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5611A -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611A
KR20030025611A KR1020010058741A KR20010058741A KR20030025611A KR 20030025611 A KR20030025611 A KR 20030025611A KR 1020010058741 A KR1020010058741 A KR 1020010058741A KR 20010058741 A KR20010058741 A KR 20010058741A KR 20030025611 A KR20030025611 A KR 2003002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doping
region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894B1 (ko
Inventor
김기종
황의훈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8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04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 H10D30/6713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 H10D30/6715Thin-film transistors [TFT]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or layers in the thin films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s for controlling properties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ource or drain regions, e.g. compositions or sectional shapes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s, e.g. having lightly-doped source or drain ext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기판 상에 버퍼층 및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탈수소화 및 결정화 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만 n-도핑(LDD도핑)을 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LDD도핑층 중 일부영역 및 미도핑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 후, n+도핑을 행하여 제1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을 형성시킨 후, p+도핑을 행하여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O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LDD도핑 영역사이, 도핑영역과 채널층 사이, 및 반도체층 전체영역사이에 결정립 특성의 차이가 없어 누설전류 저하 등 우수한 소자의 특성과 균일도 특성을 구비한 GO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CMOS Poly Silicon TFT having LDD structure}
본 발명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GOLDD(Gate Overlapped Lightly Doped Drain)구조의 CMOS(Complementary Metal Oxdie semiconductor)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액티브매트릭스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는 각 화소마다 형성되어 상기 각 화소를 구동하는 화소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를 작동하며 주사선(gate line)과 신호선(data line)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용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중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는 레이저를 이용한 결정화 기술의 발전으로 비정질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와 비슷한 온도에서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고, 비정질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에 비해 전자나 정공의 이동도가 높으며, n채널과 p채널을 구비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박막트랜지스터 구현이 가능하여 대형 유리기판 상에 상기 구동회로용과 화소구동용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중 N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도핑이온으로 인(P)을 사용함에 따라서 PMOS 박막트랜지스터 제작 시 도핑이온으로 사용하는 붕소(B)보다 질량 면에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실리콘 결정이 파괴되어 손상영역이 발생되게 되며, 그 손상영역은 후속 활성화 공정에서도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손상영역의 존재로 인해 소스 영역에서 드레인 영역으로 전자가 가속될 때 게이트 절연막 또는 모스계면으로 전자들이 유입되는 핫 캐리어 스트레스(Hot Carrier Stress)가 발생되어 전자 이동도가 감소됨으로써 패널구동시 회로동작의 안정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며, 또한 오프전류(Off Current)가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게이트와 소스/드레인 영역 사이의 일정 부분에 미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오프셋을 주어 이 부분의 큰 저항으로 인해 접합부위에 걸리는 전기장을 감소시켜 오프 전류를 줄이는 방법(off-set 구조), 소스/드레인 영역의 일정 부분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오프 전류를 줄이고 온 전류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LDD(Lightly Doped Drain)를 형성하는 방법(LDD 구조)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LDD 구조, 특히 GOLDD(Gate Overlapped Lightly Doped Drain)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GOLDD, 즉 게이트와 LDD영역이 중첩되는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일반적인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1a와 같이, 기판(1) 상에 버퍼층(2)을 형성하고, 상기 버퍼층(2) 상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두 개의 섬모양으로 패터닝하여 반도체층(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패터닝된 두 개의 반도체층(3, 4)에는 후공정을 통해 각각 n형 박막트랜지스터(TFT)와 p형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버퍼층(2)은 실리콘 산화물(SiOx)과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후속 공정에서 기판(1)의 이물질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 도 1b와 같이, 기판전면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7)을 형성한 후, n형 TFT영역의 반도체층(3) 중 소정의 중앙부영역과 p형 TFT영역의 반도체층(4)의 전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한다. 그 후, 기판 전면에 저농도의 n- 도핑 즉, LDD(Lightly Doped Drain) 도핑을 실시하여 n-도핑층(3a)을 형성한다. 이때, 도핑되지 않은 영역은 채널층(3b)이 된다.
그 후, 도 1c와 같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7)을 제거한 후, 상기 반도체층(5)으로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을 레이저 어닐링 공정으로 결정화시킨다.
그 후, 도 1d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9), 게이트 전극(11), 및 제2 포토레지스트층(1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n형 TFT영역의 경우 상기 채널층(3b) 및 n- 도핑층(3a) 중 소정의 영역이 겹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9), 및 게이트전극(11)을 패터닝하고, p형 TFT영역의 경우 전체 반도체층 영역(4)이 겹치도록 패터닝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9)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등의 절연물질층이고, 상기 게이트 전극(11)은 AlNd 또는 AlNd와 Mo의 이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기판 전면에 n+ 이온을 도핑하여 n형 TFT영역에 제 1 소스/드레인 영역(3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n형 TFT영역은 게이트 전극(11)과 LDD도핑영역(3a)이 중첩하게 되어 GOLDD구조가 된다.
그 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13)을 제거하고,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포토레지스트층(15)을 적층한 후, n형 TFT영역은 전영역이 겹치도록 패터닝하고, p형 TFT영역은 상기 반도체층(4) 중 중앙부의 소정의 영역만 남도록 상기 게이트절연막(9), 및 게이트 전극(11)을 패터닝하다.
그 후, p+ 이온을 도핑하여 p형 TFT 영역에 제 2 소스/드레인 영역(4a)을 형성하고, 도핑되지 않은 영역은 채널층(4b)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소스/드레인 영역(3c)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4a)을 활성화시킨다.
그 후, 도 1f와 같이, 기판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등의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층간절연막(17)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3c, 4a)의 소정부위가 드러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17)에 콘택홀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콘택홀을 통해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3c, 4a)과 연결되는소스/드레인 전극(19)을 형성하여 GOLDD구조 및 p형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CMOS 박막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GOLDD구조의 CMOS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의 경우 반도체층을 형성한 후 GOLDD의 n형 TFT영역에서 LDD도핑을 한 후에 비정질실리콘을 결정화를 하게 됨으로써, LDD도핑 영역의 중심부와 말단부 사이에 결정립 특성에 차이가 발생되어 누설전류 증가 및 불균일의 원인이 되고, 결정화에너지가 높을 경우에 도핑영역의 도판트가 분리(segregation)되어 결국 소자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3a는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되는 종래의 GOLDD구조의 CMOS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저하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로서, 문턱전압, S-factor 및 누설전류가 모두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DD도핑 영역사이에, 및 도핑영역과 채널층 사이에 결정립 특성의 차이가 없어 누설전류 저하 등 우수한 소자의 특성과 균일도 특성을 구비한 GO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단면도이다.
도 3a는 종래 LDD구조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절연기판
2, 102 : 버퍼층
3a, 106a : LDD 도핑층
3b, 4b, 106b, 108b : 채널층
3c, 106c : n+ 도핑층(소스/드레인 영역)
4a, 108a : p+ 도핑층
9, 112 : 게이트 절연막
11, 114 : 게이트 전극
19, 122 : 소스/드레인 전극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절연기판 상에 버퍼층 및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탈수소화 및 결정화 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만 n-도핑(LDD도핑)을 행하고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LDD도핑층 중 일부영역 및 미도핑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 후, n+도핑을 행하여 제1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을 형성시킨 후, p+도핑을 행하여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O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비정질실리콘을 결정화한 후에 LDD도핑을 행함으로써, LDD도핑영역간 및 LDD도핑영역과 채널층 간의 결정립 특성 차이가 없게 되며, 도판트의 분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소자 특성을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2f는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학기상증착법등을 이용하여 절연기판(100) 상에 버퍼층(102)과 비정질 실리콘층(a-Si:H)(104)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버퍼층(102)은 절연기판(100)의 불순물 성분이 비정질 실리콘층(104)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104)은 SiH4와 H2혼합가스를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104)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H2)는 향후 결정화 공정에 있어서 결함의 원인이 되므로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에 탈수소화 공정을 행한다. 이때, 상기 비정질 실리콘(a-Si:H)은 화학적으로 약한 결합을 하고 있어 열처리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수소화 공정은 N2분위기하에서 4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2시간 정도 열처리를 하여 상기 비정질 실리콘 내의 수소성분들이 기체 상태로 날아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소화 공정 후,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104)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다결정화 시킨 후, 도 2b와 같이, 두 개의 섬모양으로 패터닝하여 반도체층(106, 10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패터닝된 두 개의 반도체층(106, 108)에는 후공정을 통해 각각 n형 TFT와 p형 TFT가 형성되게 된다.
그 후, 도 2c와 같이, 기판전면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110)을 형성한 후, n형 TFT영역의 반도체층(106) 중 소정의 중앙부영역과 p형 TFT영역의 반도체층(108)의 전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한다. 그 후, 기판 전면에 저농도의 n- 도핑 즉, LDD(Lightly Doped Drain) 도핑을 실시하여 n-도핑층(106a)을 형성한다. 이때, 도핑되지 않은 영역은 채널층(106b)이 된다.
상기 LDD 도핑 물질은 인(P)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핑 농도는 1012내지 1014원자개수/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2d와 같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110)을 제거하고 LDD도핑층을 활성화시킨다.
그 후, 도 2e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112), 게이트 전극(114), 및 제2 포토레지스트층(11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n형 TFT영역의 경우 상기 채널층(106b) 및 n- 도핑층(106a) 중 소정의 영역이 겹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게이트 전극(114)을 패터닝하고, p형 TFT영역의 경우 전체 반도체층 영역(108)이 겹치도록 패터닝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등의 절연물질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114)은 AlNd, Mo, 또는 AlNd와 Mo의 합금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기판 전면에 n+ 도핑을 실시하여 n형 TFT영역에 제1 소스/드레인 영역(106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n형 TFT영역은 게이트 전극(112)과 LDD도핑영역(106a)이 중첩하게 되어 GOLDD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n+ 도핑은 1015원자개수/cm2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116)을 제거하고,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포토레지스트층(118)을 적층한 후, n형 TFT영역은 전영역이 겹치도록 패터닝하고, p형 TFT영역은 상기 반도체층(108) 중 중앙부의 소정의 영역만 남도록 상기 게이트절연막(112), 및 게이트 전극(114)을 패터닝한다. 그 후, p+ 이온을 도핑하여 p형 TFT 영역에 제 2 소스/드레인 영역(108a)을 형성한다. 이때, 도핑되지 않은 영역은 채널층(108b)이 된다.
이때, 상기 p+ 도핑물질은 붕소(B)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핑 농도는 1015원자개수/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층(118)을 제거하고, 제1 소스/드레인 영역(106c) 및 제 2 소스/드레인 영역(108a)을 활성화시킨다.
그 후, 도 2g와 같이, 기판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등의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층간절연막(120)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106c, 108a)의 소정부위가 드러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120)에 콘택홀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콘택홀을 통해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106c, 108a)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122)을 형성하여 GOLDD구조 및 p형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은 AlNd, Mo, 또는 AlNd와 Mo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자특성은 도 3b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는도핑영역과 채널영역에 있어서 결정립 특성이 차이가 없어 도 3b와 같이, 문턱전압, S-factor 및 누설전류 모두 작아 우수한 소자 특성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콘층을 LDD 도핑을 수행하기 전에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결정화함으로써, 도핑영역의 중앙부와 주변부간에, 및 도핑영역과 채널영역간에 있어서 결정립 특성이 차이가 없어 우수한 소자 특성 및 균일성을 갖게 된다.

Claims (9)

  1. 절연기판 상에 버퍼층 및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탈수소화 및 결정화 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만 n-도핑(LDD도핑)을 행하고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LDD도핑층 중 일부영역 및 미도핑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 후, n+도핑을 행하여 제1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 위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을 형성시킨 후, p+도핑을 행하여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2. 절연기판 상에 버퍼층 및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탈수소화한 후,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을 두 개의 섬모양으로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적층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중 소정의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전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저농도 n-도핑(LDD도핑)을 행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에 LDD도핑층 및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LDD도핑층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 및 제2 포토레지스트층을 적층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의 LDD도핑층 중 소정 영역과 채널층을 덮도록 패터닝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전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n+도핑을 행하여 상기 제1 반도체층에 제1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3 포토레지스트층을 적층한 후, 상기 제1 반도체층의 전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소정 영역을 덮도록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p+도핑을 행하여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
    기판전면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의 소정부위가 드러나도록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소화 공정은 N2분위기하에서 400 내지 50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금속 또는 소스/드레인 전극은 AlNd, Mo, 또는 AlNd와 Mo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DD 도핑 물질은 인(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DD 도핑 농도는 1012∼1014원자개수/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 농도는 1015원자개수/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 물질은 붕소(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 농도는 1015원자개수/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20010058741A 2001-09-21 2001-09-21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1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741A KR100815894B1 (ko) 2001-09-21 2001-09-21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741A KR100815894B1 (ko) 2001-09-21 2001-09-21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611A true KR20030025611A (ko) 2003-03-29
KR100815894B1 KR100815894B1 (ko) 2008-03-21

Family

ID=2772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7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5894B1 (ko) 2001-09-21 2001-09-21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8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42B1 (ko) * 2006-08-03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N100395875C (zh) * 2003-08-07 2008-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及其结构
KR100967825B1 (ko) * 2001-11-30 2010-07-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KR101048697B1 (ko) * 2003-12-26 2011-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8253202B2 (en) 2005-08-13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914237A (zh) * 2016-06-01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5465B2 (ja) * 1993-03-22 2004-06-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H1187714A (ja) * 1997-09-01 1999-03-30 Sharp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トランジスタ
KR100645035B1 (ko) * 1998-12-0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307459B1 (ko) * 1999-12-14 2001-10-17 김순택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10065154A (ko) * 1999-12-29 2001-07-11 박종섭 이중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582198B1 (ko) * 2000-02-24 2006-05-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상보형 모스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25B1 (ko) * 2001-11-30 2010-07-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CN100395875C (zh) * 2003-08-07 2008-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及其结构
KR101048697B1 (ko) * 2003-12-26 2011-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8253202B2 (en) 2005-08-13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39889B1 (ko) * 2005-08-13 201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7742B1 (ko) * 2006-08-03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N105914237A (zh) * 2016-06-01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894B1 (ko)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6103B2 (ja) 薄膜半導体装置
JP2650543B2 (ja) マトリクス回路駆動装置
JP2564725B2 (ja) Mos型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US687599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0128724B1 (ko) 절연게이트형 반도체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5904508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365444B2 (en) Process for forming polycrystalline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JPH10256554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633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평판표시장치
KR20060062139A (ko) 이중 열처리에 의한 다결정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H119770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7982272B2 (en) Thin-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5894B1 (ko)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JP2002134751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10090A1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thin film transistor
KR10068633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평판표시 장치
KR0179066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93378B1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3567130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0317636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및 그 제조방법
JPH11163353A (ja) ポリシリコン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4056025A (ja) 薄膜トランジス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05521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10732B1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2002353239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9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