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6899A -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899A
KR20030016899A KR1020010050977A KR20010050977A KR20030016899A KR 20030016899 A KR20030016899 A KR 20030016899A KR 1020010050977 A KR1020010050977 A KR 1020010050977A KR 20010050977 A KR20010050977 A KR 20010050977A KR 20030016899 A KR20030016899 A KR 2003001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bracket
airbag
coupling structure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899A/ko
Publication of KR2003001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인플레이터 브래킷의 역할을 담당하는 플랜지 형상의 브래킷을 일체형으로 인플레이터에 형성함으로써, 조립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더욱 안전하며, 에어백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되, 부착구를 가지고 팽창가능하게 접은 에어백 쿠션과, 가스 발생수단인 인플레이터(10, 100)를 감싸게 결합한 커버로 이루어진 에어백에서, 인플레이터(100)의 원형부에는 스티어링 휠과 같은 소정 장착위치에 고정되도록 사각 판상에 다수의 볼트 구멍(101)들을 갖는 플랜지 브래킷(120)이 인플레이터(100)의 제작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BRACKET FIXED STRUCTURE OF INFLATOR FOR AIR BAG SYSTEM}
본 발명은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객용 인플레이터를 통해 조립 부품수를 줄이고 경량화 시킴과 함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이란 차량 충돌시 전달되는 충격을 센서 및 전자제어장치 (ECU)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inflator)를 작동시키고, 이때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접혀진 에어백 쿠션을 부풀림으로써, 승객이 차량 내장제, 즉 스티어링 휠, 데쉬보드, 프론트 글래스, 사이드 글래스 등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안전 장치이다.
이런 에어백 장치는 크게 운전석, 승객석, 측면, 뒷자석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는 통상적으로 부착구를 가지고 팽창가능하게 접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비행접시 형상의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를 중앙에 결합하고, 스티어링 휠의 중앙공동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커버 브래킷과, 커버 브래킷에 결합되어 내부의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전석용 에어백은 고급화, 대형화되고 있는 자동차 또는 경량화, 소형화되고 있는 차량의 주행 상태, 승차감, 차중량, 속도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자동차 성능 팩터에 알맞게 맞춤 설계되는 안전장치로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중이다.
비단, 맞춤 설계를 고려하거나 고려하지 않을지라도, 통상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앞서 설명한 구성 부품들로 이루어진 조립체 형식, 즉 어셈블리로 출시되고 있으며, 하나의 구성 부품들에서 제품 하자나 오작동 발생시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하여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섬세한 장치중의 하나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10)는 다수의 스터드 볼트(30)들로 스티어링 휠의 중앙공동에 고정될 수 있게 커버 브래킷(20)과 결합된다.
여기에서, 인플레이터(10)는 원형 중심부(12)에 다수의 가스 분출노즐들을 원주면에 형성한 것으로서, 원주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네게의 모서리에 볼트구멍(11)들을 구비한 사각판형의 고정 플랜지(13)를 갖는다. 이런 고정 플랜지(13)에는 커버 브래킷(20)과 정확한 조립 위치에서 체결되고 조립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다월 핀구멍(dowel pin hole) 또는 가이드 핀(guide pin hole)과 같은 위치 결정용 핀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 브래킷(20)은 앞서 설명한 볼트구멍(11)에 각각 일치하는 볼트구멍(21)들을 형성한 사각 플레이트로서, 수직하게 절곡된 테두리 벽을 각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중심에 앞서 설명한 인플레이터(10)의 원형 중심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2)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커버 브래킷(20)은 앞서 언급한 위치 결정용 핀 구멍(14)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용 핀(24)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브래킷(20)과 인플레이터(10)는 두 개의 부품으로서 별도로 제작되며, 이후의 에어백 조립 라인에서 스터드 볼트(30)들에 의해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인플레이터를 스티어링 휠과 같은 곳에 장착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부품인 커버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립 공정수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며,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정확한 결합을 위해 위치 결정용 핀 내지 구멍을 형성해야 하는 제작 및 조립상의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는 대량 생산에 있어서, 제품 단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며, 에어백 조립체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켜 경량의 소형차량에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다.
비록, 커버 브래킷이 서로 다른 차종의 스티어링 휠에 각각 맞춰지지 못하는 현재의 제작 환경에서, 획일화된 소정의 운전석용 인플레이터를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가 차량의 상태에 맞게 정확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어셈블리로 출시되는바, 이에 맞춰 전용 사이즈를 갖는 일체형 브래킷 구조의 인플레이터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견한 문제점을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 브래킷의 역할을 담당하는 플랜지 형상의 브래킷을 일체형으로 인플레이터에 형성함으로써, 조립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더욱 안전하며, 에어백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의 주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플레이터120 : 플랜지 브래킷
121 : 상부판122 : 하부판
150 : 테두리벽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구를 가지고 팽창가능하게 접은 에어백 쿠션과, 가스 발생수단인 인플레이터를 감싸게 결합한 커버로 이루어진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있어서, 인플레이터의 원형부에는 스티어링 휠과 같은 소정 장착위치에 고정되도록 사각 판상에 다수의 볼트 구멍들을 갖는 플랜지 브래킷이 인플레이터의 제작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 브래킷은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외주변이 약간 상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 브래킷은 인플레이터 원형부의 상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상부판과, 원형부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된 하부판으로 용접되어 일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의 주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승객용 인플레이터(100)의 원형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 브래킷(120)을 제공한다.
플랜지 브래킷(120)은 스티어링 휠과 같은 소정 장착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100)의 제작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사각 판상을 가지며, 다수의 스터드 볼트(30)들이 결합될 수 있게 각각의 모서리부위에 볼트 구멍(101)들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 브래킷(120)은 인플레이터(100) 원형부의 상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상부판(121)과, 원형부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된 하부판(122)으로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만 연장될 수 있다. 이런 플랜지 브래킷(120)은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외주변이 약간 상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벽(15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 브래킷(120)의 표면은 더욱 더 증가된 강성을 갖도록 벤딩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플랜지 브래킷(120)의 크기는 설계 당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맞게 형성됨으로써, 차량 전용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플랜지 브래킷(120)을 인플레이터(100)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기존의 커버 브래킷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인플레이터의 제작시 차량의 설치 환경에 맞게 플랜지 브래킷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인플레이터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짧은 조립 시간과 함께, 조립 공정수의 감소를 가져와 전반적인 에어백 조립체의 조립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에어백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 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는 에어백 조립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의 소형차량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부착구를 가지고 팽창가능하게 접은 에어백 쿠션과, 가스 발생수단인 인플레이터(10, 100)를 감싸게 결합한 커버로 이루어진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00)의 원형부에는 스티어링 휠과 같은 소정 장착위치에 고정되도록 사각 판상에 다수의 볼트 구멍(101)들을 갖는 플랜지 브래킷(120)이 상기 인플레이터(100)의 제작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브래킷(120)은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외주변이 약간 상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벽(15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브래킷(120)은 상기 인플레이터(100) 원형부의 상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상부판(121)과, 원형부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된 하부판(122)으로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KR1020010050977A 2001-08-23 2001-08-23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KR20030016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977A KR20030016899A (ko) 2001-08-23 2001-08-23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977A KR20030016899A (ko) 2001-08-23 2001-08-23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899A true KR20030016899A (ko) 2003-03-03

Family

ID=2772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977A KR20030016899A (ko) 2001-08-23 2001-08-23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8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196B1 (ko) * 2005-06-15 2006-06-19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인플레이터용 브래킷 및 이 브래킷을 제조하는 방법
CN103465861A (zh) * 2008-09-30 2013-12-25 Trw空气气袋系统股份有限公司 气体发生器、其制造方法以及带有气体发生器的模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196B1 (ko) * 2005-06-15 2006-06-19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인플레이터용 브래킷 및 이 브래킷을 제조하는 방법
CN103465861A (zh) * 2008-09-30 2013-12-25 Trw空气气袋系统股份有限公司 气体发生器、其制造方法以及带有气体发生器的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8290C (en) Air bag device
JP200125331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245759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5112196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KR20030016899A (ko)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브래킷 결합구조
JPH05139241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JPH0725739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8258652A (ja) ガスバッグ衝撃防護システム
JPH0624283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4653885B2 (ja) エアバック装置
JPH1076902A (ja) ガスバッグ拘束システムを含んだハンドル
KR100468540B1 (ko)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모듈 설치구조
JP270207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213413723U (zh) 汽车及其中央扶手安全气囊总成
JP3027413U (ja) 運転席用一括搭載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CN211223355U (zh) 安全气囊壳体和安全气囊装置
JP4301123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0293774Y1 (ko) 인플레이터 리테이너
KR100362271B1 (ko) 에어백 조립체
JPH08104197A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296780Y1 (ko) 에어백 조립체
JPH0495548A (ja) 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JP2744041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KR100471758B1 (ko) 에어백 모듈이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