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3690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90A
KR20030003690A KR1020027011358A KR20027011358A KR20030003690A KR 20030003690 A KR20030003690 A KR 20030003690A KR 1020027011358 A KR1020027011358 A KR 1020027011358A KR 20027011358 A KR20027011358 A KR 20027011358A KR 20030003690 A KR20030003690 A KR 2003000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orming
type dopant
well region
w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228B1 (ko
Inventor
왕시아오동
우마이클피.
래그크레이그에스.
티안홍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0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3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inactive species in silicon to make burie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1PN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01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having lightly-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s, e.g. LDD IGFETs or DDD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351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357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364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H10D62/371Inactive supplementary semiconductor regions, e.g. for preventing punch-through, improving capacity effect or leakage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공표 되어 왔다. 상기 방법은 반도체 기판(100)에서 제 1 웰 영역(104)의 형성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상기 제 1 웰 영역(104) 아래에 제 1 도핑된 영역(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웰 영역(104) 및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은 제 1 형 도펀트를 통해 도핑되고, 상기 제 1 웰 영역(104)은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은 상기 제 1 웰 영역(104) 및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은 제 2 웰 영역(4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및 상기 제 2 웰 영역(404)은 제 2 도펀트 형을 통해 도핑된다. 상기 제 2 도펀트 형은 상기 제 1 도펀트 형과 반대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제 1 웰 영역(104) 내에서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아래에서, 제 2 도핑된 영역(310)의 형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형 도펀트를 갖는 제 3 도핑된 영역(312)은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위에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위의 게이트 구조의 형성(504), 상기 게이트(504)에 인접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의 형성, 및 상기 게이트 구조(504)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아래의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의 형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반도체 메모리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에러들이라 언급되는 데이터 손실 현상에 쉽게 노출된다. 반도체 제품들에서의 소프트 에러들은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또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장치와 같은, 반도체 회로에 저장된 전하량을 변경하는 환경 방사로 발생될 수 있다. SRAM들 및 DRAM들을 포함하는 많은 집적 회로들에서, 상기 집적 회로의 논리 상태는 매우 적은 저장된 전하량에 의존한다.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적 입자의 방사는 메모리 장치의 셀 또는 요소에 저장된 전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에러율이 상기 메모리 장치의 저장 노드(node)에 저장된 전하량에 따라 변경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메모리 장치들의 전력 공급 전압 및 셀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저장된 전하량이 감소되고 따라서, 소프트 에러가 발생될 확률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의 단가 또는 복잡성을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소프트 에러율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분야 특히, 반도체 회로에서 소프트 에러율(soft error rate)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반도체 기판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선택 영역들에서 n형 아이솔레이션층이 p형 기판에 주입되는, 도 1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
도 3은 제 2 p웰 불순물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 주입되는, 도 2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상술된 불순물들이 주입되는 상기 영역들 이외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영역들에 n웰 불순물이 주입되는, 도 3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게이트 구조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상기 반도체 기판에서 제조되는, 도 4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
도 6은 보호 전하 콜렉션층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 주입되는, 도 5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
도 7은 실리콘 영역들이 도 5의 상기 트랜지스터의 활성 및 게이트 영역들에 형성되는, 도 6의 상기 프로세싱 단계에 이어지는 프로세싱 단계,
도 8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부분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부분 단면도.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도면들에는 요소들이 간단 명료하게 예시되고, 필연적으로 축소 비율에 따라 크기 조정을 하지 않았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들에서 일부 상기 요소의 크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른 요소들과 관련하여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도면 중, 도 1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기판(100)은 실리콘 또는 다른 적절한 반도체 재료의 단결정 웨이퍼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웨이퍼(100)는 필드 구조들(106)이 기판(102)의 제 1 웰 영역(p웰 영역)(104)의 양측부에 형성된, p형 기판(102)의 형태의 제 1 도핑된 영역을 포함한다. 필드 구조들(106)은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TI; (shallow trench isolation)] 구조들, 실리콘의 국부적 산화(LOCOS) 구조들, 또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적절한 아이솔레이션 구조를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02)의 상술된 실시예는 p형 기판에 대해서만 설명할지라도, 본 발명은 n형 기판을 포함한 초기 물질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반도체 기판(102)의 상부 표면(103)위에 형성된 희생 산화물층(108)을 또한, 도시한다. 희생 산화물층(108)은 연속되는 프로세싱 동안 반도체 기판(102)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희생 산화물층(108)은 열 산화 단계 또는 저온 침착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 1의 상기 웨이퍼(100)의 부가의 프로세싱을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n형 불순물 분포(아이솔레이션 영역)(206)는 제 1 주입(202)을 포함하는 p웰 영역(104)과 반도체 기판(102)사이의 웨이퍼(100)에 주입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1 주입(202)은 약 1E17 내지 1E19 atoms/㎤ 범위의 최대 불순물 농도를 얻기 위해 약 1E13 내지 10E13 atoms/㎠의 도즈(dose)를 갖고 약 500 내지 1000 KeV 범위의 에너지에서 실행되는, 인(phosphorus) 주입을 나타낸다. 상기 제 1 주입(202)은 반도체 기판(102)의 상부 표면(주면)(103) 아래에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웰을 형성하는데 적절하다. 본 발명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것처럼, 상기 n형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은 p웰 영역(104)으로부터 p형 기판 영역(102)을 국부적으로 아이솔레이션 시킨다. p웰 영역(104)으로부터 상기 p형 기판(102)의 아이솔레이션은 효과적으로, 웨이퍼(100)의 p웰 영역(104)에서 나중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들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환경 방사에 의하여, 기판(102)에서 발생되는(또는,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자(electron)-정공(hole) 쌍들을 막는 전기적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 에러율을 감소시킨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참조 번호 204로 표시한 제 2 주입은 n형 불순물층(206)과 접해서 p형 불순물층(208)을 형성하도록 실행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입(204)은 약 1E13 내지 10E13 atoms/㎠ 범위의 주입 도즈를 갖고 약 100 내지 400 KeV 범위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붕소 주입을 통해 실행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 2 주입(204)은 200 KeV의 주입 에너지 및 3.2E13 atoms/㎠의 주입 도즈를 이용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주입들(202, 204)은 양호하게, 희생산화물층(108)위의 참조 번호 200으로 표시한 주입 마스크의 형성에 따라 실행된다. 상기 주입 마스크(200)는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프로세싱 단계들을 통해 형성되고, 불순물 분포들(206, 208)을 동시에 웨이퍼(100)의 p웰 영역(104) 아래에 형성되도록 하는 동안, 아이솔레이션 (필드) 영역들(106) 아래에 기판(102)의 침투 영역들로부터 주입(202, 204)을 막는다. 상기 웨이퍼(100)가 SRAM들 및 DRAM들과 같은 메모리 장치들의 제조를 위해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주입 마스크(200)는 또한, 불순물 분포들(206, 208)을 웨이퍼(100)의 상기 메모리 어레이 부분들에 형성시키면서, 제 1 및 2 주입들(202, 204)이 상기 메모리 장치들의 주변 부분들에 불순물 분포들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p형 기판(102) 및, 제 1 및 제 2 주입들(202, 204)에 대한 상술된 불순물 형태들만을 나타낼 지라도, 상기 제 2 불순물 분포가 n형인 경우, 상기 제 1 불순물 분포(206)는 p형인 것처럼, 제 1 및 제 2 주입들(202, 204)의 상기 도펀트 형이 반대인 경우, 기판(102)은 n형 기판을 포함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도펀트 형은 원소 주기율표에서, 같은 도펀트들의 집합(즉, 3 타입 그룹 또는 5 타입 그룹 도펀트들)으로부터 다른 도펀트들을 포함하기 위해 확산될 수 있다.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의 상기 형성에 따라, 주입 마스크(200)는 웨이퍼(100)로부터 제거되고, 웨이퍼(100)는 반도체 기판(102)을 다시 결정화하고 제 1 및 제 2 불순물 분포들(206, 208)을 활성화시키도록 열 처리된다(어닐링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웨이퍼(100)에 가해지는 상기 열처리에는 반도체 기판(102)이 약 5 내지 60 초의 범위 동안, 약 900˚ 내지 11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되는 급속 열 어닐 처리가 있다. 상기 열 처리 단계의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급속 열 어닐의 상기 단 시간은 상기 불순물 분포들의 실질적인 재분포를 막는 동안, 제 1 및 제 2 불순물 분포들(206, 208)을 활성화하기에 충분하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종래의 노(furnace)의 어닐을 포함한다. 현재까지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어닐은 도 4를 참조로 후술된 것처럼, n웰 영역들(404)의 형성 후 까지 지연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상기 프로세스에서 어닐 싸이클들의 전체 수를 감소시킨다.
도 3에서, 제 2 마스크(301)는 웨이퍼(100)의 희생 산화물층(108) 위에 형성된다. 제 2 마스크 층(301)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대해서 상술된 상기 프로세스 단계에서 도시된 상기 제 1 마스크(200)처럼, 상기 어레이에서 상기 웨이퍼(100)와 같은 부분들에 나타난다. 또한, 제 2 마스크(301)는 상기 장치의 주변 부분들(즉, 어레이가 아닌 영역들)에서 p웰 영역들(도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제 2 마스크(301)의 상기 형성에 따라, 참조 번호들 302, 304, 306 및 308로 표시한 주입들의 일련의 세트는 여러 p형 불순물 분포들을 기판(102) 및 p웰 영역(104)에 주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주입(302)은 참조 번호 310으로 표시한 제 2 p형 불순물 분포(도핑된 영역)를 p형 기판(102)에 주입하기 위해 실행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p형 불순물 분포(310)는 제 2 p형 분포(310)의 깊이가 n형 불순물 분포(206)의 깊이 보다 큰 주입 단계 및, 상기 불순물 분포(310)의 최대 농도가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는 주입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p형 불순물 분포(310)는 n형 아이솔레이션 영역(206)과 p형 기판(102) 사이에 형성된 상기 p-n 결합의 상기 전기적 장벽 특성들을 좀 더 향상시키기 위해 최대 불순물 분포(206) 아래에서 최대 분포를 만든다. 도 3에서 도시된, 제 4 주입(304)은 제 3 불순물 분포(도핑된 영역)(312)를 만드는데, 도 2의 제 1 불순물 분포(208)와 결합되고, 아이솔레이션 영역 분포(206)의 깊이보다 적은, 기판(102)의 상부 표면(103) 아래의 깊이에서 최대 농도를 갖는 p형 불순물 분포를 만든다[즉, 제 3 불순물 분포(312)는 아이솔레이션 영역들(206)위에 있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4 주입 단계(304)는 약 150 내지 250 KeV 범위의 주입 에너지를 사용하는 붕소 주입이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4 주입 단계(304)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주입 에너지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주입 단계(204)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주입 에너지와 대략적으로 같다. 주입 단계들(204, 304)을 위해 동일한 주입 에너지를 사용할 때, 불순물 분포(206)의 상기 최대 불순물 농도 위에 위치하는 최대 불순물 농도를 갖는 불순물 분포(312)를 만들고, 양호하게,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2 주입 단계(204) 및 제 3 주입 단계(304)로부터 만들어지는 상기 불순물 분포의 상기 최대 불순물 농도는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다. 더욱 양호한 경우, 상기 최대 불순물 농도는 약 1E18 atoms/㎤이다. 제 5 및 제 6 주입 단계들(306, 308)은 웨이퍼(100)의 p웰 영역(104)에서 p웰 불순물 분포(314)를 만들기 위해 p형 불순물 분포의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주입을 적절하게 실행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5 주입(306)은 약 50 내지 150KeV 범위의 에너지 및 약 2E12 내지 3E12 atoms/㎠ 범위의 주입 도즈를 사용하는 붕소 주입이다. 더욱 양호한 경우, 제 5 주입(306)은 약 100 KeV의 주입 에너지 및 약 2.5E12 atoms/㎠의 도즈를 사용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p웰 불순물 분포(314)는 25 내지 75 KeV 범위의 에너지 및 약 2E12 내지 3E12 atoms/㎠의 주입 도즈를 갖는 붕소 주입을 포함하는, 제 6 주입(308)에 의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도즈가 약 2.5E12 atoms/㎠인 경우, 제 6 주입(308)을 위한 상기 에너지는 약 50 KeV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5 및 제 6 주입들(306, 308)의 상기 조합은 웨이퍼(100)의 상부 표면(103)부터 약 250㎚의 깊이까지 확산되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p웰 불순물 분포를 만든다.
도 4에서, 제 3 마스킹 단계는 웨이퍼(100)의 희생 산화물층(108) 위에 제 3 마스크(400)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3 마스크(400)는 n형 불순물 분포가 웨이퍼(100)의 n웰 영역들(404)을 형성하도록 주입되는, 기판(102)의 영역들을 규정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n웰 영역들(404)의 여러 부분들은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을 지나서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불순물 분포(206)의 양측부에 있는 상기 n웰 영역들(404)의 조합은 국부적으로, p-기판(102)으로부터 각각의 p웰 영역(104)을 아이솔레이션시킨다. p-기판(102)으로부터 p웰(104)의 상기 국부적 아이솔레이션은 p웰 영역(104)에 침투하여 형성된 장치들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방사에 의해, 기판(102)에서 발생되는 전자-정공 쌍들을 실질적으로 막는 효과적인 장벽을 제공한다. p웰 영역들(104)은 웨이퍼(100)의 상기 어레이 부분들에서, p-기판 영역들(102)로부터 국부적으로 아이솔레이션될 지라도, 각각의 p웰 영역(104)은 p웰 접촉(도 4에서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p-기판 영역(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에서, 웨이퍼(100) 부분의 평면도는 n웰 영역들(404)과 p웰 불순물 분포들(314) 사이에 형성된 p웰 접촉 영역(800)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었다. 접촉 영역들(800) 이외의 웨이퍼(100)의 모든 영역들에서, 상기 n형 불순물 영역(206)은 p웰 불순물 분포(314) 아래로 확산된다. 그러나, 영역들(800)에서, 상기 제 2 형 불순물 분포(206)는 웨이퍼(100)로 유입되지 못한다. n형 불순물 분포(206)의 상기 결여로부터, p웰 불순물 분포(314)는 전기적으로 p형 기판(102)에 접속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 p웰 영역(314)과 p형 기판(102)사이의 이같은 전기적 접속은 각각의 p웰 불순물 분포(314)의 일련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각각의 p웰 불순물 분포(314)를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도 9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영역(800)은 상기 n형 불순물 분포(206)가 p웰 불순물 분포(314)를 p형 기판(102)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윈도우를 규정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영역(800)은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 1 마스크(200)에 의해 규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 1 마스크(200)는 포토레지스트가 상기 하부 기판에 제 1 및 제 2 주입들(202, 204)의 유입을 막는, 영역들(800)을 포함한다.
도 4로 돌아가서, n형 불순물 분포(206)의 양측부에서 상기 n웰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주입(402)은 상기 어레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주변 부분들에 상기 p형 트랜지스터들에 대한 상기 n웰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 포토 단계(제시되지 않음)는 상기 장치(100)의 상기 주변 부분들에서 상기 n웰 형성을 제어하는 분리 주입 단계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주입 단계(402) 이후의 프로세싱을 예시하는 웨이퍼(1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주입(402) 이후, 상기 마스크 층(400) 및 상기 희생 산화물층(108)은 웨이퍼(100)에서 제거된다. 그 후, 열 산화 단계는 웨이퍼의 상기 상부 표면 위에 게이트 산화물(502)을 형성하기 위해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산화물(502)의 두께는 약 20 내지 75 옹스트롱(Å)의 범위에 있다. 게이트 산화물(502)의 상기 형성 후, 게이트 구조(504)는 게이트 산화물(502) 위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조(504)는 웨이퍼(100)의 상기 p웰 영역(104)에서의 소스/드레인 영역들(508)로부터 채널 영역(506)의 경계를 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구조(504)는 폴리실리콘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조(504)는 내열성 금속들 및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함유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조(50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층의 침착층에 뒤따라서, 마스킹 및 에칭 단계는 상기 게이트 구조(504)를 만들기 위해 실행된다. 게이트 구조(504)의 상기 형성 후, 재-산화 단계는 게이트 구조(504)의 외부 영역들에 절연성 물질로된 좁은 영역(참조 번호 510에 표시됨)을 형성하기 위해 실행된다. 게이트 구조(504)의 상기 재-산화에 따라, 소스/드레인 확산 주입은 채널 영역(506)의 양측부에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들(512)을 형성하기 위한 주입 마스크처럼, 게이트 구조(504)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들(51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소스/드레인 확산 주입은 인 또는 비소와 같은, n형 불순물 주입을 통해 실행된다. 일 실시예로, 헤일로(halo) 주입은 상대적으로 적게 도핑된 p형 불순물 분포를 p웰 영역(104)에 있는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508)로 주입시키기 위해 실행된다.
지금부터 도 6을 참조하면, 스페이서 구조들(602)은 게이트 구조(504)의 측벽들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구조들(602)의 형성은 비등방성 에칭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인 실리콘 질화물의 화학 증착법을 통해 실행된다. 스페이서 구조들(602)의 상기 형성에 따라서, 소스/드레인 불순물 분포들(604)은 도 6의 참조 번호 606으로 표시한 소스/드레인 주입을 포함하는 p웰 영역들(104)의 소스/드레인 영역들(508)에 주입된다. 양호하도록, 소스/드레인 주입(606)은 많이 도핑된 소스/드레인 영역(604)(즉, 약 1E19 atoms/㎤를 초과하는 도핑 농도를 가진 소스/드레인 영역)을 만들기 위한 충분한 n형 주입 도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프트 에러율은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의 형성을 통해, 더욱 감소 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소프트 에러율을 줄이기 위한 종래의 반도체 장치 구조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은 참조 번호 608로 표시한 보호 전하 콜렉션층 주입을 갖는 p웰 영역(314)으로 주입된다.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은 양호하게, 환경 방사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정공 쌍들의 간접적 재결합을 촉진하는 p웰 영역(104)에서 불순물 분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또한,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으로 언급됨)(610)은 게이트 구조(504) 아래의 제 1 부분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512) 아래의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웨이퍼(100)의 상부 표면(103) 아래에 있는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의 상기 제 1 부분의 깊이는 상기 제 2 부분의 깊이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은 아르곤, 실리콘, 게르마늄, 질소, 산소, 또는 재결합을 촉진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주입 종류와 같은, 불순물 주입을 통해 제조된다.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의 상기 주입을 위한 적절한 도즈는 약 1E12 내지 1E15 atoms/㎠의 범위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 주입(608)은 약 1E13 내지 5E13 atoms/㎠ 범위의 도즈, 및 약 200 내지 800 KeV 범위의 에너지를 갖는 아르곤 주입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급속 열 어닐들은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512)의 상기 형성 후,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의 상기 형성 후에 실행된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들(512)의 상기 급속 열 어닐은 약 950℃ 에서 실행되고,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의 상기 급속 열 어닐은 약 1025℃의 어닐을 통해 적절하게 실행된다. 소스/드레인 확산 영역들(512) 및 소스/드레인 불순물 분포들(604)의 상기 급속 열 어닐은 상기 대응하는 불순물 분포들을 활성화하고, p웰 불순물 분포(314)의 심각한 재분포를 막기에 충분히 짧은 어닐 시간을 통해 양호하게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 주입(608)은 소스/드레인 불순물 분포(604)의 상기 급속 열 어닐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호 전하 콜렉션층 주입(608)에 의한 격자 손상은 상기 급속 열 어닐 프로세스에 의해 외부에 어닐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 주입(608)은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의 어떤 심각한 재분포를 막기 위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의 상기 급속 열 어닐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웨이퍼(100)의 프로세싱이 좀 더 도시된다. 도 7에서, 소스/드레인 불순물 분포들(604) 및 게이트 구조(504)의 노출 부분들은 상기 웨이퍼 전체 위에 코발트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침착시킨 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즉, 400 내지 600℃의 범위의 온도)에서의 어닐링을 통해 실리콘화 된다. 상기 실리콘화 어닐링에 따라서, 산화물 또는 질화물 같은 절연성 물질과 접하는 상기 침착된 금속의 부분들은 종래의 에칭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실리콘과 접하는 상기 전도성 물질의 상기 부분들은 상기 에칭 단계에 영향받지 않는 CoSi처럼, 전도성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어닐 프로세스 동안 상기 실리콘과 결합한다. 이것은 약 700 내지 900℃에서의 또다른 급속 열 어닐 단계 후의 단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도시된, 상기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서, 상기 실리콘화 형성은 향상된 소프트 에러 여유도를 갖는 장치(700)의 상기 형성을 만든다. 웨이퍼(100)의 p형 기판(102)으로부터 상기 p웰 영역(104)을 국부적으로 격리시킴으로써, 기판(102)에서 발생되는 전자-정공 쌍은 상기 p웰 영역(104) 및 장치(700)의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추가로, p웰 영역(104)에서 발생되는 전자-정공 쌍들의 간접적 재결합을 촉진하는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을 주입해서, 소프트 에러율들을 좀 더 감쇠시킨다. 상기 보호 전하 콜렉션층(610)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을 위한 n웰/n형 불순물 분포 구조의 상기 조합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보다 탁월한 소프트 에러율의 감쇠를 제공한다.
상술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숙련자는 청구항에 기술된 것처럼,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들은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적인 것이고, 모든 그러한 수정 사항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이익들, 다른 이점들, 및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들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해 상술되었다. 그러나, 나타날 수 있는 어떤 이익, 이점, 또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거나 좀 더 공지될 수 있는, 상기 이익들, 이점들,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다른 요소(들)는 특정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한, 필요한, 또는 본질적인 특징 및 요소로써 고려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쓰인, 용어들 "comprises", "comprising", 또는 상기 용어들의 다른 변형들은 포괄적인 포함을 의미하는데,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와 같은 것은 그것들의 기본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에 대해 명확히 구분되지 않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의 리스트 또한 포함한다.

Claims (10)

  1. 제 1 웰 영역(104)을 반도체 기판(100)에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상기 제 1 웰 영역(104)의 아래에 제 1 도핑된 영역(102)을 갖고, 상기 제 1 웰 영역(104) 및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은 p형 도펀트 및 n형 도펀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 1형 도펀트로부터의 도펀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웰 영역(104)은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 1 웰 영역 형성 단계 및,
    상기 제 1 웰 영역(104)과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 사이에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은 제 2 웰 영역(4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및 상기 제 2 웰 영역(404)은 제 2형 도펀트로부터의 도펀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형 도펀트는 상기 제 1형 도펀트와 반대인,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의 최대 도펀트 농도는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 2 웰 영역(404)의 최대 도펀트 농도는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과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 사이에 제 2 도핑된 영역(31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도핑된 영역(310)은 상기 제 1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핑된 영역(310)의 최대 농도는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는, 상기 제 2 도핑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위에 제 3 도핑된 영역(31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도핑된 영역(312)은 상기 제 1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도핑된 영역(312)의 최대 농도는 약 1E17 내지 1E19 atoms/㎤의 범위에 있는, 상기 제 3 도핑된 영역의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위에 게이트 구조(504)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구조(504)에 인접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구조(504)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아래에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은 아르곤, 실리콘, 게르마늄,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은 아르곤을 포함하고,상기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온 주입 프로세스는 약 1E12 내지 1E15 atoms/㎠ 범위의 도즈(dose)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6. 반도체 기판(100) 위에 게이트 구조(504)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구조(504)에 인접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구조(504) 아래에 제 1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과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아래에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들(610)은 아르곤, 실리콘, 게르마늄,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들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주표면에 대해 상기 제 1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의 최대 농도 깊이는 상기 주표면에 대해 상기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의 최대 농도 깊이보다 작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8. 반도체 기판(100)에 있는 제 1 웰 영역(104)으로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상기 제 1 웰 영역(104) 아래에 제 1 도핑된 영역(102)을 갖고, 상기 제 1 웰 영역(104) 및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은 p형 도펀트 및 n형 도펀트로 이루어진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 1형 도펀트로부터의 도펀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웰 영역(104)은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 1 웰 영역 및,
    상기 제 1 웰 영역(104)과 상기 제 1 도핑된 영역(102) 사이에 있는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으로서,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은 제 2 웰 영역(4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 및 상기 제 2 웰 영역(404)은 제 2형 도펀트로부터의 도펀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형 도펀트는 상기 제 1형 도펀트와 반대인, 상기 아이솔레이션 영역(206)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위에 게이트 구조(504),
    상기 게이트 구조(504)에 인접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및,
    상기 게이트 구조(504)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아래에 아르곤, 실리콘, 게르마늄,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도펀트들을 포함하는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0. 반도체 기판(100) 위에 게이트 구조(504),
    상기 게이트 구조(504)에 인접한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및,
    상기 게이트 구조(504) 아래에 제 1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604) 아래에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610)을 포함하고, 상기제 1 및 제 2 보호 전하 재결합 영역들(610)은 아르곤, 실리콘, 게르마늄,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27011358A 2000-02-29 2001-01-3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22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6,970 US6440805B1 (en) 2000-02-29 2000-02-29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isolation and well regions
US09/516,970 2000-02-29
PCT/US2001/003115 WO2001065597A1 (en) 2000-02-29 2001-01-3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90A true KR20030003690A (ko) 2003-01-10
KR100822228B1 KR100822228B1 (ko) 2008-04-16

Family

ID=2405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3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2228B1 (ko) 2000-02-29 2001-01-31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40805B1 (ko)
JP (2) JP2003526206A (ko)
KR (1) KR100822228B1 (ko)
CN (1) CN1279602C (ko)
TW (1) TW506066B (ko)
WO (1) WO2001065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193B2 (en) 2000-06-22 2003-07-15 Progressent Technologies, Inc. Charge pump for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transistor
US6724655B2 (en) 2000-06-22 2004-04-20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Memory cell using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field effect transistors
US6559470B2 (en) 2000-06-22 2003-05-06 Progressed Technologie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field effect transistor (NDR-FET) and circuits using the same
US6956262B1 (en) 2001-12-21 2005-10-18 Synopsys Inc. Charge trapping pull up element
US7453083B2 (en) 2001-12-21 2008-11-18 Synopsy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field effect transistor for implementing a pull up element in a memory cell
FR2839202A1 (fr) * 2002-04-26 2003-10-31 St Microelectronics Sa Zone active de circuit integre mos
KR100464535B1 (ko) * 2002-05-20 2005-0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US6861707B1 (en) 2002-06-28 2005-03-01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memory cell with reduced soft error rate
US7098472B2 (en) 2002-06-28 2006-08-29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elements and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6864104B2 (en) 2002-06-28 2005-03-08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Silicon on insulator (SOI)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based memory device with reduced body effects
US6847562B2 (en) 2002-06-28 2005-01-25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Enhanced read and write methods for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based memory device
US6567292B1 (en) 2002-06-28 2003-05-20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element and memory with reduced soft error rate
US6912151B2 (en) 2002-06-28 2005-06-28 Synopsy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based memory device with reduced body effects
US7095659B2 (en) 2002-06-28 2006-08-22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Variable voltage supply bias and methods for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based memory device
US6795337B2 (en) 2002-06-28 2004-09-21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elements and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6849483B2 (en) 2002-12-09 2005-02-01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Charge trapp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012833B2 (en) 2002-12-09 2006-03-14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devices with varied peak-to-valley ratios (PVRs)
US6806117B2 (en) 2002-12-09 2004-10-19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esting/stressing a charge trapping device
US6980467B2 (en) 2002-12-09 2005-12-27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a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device
US6812084B2 (en) 2002-12-09 2004-11-02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Adaptive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device
US6979580B2 (en) 2002-12-09 2005-12-27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controll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NDR) device
US7005711B2 (en) 2002-12-20 2006-02-28 Progressant Technologies, Inc. N-channel pull-up element and logic circuit
US7037814B1 (en) * 2003-10-10 2006-05-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ingle mask control of doping levels
US7075150B2 (en) * 2003-12-02 2006-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ltra-thin Si channel MOSFET using a self-aligned oxygen implant and damascene technique
US7436043B2 (en) * 2004-12-21 2008-10-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N-well and N+ buried layer isolation by auto doping to reduce chip size
US20060284249A1 (en) * 2005-06-21 2006-12-21 Chien-Hao Chen Impurity co-implantation to improve transistor performance
US9159568B2 (en) * 2006-02-04 2015-10-1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memory cells having split charge storage nodes
US7737526B2 (en) * 2007-03-28 2010-06-15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Isolated trench MOSFET in epi-less semiconductor sustrate
US20090294872A1 (en) * 2008-05-29 2009-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Xe IMPLANTS TO REDUCE JUNCTION CAPACITANCE AND LEAKAGE
US8778717B2 (en) * 2010-03-17 2014-07-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ocal oxidation of silicon processes with reduced lateral oxidation
US8664067B2 (en) * 2010-11-18 2014-03-04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CMOS devices with reduced short channel effec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0340A (ja) 1984-09-28 1987-02-05 モトロ−ラ・インコ−ポレ−テツド 電荷蓄積空乏領域放電保護装置及び方法
US5286666A (en) 1986-06-18 1994-02-15 Hitachi, Ltd.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513721A (ja) * 1991-07-04 1993-01-22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装置
JPH0513705A (ja) * 1991-07-09 1993-01-2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2965783B2 (ja) * 1991-07-17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95565B2 (ja) 1991-10-08 1998-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素子の製造方法
JPH05198666A (ja) 1991-11-20 1993-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68312A (en) 1992-10-22 1993-12-07 Motorola, Inc. Method of forming isolated wells in the fabrication of BiCMOS devices
JP2778451B2 (ja) * 1994-01-27 199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601612B2 (ja) 1994-09-22 2004-12-1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55483A (ja) 1995-06-09 1997-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585286A (en) * 1995-08-31 1996-12-17 Lsi Logic Corporation Implantation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with controlled amount of noble gas ions to reduce channeling and/or diffusion of a boron dopant subsequently implanted into the substrate to form P- LDD region of a PMOS device
KR0167303B1 (ko) 1995-12-30 1999-02-01 문정환 반도체소자의 트리플웰 형성방법
US5731619A (en) 1996-05-22 1998-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MOS structure with FETS having isolated wells with merged deple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3958388B2 (ja) * 1996-08-26 2007-08-1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JPH10189766A (ja) * 1996-10-29 1998-07-21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ウエ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99993A (ja) * 1997-01-07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回路装置製造用マスク装置
US6225151B1 (en) * 1997-06-09 2001-05-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Nitrogen liner beneath transistor source/drain regions to retard dopant diffusion
JP3211773B2 (ja) * 1998-06-26 2001-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21724B1 (en) * 1998-11-06 2001-04-24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punch-through sup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228B1 (ko) 2008-04-16
WO2001065597A1 (en) 2001-09-07
JP2003526206A (ja) 2003-09-02
CN1279602C (zh) 2006-10-11
JP2012165005A (ja) 2012-08-30
CN1406393A (zh) 2003-03-26
US6440805B1 (en) 2002-08-27
TW506066B (en)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22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5783469A (en) Method for making nitrogenated gate structure for improved transistor performance
US7064399B2 (en) Advanced CMOS using super steep retrograde wells
KR100487525B1 (ko) 실리콘게르마늄 게이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381B1 (ko) 게르마늄 함유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가지는 씨모스형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JPS63255968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10209440A (ja) 半導体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るpmosトランジスタ
JPH10189475A (ja) 低エネルギ注入を用いた逆行ウェル構造及びパンチスルー・バリアの形成方法
US577334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IMIS
US5141895A (en) Semiconductor device process using diffusant penetration and source layers for shallow regions
US673058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689840B1 (ko) 리세스된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45343A (ja) ボロシリケイトガラススペーサを有す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23077B1 (en) Inverse source/drain process using disposable sidewall spacer
KR930006735B1 (ko) 바이씨모스장치의 제조방법
US6180470B1 (en) FETs having lightly doped drain regions that are shaped with counter and noncounter dorant elements
US6410409B1 (en) Implanted barrier layer for retarding upward diffusion of substrate dopant
KR101082101B1 (ko) 듀얼 게이트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US5970347A (en) High performance mosfet transistor fabrication technique
KR10086128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51318B1 (ko) 채널링 방지를 위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2011096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101746B2 (en) Method to lower work function of gate electrode through Ge implantation
KR10074593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970005147B1 (ko) 반도체 장치의 얕은 접합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