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4910A -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910A
KR20030024910A KR10-2003-7002722A KR20037002722A KR20030024910A KR 20030024910 A KR20030024910 A KR 20030024910A KR 20037002722 A KR20037002722 A KR 20037002722A KR 20030024910 A KR20030024910 A KR 2003002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fluid connection
machines
painting
conne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볼라도미니끄
포우벳미셸
Original Assignee
아이젠만 프랑스 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젠만 프랑스 살 filed Critical 아이젠만 프랑스 살
Publication of KR2003002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91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6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separate containers for different materials to be sprayed being moved from a first location, e.g. a filling station, where they are fluidically disconnected from the spraying apparatus, to a second location, generally close to the spraying apparatus, where they are fluidically connected to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by robots or articulated arms, e.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3D-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47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 B05B13/0452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the conveyed articles being vehicle bodies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기(12) 및 이 분무기(12)와 연관되어 도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된 저장조(13)를 각각 구비하는 도장 머신 또는 로봇(6a, 6b, 7a, 7b, 8a, 8b, 9a, 9b)을 포함하는 도장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머신 또는 로봇은 자동차 자체(2)용의 도장 라인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머신 또는 로봇에는 색채 음영 변경 유닛을 구비하는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과 비연속적으로 협동하도록 설계된 유체 접속구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이 두 개의 연속적인 머신(6a, 7a; 6b, 7b; 8a, 9a; 8b, 9b)의 사이에 배열되어, 색채 음영 변경의 경우마다 개개의 저장조를 충전하도록 이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머신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a paint reservoir in an automated painting installation}
유럽 특허 제0 274 322호 및 제0 435 005호, 그리고 일본 특허 제6 190 3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술한 유형의 공지된 장치의 경우, 도장 로봇의 암의 단부에 배치되고, 수성 도료를 분무하기 위한 정전(靜電) 컵 또는 스프레이 건을 제어된 가변 순간 유량에 따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기 절연 처리된 도료 저장조를 헹굼 처리한 다음 건조시키고, 이어서 충전시킬 수 있다.
차체에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소정의 다축 로봇에는 도료 도포 부스의 총 길이에 걸쳐 존재하는 거대한 기구가 제공되어, 도장 로봇들이 컨베이어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차체들을 뒤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구가 도장 부스의 총 길이의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색채 변경 시스템은 로봇의 암이 접근할 수 있도록 도장 부스의 내측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보통 "머신(machines)"으로 일컬어지는 보다 단순한 디자인의, 두 개 이상의 직교 스핀들을 구비하는 도장 로봇이 또한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장 로봇은 차체가 컨베이어를 따라 전진할 때에 차체를 따라 종방향으로 전진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설비들에 있어서는, 여러개 중에서 선택된 색채의 도료를 저장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영 변경 시스템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음영 변경 시스템은 도장 부스 내의, 로봇의 암의 단부가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이면 어느쪽에나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장 머신의 경우에는, 머신 자체의 프레엠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내장형(on-board)" 머신의 경우에도 유럽 특허 제0 691 89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머신의 스핀들 중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봇 또는 머신을 사용하여 음영을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은 구축되어 있다. 두 개 내지 네 개의 분무기를 수용하는 이른바 "루프(roof)" 머신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각각의 분무기마다 음영 변경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설비에 있어서는, 저장조가 피스톤을 구비하며 그 최대 용량이 고정된 원통형 챔버로 구성된다. 피스톤은 저장조의 충전 과정 동안에는 후진되었다가, 분무 과정 동안에는 전진된다. 피스톤의 이러한 이동을 제어 및 측정함으로써 저장조 내에 존재하는 도료의 양과 분무된 도료의 순간 유량을 알 수 있다.
분무기 및 이와 연관된 저장조로 이루어진 조립체에는 예를 들어, 세개의 접속점을 갖는 복식 유체 접속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접속점 중 그 제1 접속점은먼저 세척액을 분사하여 저장조를 헹군 다음 공기가 세척 제품을 배수 장치를 향해 추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2 접속점을 통해 마지막으로 저장조를 충전하는데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도료 또는 기타 코팅 제품을 분사할 수 있다. 제3의 마지막 접속점은 단지 분무 노즐의 헹굼을 가능하게 한다.
도료 및 다른 유체의 분배는 고정형의 분배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분배 시스템은 특히 선택될 다양한 음영의 도료가 공급되어 있는 음영 변경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음영 변경 유닛은 복식 유입구들, 조절 밸브들 및 단일 유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은 분무기의 유체 접속구의 접속점들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세개의 접속점을 갖는 접속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접속 조립체의 하나의 접속점은 음영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접속점은 공기 밸브와 용매 밸브를 구비하는 헹굼 유닛에 부착되어 있으며, 마지막 접속점은 배수 장치에 부착되어 세척 잔류물을 모을 수 있도록 한다.
로봇 또는 머신이 소정 음영으로의 차체의 도장 또는 코팅 작업을 막 완료하고 나면, 분무기의 유체 접속구가 음영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연계된 접속 조립체와 맞닿게 된다. 그 후, 세척 제품을 분사하여 저장조가 세척되며, 그 사용된 세척 제품은 분무기의 노즐이 용매와 공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헹굼되는 동안 배수 장치로 배출된다. 그 후, 압축 공기가 용매를 배수 장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저장조는 음영 변경 유닛에 의해 선정되고 분배되는 새로운 음영의 도료로 충전된다.
통상의 차체 도장 라인에는, 평균적으로 대략 25개의 서로 다른 음영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1.5대의 차체마다 음영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루에 최소 16시간 내지 24시간의 서비스 주기로, 한시간에 40대 내지 60대의 차체를 생산하는 도장 라인의 경우, 매일 분무기 한대당 600 내지 1000번의 음영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음영 변경 동안, 음영 변경 유닛의 분배 덕트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도료 또는 코팅 제품은 버려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음영 변경 유닛의 덕트를 세척 및 헹굼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통은 글리콜에 첨가되는 탈염수나 용매와 같은 세척 제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세척 제품은 사용 후 배수 장치로 배출된다.
따라서, 주어진 설비의 경우, 도료 또는 코팅 제품 및 세척 제품의 총 손실, 그리고 음영 변경과 관련된 재정상의 비용이 상당히 높으며, 또한, 분무기마다 독자적인 음영 변경 시스템이 할당됨에 따라 이러한 손실 및 관련 비용이 분무기의 개수에 따라 배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버려지는 도료 및 헹굼 제품의 낭비로부터 유래되는 오염 문제를 야기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음영 변경 시스템의 투자 비용 또한, 도장 설비의 분무기의 개수에 따라 배가되므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음영 변경 시스템의 유지에 드는 시간 및 비용과, 생산 손실 비용이 추가된다. 도장 로봇이냐 머신이냐에 따라, 또한 음영 변경 시스템이 도장 부스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머신의 프레임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음영 변경 시스템에 접근하여 대부분의 경우 도장 부스 내에서의 조정 작업을 필요로 하는 유지 작업을수행하기 위하여, 안전상의 이유로 설비를 또는 심지어 도장 라인 전체를, 또는 아주 최소한도의 머신만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당수의 음영 변경 사이클(전술한 바와 같은)을 고려할 때, 보다 큰 또는 보다 적은 길이 및 주파수의 예방 차원의 유지 조정 작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유지 규모 및 총 비용은 음영 변경 시스템의 개수에 전적으로 비례한다.
음영 변경 회수 및 분무기의 개수가 변경 불가능한 매개변수를 구성하는 한, 유지 관리 작업의 감소 뿐만 아니라 도료 및 헹굼 제품의 손실 감소를 달성하기란 어려우며 또한 그로 인해 초래되는 비용 및 오염의 규모를 축소시키기는 분명히 어렵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말하자면, 도료 및 특히 전기 전도성 도료 또는 다른 유사한 코팅 제품을 차체에 도포하기에 특히 유용한 자동화된 도장 설비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도료 스프레이 건(spray gun) 또는 컵(cup)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이동 가능한 저장조를 각기 수용하는 도장 머신 또는 로봇을 사용하는 설비들의 경우의 그 도료 저장조의 충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이 장착되는 도장 라인을 상당히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충전될 저장조가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 중 하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도장 라인의 일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머신 또는 로봇 자체의 변경없이, 음영 변경 동안 도료 및 헹굼 제품의 손실을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지 작업을 크게 제한하여 전술한 유형의 설비의 생산 손실 및 작동 비용을 크게 감소시킴과 더불어 설비의 초기 투자 비용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인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분무기 및 이 분무기와 연관되어 도료 또는 다른 코팅 제품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저장조를 각각 구비하는 도장 머신 또는 로봇과, 다양한 색체의 도료가 공급되는 음영 변경 유닛, 그리고 이 음영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부착되는 유체 접속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머신 또는 로봇은 특히 자체용의 도장 라인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분무기 및 이와 연관된 저장조로 구성된 각각의 조립체에는 분배 시스템과 비연속적인 방식으로 협동하도록 설계된 유체 접속구가 제공되어 있는 전술한 유형의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의 충전 방법으로서, 이러한 충전 방법은 두개 이상의 머신 또는 로봇이 이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동일한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그 개개의 분무기와 연관된 개개의 저장조를 연속적으로 헹굼 및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도장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분무기 및 도료 저장조를 각기 구비하는 두개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의 경우, 색채 변경 유닛과 이 색채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부착된 유체 접속 조립체를 구비하는 공통의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 분배 시스템은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 중 어느 하나의 머신 또는 로봇에 의해 사용되어 그 개개의 분무기와 연관된 개개의 저장조를 헹굼 및 충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적어도 머신 또는 로봇의 개수 만큼의 분배 시스템과 음영 변경 유닛을 구비하는 통상의 설비와는 대조적으로,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이 동일한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그 개개의 저장조를 헹굼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용의 단일 분배 및 음영 변경 시스템의 설계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영 변경 유닛 및 유체 접속 조립체와 함께 분배 시스템의 개수를 반감할 수 있어, 유지 시간 및 비용 뿐만 아니라 초기 투자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의 경우에, 음영 변경 동안 그 음영 변경 유닛의 덕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도료가 단한번만 버려지므로, 대체적으로 관련 설비에 대해 도료 및 헹굼 제품의 손실이 전체적으로 반감된다. 물론, 이러한 손실로부터 초래되는 비용 및 오염 또한 상당량 감소된다.
본 발명의 주제가 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시스템이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두개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의 어느 하나의 머신 또는 로봇의 분무기와 연관된 도료 저장조의 헹굼 및 충전을 목적으로, 음영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부착된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 유체 접속 조립체의 도장 부스 내측으로의 통과를 위해 동력식 해치가 도장 부스의 벽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음영 변경 유닛이 도장 부스의 외측에 위치 설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유체 접속 조립체는 분배 시스템의 고정된 분배 지점에 가요성 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해치는 도장 부스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된다. 분배 시스템을 이와 같이 구축함으로써, 도료 도포 부스내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또한 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음영 변경 수단 상에서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것은 또한 유지에 필요한 작동 정지 시간을 최소화하고 생산 손실이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장 부스 내에서의 조정 작업은 여과된 공기 내로의 먼지의 유입과, 그에 따른 상당수의 차체의 스크래핑을 야기할 수도 있는 외관상 결함 및 그러한 최종 배열의 중요성을 야기함을 알아야 한다.
특정 실행 모드에 따르면, 분배 시스템의 유체 접속 조립체는, 분배 시스템의 분배 지점, 특히 음영 변경 유닛의 유출구에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를 부착하는 예를 들어, 잭 및 가요성 파이프에 의해 도장 부스의 내외측으로 개방 위치에 있는 동력식 해치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를 충전하기 위한 전술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로써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차체 도장 라인의 일부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1에 따르면, 도장될 차체(2)들이 소정 간격(E)을 유지하면서 연달아 컨베이어(3)에 의해 도장 라인의 아래쪽으로 화살표(F) 방향으로 전진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차체(2)들은, 차체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우측과 좌측 상에 양 측벽(5a, 5b)을 갖는 폐쇄형의 도장 부스(4) 내측에서 이동된다.
도장 부스(4)의 양측으로 다수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데, 예를 들어, 도장 부스(4)의 우측에 도장 머신(6a, 7a, 8a, 9a)이, 도장 부스(4)의 좌측에 도장 머신(6b, 7b, 8b, 9b)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도장 머신은 고정 프레임(10) 및 도장 부스(4)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암(11)을 구비하며, 이 이동 가능한 암은 그 단부에 피스톤(13a)(도 2에 도시됨)을 구비한 도료 저장조(13)와 연관된 분무기(12)를 지탱하고 있다.
부스(4)의 각 측면 상의 도장 머신들(6a 내지 9a, 또는 6b 내지 9b)은 예를 들어, 2.5 내지 3 미터의 간격(E)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모든 도장 머신들은 개개의 도료 저장조(13)의 도료 공급에 관한 한 쌍을 이루는 관계로 도장 부스(4)의 각 측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데, 즉 다시 말하면, 두개의 일련의 도장 머신에 공통으로 하나의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두개의 도장 머신(6a, 7a)의 공통의 분배 시스템(14a)이 그 두 도장 머신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개의 도장 머신(6b, 7b)의 공통의 분배 시스템(14b)이 그 두 도장 머신의 사이에 배치되며, 두개의 도장 머신(8a, 9a)의 공통의 분배 시스템(15a)이 그 두 도장 머신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두개의 도장 머신(8b, 9b)의 공통의 분배 시스템(15b)이 그 두 도장 머신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은 도장 부스(4)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전기 동력식 또는 공압 동력식 해치(16)가 각각의 분배 시스템과 대응하는 관계로 도장 부스(4)의 측벽(5a 또는 5b)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분배 시스템, 예를 들어 분배 시스템(14a)은 음영 변경 유닛(17)을 구비하며, 이 음영 변경 유닛에는 도장 설비의 도시되지 않은 회로들에 의해 다양한 음영의 도료 및/또는 코팅 제품이 공급된다.
분배 시스템은 또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구비한다. 이 유체 접속 조립체는 도장 부스(4)의 벽(5)과 직각을 이루는 축선(19)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잭(20)에 의해 상기 축선(19)을 따라 추진된다. 따라서, 유체 접속 조립체(18)는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한데, 이와 같은 유체 접속 조립체(18)의 도장 부스(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통과는 해치(16)의 개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체적으로, 해치(16)를 통한 유체 접속 조립체(18)와 음영 변경 유닛(17)의 이동에는 차이가 있다.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는 세개의 접속점(21, 22, 23)을 구비한다. 제1 접속점(21)은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6)에 호스(24)에 의해 부착되며, 제2 접속점(22)은 다른 호스(26)에 의해 배수 장치(27)에 부착되고, 제3 접속점(23)은 마지막 호스(28)에 의해 공기 밸브와 용매 밸브를 포함하는 헹굼 유닛(29)에 부착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장 머신 중 하나의 도료 저장조(13)와 연관된 분무기(12)에는 세개의 접속점(31, 32, 33)을 포함하는 유체 접속구(30)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세개의 접속점은 각기 분배 시스템, 예를 들어 분배 시스템(14a)의 유체 접속 조립체(18)의 세개의 접속점(21, 22, 23)에 대응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분무기의 제1 접속점(31)은 저장조(13)에 직접 연결되어 저장조의 충전을 보장하며, 그 제2 접속점(32)은 배수용으로 설계된 것이고, 마지막 제3 접속점(33)은 분무기(12)의 노즐(34)의 헹굼을 위해 노즐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도장 머신이 소정 음영으로 차체(2)의 도장을 막 완료하고 나면, 이동 가능한 암(11)이 그 도장 머신에 할당된 분배 시스템과 마주하는 도장 부스(4) 내의 정확한 지점에 분무기(12)를 위치 설정하도록 이동된다. 해치(16)가 개방된 상태에서, 잭(20)이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추진시켜, 유체 접속 조립체가 분무기(12)의 유체 접속구(30)와 나란히 도킹되도록 하며, 또한 유체 접속 조립체의 세개의 접속점(21, 22, 23)이 분무기의 세개의 접속점(31, 32, 33)과 각기 일치되도록 한다.
그 후, 음영 저장 유닛(17)으로부터 호스(24)를 통해 용매를 분사함으로써 저장조(13)가 세척되며, 저장조(13)를 세척하는 데에 사용된 용매는 계속하여 호스(26)를 통해 배수 장치(27)로 보내진다. 동시에, 노즐(34) 또한 호스(28)를 통해 공급된 공기 및 용매를 사용하여 헹궈진다. 그 후, 용매는 압축 공기에 의해 배수 장치(27)로 보내지며, 저장조(13)가 음영 변경 유닛(17)에 의해 선택된 새로운 음영의 도료로 충전된다. 이 새로운 음영의 도료는 호스(24)를 통해 공급된다.
그 후 잭(20)은, 도장 머신이 선택된 새로운 음영의 도료로 새로운 차체(2)의 코팅을 수행할 준비를 하는 동안,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철수시키기 위하여 철회된다.
전술한 헹굼 및 충전 과정은, 그 사이에 관련 분배 시스템, 예를 들어 분배시스템(14a)이 배치되어 있는 두개의 도장 머신, 예를 들어 도장 머신(6a, 6b)의 분무기(12)의 각각의 저장조(13)의 충전을 위해, 동일한 분배 시스템(14a)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다르게 말하면, 각각의 음영 변경의 경우, 동일한 유체 접속 시스템(18)이 상기 두개의 도장 머신(6a, 6b) 중 하나의 유체 접속구(30)와 그리고 다른 하나의 유체 접속구와 연속하여 나란히 도킹된다. 이들 접속구는 연달아 예정된 동일한 위치로 보내진다.
이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도장 설비의 전체적인 작동 방식이 후술된다.
가장 후방에 위치한 도장 머신(6a, 6b)이 차체(2')의 도장을 완료한 시점에서의 네개의 도장 머신(6a, 7a, 6b, 7b)의 조립체를 고려하기로 한다. 도장 머신(6a, 6b)은 그 후 헹굼/충전 위치, 다시 말해 분배 시스템(14a, 14b)의 전방에 위치 설정된다. 그 다음, 이들 분배 시스템의 잭(20)이 두개의 도장 머신(6a, 6b)의 개개의 분무기(12)의 접속구(30)와 나란히 도킹되고, 다음 차체(2")용의 예상되는 음영에 따른 가능한 색채의 변경과 함께, 이들 두개의 도장 머신(6a, 6b)에 대한 세척 및 충전 사이클(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은)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들 두 개의 도장 머신(6a, 6b)의 저장조(13)가 선택된 음영의 도료로 충전되며, 도장 머신(6a, 6b)은 다음 차체(2")의 코팅을 시작할 준비를 하기 위하여 위치 설정된다.
전술한 작동은 두개의 도장 머신(7a, 7b)이 차체(2')의 도장을 완료하는 동안에도 수행된다. 도장 머신(7a, 7b)이 도장 작업을 완료하고 분배 시스템(14a, 14b)이 해제되자마자, 도장 머신(7a, 7b)이 그들의 차례에 헹굼/충전 위치, 다시 말해 분배 시스템(14a, 14b)의 전방에 위치 설정된다. 그 다음, 이들 분배 시스템의 잭(20)이 두개의 도장 머신(7a, 7b)의 개개의 분무기(12)의 접속구(30)와 나란히 도킹되고, 다음 차체(2")의 음영에 따른 가능한 색채의 변경과 함께, 이들 두개의 도장 머신(7a, 7b)에 대한 세척 및 충전 사이클이 또한 수행된다. 이렇게 해서 이들 도장 머신의 저장조(13)의 충전이 완료되며, 이들 도장 머신 또한 다음 차체(2")의 코팅을 시작할 준비를 하기 위하여 위치 설정된다.
전술한 작동 사이클은 다른 도장 머신(8a, 9a, 8b, 9b)에 대해서도 정확히 동일하게 적용되며, 특히 이전의 차체와 관련하여 음영이 변경된 경우에도, 후속 차체(2"')에 대해 동일한 과정이 반복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음영의 변경 동안, 두개의 도장 머신의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 덕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도료는 단 한번만 버려진다. 예를 들어, 분배 시스템(14a)의 경우, 도장 머신(6a)에 사용된 도료가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 덕트에 충전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와 동일한 도료가 도장 머신(6b)에도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설비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도료 및 헹굼 제품의 손실이 반감된다.
또한, 각각의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이 도장 부스(4)의 외측에 위치함에 따라, 이들 시스템 상에서의 조정 작업이 전체 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는 각종 도장 머신의 소정의 구성 요소들, 특히 이동 가능한 암(11)과 분무기(12)가 상당히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는 소정의 작동 상(相)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황을 설명하자면, 두 개의 도장 머신(6a, 6b)은 휴지위치 또는 대기 위치에 있고, 두 개의 도장 머신(7a, 7b)은 그 이동 가능한 암(11)이 도장 부스(4)의 대응하는 측벽(5a 또는 5b)을 향해 후방으로 접혀 있는 상태로 그 도장 머신에 할당된 분배 시스템(14a 또는 14b)과 마주보는 도킹 위치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도장 머신(8a, 8b)은 차체(2)의 후방을, 그리고 두개의 도장 머신(9a, 9b)은 동일 차체(2)의 지붕을 도장한다.
이하의 사항들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 분배 시스템 중 하나가 두개 이상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에 공통으로 유지되는 조건으로 분배 시스템의 구성상의 세부 사항들을 수정하는 것.
- 분배 시스템 상에, 분무기에 끼워진 접속구에 대응하는 관계로 얼마간의 접속점을 갖는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준비하는 것.
-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해치(16)를 통해 접속 조립체(18)와 함께 음영 변경 유닛(17)을 이동시켜, 호스(24) 내에 포함되는 도료를 절약하는 것.
- 마찬가지로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해치(16)를 통해 유체 접속 조립체(18)와 함께 이동될 헹굼 유닛(29)을 준비하는 것.
- 얼마간의 스핀들을 갖는 소정 유형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과 관련하여 전술한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것.
-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을 갖춘, 각종 구성의 도장 설비 또는 라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

Claims (8)

  1. 분무기(12) 및 이 분무기(12)와 연관되어 도료 또는 다른 코팅 제품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저장조(13)를 각각 구비하는 도장 머신 또는 로봇(6a, 6b, 7a, 7b, 8a, 8b, 9a, 9b)과, 다양한 색체의 도료가 공급되는 음영 변경 유닛(17), 그리고 이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5)에 부착되는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포함하며, 상기 머신 또는 로봇(6a, 6b, 7a, 7b, 8a, 8b, 9a, 9b)은 특히 자체(2)용의 도장 라인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분무기(12) 및 이와 연관된 저장조(13)로 구성된 각각의 조립체에는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과 비연속적인 방식으로 협동하도록 설계된 유체 접속구(30)가 제공되어 있는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머신 또는 로봇(6a, 7a; 6b, 7b; 8a, 9a; 8b, 9b)이 이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동일한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을 사용하여, 그 개개의 분무기(12)와 연관된 개개의 저장조를(13) 연속적으로 헹굼 및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2. 청구항 1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장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분무기(12) 및 도료 저장조(13)를 각기 구비하는 두개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6a, 7a; 6b, 7b; 8a, 9a; 8b, 9b)의 경우, 색채 변경 유닛(17)과 이 색채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5)에 부착된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구비하는 공통의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을 포함하며, 이 분배시스템(14a, 14b, 15a, 15b)은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6a, 7a; 6b, 7b; 8a, 9a; 8b, 9b) 중 어느 하나의 머신 또는 로봇에 의해 사용되어 그 개개의 분무기(12)와 연관된 개개의 저장조(13)를 헹굼 및 충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두개의 머신 또는 로봇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이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두개의 도장 머신 또는 로봇(6a, 7a; 6b, 7b; 8a, 9a; 8b, 9b)의 어느 하나의 머신 또는 로봇의 분무기(12)와 연관된 도료 저장조(13)의 헹굼 및 충전을 목적으로,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5)에 부착된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 유체 접속 조립체(18)의 도장 부스(4) 내측으로의 통과를 위해 동력식 해치(16)가 도장 부스(4)의 벽(5a, 5b)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의 유체 접속 조립체(18)는,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의 분배 지점, 특히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5)에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를 부착하는 예를 들어, 잭(20) 및 가요성 파이프(24, 26, 28)에 의해,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개방 위치에 있는 동력식 해치(16)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유체 접속 조립체(18)는 세개의 접속점(21, 22, 23)을 포함하며, 그 제1 접속점(21)은 음영 변경 유닛(17)의 유출구(25)에 호스(24)에 의해 부착되고, 그 제2 접속점(22)은 다른 호스(26)에 의해 배수 장치(27)에 부착되며, 그 제3 접속점(23)은 마지막 호스(28)에 의해 헹굼 유닛(29)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변경 유닛(17)은 도장 부스(4)의 외측에 위치 설정되어 고정되며, 상기 유체 접속 조립체(18)는 분배 시스템(14a, 14b, 15a, 15b)의 고정된 분배 지점에 가요성 파이프(24, 26, 28)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변경 유닛(17)은 유체 접속 조립체(18)와 함께 해치(16)를 통해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유닛(29)은 유체 접속 조립체(18)와 함께 해치(16)를 통해 도장 부스(4)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저장조 충전 장치.
KR10-2003-7002722A 2000-09-05 2001-09-04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 Abandoned KR20030024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1309A FR2813538B1 (fr) 2000-09-05 2000-09-05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mplissage d'un reservoir de peinture, dans une installation automatisee de peinture
FR00/11309 2000-09-05
PCT/FR2001/002739 WO2002020173A1 (fr) 2000-09-05 2001-09-04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mplissage d'un reservoir de peinture, dans une installation automatisee de pein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910A true KR20030024910A (ko) 2003-03-26

Family

ID=885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22A Abandoned KR20030024910A (ko) 2000-09-05 2001-09-04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96010B2 (ko)
EP (1) EP1315580B1 (ko)
JP (1) JP2004508176A (ko)
KR (1) KR20030024910A (ko)
AT (1) ATE356675T1 (ko)
AU (1) AU2001289988A1 (ko)
BR (1) BR0113691A (ko)
CA (1) CA2421263A1 (ko)
DE (1) DE60127273T2 (ko)
FR (1) FR2813538B1 (ko)
WO (1) WO2002020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493A1 (de) * 2004-06-25 2006-01-12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anlag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US8732610B2 (en) * 2004-11-10 2014-05-20 Bt Web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using icons to indicate status of content and/or content retrieval
US8020784B2 (en) * 2005-10-07 2011-09-20 Durr Systems Inc. Coating material supply installation and associated operating procedure
DE202006021283U1 (de) 2005-10-07 2014-08-27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mittel-Versorgungseinrichtung
US20080011333A1 (en) * 2006-07-13 2008-01-17 Rodgers Michael C Cleaning coating dispensers
JP4759490B2 (ja) * 2006-10-20 2011-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システムの塗料供給装置及び塗料供給方法
JP4850944B2 (ja) 2009-10-21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供給方法
JP4812871B2 (ja) * 2009-10-21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充填装置
WO2012012621A1 (en) 2010-07-21 2012-01-26 Valspar Sourcing, Inc. Electrostatic spray apparatus and method
FR2977508B1 (fr) * 2011-07-06 2013-08-16 Sames Technologies Station de nettoyage-remplissage pour moyens de projection
DE102015006161A1 (de) * 2015-05-13 2016-11-17 Eisenmann Se Applikationsvorrichtung, Beschicht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Gegenständen
JP7227431B2 (ja) * 2020-06-11 2023-02-21 アーベーベー・シュバイツ・アーゲー 塗料タンク搭載式の静電塗装装置
JP7483116B1 (ja) 2023-10-31 2024-05-14 アーベーベー・シュバイツ・アーゲー 塗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067A (en) * 1986-11-26 1993-03-23 Sames S.A. Electrostatic spraying installation for water-based paint
FR2609252B1 (fr) 1987-01-02 1989-04-21 Sames Sa Installation de projection de produit de revetement tel que par exemple une peinture et notamment installation de projection electrostatique de peinture a base d'eau
JP2641578B2 (ja) 1989-12-27 1997-08-13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装置
JP3014884B2 (ja) 1992-12-28 2000-02-28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導電性塗料の静電塗装装置
FR2703266B1 (fr) * 1993-04-01 1995-06-23 Sames Sa Machine de projection de produit de revêtement.
SE509397C2 (sv) * 1997-05-09 1999-01-25 Abb Flexible Automation As Anläggning för lackmatning till en sprutlackeringsappa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5580B1 (fr) 2007-03-14
DE60127273D1 (de) 2007-04-26
US6896010B2 (en) 2005-05-24
DE60127273T2 (de) 2009-12-17
FR2813538B1 (fr) 2003-03-14
FR2813538A1 (fr) 2002-03-08
EP1315580A1 (fr) 2003-06-04
JP2004508176A (ja) 2004-03-18
WO2002020173A1 (fr) 2002-03-14
AU2001289988A1 (en) 2002-03-22
CA2421263A1 (fr) 2002-03-14
ATE356675T1 (de) 2007-04-15
BR0113691A (pt) 2003-12-30
US20040020551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182B1 (ko) 분무장치
US6712285B2 (en) Process and station for changing product in an installation for spraying coating product
US483088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eaning paint spray guns
KR20030024910A (ko) 자동화된 도장 설비의 도료 저장조 충전 방법 및 장치
US9694378B2 (en) Application robot having a connection unit for different applicators
RU24299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JPS63310671A (ja) 被加工物品を導電性の塗装材料で順次塗装する方法並びに塗装装置
US20060182894A1 (en) Method for electrostatic spraying of conductive coating materials
JPH026868A (ja) 塗装ブースにおける塗装装置設置方法と塗装ブースの一部を構成する塗装機操作ユニット
US20160121372A1 (en) Cleaning process and cleaning device for one or more parts of an application system
US9956567B2 (en) System for coating, in particular for painting, articles, in particular vehicle bodies
CN110694846A (zh) 一种便于对不同形状的物体进行喷涂的涂装装置
KR20030040550A (ko) 살포기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상기 장치를구비한 살포설비
US11845098B2 (en) Cleaning station for cleaning the spraying guns in a spray booth, and method
CN211678445U (zh) 一种便于对不同形状的物体进行喷涂的涂装装置
CN113909031B (zh) 涂装系统以及涂装方法
JPH0653240B2 (ja) 塗装ガンの洗浄装置
JP3225557B2 (ja) 塗装装置の洗浄方法
KR20180113280A (ko) 자동화 도장설비 저장조 충전방법
HK40079426A (en) Cleaning station and method for cleaning spray gun in spray booth
JPS5858167A (ja) 塗装用ロボツト
JP3530561B2 (ja) 静電塗装装置
SU11668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несени покрыти
JPH0338907B2 (ko)
KR200226447Y1 (ko) 분체도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