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6774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74Y1
KR200296774Y1 KR2020020026579U KR20020026579U KR200296774Y1 KR 200296774 Y1 KR200296774 Y1 KR 200296774Y1 KR 2020020026579 U KR2020020026579 U KR 2020020026579U KR 20020026579 U KR20020026579 U KR 20020026579U KR 200296774 Y1 KR200296774 Y1 KR 200296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frame portion
buckle
slot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Original Assignee
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희 filed Critical 강진희
Priority to KR2020020026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스프링의 중앙 전방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한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원자재가 절감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고안은 안전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재가 절감되는 구조를 갖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릴리스 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가압 버튼 방식과 슬라이딩 버튼 방식으로 나뉜다.
가압 버튼 방식의 버클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되고, 텅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눌러지는 릴리스 버튼을 사용하여 래치판과 텅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한편, 슬라이딩 버튼 방식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시트에 설치되고, 텅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릴리스 버튼을 사용하여 래치판과 텅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딩 버튼 방식의 버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2002년 3월 29일자로 발명의 명칭이 "버클"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02-17225호를 출원한 바 있다.
현재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02-17225호에 기재된 종래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이 삽입될 때, 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텅 수용 개구(170)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부(104) 및상측 프레임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는 전방에 교차 슬롯(126)과 양측에 대향 프레임 측면부(108a, 108b)과 후방에 벨트가 감기는 장공(41)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면부(108a, 108b)는 텅 삽입방향에 대해 직교 배열된 래치판 슬롯(12a, 12b)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그 저판(19)의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 내에는 판스프링(190) 및 릴리스 버튼(250)의 작동에 의해 결합 위치와 해제 위치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부(186)를 구비한 래치판(180)이 삽입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저판(19)에는 상기 텅을 상기 텅 수용 개구(170)로부터 압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1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전방에 편평한 전방부(161)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 수직부(14)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종단면이 L자형이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롯(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은 상기 슬롯(11a, 11b)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L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는, 그 폭이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 사이의 폭과 동일하며, 그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에는 그 높이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를 절결한 후방 우측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부(161)에는 전방 우측 걸림부(16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108a)에 형성된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 측면부(108b)에 형성된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단부의 중심에는 버튼 스프링(23)을 끼우기 위한 크랭크 형상의 선단 돌출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11b)의 선단의 래치판 슬롯(12b)에는 선단 돌출부용 슬롯(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250)의 단부(252)의 배면에는 상측 프레임부(106)의 선단 돌출부(24)에 일단이 끼워진 버튼 스프링(23)의 타단을 끼우기 위한 하나의 스프링 안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은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11a)의 후단(16a)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후방 슬롯(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의 상부 중앙에는 걸림돌기(53)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에서 내측으로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측면부(108b)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3)가 통과할 정도의 폭을 갖는 관통 절결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우측면부(108a, 108b)의 상면 후단에는 소정의길이 및 깊이로 절개한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상부 중간에는 소정 폭의 개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190)은 후단부(193)가 수평의 중간부(192)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중간부(192)와 후단부(193) 사이에는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제1 연결부(195)와 상기 개구(22a)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제2 연결부(196)를 형성하며, 상기 후단부(193)의 양측에는 상기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에 안착되는 양단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터(131)는 그 상부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차 슬롯(21)의 전후방 중앙 주위의 저판(19) 상면에는 양돌출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측면부(108b)의 L자형 슬롯(11b)에는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를 하측 프레임부(104)의 후단(10b)의 후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양돌출부(21a)의 대응 위치에 양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양돌출부(21a)를 포함하는 길이 및 높이의 삽입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2-17225호에 기재된 종래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은,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를 프레임부에 형성함에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단부에 형성하지 않고,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부(104)의 양측면부(108a, 108b)의 각각의 선단 상부에 버튼 스프링(23a, 23b)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24a, 24b)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종래의 버클에서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일측면부(108b)의 슬롯(11b)의 선단의 래치판 슬롯(12b)에 선단 돌출부용 슬롯(35)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 릴리스 버튼(250)의 단부(252)의 배면에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선단 돌출부(24a, 24b)에 일단이 끼워진 버튼 스프링(23a, 23b)의 타단을 끼우기 위한 2개의 스프링 안착부(25a, 25b)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단부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24)를 형성하거나 하측 프레임부(104)의 양측면부(108a, 108b)의 각각의 선단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24a, 24b)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측 프레임부(106)와 하측 프레임부(104)의 앞부분에서 선단 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상측 프레임부(106) 또는 하측 프레임부(104)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 또는 하측 프레임부에 선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길이만큼의 원자재를 더 필요로 하게 되어 프레임부를 제조하기 위한 원자재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스프링의 중앙 전방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한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하측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판스프링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릴리스 버튼의 배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하측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상측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판스프링의 상세 사시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하나의 버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의 릴리스 버튼의 배면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의 하측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14는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의 상측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및
도 15는 종래기술의 버클들 중 다른 하나의 버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버클은, 텅이 삽입될 때,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텅 수용 개구(170)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부(104) 및 상측 프레임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는 전방에 교차 슬롯(126)과 양측에 대향 프레임 측면부(108a, 108b)과 후방에 벨트가 감기는 장공(41)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면부(108a, 108b)는 텅 삽입방향에 대해 직교 배열된 래치판 슬롯(12a, 12b)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그 저판(19)의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 내에는 판스프링(190) 및 릴리스 버튼(250)의 작동에 의해 결합 위치와 해제 위치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부(186)를 구비한 래치판(180)이 삽입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저판(19)에는 상기 텅을 상기 텅 수용 개구(170)로부터 압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1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버클로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전방에 편평한 전방부(161)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 수직부(14)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종단면이 L자형이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롯(11a, 11b)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은 상기 슬롯(11a, 11b)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L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는, 그 폭이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 사이의 폭과 동일하며, 그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에는 그 높이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를 절결한 후방 우측 걸림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부(161)에는 전방 우측 걸림부(161a)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08a)에 형성된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 측면부(108b)에 형성된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은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11a)의 후단(16a)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후방 슬롯(52)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의 상부 중앙에는 걸림돌기(53)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에서 내측으로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측면부(108b)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3)가 통과할 정도의 폭을 갖는 관통 절결부(18)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우측면부(108a, 108b)의 상면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 및 깊이로 절개한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상부 중간에는 소정 폭의 개구(22a)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190)은 선단부(191)와 중간부(192)와 후단부(193)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부(192)와 후단부(193) 사이에는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제1 연결부(195)와 상기 개구(22a)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갖는 제2 연결부(196)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193)의 양측에는 상기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에 안착되는 양단부(26a, 26b)가 형성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90)의 중간부(192)의 중앙 전방에는 상기 중간부(192)에 대하여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전방으로 절곡된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의 양측의 중간부(192)의 전방에는 선단부(19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래치판(18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판스프링(190)의 선단부(19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선단부(19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8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버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버클에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10)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90)의 중간부(192)의 중앙 전방에 그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전방으로 절곡된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를 형성하여, 릴리스 버튼(250)에 일단이 끼워진 버튼 스프링(23)의 타단이 판스프링(190)의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의 양측의 중간부(192)의 전방에는 선단부(19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판스프링(190)의 중앙 전방에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의 양측에 선단부(191)를 형성한 것은, 종래의 판스프링에서 선단부만을 형성하고 버려질 부분을 활용한 것이므로 그 만큼 원자재의 낭비가 없어진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판스프링(190)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단부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하측 프레임부(104)의 양측면부(108a, 108b)의 각각의 선단에 버튼 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측 프레임부(106) 또는 하측 프레임부(104)를 형성함에 있어, 상측 또는 하측 프레임부에 선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길이만큼의 원자재를 더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래치판(180)의 상단 양측에는 판스프링(190)의 선단부(19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선단부(19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8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는 코일 형상의 버튼 스프링(23)을 원할하게 끼우기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서는 차량의 충돌시 판스프링(19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판스프링(190)이 상하로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판스프링(190)의 중간부(192)와 제1 연결부(195)와 제2 연결부(196)와 후단부(193)를 동일 평면 상에 형성함과 동시에 그 중앙 부분을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홈이지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판스프링(190)의 양단부(26a, 26b)의 각각의 외측에는, 양단부(26a, 26b)가 하측 프레임부(104)의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에 안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양단부(26a, 26b)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편(27a, 2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도 2에 도시된 하측 프레임부(104)는, 도 1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하측 프레임부에서 선단 돌출부(24a, 24b)만을 제거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릴리스 버튼(250)과 상측 프레임부(106)는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릴리스 버튼과 도 14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상측 프레임부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하측 프레임부(104)에, 제1 장연부(41a)와 이 제1 장연부(41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41b) 및 제1 장연부(41a)와 제2 장연부(41b)를 연결하는 부분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원호상의 단연부(41c, 41d)로 이루어진 장공(41)의 내주면에 전체에 걸쳐 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43)를 형성하였다. 장공(41)은 제1 돌출부(43)에 의해 그 내주면의 폭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가 맞닿는 제1 장연부(41a)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43)는 강판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일측면측으로 버링가공(burring) 또는 드로잉가공(drawing)함으로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동시에 제1장연부(41a)에 대하여 벨트가 반전하는 방향을 따라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1 돌출부(43)가 강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돌출부(43)가 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장연부(41a)에서 벨트에 작용하는 면압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시 벨트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벨트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공은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한 타원형이거나, 또는 벨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장연부 만을 곡선으로 형성한 반달형이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를 모두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장공(41)의 내주면 중 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41a)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장연부(41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41b)도 제1 장연부(41a)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연부(41a)의 중앙부가 벨트로부터의 장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장연부(41a)가 장력의 작용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벨트가 제1 장연부(41a) 상에서 모이는 일 없이, 벨트의 폭이 항상 정상의 폭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벨트의 장력이 제1 장연부(41a) 상에 항상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제2 장연부(41b)도 제1 장연부(41a)와 마찬가지로 만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의 편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벨트를 그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절곡되도록 만곡시키면서 장공(41)에 삽입하는 경우, 벨트의 만곡된 형상에 제1장연부(41a) 및 제2 장연부(41b)의 형상이 거의 일치된다. 따라서, 벨트가 장공(41)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장공(41)의 제1 장연부(41a)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장공(41)의 제1 장연부(41a) 및 제1 및 제2 단연부(41c, 41d)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된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였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직선으로 형성된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2 장연부만 곡선인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버클에 의하면, 원자재가 절감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텅이 삽입될 때, 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텅 수용 개구(170)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부(104) 및 상측 프레임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는 전방에 교차 슬롯(126)과 양측에 대향 프레임 측면부(108a, 108b)과후방에 벨트가 감기는 장공(41)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면부(108a, 108b)는 텅 삽입방향에 대해 직교 배열된 래치판 슬롯(12a, 12b)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그 저판(19)의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 내에는 판스프링(190) 및 릴리스 버튼(250)의 작동에 의해 결합 위치와 해제 위치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단부(186)를 구비한 래치판(180)이 삽입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저판(19)에는 상기 텅을 상기 텅 수용 개구(170)로부터 압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1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버클로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전방에 편평한 전방부(161)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 수직부(14)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종단면이 L자형이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롯(11a, 11b)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판 슬롯(12a, 12b)은 상기 슬롯(11a, 11b)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L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는, 그 폭이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 사이의 폭과 동일하며, 그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에는 그 높이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를 절결한 후방 우측 걸림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부(161)에는 전방 우측 걸림부(161a)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08a)에 형성된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 측면부(108b)에 형성된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며 또한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은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슬롯(11a)의 후단(16a)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 및 상기 전방부(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후방 슬롯(52)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11b)의 후단(16b)의 상부 중앙에는 걸림돌기(53)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에서 내측으로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측면부(108b)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3)가 통과할 정도의 폭을 갖는 관통 절결부(18)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좌우측면부(108a, 108b)의 상면 후단에는 소정의 길이 및 깊이로 절개한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상부 중간에는 소정 폭의 개구(22a)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190)은 선단부(191)와 중간부(192)와 후단부(193)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부(192)와 후단부(193) 사이에는 상기 판스프링 지지공(2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제1 연결부(195)와 상기 개구(22a)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제2 연결부(196)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193)의 양측에는 상기 판스프링 받침부(55a, 55b)에 안착되는 양단부(26a, 26b)가 형성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90)의 중간부(192)의 중앙 전방에는 상기 중간부(192)에 대하여 수직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전방으로 절곡된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의 양측의 중간부(192)의 전방에는 선단부(19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래치판(18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판스프링(190)의 선단부(19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선단부(19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8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프링 지지 돌출부(198)는 전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반원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192)와 제1 연결부(195)와 제2 연결부(196)와 후단부(193)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192)와 제1 연결부(195)와 제2 연결부(196)와 후단부(193)은 그 중앙 부분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홈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90)의 상기 양단부(26a, 26b)의 각각의 외측에는 상기 양단부(26a, 26b)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편(27a, 27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41)의 내주면에는 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장공(41)의 내주면에서 연결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41a)는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연부(41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41b)는 상기 제1 장연부(41a)를 따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2020020026579U 2002-09-05 2002-09-05 버클 Expired - Fee Related KR200296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579U KR200296774Y1 (ko) 2002-09-05 2002-09-05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579U KR200296774Y1 (ko) 2002-09-05 2002-09-05 버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02A Division KR20040021838A (ko) 2002-09-05 2002-09-05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74Y1 true KR200296774Y1 (ko) 2002-12-02

Family

ID=7307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57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6774Y1 (ko) 2002-09-05 2002-09-05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1187B2 (ja) バックル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US6537090B2 (en) Card connector having cam and pin members for securing a card
JP4299941B2 (ja) バックル
US20210323483A1 (en) Bracket for vehicle mount device
GB2334298A (en) Trim clip with resilient latch
JPH04226605A (ja) シートベルトロックタングのバックル
US5508124A (en) Confined battery door
US7631401B2 (en) Buckle structure of waist belt
US11160331B2 (en) Buckle
JPH08279568A (ja) Icキャリア
KR200296774Y1 (ko) 버클
US5584108A (en) Buckle for seat belt device
US6138332A (en) Switch for a buckle, buck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uckle
US7155785B2 (en) Buckl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040021838A (ko) 버클
US20070193008A1 (en) Seat belt device
JP6336907B2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US4127922A (en) Latch device for a safety belt buckle in a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437703B1 (ko) 버클
KR200278123Y1 (ko) 버클
JP3472672B2 (ja) 端子のハウジングへの固定構造
KR20040034131A (ko) 버클
KR20030037795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0437701B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5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6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