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0868B1 -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68B1
KR102230868B1 KR1020200133221A KR20200133221A KR102230868B1 KR 102230868 B1 KR102230868 B1 KR 102230868B1 KR 1020200133221 A KR1020200133221 A KR 1020200133221A KR 20200133221 A KR20200133221 A KR 20200133221A KR 102230868 B1 KR102230868 B1 KR 10223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ed
evidence
cotton swab
accommodated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3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01N1/021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10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12Chemical aspects of preservation
    • A01N1/122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 A01N1/124Disinfecting agents, e.g. antimicrob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12M1/30Sampler being a swa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 및 보관하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키트;
상기 덮개 일측에 형성되고,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한 낱개로 밀봉처리된 복수개의 멸균 면봉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멸균 면봉을 낱개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본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이 기밀상태로 수용된 상기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수용부;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공급되는 멸균수가 임의량만큼 수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복수개의 멸균수 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수용부;
상기 멸균수 용기의 멸균수를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임의량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형태의 멸균수 공급구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5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a kit for sterilization cotton bar having multi function}
본 명세서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 및 보관하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무결성(無缺性)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유전자, 즉 DNA는 개인마다 가지는 고유의 정보로서, 이러한 개인 유전자(증거물)를 감식함에 따라 개인 지문처럼 각각의 개인을 식별할 수 있어서, 이를 통하여 미아 찾기, 개인 신원확인, 친자 확인 등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즉 검찰, 또는 경찰 등 수사기관이 사건 현장이나 피해자의 신체에서 생물학적 증거물을 채취하여 운반, 조사 및 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 증거물의 채취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채취된 증거물은 타 증거물과 섞이지 않아야 하며, 분실 또는 멸실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오염되어서도 아니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에 증거물을 채취할 경우에 채취용 비닐장갑, 빗, 멸균 면봉, 증류수, 채취용 칼 등의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가 일괄적으로 구비되지 않아 이 도구류를 필요로 할 때마다 수사관들이 직접 개별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 및 시간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증거물 채취에 앞서 증거물 채취용 도구류들이 오염될 수 있으며, 증거물을 채취한 이후에도 채취된 증거물이 일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분실 또는 멸실의 위험성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개인 유전자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채취 및 보관할 수 있고, 채취된 증거물을 실온에서 장기간동안 보관할 수 있으며, 증거물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분실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채취된 증거물의 분실 및 멸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형태의 멸균 면봉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17296호에 개인 유전자 채취 및 보관키트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증거물(유전자 시료)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무결성을 확보하여 신뢰성을 갖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제한적인 환경 또는 동작이 요구되는 현장감식에서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하고 남은 멸균수(일회용) 폐기량을 줄여 증거물 채취시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카트리지의 내용물에 따라 상처 치료 및 소독용(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각종 질병 검진키트 등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키트;
상기 덮개 일측에 형성되고,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한 낱개로 밀봉처리된 복수개의 멸균 면봉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멸균 면봉을 낱개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본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이 기밀상태로 수용된 상기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수용부;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공급되는 멸균수가 임의량만큼 수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복수개의 멸균수 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수용부;
상기 멸균수 용기의 멸균수를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임의량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형태의 멸균수 공급구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5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용기에 밀봉상태로 수용된 정량의 멸균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토출시켜 멸균 면봉의 솜을 적셔줌에 따라 외부요인에 의해 면봉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여 증거물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의 무결성을 확보하게 되어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제한적인 환경 또는 동작이 요구되는 현장감식에서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하게 되므로 효율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임의량만큼 밀봉처리된 멸균수를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게 되어 증거물 채취시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됨을 방지하여 가경경쟁력을 갖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의 내용물에 따라 상처 치료 및 소독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각종 질병 검진키트 등에서 응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개방시킨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트에서, 멸균수 공급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멸균수 공급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멸균수 공급구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5(a,b,c)는 도 2에 도시된 멸균수 공급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키트에서,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을 보관용기에 고정 및 수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멸균수 공급구를 사용자의 의복 포켓에 고정하여 휴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본체(10) 및 본체(10)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11)를 포함하는 키트(12);
덮개(11) 일측에 형성되고, 사건현장 등에서 개인 증거물(일 예로서, 유전자 시료 등)을 채취하기 위한 낱개로 밀봉처리된 복수개의 멸균 면봉(13)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4);
본체(10) 일측에 형성되고, 멸균 면봉(13)을 낱개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관용기(15)(증거물이 채취되는 멸균 면봉(13)이 수용되지않은 상태의 빈 보관용기를 말함)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부(16);
본체(10) 타측에 형성되고,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이 기밀상태로 수용된 보관용기(15)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수용부(17);
멸균 면봉(13)의 솜(18)에 공급되는 멸균수가 임의량만큼 수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복수개의 멸균수 용기(19)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수용부(20);
멸균수 용기(19)의 멸균수를 멸균 면봉(13)의 솜(18)에 임의량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형태의 멸균수 공급구(21)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5수용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보관용기(15)는
멸균 면봉(13)의 길이에 대응되는 공간(깊이)이 형성되고, 입구측이 개방되는 제1용기(23);
제1용기(23)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의 손잡이부(24)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holder)(25)가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2용기(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보관용기(15)는
멸균 면봉(13)의 손잡이부(24)를 홀더(25)에 고정할 경우,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의 솜(18)이 제1용기(23)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보관용기(15)는
멸균 면봉(13)에 채취된 증거물과 관련되는 이력을 기록하기 위한 입증표(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력은 사건명, 채증물명, 채취일시, 채취장소, 담당자, 채취관서, 관리번호, 수량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보관용기(15)의 제1용기(23) 및 제2용기(26)는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멸균수 공급구(21)는
슬라이딩이동되는 레일(rail) 형태의 푸셔(28)가 결합되는 제1바디(29);
제1바디(29) 상단에 끼워맞춤되어 멸균수 용기(19)의 상단을 지지하고, 푸셔(28) 이동에 의해 임의량의 멸균수가 토출공(30)을 통해 토출되어 멸균 면봉(13)의 솜(18)에 공급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멸균수 용기(19)가 교체가능하게 수용되며, 토출공(30)에 연통되는 보스(39)(boss)의 결합공(31)에 멸균 면봉(13)의 관 형태의 손잡이부(24)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32);
제2바디(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캡(33)은
사용자(일 예로서, 해양경찰대원을 말함)가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해 사건현장 등에 출동시 멸균수 공급구(21)를 사용자의 의복 포켓(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휴대하기 위한 클립(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바디(29)는
제1바디(29)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고, 슬라이딩이동되는 푸셔(28)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홀더(36) 및 하부 홀더(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2바디(32)로부터 캡(33)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바디(32)와 캡(33)의 밀착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요철부(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덮개(11)가 본체(10)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12)에 수용된 증거물 채취도구(주사기형태의 멸균수 공급구(21), 멸균 면봉(13)의 보관용기(15), 카트리지형태의 멸균수 용기(19) 등)를 이용하여 사건현장에서 증거물을 신속, 정확하게 채취하되, 증거물의 채취과정에서 증거물이 오염되지않도록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채취된 증거물을 보관용기(15)에 보관하여 채취된 증거물이 손실 및 멸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해양경찰대원 등)가 사건현장에 출동한 경우, 키트(12)를 이루는 덮개(11)를 본체(10)로부터 개방시킨 후, 덮개(11)에 형성된 제1수용부(14)에 낱개로 밀봉처리되어 수용된 멸균 면봉(13)의 포장지를 개방하여 하나의 멸균 면봉(13)을 인출한다.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2바디(32)로부터 캡(33)을 분리시킨 후, 제2바디(32)의 보스(39)의 결합공(31)에 멸균 면봉(13)의 손잡이부(24)를 결합한다. 이때 제2바디(32)에 멸균 면봉(13)을 결합한 후 멸균 면봉(13)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바디(32)에 캡(33)을 다시 결합한다.
도 5a, 도 5c에서와 같이, 전술한 캡(33)이 외주연에 결합된 제2바디(32)를 제1바디(29)로부터 분리시키되, 덮개(11)의 제4수용부(20)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된임의량의 멸균수(일 예로서, 0.5ml, 1ml, 1.5ml, 2ml, 2.5ml 등)가 각각 밀봉수용된 어느 하나의 멸균수 용기(19)를 인출하여 제1바디(29)의 상단에 투입한 후, 제1바디(29)에 제2바디(32)를 결합시킬 경우 제2바디(32)에 의해 멸균수 용기(19)의 상단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5c에서와 같이, 제1바디(29) 하단에 결합된 하부 홀더(37)로부터 보호덮개(40)를 분리시킨 후, 하단의 가압편(28a)을 가압하여 푸셔(28)를 멸균수 용기(19)쪽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킴에 따라 푸셔(28)는 제1바디(29)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홀더(37)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푸셔(28)의 슬라이딩이동에 따라 푸셔(28) 상단에 의해 멸균수 용기(19)의 하단을 파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멸균수 용기(19) 내부로 전진이동되는 푸셔(28)에 의해 멸균수 용기(19)의 하단에 형성된 기밀용 슬라이더(19a)를 상승시킴에 따라 멸균수 용기(19) 내의 멸균수를 멸균수 용기(19)의 토출공(30) - 제2바디(32)의 결합공(31) - 멸균 면봉(13)의 관 형태의 손잡이부(2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어 멸균 면봉(13)의 솜(18)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32)로부터 캡(33)을 분리시킨 후, 멸균수 용기(19)로부터 멸균수가 공급된 멸균 면봉(13)의 솜(18)을 이용하여 사건현장에서 소정의 증거물을 채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거물 채취현장에서 멸균 면봉(13)의 솜(18)에 적셔지는 카트리지 형태의 멸균수 용기(19)에 수용된 멸균수를 꼭 필요한 량만큼만 사용함에 따라 사용하고 남은 멸균수(증거물의 오염 방지를 위해 재사용이 불가하여 현장감식후 남은 멸균수를 폐기처분하게 된다)를 폐기처분하게 되어 국가예산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멸균 면봉(13)의 솜(18)을 이용하여 증거물을 채취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채취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카트리지형태의 멸균수 용기(19)에 수용된 멸균수가 소진된 경우, 덮개(11)의 제4수용부(20)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임의량의 멸균수가 수용된 어느 하나의 멸균수 용기(19)를 인출하여, 제1바디(29)로부터 제2바디(32)를 분리한 후, 제1바디(29)로부터 멸균수가 소진된 멸균수 용기(19)와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멸균 면봉(13)을 이용하여 증거물을 채취하는 사건현장의 상황에 따라, 즉 채취할 증거물의 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멸균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수용된 큰 사이즈의 멸균수 용기(19)를 덮개(11)의 제4수용부(20)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멸균 면봉(13)의 솜(18)에 의해 증거물을 채취한 경우에 멸균 면봉(13)이 오염되지않도록 보관용기(15)에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키트(12)의 본체(10)에 형성된 제2수용부(16)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어느 하나의 보관용기(15)를 인출하되, 보관용기(15)의 제1용기(23)로부터 제2용기(26)를 분리시킨다.
도 5c,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2바디(32)의 보스(39)로부터 분리된 멸균 면봉(13)의 손잡이부(24)를 제2용기(26)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홀더(25)에 고정한다.
멸균 면봉(13)의 손잡이부(24)가 홀더(2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제2용기(26)를 이와 대응되는 제1용기(23)에 결합한다.
이때,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의 솜(18)이 제1용기(23)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용기(23)의 내부 바닥면에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도 1, 도 6에서와 같이,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이 수용되어 고정된 보관용기(15)를 본체(10)의 제3수용부(17)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제3수용부(17)에 보관되는 보관용기(15)에 수용된 멸균 면봉(13)의 솜(18)에 채취된 증거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덮개(11)에 보관된 입증표(27)를 보관용기(15) 외측면에 부착하여 키트(12)의 이동 또는 보관 중에 증거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일 예로서, 해양경찰대원을 말함)가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해 사건현장 등에 긴급하게 출동할 경우, 캡(33) 외측면에 형성된 클립(35)에 의해 멸균수 공급구(21)를 사용자의 의복 포켓(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휴대함에 따라, 공간과 행동이 제한된 사건현장에서 증거물을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의하면,
전술한 덮개(11)의 제1수용부(14)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낱개씩 밀봉처리되어 노출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멸균 면봉(13)과, 덮개(11)의 제4수용부(20)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임의량의 멸균수가 기밀상태로 수용된 카트리지형태의 멸균수 용기(19)와, 덮개(11)의 제5수용부(22)에 수용되고 교체되는 멸균수 용기(19)의 멸균수를 멸균 면봉(13)의 솜(18)에 필요한 량만큼 토출시키는 주사기형태의 멸균수 공급구(21)와,
전술한 덮개(11)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10)의 제2수용부(16)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멸균 면봉(13)(증거물 채취 전)이 수용되는 보관용기(15)와, 본체(10)의 제3수용부(17)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증거물이 채취된 멸균 면봉(13)(증거물 채취 후)을 수용 및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기(15)가 하나의 키트(12)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멸균 면봉(13)에 의해 증거물을 신속하게 채취하고, 채취된 증거물을 보관용기(15)에 수용 및 보관함에 따라 증거물의 오염 및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카트리지 형태의 멸균수 용기(19)에 수용된 내용물에 따라 상처 치료, 소독용, 의료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각종 질병 검진키트 등에서 응용시켜 다양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덮개
12; 키트
13; 멸균 면봉
14; 제1수용부
15; 보관용기
16; 제2수용부
17; 제3수용부
18; 솜
19; 멸균수 용기
20; 제4수용부
21; 멸균수 공급구
22; 제5수용부
23; 제1용기
24; 손잡이부
25; 홀더(holder)
26; 제2용기
27; 입증표
28; 푸셔(pusher)
29; 제1바디
30; 토출공
31; 결합공
32; 제2바디
33; 캡(cap)
34; 포켓(pocket)
35; 클립(clip)
36; 상부 홀더(upper holder)
37; 하부 홀더(lower holder)
38; 요철부

Claims (9)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키트; 상기 덮개 일측에 형성되고, 증거물을 채취하기 위한 낱개로 밀봉처리된 복수개의 멸균 면봉을 밀봉상태로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멸균 면봉을 낱개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본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이 기밀상태로 수용된 상기 보관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수용부;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공급되는 멸균수가 임의량만큼 수용되는 카트리지형태의 복수개의 멸균수 용기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4수용부; 상기 멸균수 용기의 멸균수를 상기 멸균 면봉의 솜에 임의량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형태의 멸균수 공급구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제5수용부;를 구비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멸균수 공급구는
    슬라이딩이동되는 푸셔가 결합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상단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멸균수 용기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푸셔 이동에 의해 멸균수가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멸균수 용기가 교체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토출공에 연통되는 보스의 결합공에 상기 멸균 면봉의 관 형태의 손잡이부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멸균 면봉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가 형성되고, 입구측이 개방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의 손잡이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holder)가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2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멸균 면봉의 손잡이부를 상기 홀더에 고정할 경우, 상기 멸균 면봉의 솜이 상기 제1용기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멸균 면봉에 채취된 증거물과 관련되는 이력을 기록하기 위한 입증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의 제1용기 및 제2용기는 상기 증거물이 채취된 상기 멸균 면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멸균수 공급구를 사용자의 의복 포켓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고, 슬라이딩이동되는 상기 푸셔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로부터 상기 캡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바디와 상기 캡의 밀착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0200133221A 2020-10-15 2020-10-15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Active KR10223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21A KR102230868B1 (ko) 2020-10-15 2020-10-15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21A KR102230868B1 (ko) 2020-10-15 2020-10-15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68B1 true KR102230868B1 (ko) 2021-03-23

Family

ID=7522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21A Active KR102230868B1 (ko) 2020-10-15 2020-10-15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883B1 (ko) * 2021-10-21 2022-07-05 대한민국 간이 페인트 시료 채취 및 보관용 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40Y1 (ko) * 2002-07-22 2003-01-06 주식회사 아이디진 증거물 채취 키트
US20140154690A1 (en) * 2011-05-05 2014-06-05 Diagnodus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collection of colorectal mucocellular layer and disease detection
US20140308741A1 (en) * 2008-05-23 2014-10-16 Strand Diagnostic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diagnostic and other errors due to transposition of biological specimens among subjects
KR20190084184A (ko) * 2018-01-05 2019-07-16 큐앤큐팜 주식회사 면봉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40Y1 (ko) * 2002-07-22 2003-01-06 주식회사 아이디진 증거물 채취 키트
US20140308741A1 (en) * 2008-05-23 2014-10-16 Strand Diagnostic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diagnostic and other errors due to transposition of biological specimens among subjects
US20140154690A1 (en) * 2011-05-05 2014-06-05 Diagnodus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collection of colorectal mucocellular layer and disease detection
KR20190084184A (ko) * 2018-01-05 2019-07-16 큐앤큐팜 주식회사 면봉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883B1 (ko) * 2021-10-21 2022-07-05 대한민국 간이 페인트 시료 채취 및 보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2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specimen collection
US6779665B2 (en) Genealogy storage kit
JP7621580B2 (ja) 液体試料採取装置
US10842471B2 (en) Biopsy collector with identifier
US7435601B2 (en) Biological specimen handling method
US4917867A (en)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dual biological samples
JP6567698B2 (ja) 使い捨て式検査キット
US20120220043A1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CA2791619C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KR102230868B1 (ko) 복합기능을 갖는 멸균 면봉이 수용되는 증거물 채취 및 보관용 키트
EP2007651A2 (en) Low pressure sample collection apparatus
CN1984716A (zh) 分析测试元件
JP2007171169A (ja) 核酸サンプルを保管し、提供するためのサンプル管およびシステム
US9052254B2 (en) Evidence collector with integral quantified reagents and method of modulating specimen drying time
CN117460463A (zh) 样本保管用容器盖
US20010007926A1 (en)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kit
CN201188835Y (zh) 集成式啮齿动物及其体表寄生虫标本制作箱
CN210916022U (zh) 一种核酸提取扩增系统及分子检测装置
KR20100120278A (ko) 검체수송용기
CN220363675U (zh) 一种医用标本送检箱
WO2008006746A2 (en) Container for providing and transferring liquids
KR200299440Y1 (ko) 증거물 채취 키트
JP2007147400A (ja) 生物試料包埋ブロックカセットラック及びそれを用いる自動シーリング装置並びにカセット保管管理装置
US20200254442A1 (en) Biological sample kit
EP3471885A1 (de) Probensammel-kit und verfahren zur sammlung von pflanzenproben, insbesondere von algenpro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317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7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