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9440Y1 - 증거물 채취 키트 - Google Patents

증거물 채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440Y1
KR200299440Y1 KR20-2002-0021844U KR20020021844U KR200299440Y1 KR 200299440 Y1 KR200299440 Y1 KR 200299440Y1 KR 20020021844 U KR20020021844 U KR 20020021844U KR 200299440 Y1 KR200299440 Y1 KR 200299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idence
collection
container
collected
col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한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진
Priority to KR20-2002-0021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44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거물의 채취로부터 운반, 보관에 이르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증거물 채취 도구류 및 채취된 증거물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이들의 오염을 막기 위한 신규의 증거물 채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며,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가능한 제1 수용기와 제1 수용기 및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하여 채취된 증거물들의 오염을 방지하는 제2 수용기로 구성된다. 본 고안을 통해 채취된 증거물들은 오염과 뒤바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건현장이나 피해자의 신체에서 증거물 채취시 FBI 기준에 의해 제작된 이해하기 쉬운 증거물 채취 수집 설명서 및 적절한 기록을 위한 양식을 첨부하여 사용함으로써, 증거물의 손실 및 오염 방지 이외에도, 용이하고 정확한 증거물 채취 및 채취후 처리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증거물 채취 키트{KIT FOR COLLECTING EVIDENCE}
본 고안은 증거물 채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수용기를 이용하여 채취된 증거물을 타 사건 및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보관 및 운반함으로써, 채취된 증거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증거물 채취 키트에 관한 것이다.
검찰 또는 경찰 등 수사기관이 사건 현장이나 피해자의 신체에서 생물학적 증거물을 채취하여, 운반, 조사 및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 증거물의 채취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채취된 증거물은 타 증거물과 섞이지 않아야 하고, 분실 또는 멸실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오염되어서도 아니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채취용 비닐장갑, 채취용 봉투, 빗, 멸균 면봉관, 증류수, 손톱깎이, 채취용 칼 등의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가 일괄적으로 구비되지 않아 이 도구류를 필요로 할 때마다 수사관들이 직접 개별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 및 시간낭비 등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사관이 자신의 가방을 뒤져서 찾아야 하는 불편 및 시간낭비와 증거물 채취에 앞서 도구류가 오염될 염려가 있으며, 또한 증거물을 채취한 이후에도 채취된 증거물은 일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분실 및 멸실의 위험과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신규의 증거물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증거물의 채취로부터 운반, 보관에 이르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증거물 채취 도구류 및 채취된 증거물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이들의 오염을 막기 위한 신규의 증거물 채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수용기를 열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의 제1 수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수용기를 열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제1 수용기 및 채취용 대봉투, 채취용 중봉투, 검체 수집 설명서 등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의 제2 수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는 제1 수용기와 제1 수용기 및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기를 포함하는 증거물 채취 키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수용기(101)를 열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로서, 제1 수용기(101) 예를 들면, 종이박스에는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 즉, 라벨 기입용의 유성펜(1), 증거물 취급용의 채취용 비닐장갑(2), 모발, 음모 채취용의 빗(5), 구강, 질내 등 증거물 채취용의 멸균 면봉관(6), 질내 증거물 채취 보관용의 남색 뚜껑관(7), 소형 증거물 채취 보관용의 채취용 비닐 봉투(8), 증거물 절개용의 채취용 칼(9), 증류수(10), 혈액 채취용의 혈액 채취관(EDTA관; 11), 손톱깎이(12), 관계자 외 개봉불가라고 씌여진 봉인지(16)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의 제1 수용기(10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수용기(101)는 본체(102)를 덮개(103)로 덮음으로써 닫을 수 있다. 제1 수용기(101) 내의 일부(도 2에서 제1 수용기(101) 내부의 오른쪽)에는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도구류 수용부(104)가 제1 수용기(10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구류 수용부(104)에는 증류수(10), 혈액 채취용의 혈액 채취관(11), 손톱깎이(12)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구류 수용부(104)는 두 개의 돌출부(132, 133)를 구비하며, 돌출부(132, 133)에 빗(5)에 형성된 두 개의 홈(130, 131)이 끼워짐으로써 빗(5)이 도구류 수용부(104)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수용기를 열어 놓은 상태의 사시도로서, 제2 수용기(201) 예를 들면, 종이박스에는 닫힌 상태의 제1 수용기(101), 그리고 대형 증거물(의류 등) 보관용의 채취용 대봉투(3), 깔개 종이가 포함되어 있으며 소형 증거물(모방 등) 보관하기 위한 채취용 중봉투(4), 피해자 조사용의 검체 수집 설명서(13) 등이 수용되어 있다.
도 4는 제1 수용기(101) 및 채취용 대봉투(3), 채취용 중봉투(4), 검체 수집 설명서(13) 등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의 제2 수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2 수용기는 제1 수용기와 마찬가지로 본체(202)를 덮개(203)로 덮음으로써 닫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증거물 채취 키트를 이용하여 사건현장으로부터 증거물을 채취, 보관, 운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건현장에 도착한 수사기관원은 제2 수용기(201)의 덮개(203)를 열어 제2 수용기(201)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두는 것과 함께, 제2 수용기(201)로부터 증거물 채취용의 도구류가 구비된 제1 수용기(101)를 꺼내어 제1 수용기(101)의 덮개(103)를 열어 제1 수용기(101) 또한 사용가능한 상태로 둔다.
다음으로, 필요한 도구류를 제1 수용기(101) 내지는 제2 수용기(201)로부터 꺼내어 증거물을 채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증거물 채취 키트를 이용하여 증거물을 채취하면, 증거물 채취에 필요한 도구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구류를 제1 수용기(101) 및 제2 수용기(201)의 덮개(103, 203)를 열기 전에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 있으므로,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는 타 사건현장 또는 당해 사건과 관련없는 증거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증거물 채취의 과정에 있어서, 제2 수용기(201)에 구비된 검체 수집 설명서(13)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초심자라도 필요한 증거물 채취를 정확하게 해낼 수 있게 되며, 숙련자의 경우에도 검체 수집 설명서(13)의 가이드를 받음으로써 빠짐없는 증거물 채취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채취된 증거물은 제2 수용기(201) 또는 제1 수용기(101)에 담겨지고, 모든 증거물이 채취되면, 제1 수용기(101)의 덮개(103)를 닫아 제2 수용기(201)에 넣고, 제2 수용기(201)의 덮개(203)를 닫아 채취된 증거물은 당해 사건과 관련된 증거물만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외부와의 접촉없이 즉, 오염없이 보관 및 운반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보관 및 운반의 과정에서, 채취된 증거물을 담은 증거물 채취 키트의 식별을 돕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검체제출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검체제출서는 보관용(송부자용), 박스부착용 및 수령자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박스부착용 검체제출서는 제2 수용기(201)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스티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증거물 채취 키트를 보다 확실하게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관계자 외 개봉불가'라고 씌워진 봉인지(16)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병원성 감염물질이 들어있으니 주의하라는 스티커(도시 생략)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용기(101)와 제2 수용기(201)의 덮개(103, 203)에는 채취된 증거물을 표시하고, 타 사건과 구별하도록 경찰서명, 사건번호, 채취일자 등을 기재하기 위한 표시부가 수용기(101, 201)에 직접 또는 스티커를 이용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2 수용기(201) 내에는 필요한 것을 기록하기 위한 설문 조사지, DNA 검사용 검체 제출서(발신자 보관용, 수신자 보관용, 수용기 부착용)와 같은 양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는 제1 수용기와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하는 제2 수용기로 이루어지는 증거물 채취용 키트를 이용함으로써 채취된 증거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건현장이나 피해자의 신체에서 증거물 채취를 위한 포괄적 키트인 본 고안에 이해하기 쉬운 안내서 및 적절한 기록을 위한 양식을 첨부하여 사용함으로써, 증거물의 손실 및 오염 방지 이외에도, 용이하고 정확한 증거물 채취 및 채취후 처리가 가능해진다.

Claims (3)

  1.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를 수용하며,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가능한 제1 수용기(101); 그리고
    제1 수용기(101) 및 채취된 증거물을 수용하여 채취된 증거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제2 수용기(201)로 이루어지는 증거물 채취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기(101)는 도구류 수용부(104)가 구비된 본체(102)와 덮개(103)로 이루어지는 종이박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용기(201)는 제1 수용기(10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본체(202)와 덮개(203)로 이루어지는 종이박스로 구성되는 증거물 채취 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기(101)에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는 라벨 기입용의 유성펜(1), 증거물 취급용의 채취용 비닐장갑(2), 채취용의 빗(5), 증거물 채취용의 멸균 면봉관(6), 증거물 채취 보관용의 남색 뚜껑관(7), 소형 증거물 채취 보관용의 채취용 비닐 봉투(8), 증거물 절개용의 채취용 칼(9), 증류수(10), 혈액 채취용의 혈액 채취관(11), 손톱깎이(12), 봉인지(16)를 포함하는 증거물 채취 키트.
KR20-2002-0021844U 2002-07-22 2002-07-22 증거물 채취 키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844U KR200299440Y1 (ko) 2002-07-22 2002-07-22 증거물 채취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844U KR200299440Y1 (ko) 2002-07-22 2002-07-22 증거물 채취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440Y1 true KR200299440Y1 (ko) 2003-01-06

Family

ID=4939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8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440Y1 (ko) 2002-07-22 2002-07-22 증거물 채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55B1 (ko) 2007-07-05 2009-03-27 대한민국 인식번호 탈부착용 증거물 채취기록 표지판
KR100890557B1 (ko) 2007-07-03 2009-03-27 대한민국 증거물 채취기록 표지판
KR102230868B1 (ko) * 2020-10-15 2021-03-23 대한민국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57B1 (ko) 2007-07-03 2009-03-27 대한민국 증거물 채취기록 표지판
KR100890555B1 (ko) 2007-07-05 2009-03-27 대한민국 인식번호 탈부착용 증거물 채취기록 표지판
KR102230868B1 (ko) * 2020-10-15 2021-03-23 대한민국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2016C (en) Sampling device with snap-off head and method of use
EP1290979A1 (en) Genealogy storage kit
US7393694B1 (en) Chemical and biological sampling device and ki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802198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on and Transport of a Biological Sample
EP0960825A3 (en) Blister-type device for transporting biological or chemical samples
US20070207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NA collection
AU2001265314A1 (en) Sampling device with snap-off head and method of use
US20020165673A1 (en) Method of self-sampling and analyzing a semen sample
US9488658B2 (en) Biological testing device
KR200299440Y1 (ko) 증거물 채취 키트
US4182331A (en) Animal suppository holder
KR102230868B1 (ko)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US10955314B1 (en) One-handed surface sampling device
CN109475876B (zh) 用于收集植物样品、特别是藻类样品的样品收集套件及方法
WO2022169242A1 (ko) 위생 비닐 장갑
US20200254442A1 (en) Biological sample kit
JP3416739B2 (ja) 検体採取器具付検査器具
Lacey et al. Evaluation of 12-week shelf life of patient-ready endoscopes
US7325837B2 (en) Self laminating specimen capture and containment assembly and recordation form combination
US20030150046A1 (en) Manipulation shield and containment for contaminated matter
GB2588294A (en) Ergonomic evidence bag and associated ki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Mee et al. How to set up a postmortem facility in a farm animal practice
KR102394184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JP4729327B2 (ja) 環境微生物検査用具
KR102394186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캡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핀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7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7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