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16008A -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008A
KR20030016008A KR1020010049893A KR20010049893A KR20030016008A KR 20030016008 A KR20030016008 A KR 20030016008A KR 1020010049893 A KR1020010049893 A KR 1020010049893A KR 20010049893 A KR20010049893 A KR 20010049893A KR 20030016008 A KR20030016008 A KR 2003001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room
luggage
supporter
forming structur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008A/ko
Publication of KR2003001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러기지 룸내에 적재된 화물의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화물의 적재 및 취출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어 시트(1)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사이드 양측에 마련되며 내측면에 사이드 서포터(100)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 사이드 트림(2)과; 좌,우 사이드 트림(2)의 후방에 플로워 패널(3)을 중심으로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좌,우 사이드 트림(2)과 함께 러기지 룸(10)을 형성하며, 내면에 리어 서포터(200)가 마련된 리어 트랜버스 트림(4)과; 양측면과 후면이 사이드 서포터(100) 및 리어 서포터(200)에 지지되어 리어 트랜버스 트림(4)의 돌출 높이와 대략 동일높이로 수평 설치되며, 러기지 룸(10)을 상,하로 구획하는 러기지 보드(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STRUCTURE FOR MAKING A TWO STEP LUGGAGE ROOM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치 백형 자동차 또는 다목적 승합차는 노치 백형 자동차와는 달리 별도의 화물실을 설치하지 않고, 리어 시트의 후방을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 룸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리어 시트(1)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위치되는 사이드 트림(side trim;2)과 이 사이드 트림(2)의 후방에 플로워 패널(3)에 비하여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어 트랜스버스 트림(4)에 의해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러기지 룸(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5)는 테일 게이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러기지 룸에 있어서는, 테일 게이트(5)을 개방하였을 때 러기지 룸(10)내의 화물이 외부로 모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리어 트랜스버스 트림(4)이 플로워 패널(3)로 부터 소정높이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이차이로 인한 화물의 적재 및 취출을 손쉽게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잇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러기지 룸내에 적재된 화물의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화물의 적재 및 취출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자동차의 2단 러기지룸 형성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어 시트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사이드 양측에 마련되며 내측면에 사이드 서포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 사이드 트림과; 상기 좌,우 사이드 트림의 후방에 플로워 패널을 중심으로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좌,우 사이드 트림과 함께 러기지 룸을 형성하며, 내면에 리어 서포터가 마련된 리어 트랜버스 트림과; 양측면과 후면이 사이드 서포터 및 리어 서포터에 지지되어 리어 트랜버스 트림의 돌출 높이와 대략 동일높이로 수평 설치되며, 러기지 룸을 상,하로 구획하는 러기지 보드;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러기지 룸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룸 형성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사이드 서포터와 러기지 보드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A-A, B-B,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리어 시트 2 : (좌,우)사이드 트림3 : 플로워 패널
4 : 리어 트랜버스 트림 5 : 테일 게이트10 : 러기지 룸
100 : 사이드 서포터 110 : 걸고리120 : 홀더
121 : 삽입홈 130 : 고무 댐퍼200 : 리어 서포터
300 : 러기지 보드 330 : 힌지핀331 : 고무 튜브
340 : 고정핀
도 1에 참조되고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시트(1)를 중심으로 좌,우 사이드 양측에는 좌,우 사이드 트림(2)이 마련된다.
이 좌,우 사이드 트림(2)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서포터(side supporter;100)가 마련된다.
또한 사이드 트림(2)의 후방에는 플로워 패널(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사이드 트림(2)과 함께 화물의 적재를 위한 공간부 즉, 러기지 룸(10)을 형성하는 리어 트랜버스 트림(rear transverse trim;4)이 마련된다.
이 리어 트랜버스 트림(4)의 상부측 내면에는 리어 서포터(rear supporter;2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러기지 룸(10)을 상,하 2단으로 구획하는 러기지 보드(luggage board;300)가 마련되는 바, 이 러기지 보드(300)의 양측면은 사이드서포터(100)에 지지되고, 후면은 리어 서포터(200)에 지지됨으로써, 리어 트랜버스 트림(4)의 돌출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로 수평 설치된다.
이러한 러기지 보드(300)는, 적어도 2단 이상(도시된 것은 3단임)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면에 카펫과 스킨이 씌워져 있으며, 이들이 일종의 힌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러기지 보드(300)는 사이드 서포터(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주행중 유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이드 서포터(100)의 후면과 전면에 걸고리(110)와 삽입홈(121)을 갖는 홀더(holder;120)를 마련하고, 러기지 보드(300)의 전,후 양측면에는 걸고리(11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힌지핀(330)과 홀더(120)의 삽입홈(121)에 억지 끼워 삽입되는 고정핀(340)을 마련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러기지 보드(300)가 사이드 서포터(100)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때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면 주행과정에서 심한 유동이 발생될 경우, 충격 및 마찰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 서포터(100)의 중심 일면에 러기지 보드(300)의 하면과 부분 접촉되도록 고무 댐퍼(rubber damper;130)가 복수 마련된다.
이외에도 러기지 보드(300)를 힌지핀(330)을 통해 사이드 서포터(100)의 걸고리(110)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역시 소음이 발생되어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핀(330)의 외면에는 회전시 소음 발생을 차단하기위한 고무 튜브(rubber tube;331)가 개재된다.
미설명부호(H)는 러기지 보드(3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러기지 룸(10)에 작은 부피의 물품을 수납 시킨 상태에서 러기지 보드(300)를 사이드 서포터(100) 및 리어 서포터(200)에 장착한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5)를 개방시켜도 러기지 룸(10) 내의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러기지 룸(10) 내의 물품을 취출할 경우에는, 손잡이(H)를 푸쉬하게 되면, 러기지 보드(300)의 고정핀(340)이 홀더(120)의 삽입홈(121)으로 부터 이탈되고, 동시에 러기지 보드(300)가 사이드 서포터(100)의 걸고리(110)에 결합된 힌지핀(330)을 통해 회동되며, 특히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되면서 회동된다.
따라서 러기지 룸(10) 내의 물품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된다.
한편, 러기지 보드(300)의 상면에도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며, 이와같이 러기지 보드(300)의 상면에 물품을 수납시킬 경우, 러기지 보드(300)가 리어 트랜버스 트림(4)과 동일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물품의 적재 및 취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때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함에 있어서는, 러기지 보드(300)을 절첩시킨 상태에서 수납시키거나 또는 사이드 서포터(100) 및 리어 서포터(200)로 부터 완전히분리시키게 되면, 큰 부피의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 트림 및 리어 트랜버스 트림상에 마련된 사이드 서포터 및 리어 서포터에 러기지 보드를 설치함으로써 러기지 룸내의 작은 부피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러기지 보드 상면에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여 수납 및 취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러기지 보드를 절첩시키거나 분리시키게 되면 큰 부피의 물품 수납도 가능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리어 시트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사이드 양측에 마련되며 내측면에 사이드 서포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 사이드 트림과;
    상기 좌,우 사이드 트림의 후방에 플로워 패널을 중심으로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좌,우 사이드 트림과 함께 러기지 룸을 형성하며, 내면에 리어 서포터가 마련된 리어 트랜버스 트림과;
    양측면과 후면이 사이드 서포터 및 리어 서포터에 지지되어 리어 트랜버스 트림의 돌출 높이와 대략 동일높이로 수평 설치되며, 러기지 룸을 상,하로 구획하는 러기지 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보드는, 적어도 2단 이상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면에는 카펫과 스킨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서포터의 후면과 전면에 걸고리와 삽입홈을 갖는 홀더를 마련하고, 러기지 보드의 전,후 양측면에 걸고리와 삽입홈에 각각 끼워 삽입되는 힌지핀과 고정핀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서포터의 중심 일면에 러기지 보드의 하면과 부분 접촉되도록 고무 댐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에 끼워 삽입되는 러기지 보드의 힌지핀 외주면에 회전시 소음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고무 튜브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KR1020010049893A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KR20030016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93A KR20030016008A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893A KR20030016008A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008A true KR20030016008A (ko) 2003-02-26

Family

ID=2771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893A KR20030016008A (ko) 2001-08-20 2001-08-20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0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50A (ko) *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회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063U (ja) * 1984-02-23 1985-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ツケ−ジトレイ用ロツク装置
JPH01147138U (ko) * 1988-03-22 1989-10-11
JPH041049U (ko) * 1990-04-18 1992-01-07
JPH047951U (ko) * 1990-05-11 1992-01-24
US6176535B1 (en) * 1998-12-22 2001-01-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ulti-positional vehicle shel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063U (ja) * 1984-02-23 1985-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ツケ−ジトレイ用ロツク装置
JPH01147138U (ko) * 1988-03-22 1989-10-11
JPH041049U (ko) * 1990-04-18 1992-01-07
JPH047951U (ko) * 1990-05-11 1992-01-24
US6176535B1 (en) * 1998-12-22 2001-01-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ulti-positional vehicle shel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50A (ko) *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러기지 보드 회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622B1 (en) Vehicle with multi-positional shelf
US5855310A (en) Removable interior storage container for motor vehicle
US6634848B2 (en) Automotive stowable ramp device
US6481773B1 (en) Removable storage unit for a motor vehicle
US6773046B2 (e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hatchback vehicle
US4127301A (en) Vehicle interior cover panel means
US7469948B2 (en) Apparatus for extending vehicle cargo space and method for same
CN106541996B (zh) 集成了动态承载地板和摇臂总成的货物管理系统
KR20030016008A (ko) 자동차의 2단 러기지 룸 형성구조
KR100527925B1 (ko)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100930763B1 (ko) 가변형 커버링 쉘프 구조
KR102506240B1 (ko) 차량용 루프박스
JPS6117694B2 (ko)
JP4389352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CN221067739U (zh) 车辆尾门以及车辆
JPH06191436A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JP2005186848A (ja) デッキフロア構造
JPH09328039A (ja) 自動車用ラック
JP2002211321A (ja) 自動車における荷物保持装置
KR100561813B1 (ko) 자동차용 오버 헤드 콘솔
KR0135663Y1 (ko) 텐트 걸이용 고리를 구비한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19990001693U (ko)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적재물 유동 방지구조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19980052313U (ko) 개폐식 트렁크룸 격판
JPS5943136Y2 (ja) 自動車の荷物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