판(1)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됨으로써 진동판(1)의 구동시의 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변환기(13)에 의해 휴대 전화기 본체(12)의 제 1 개구 (10d)와 제 2 개구(10e)로부터 방사되는 음은 위상차가 180°다른(역위상) 것으로 된다. 즉, 음향관(13a,13b)이 각각 진동판(1)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방의 음이 확산되어 서로 부딪치는 휴대 전화기 측면 주변에서는 방사된 음이 간섭하여 감쇠되어 억제된 음이 된다.
그런 한편, 실제로 음을 필요로 하는 휴대 전화기 전면에서는 효율적으로 확대된 음을 들을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 본체(12)는 접어서 포켓 등에 넣어서 운반할 시에는 제 2 음향관(13b)은 조작부(10a)로 덮히기 때문에 배면측으로 방음하는 제 1 음향관 (13a)으로부터 방사된 음으로 호출 등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도 전면과 동일하게 효율적으로 확대된 음을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따르면, 필요로 되는 방향에 확대된 음을 방사하고 또한, 본래는 불필요한 휴대 전화기의 측면 방향으로의 음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변환기(13)를 사용하여 제 1 음향관 (13a)과 제 2 음향관(13b)을 휴대 전화기 본체(12)의 표면과 이면으로 방사한다. 이 결과, 휴대 전화기 본체(12)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의 방향으로 방음하고 또한 주변에 대한 방음을 억제한 것, 즉 표면과 이면의 지향성의 향상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표면과 이면의 방음에 개개의 변환기를 사용하고 또한, 각각의 변환기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180°위상이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효과는 얻어진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2개의 변환기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회로가 복잡해지고 여분의 전력이 필요, 즉 대형전지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와 같은 문제는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변환기(13)는 변환기의 케이스의 한 편이 되는 프로텍터(8b)에 제 1 음향관(13a), 케이스의 다른 편이 되는 프레임(2b)에 제 2 음향관(13b)을 설치하지만, 휴대 전화기 본체(12)와의 장착 스페이스에 있어서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음향관의 채택의 여부를 포함하여 한 편만 음향관을 사용하는 등 적당히 선택하면 좋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는 전면과 이면으로부터 음을 방사하여 지향성이 양호한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로 함과 동시에, 주변 위치에서는 전면과 이면의 각각의 방음의 위상차를 180°로 하여 서로 제거하여 음의 방사에 따른 주변으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환기의 측단면도, 도 4b는 동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제 1 실시예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자기회로를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된 수지 프레임(32a)에는 제 1 음향관(32b), 제 2 음향관(32c)이 일체로 설치된다. 제 1 음향관(32b), 제 2 음향관(32c)은 모두 진동판(33)의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변환기에서는 제 1 음향관(32b), 제 2 음향관(32c)이 함께 진동판(3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판(33)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어 방사되는 음파는 동상이 된다. 그러나, 제 1 음향관(32b)은 하방향으로 방사하고, 제 2 음향관(32c)은 횡방향으로 방사한다. 이 각각의 음향관(32b,32c)에 의해 90°방향의 다른 방향으로의 음의 방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방음되는 음파는 동상이기 때문에 간섭되지 않고 음압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a, 도 5b는 제 2 실시예의 변환기를 사용한 접는형의 휴대 전화장치의 사시도, 도 5c는 가슴 포켓으로의 휴대 전화장치의 수납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 본체(40)는 입력정보나 전화에서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4 1)와,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조작부(42)로 되어 있다.
표시부(41)의 하방에 설치된 제 1 개구(43)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변환기의 제 1 음향관(32b)과 접속된다. 표시부(41)의 하측단면에 설치된 제 2 개구(44)는 변환기의 제 2 음향관(32c)과 접속된다.
변환기의 제 1, 제 2 음향관과 휴대 전화장치의 제 1, 제 2 개구와의 접속관계는 이하의 실시예, 전개예에서도 동일하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개구(44)를 휴대 전화장치의 단면(端面)에 설치함으로써,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슴 포켓 등으로의 수납시에는 이 단면에서 호출음을 방사함으로써 용이하게 수신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측단면에 제 2 개구(44)를 설치하지만, 개구를 측면에 설치한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기술과 같이 이면에 변환기의 방음구를 설치한 것 보다 포켓으로의 수납시에는 휴대 전화 소유자의 귀와의 사이에 방해가 적어 호출음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포켓으로의 수납상태를 고려한 경우, 제 2 개구는 직방체 형상의 휴대 전화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면에 설치된 쪽이 휴대 전화장치 소유자의 귀와의 사이에 방해물이 없는 상태가 많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가 접어서 수납되기 때문에 호출음의 방음시에는 표시부(41) 면에 설치된 제 1 개구(43)는 닫힌다. 이 때문에, 제 2 개구(44)의 음압이 상승하고, 휴대 전화 사용자로의 호출음에 의한 고지(告知)를 보다 강력히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의 사용시에 접는 부분을 열게 됨으로써, 제 2 개구(44)를 조작부(42)의 단면에서 닫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시의 제 1 개구(43)로부터의 출력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개구부의 배치로 하면 표시부(41)측의 제 1 개구(43)로부터 음을 방사하기 때문에 표시부(41)에 표시된 정보와 개구(43)로부터의 확성음을 동일 방향으로부터의 정보로서 위화감 없이 수취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호출음과 확성음의 방사를 1개의 변환기로 행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장치에 차지하는 변환기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6a~도9b는 본 실시예의 전개예이고, 어느 사용상태에서도 상방으로 향하여 방음하는 제 1 개구(45,47,49,51)와, 수납시에 상,하,측면중 어느 하나의 단면으로부터 방음되는 제 2 개구(46,48,50,52)를 설치한다. 이 배치에 의해, 수납시에 호출음을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는 제 1 개구로부터의 방사음이 조작부 또는 표시부로부터 사용자로 향하여 음으로서 부자연스럽지 않게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것은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변환기를 사용하고, 제 1 음향관(2b)을 제 1 개구에 접속하고 제 2 음향관(2c)을 제 2 개구에 접속하여 1개의 변환기로 2방향으로의 방음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a,6b는 접이식 휴대 전화 장치에서 조작부(42)의 상부에 제 1 개구(45) 및 이 조작부(42)의 상부 단면에 제 2 개구(46)를 설치한 것이고, 접어서 수납할 시에는 제 1 개구(45)는 조작부(42)에 의해 닫혀져 제 2 개구(46)로부터의 호출음의 음압의 향상이 도모된다. 더욱이, 사용시에는 제 2 개구(46)를 표시부 (12)의 하부 단면으로 닫어서 제 1 개구(45)로부터의 방사음의 출력 음압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7a,7b는 표시부(41)의 상부 상면에 제 1 개구(47)를 설치하고 표시부(41)의 상부 측면에 제 2 개구(48)를 설치한 접이식 휴대 전화이다. 수납시에는 제 1 개구(47)는 조작부(42)에 의해 닫혀져 제 2 개구(48)로부터의 호출음의 출력 음압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 사용시에는 방사되는 음은 동상이기 때문에 제 2 개구(48)로부터의 출력도 표시부(41)측으로 돌아서 들어가서, 사실상 제 1 개구(47)로부터의 출력 음압을 향상시킨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7a,7b는 접이식의 휴대 전화이지만, 도 7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지 않는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의 표시부의 상부 상면에 제 1 개구(47) 및 상부 측면 또는 상부 단면에 제 2 개구(4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납시의 호출과 표시부면측에서의 음의 방사를 1개의 변환기로 행할 수 있어서 휴대 전화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더욱이, 도 7a,7b의 전개예와 같이 제 1 개구로부터의 출력과 제 2 개구로부터의 출력을 동상으로 한 것에 의한 출력 음압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접지 않는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작부의 하부 상면에 제 1 개구 및 하부 측면 또는 하부 단면에 제 2 개구를 설치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8은 접이식 휴대 전화 장치의 조작부(42)의 하부에 제 1 개구(49) 및 조작부(42)의 하부 단면에 제 2 개구(50)를 설치한 것이다. 수납시에는 제 1 개구(4 9)는 표시부(41)에 의해 닫혀져 제 2 개구(50)로부터의 호출음의 음압의 향상이 도모된다. 더욱이, 사용시에는 제 2 개구(50)로부터의 출력도 표시부(41)측으로 돌아서 들어가서, 사실상 제 1 개구(49)로부터의 방사음의 출력음압을 향상시킨 것과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9a,9b는 조작부(42)의 상부 상면에 제 1 개구(51)를 설치하고 조작부(42)의 상부 측면에 제 2 개구(52)를 설치한 접이식 휴대 전화 장치이다. 수납시에는 제 1 개구(51)는 표시부(41)에 의해 닫혀져 제 2 개구(52)로부터의 호출음의 출력 음압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 사용시에 있어서 방사되는 음은 동상이기 때문에 제 2 개구(52)로부터의 출력도 조작부(42)측으로 돌아서 들어가서, 사실상 제 1 방음구(放音口:51)로부터의 출력 음압을 향상시킨 것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도 10은 표시부(41)에서의 음압/주파수 특성도이며, 곡선 X는 도 5a의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시의 것이다. 제 2 개구(44)는 조작부(42)의 단면에 의해 닫힌 상태의 것이다. 곡선 Y는 도 7a의 휴대 전화 장치의 것이며, 곡선 Z는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의 것이다.
이 도 10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개구를 표시부측에 가지고, 사용시에는 측면의 방음구를 닫는 것이 더욱 음압 출력이 높고, 다음에 측면의 방음구로부터의 출력이 표시부측으로 돌아서 들어가는 것이 종래의 것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음향관을 형성하고 진동판의 동일한 측에 설치된 다수의 음향관을 설치한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의 출력 음압의 향상이나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설명에서 음향관, 개구의 수가 각각 2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음향 특성 그 외의 요구 특성에 따라 음향관 및 단말 장치의 개구 수를 3개 이상으로 하여, 예를 들어 조작면과 양측면에 동시에 음을 방사하는 등의 전개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동전형(動電型)의 변환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는 동전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전형의 변환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압전형의 변환기로서는 압전 세라믹 또는 압전 필름 등을 직접 전기 신호로 구동하여 음을 발생하는 것과, 압전 세라믹을 진동판에 결합하여 음을 발생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는 진동판에 압전 필름을 사용하는 것 또는, 압전 세라믹을 진동판에 결합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전형 변환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의 소비전력을 적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는 저소비 전력이고, 소형이지만 큰 음압 출력을 방사할 수 있다. 더욱이,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표시 부분과 방향이 합치한 자연적인 음을 내는 것으로, 산업상의 이용 가치는 큰 것이다.

Claims (17)

  1.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이 형성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가지며,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개구부는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에 대향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은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진동판의 일 측에 형성된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진동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가 상기 진동판의 다른 측에 형성된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음향관이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개구부에 결합된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표시 장치와 동일 면에 형성된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가접혀진 상태로 외표면에 개구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시에 폐색(閉塞)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표시장치가 배치된 상기 케이스 면의 이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관의 개구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개구가 결합된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동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 또는 압전형 전기 음향 변환기중 어느 하나인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
  1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외주가 취부된 진동판;
    상기 프레임의 전주(全周)에 접합되고 또한, 상기 진동판의 상기 프레임의 반대면에 대향하는 커버; 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된 음향관을 더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
  13.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또는 음향관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커버의 한 편에 설치된 전기 음향 변환기.
  14.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개구부 또는 음향관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갭(magnetic gap)을 갖는 자기회로; 및
    상기 자기 갭에 삽입된 보이스 코일을 더 가지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보이스 코일에 접합된 전기 음향 변환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압전 자기를 더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압전자기 또는 압전 필름인 전기 음향 변환기.
KR1020037003498A 2001-07-11 2002-07-10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0438 2001-07-11
JP2001210438 2001-07-11
JP2002085260 2002-03-26
JPJP-P-2002-00085260 2002-03-26
PCT/JP2002/006988 WO2003007651A1 (fr) 2001-07-11 2002-07-10 Terminal de communications mobile et son transducteur electroacous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163A true KR20030029163A (ko) 2003-04-11
KR100540678B1 KR100540678B1 (ko) 2006-01-10

Family

ID=2661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678B1 (ko) 2001-07-11 2002-07-10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3813B2 (ko)
EP (1) EP1406467A4 (ko)
JP (1) JPWO2003007651A1 (ko)
KR (1) KR100540678B1 (ko)
CN (1) CN100499873C (ko)
WO (1) WO20030076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71B1 (ko) * 2006-11-18 2008-03-10 주식회사 이엠텍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6034T1 (de) * 2003-07-09 2011-12-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Lautsprecheranordnung für klappare geräte
BRPI0412135A (pt) * 2003-07-09 2006-08-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terminal de comunicação
USD496018S1 (en) 2003-12-16 2004-09-14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O2005079045A1 (en) * 2004-02-12 2005-08-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3984968B2 (ja) * 2004-03-30 2007-10-0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通信機器
USD600245S1 (en) * 2005-10-11 2009-09-15 Palm, Inc. Computing device
US7881759B2 (en) 2005-12-09 2011-02-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haped loudspeaker output in a communications handset
JP4850245B2 (ja) * 2006-05-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の実装構造
FR2905218B1 (fr) * 2006-08-25 2009-03-06 Sagem Comm Telephone a double coque.
US7605686B2 (en) * 2006-11-16 2009-10-20 Motorola, Inc. Alerting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D621392S1 (en) 2007-02-28 2010-08-10 Palm, Inc.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navigation button combination
JP4976921B2 (ja) * 2007-05-28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話装置
US20090029745A1 (en) * 2007-07-26 2009-01-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5304230B2 (ja) * 2008-12-26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平板スピーカ
CN201467434U (zh) * 2009-06-26 2010-05-12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电声能发声装置
US8385057B2 (en) 2010-06-08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lly extendable dual-segmented housing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CN201839427U (zh) * 2010-06-21 2011-05-1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CN104221398B (zh) * 2012-04-11 2018-12-2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具有位于第二平面中的输出窗口的换能器
TWI689209B (zh) * 2017-03-14 2020-03-21 大陸商廣東歐珀移動通信有限公司 揚聲器、揚聲裝置及行動終端
KR102593965B1 (ko) * 2017-09-11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390143B1 (en) * 2018-02-15 2019-08-20 Bose Corporatio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en audio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739A (ja) 1989-07-28 1991-03-14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のメモリシステム
JPH0728741Y2 (ja) * 1989-10-13 1995-06-28 東洋通信機株式会社 防水型無線機
JPH06244912A (ja) 1993-02-17 1994-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用通信装置
JP2954014B2 (ja) 1996-04-23 1999-09-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通信機のサウンダ実装構造
JP3088353B2 (ja) 1997-08-21 2000-09-1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受話音質調整用具
FR2768585A1 (fr) * 1997-09-17 1999-03-19 Philips Electronics Nv Telephone mobile a ecoute amplifiee
CN1320305A (zh) * 1998-09-25 2001-10-31 艾利森公司 具有折叠天线的移动电话
DK173789B1 (da) * 1998-10-05 2001-10-22 Kirk Acoustics As Elektroakustisk kommunikationsenhed
JP2001119795A (ja) * 1999-08-10 2001-04-27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GB2355128B (en) 1999-10-08 2003-04-09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electronics device
JP2002077346A (ja) 2000-09-01 2002-03-15 Taiyo Yuden Co Ltd 携帯通信端末器
US20020052216A1 (en) * 2000-10-30 2002-05-02 Song Chang June Wireless telephone with acoustic speaker coupling
DE60202397T2 (de) * 2001-05-08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utsprecher und Mobilendgerät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871B1 (ko) * 2006-11-18 2008-03-10 주식회사 이엠텍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6467A1 (en) 2004-04-07
KR100540678B1 (ko) 2006-01-10
CN1465205A (zh) 2003-12-31
WO2003007651A1 (fr) 2003-01-23
US20040043801A1 (en) 2004-03-04
US7113813B2 (en) 2006-09-26
JPWO2003007651A1 (ja) 2004-11-04
CN100499873C (zh) 2009-06-10
EP1406467A4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678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US63891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CN113099364B (zh) 电子设备
US675830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mode acoustic system and method for radiating sound waves
US6292573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ollapsible speaker enclosure
CN100539612C (zh) 扬声器组件和包括该扬声器组件的移动终端
US7953461B2 (en) Mobile terminal and speaker
JP4205918B2 (ja) アンテナ、スピーカ、および音響装置を構成する無線通信端末用のコンポーネント
US20080317255A1 (en) Audio Transducer Component
JP2609822B2 (ja) 送話器
CN101212838B (zh) 音箱结构及采用该音箱结构的移动电子设备
JP2002320291A (ja) スピーカ装置
CN100355259C (zh) 用于包括有扬声器和耳机的无线通信终端的结构布置
CN216356802U (zh) 一种移动终端设备
CN117240952A (zh) 电子设备
CN101222784B (zh) 音箱结构及采用该音箱结构的移动电子设备
JP3266132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CN111343552B (zh) 一种受话器及终端
JP4571632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端末のためのスピーカ配置
CN219068347U (zh) 声学装置和移动终端
EP0944220B1 (en) Audio diaphragm mounting arrangements in radio telephone handsets
CN219834359U (zh) 声学装置
JP3099525U (ja) 受話器機能を有するスピーカー
JP2003163993A (ja) 音響電気変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81607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1201

Appeal identifier: 2005101006502

Request date: 2005092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0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