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1871B1 -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871B1
KR100811871B1 KR1020060114197A KR20060114197A KR100811871B1 KR 100811871 B1 KR100811871 B1 KR 100811871B1 KR 1020060114197 A KR1020060114197 A KR 1020060114197A KR 20060114197 A KR20060114197 A KR 20060114197A KR 100811871 B1 KR100811871 B1 KR 10081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extension member
ventilation hole
acoustic transducer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규
황상문
김천명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06011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871B1/ko
Priority to US12/513,897 priority patent/US8150076B2/en
Priority to CN200780042772XA priority patent/CN101536544B/zh
Priority to PCT/KR2007/003999 priority patent/WO200806002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3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향변환장치가 추가의 공명 구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요크와,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가 조립된 프레임과,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공명 공간인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인클로져 케이스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여 통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케이스에 소정 크기의 통풍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SOUND TRANSFORMATION APPARATUS HAVING AN ENCLOSUR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클로져가 형성된 음향변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클로져가 형성된 음향변환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이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이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의 또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7a 및 7b는 통풍홀로부터 연장된 연장 부재에 추가의 하부 연장 부재를 연결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8b는 유연성을 갖는 연장부재가 조립된 통풍홀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인클로져 내부 공간에 따른 내부 공기의 저항력 증가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통풍홀의 유/무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음량 특성 비교 그래프.
<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프레임 2: 탑 플레이트
3: 마그네트 4: 요크
5: 보이스 코일 6: 진동판
7: 프로텍터 8: 간극
9: 음 방출구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변환장치의 진동판 후면부에 형성된 공간(인클로져)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로 인하여 협소하기 때문에 공기 저항이 커서 진동판의 진폭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진동판의 전면 방음구 방향에서 방사된 음으로 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 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통풍홀을 형성하여 휴대용 단말기 내부 공간을 추가의 공명 구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명 공간을 확대시키는 통풍홀이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변환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클로져가 형성된 음향변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음향변환장치는 합성 수지 등으로 사출 성형된 소정 형상의 하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안착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요크(4), 마그네트(3), 탑플레이트(2), 진동판(6)과 상기 진동판(6)의 저면에 고정 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5),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판(6)을 보호함과 아울러 진동판(6)의 전방(상부)에서 발생되는 음이 원활하게 방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음 방출구(10)가 형성된 프로텍터(7), 상기 진동판(6)의 후방(하부)에서 발생되는 음이 후방으로 원활하게 방사되도록 하는 하측 음 방출구(9) 및 공명 구간으로 작용하는 인클로져(1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 코일(5)에 소정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5)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요크(4), 마그네트(3) 및 탑플레이트(2)에 형성된 자기력 상호간에 흡인 및 반발 작용을 하여 보이스 코일(5)과 함께 진동판(6)이 전후(상하) 진동하여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6)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상기 프로텍터(7)의 상측 음방출구(10)를 통하여 전방으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판(6)의 후방에서 형성된 음파는 하측 음방출구(9)를 통해서 후방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음향변환장치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방 음과 후방으로 방사되는 후방 음은 그 위상차가 180도이므로, 서로 상쇄되어 저음 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방 음과 후방 음을 차단시키지 않으면 저음역이 상쇄되어 없어지고 고역음만이 남아 자연음 재생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음향변환장치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후방음을 차단하기 위해서 음향변환장치의 후방에 소정 크기의 인클로져(백 볼륨)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향변환장치에서 소리의 공명 작용을 위한 공명 공간으로서 작용하는 인클로져가 필요하다.
즉, 저역음 및 고역음의 음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인클로져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나 박형화 및 소형화를 추구하는 음향변환장치에서는 인클로져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형 인클로져를 진동판의 후면부에 설치할 경우, 인클로져 내부의 공기압 상승에 따라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고 고음역 만이 재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향변환장치의 진동판 후면부에 형성된 인클로져로 인해 진동판의 진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용 단말기 내부로 향한 통풍홀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를 공명 구간으로 사용하여 공명 구간을 추가로 확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요크와,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가 조립된 프레임과,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공명 공간인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인클로져 케이스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여 통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케이스에 소정 크기의 통풍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통풍홀이 적어도 1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상기 통풍홀에 소정 길이만큼 외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연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연장부재에 외부 방향으로 각각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연장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하부 연장부재가 유연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상기 유연성을 지닌 하부 연장부재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인클로져 수 용부에 장착되고, 표시부와 메인 보드가 장착된 PCB 기판이 기판 수용부에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인클로져 케이스는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과 상기 인클로져 수용부 또는 기판 수용부를 연결하여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크기의 통풍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이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이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는 요크(4), 마그네트(3) 및 탑플레이트(2)가 순차적으로 조립된 프레임(1)과, 상기 요크(4)와 마그네트(3) 사이에 형성된 간극(8)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5)과, 상기 보이스 코일(5)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1)의 진동판(6) 안착부에 삽입되는 진동이 가능한 진동판(6)과, 상기 진동판(6)의 상측에 설치된 상측 음방출구(10)와, 상기 진동판(6)의 하측에 설치된 하측 음방출구(9)와, 상기 진동판(6)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음방출구를 포함하는 프로텍터(7)와, 상기 프레임(1)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공명 공간인 인클로져(또는 인클로저 내부 공간)(100)을 형성하는 인클로져 케이스(30)로 구성되고, 이 인클로져 케이스(30)는 인클로져(10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하여 통하도록 소정 크기의 통 풍홀(150)을 구비한다.
음향변환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보이스 코일(5)에 교류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마그네트(3)와 보이스 코일(5)에 흐르는 전류의 상호 작용으로 보이스 코일(5)이 상하로 진동하고, 동시에 보이스 코일(5)과 결합되어있는 진동판(diaphragm)(6)이 진동하여 공기를 떨게 함으로써 소리를 발생한다.
상기 진동판(6)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상기 프로텍터(7)의 상측 음방출구(10)를 통하여 전방으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판(6)의 후방에서 형성된 음파는 하측 음방출구(9)를 통해서 후방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음향변환장치에서, 전방으로 방사되는 음파와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파는 180도 차이나는 위상차에 의해, 서로 상쇄되어 자연음의 재생이 어렵게 되고,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명 구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의 기술로는 진동판(6)의 하측 방향으로 프레임과 결합된 인클로져(또는 인클로져 내부 공간)(100)를 설치한다.
도 9는 인클로져 내부 공간에 따른 내부 공기의 저항력 증가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인클로져(100)의 내부 공명 구간이 커지면 저항력 배수가 작아지므로 진동판의 진동에 따른 음의 감쇄가 작아지는 것을 알수 있다. 역으로, 인클로져(100) 내부의 공명 공간이 작아지면, 저항력 배수가 급속히 증가되어, 음의 감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인클로져(100)의 내부 공명 구간이 커지는 것이 기능 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인클로져(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화 및 박형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 및 공간 외에는 차지할 수 없어, 인클로져를 설치하기 위한 필요한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클로져(100)의 내부 공명 구간과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통풍홀(150)로 연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공명 구간으로 사용하여 전체적인 공명 구간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4 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하측 케이스(51)에 형성된 인클로져 수용부(120)에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삽입 안착되며,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고정을 위한 고정 가이드(58)가 하측 케이스(51)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기판 수용부(130)에 다수의 칩(57)과, LCD 디스플레이(56)가 장착된 메인보드기판(55)이 삽입 안착된다. 또한, 하측 케이스(51)에 대응하여 음방출구(52)가 상측 케이스(50)가 도시된다. 상측 케이스(50)와 프로텍터(7) 사이에는 음누설방지 쿠션이 삽입 형성된다.
인클로져 케이스(30)에 형성된 통풍홀(150)은 기판 수용부(130) 또는 인클로져 수용부(120)를 향하여 형성되어, 인클로져(100) 내부의 음이 통풍홀(150)를 통과하여 기판 수용부(130) 또는 인클로져 수용부(120)로 진행된다. 즉, 통풍홀(150)에 의하여 인클로져(100)와 기판 수용부(130) 또는 인클로져 수용부(120)가 서로 연결되어 공명 구간이 전체적으로 확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의 또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인클로져 수용부(140)가 음향변환장치의 인클로져 케이스(30a)와 진동모터(60)를 함께 수용하는 것으로, 인클로져 케이스(30a)에 인클로져 수용부(140)와의 연결을 위해 제2통풍홀(160)이 형성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도 4a 및 4b에 비하여, 인클로져 수용부(140)를 추가적으로 공명 공간으로 이용하게 된다.
도 6a, 6b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홀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케이스(30)가 외부와 연결되는 통풍홀(150)을 구비하고, 이 통풍홀(150)은 인클로져 케이스(30)의 측면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케이스(30)가 외부와 연결되는 통풍홀(150a)을 구비하되, 도 6a와 달리 이 통풍홀(150a)에 소정의 길이를 지닌 관 형상의 연장부재(200)가 외부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장착 형성되어, 인클로져(100)의 공명 공간이 적어도 이 연장부재(200)의 체적만큼 추가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케이스(30)가 외부와 연결되는 통풍홀(150b)을 구비하되, 이 통풍홀(150b)은 굴곡을 지닌 연장부재(230)를 통하여 인클로져(100)와 외부 공간 사이에 형성된다. 이 연장부재(230)는 도 6b의 연장부재(200)에 비하여 외부 방향으로 보다 큰 체적을 공명 공간으로 추가되도록 한다.
상술된 도 6b와 6c의 연장부재(200), (230)는 인클로져 케이스(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도 6a의 통풍홀(150)에 접착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통풍홀(150)로부터 연장된 연장 부재(200)에 추가의 하부 연장 부재를 연결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200)의 외측이 하부 연장부재(21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어 전체적인 연장 길이 또는 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 하부 연장부재(210)는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서, 연장부재(200) 외측으로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된다. 특히, 이 하부 연장부재(210)는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P)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200)의 외측으로 하부 연장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하부 연장부재(2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또는 동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복수개의 연장부(221, 222)를 지니도록 형성된다. 이 연장부(221, 222)도 역시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연장부재(200) 외측으로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된다. 도 7b와 같이, 하부 연장부재(220)는 역 Y 자형 관(duct)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유연성을 갖는 연장부재가 형성된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케이스(30)의 통풍홀(150)에 연결된 연장부재(240)가 인클로져 수용부(120)를 통과하고, 기판 수용부(130)로 진입하여, 하부 케이스(51)와 기판(55) 사이의 공간을 따라 또는 기판(55) 또는 하부 케이스(51)의 측부를 따라 진행한다. 이 연장부재(240)는 기판(55)의 저부를 따라 진행 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연성을 지닌 연장부재(240)는 좁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50, 51) 내에서 보다 확실한 공명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케이스(30)의 통풍홀(150)에 연결된 연장부재(250)가 인클로져 수용부(120)를 통과하고, 기판 수용부(130)에 진행함과 동시에 기판(55)의 양측면을 따라 각각 진행하는 연장부(250a, 250b)를 통하여 통풍홀(150d, 150e)이 기판 수용부(130)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연장부재(240), (250)는 유연성을 지닌 재질이면서 절연성을 지니도록 하여, 일부분이 기판(55)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전기적 단락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 연장부재(240, 250)는 기판(55) 또는 하부 케이스(51)의 측면에 고정 안착되어, 예상치 못한 연장부재(240, 250)의 진동을 방지한다.
도 9는 인클로져 내부 공간에 따른 내부 공기의 저항력 증가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인클로져 내부 공명 공간이 커짐에 따라 저항력 증가율(배수)이 급속히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통풍홀의 유/무에 따른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음량 특성 비교 그래프로서, 통풍홀의 유/무에 따라 음파의 주파수와 음파의 세기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200에서 1kHz 구간에서 통풍홀이 있는 경우 음파의 세기가 통풍홀이 없는 경우보다 더 커짐을 알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 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인클로져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거나 휴대폰 단말기의 내부 공간(수용공간)과 연결하기 위해, 통풍홀 및 이 통풍홀과 연결되는 연장부재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음향변환장치의 공명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공명 공간의 확장을 통하여 음 감쇄를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음향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일정 간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회로가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간극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진동판 안착부에 삽입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형성된 프로텍터,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공명 공간인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인클로져 케이스를 포함하는 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결하여 통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케이스에 소정 크기의 통풍홀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홀에 일정 길이만큼 외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연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은 적어도 1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에 외부 방향으로 각각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연장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장부재는 유연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을 지닌 하부 연장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7.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가 인클로져 수용부에 장착되고, 표시부와 메인 보드가 장착된 PCB 기판이 기판 수용부에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의 인클로져 케이스는 인클로져의 내부 공간과 상기 인클로져 수용부 또는 기판 수용부를 연결하여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크기의 통풍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은 상기 기판 수용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은 상기 인클로져 수용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에 소정 길이만큼 인클로져 수용부 또는 기판 수용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연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에 상기 기판 수용부로 각각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연장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 또는 하부 연장부재는 상기 기판의 측부 또는 저부를 따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장부재는 유연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을 지닌 하부 연장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14197A 2006-11-18 2006-11-18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97A KR100811871B1 (ko) 2006-11-18 2006-11-18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US12/513,897 US8150076B2 (en) 2006-11-18 2007-08-21 Sound converter with enclosure
CN200780042772XA CN101536544B (zh) 2006-11-18 2007-08-21 有罩声音转换器
PCT/KR2007/003999 WO2008060026A1 (en) 2006-11-18 2007-08-21 Sound converter with enclo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97A KR100811871B1 (ko) 2006-11-18 2006-11-18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871B1 true KR100811871B1 (ko) 2008-03-10

Family

ID=3939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1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871B1 (ko) 2006-11-18 2006-11-18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50076B2 (ko)
KR (1) KR100811871B1 (ko)
CN (1) CN101536544B (ko)
WO (1) WO20080600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05B1 (ko) * 2013-07-15 2015-06-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음향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96034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8395A (zh) * 2008-05-21 2009-11-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具有扬声器的电子装置
EP2375705B1 (en) * 2009-02-27 2013-0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closure for a speaker of a wireless device
US8483422B2 (en) 2009-02-27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closure for a speaker of a wireless device
US20140341419A1 (en) * 2012-01-09 2014-11-20 Actiwave Ab Integrated loudspeaker assemblies
KR101369330B1 (ko) * 2013-02-15 2014-03-06 주식회사 이엠텍 슬림형 프로텍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US9288582B2 (en) * 2013-07-30 2016-03-15 Apple Inc. Suspension system for micro-speakers
US9271084B2 (en) * 2013-07-30 2016-02-23 Apple Inc. Suspension system for micro-speakers
GB2516876A (en) * 2013-08-02 2015-02-11 Pss Belgium Nv A loudspeaker with a helmholtz resonator
US20160277821A1 (en) * 2015-03-19 2016-09-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bration headphones
CN106060753A (zh) * 2016-06-30 2016-10-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设备
KR102167420B1 (ko) 2017-06-01 2020-10-20 주식회사 이엠텍 공명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다이나믹 리시버
CN108235196B (zh) * 2018-01-29 2020-09-18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163A (ko) * 2001-07-11 2003-04-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KR20050014748A (ko) * 2003-07-31 2005-02-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재생장치 및 휴대가능한 단말장치
KR20060009637A (ko) * 2004-07-26 2006-02-01 자화전자 주식회사 통신기기용 음향장치와 진동모터의 결합형 구조
KR20060096725A (ko) * 2005-03-02 2006-09-13 김광현 휴대폰 단말기용 공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289A (en) * 1976-10-18 1978-04-18 Schmideler Jeffrey B Loudspeaker system
JP2905350B2 (ja) 1992-11-18 1999-06-14 スター精密 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3238768B2 (ja) * 1992-11-18 2001-12-17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728622B2 (ja) * 1993-05-04 1998-03-18 スター精密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US5550926A (en) * 1994-09-08 1996-08-27 Tsao; Ye-Ming Overlap sound case
US5828766A (en) * 1994-12-15 1998-10-27 Anthony Gallo Acoustics, Inc. Acoustic speak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163A (ko) * 2001-07-11 2003-04-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KR20050014748A (ko) * 2003-07-31 2005-02-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재생장치 및 휴대가능한 단말장치
KR20060009637A (ko) * 2004-07-26 2006-02-01 자화전자 주식회사 통신기기용 음향장치와 진동모터의 결합형 구조
KR20060096725A (ko) * 2005-03-02 2006-09-13 김광현 휴대폰 단말기용 공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05B1 (ko) * 2013-07-15 2015-06-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음향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96034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827445B1 (ko) 2020-12-30 202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6544B (zh) 2013-02-20
US20100246881A1 (en) 2010-09-30
US8150076B2 (en) 2012-04-03
CN101536544A (zh) 2009-09-16
WO2008060026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871B1 (ko) 인클로져 음향변환장치
KR100890393B1 (ko) 휴대폰 장착용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KR101827669B1 (ko) 스피커 모듈
KR101807276B1 (ko) 음향장치
US10567858B2 (en) Loudspeaker module and terminal device
KR101840735B1 (ko) 스피커 모듈 및 해당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3167387B (zh) 具有内部共鸣腔的微型扬声器
KR102488962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1559304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JPH1153056A (ja) 音道付き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を備えた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8566599B (zh) 一种发声装置及电子设备
KR101423841B1 (ko)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1202236B1 (ko) 스피커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0768137B1 (ko)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의 백볼륨 단자구조
KR101901906B1 (ko) 혼 스피커
KR200378601Y1 (ko) 백 볼륨이 일체로 형성된 마이크로스피커
CN205584489U (zh) 一种扬声器模组及移动终端
CN208850052U (zh) 扬声器
KR100813156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1913157B1 (ko)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한 복합형 동축 마이크로 스피커
CN218634230U (zh)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CN113923288B (zh) 电子设备
CN219107640U (zh) 一种侧出声的扬声器模组以及显示设备
KR20240100151A (ko) 스피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