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5141Y1 - 독서실 책상 - Google Patents

독서실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141Y1
KR200295141Y1 KR2020020025381U KR20020025381U KR200295141Y1 KR 200295141 Y1 KR200295141 Y1 KR 200295141Y1 KR 2020020025381 U KR2020020025381 U KR 2020020025381U KR 20020025381 U KR20020025381 U KR 20020025381U KR 200295141 Y1 KR200295141 Y1 KR 200295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box
plate
desk
reading 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2020020025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14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형상의 도어가 상,하로 분리된 보관함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관함에서의 책의 인출을 매우 용이하게 한 독서실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후면판(110)의 양측에는 측판(12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게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판(120)의 중간에는 중앙분리판(130)이 설치되어 두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110)의 상측에 앞측으로 도어(140)가 결합된 보관함(150)이 설치되고, 이 보관함(150)의 하측에는 전원콘센트 및 조명조절장치를 갖춘 조명부(16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10)과 측판(120)의 소정높이 위치에는 보강대(171)로 지지되는 책상판(170)이 설치되어 2인이 나란히 앉을 수 있게 된 독서실 책상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150)내의 중간에 선반(151)을 설치한 다음, 상기 선반(151)에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140)를 힌지(152)로서 결합하여 보관함(150)의 상,하 하나만 선택적으로 대응토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140)의 내.외면 가장자리에 소정형상의 손잡이(142)(14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관함(150)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로 닫혀진 도어(140)가 하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140)의 고정돌기(144)와 대응되는 고정구(153)를 형성하며, 상기 보관함(150)의 상,하부 또는 그 중 어느 한 부분에 도어(140)의 도어 걸고리(145)와 대응하여 자물쇠가 채워지도록 하는 걸고리(15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실 책상{reading room desk}
본 고안은 독서실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실 책상의 상.하 선반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독서실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 책상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체로 실용신안공고 제92-7144호에 게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과 같이 후면판(1)의 양측에는 측판(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게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판(2)의 중간에는 중앙분리판(3)이 설치되어 두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1)의 상측에 앞측으로 여닫이 도어(4a)가 결합된 보관함이 설치되고, 이 보관함의 하측에는 전원콘센트 및 조명조절장치를 갖춘 조명부(5)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과 측판(2)의 소정높이 위치에는 보강대(6a)로 지지되는 책상판(6)이 설치되어 2인이 나란히 앉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때, 보관함의 내부에는 대체로 선반이 설치되어 책을 상하로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독서실 책상은 특히, 상기 여닫이 도어(4a)가 보관함 전체를 닫고 있기 때문에 보관함내의 책을 꺼내고자 할 시에는 반드시 여닫이 도어(4a)를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정 형상의 도어가 상,하로 분리된 보관함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관함에서의 책의 인출을 매우 용이하게 한 독서실 책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독서실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도어 142,143:손잡이
144:고정돌기 145:도어 걸고리
150:보관함 151:선반
152:힌지 153:고정구
154:걸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관함내에 선반이 설치된 독서실 책상의 도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보관함내의 중간에 선반을 설치한 다음, 상기 선반에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를 힌지로서 결합하여 보관함의 상,하 하나만 선택적으로 대응토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의 내.외면 가장자리에 소정형상의 손잡이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관함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로 닫혀진 도어가 하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의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구를 형성하며, 상기 보관함의 상,하부 또는 그 중 어느 한 부분에 도어의 도어 걸고리와 대응하여 자물쇠가 채워지도록 하는 걸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 책상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후면판(110)의 양측에는 측판(12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게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판(120)의 중간에는 중앙분리판(130)이 설치되어 두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110)의 상측에 앞측으로 도어(140)가 결합된 보관함(150)이 설치되고, 이 보관함(150)의 하측에는 전원콘센트 및 조명조절장치를 갖춘 조명부(16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10)과 측판(120)의 소정높이 위치에는 보강대(171)로 지지되는 책상판(170)이 설치되어 2인이 나란히 앉을 수 있게 된 독서실 책상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150)내의 중간에 선반(151)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선반(151)의 양측에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140)를 힌지(152)로서 결합하여 보관함(150)의 상,하 하나만 선택적으로 대응토록 한다. 즉, 상기 도어(140)는 선반(151)을 기준으로 상,하 하나의 보관함(150)만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도어(140)의 내.외면 가장자리에 소정형상의 손잡이(142)(143)를 각각 형성하여 도어(140)를 상,하방으로 동작하였을 때 두 손잡이(142)(143)중 하나만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150)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로 닫혀진 도어(140)가 하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140)의 고정돌기(144)와 끼움 결합되는 고정구(153)를 형성하며, 상기 보관함(150)의 상,하부 또는 그 중 어느 한 부분에 도어(140)의 도어 걸고리(145)와 대응하여 자물쇠(미도시)가 채워지도록 하는 걸고리(154)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책상의 상판보다 후면판(110)과 측판(120)을 약간 예컨대, 5센티미터 정도 올려 상판에 가방이나 이불과 같은 물품을 올릴 때 그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독서실 책상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관함(150)내의 선반(151)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책을 꽂는데, 이때 보관함(150)의 내측 상부에 책을 꽂고자 할 시에는 도어(140)를 하향시켜 하부의 보관함(150)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부의 보관함(150)에 책을 꽂는다.
그리고, 하부의 보관함(150)에 책을 꽂을 시에는 하향된 도어(140)를 상향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어(140)의 고정돌기(144)가 보관함(150) 상부의 고정구(153)에 끼움 결합되므로서 도어(140)가 하방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때 하부의 보관함(150)에 책이나 소지품 등 중요한 물품들을 수납한 다음, 도어(140)의 도어 걸고리(145)와 보관함(150)의 걸고리(15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자물쇠를 이용하여 잠근다. 즉, 상부의 보관함(150)에는 수시로 보면서 분실염려가 없는 책이나 물품등을 수납하고, 하부의 보관함(150)에는 중요한 책이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40)의 내.외면 가장자리에는 소정형상의 손잡이(142)(143)가 있어 도어(140)를 상,하방으로 동작시켰을 때 두 손잡이(142)(143)중 어느 하나만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140)가 상,하로 분리된 보관함(150)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관함(150)에서의 책의 인출을 매우 용이하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면판(110)의 양측에는 측판(12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게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판(120)의 중간에는 중앙분리판(130)이 설치되어 두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110)의 상측에 앞측으로 도어(140)가 결합된 보관함(150)이 설치되고, 이 보관함(150)의 하측에는 전원콘센트 및 조명조절장치를 갖춘 조명부(16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10)과 측판(120)의 소정높이 위치에는 보강대(171)로 지지되는 책상판(170)이 설치되어 2인이 나란히 앉을 수 있게 된 독서실 책상에 있어서,
    보관함(150)내의 중간에 선반(151)을 설치한 다음, 상기 선반(151)에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140)를 힌지(152)로서 결합하여 보관함(150)의 상,하 하나만 선택적으로 대응토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140)의 내.외면 가장자리에 소정형상의 손잡이(142)(14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관함(150)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로 닫혀진 도어(140)가 하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140)의 고정돌기(144)와 대응되는 고정구(153)를 형성하며, 상기 보관함(150)의 상,하부 또는 그 중 어느 한 부분에 도어(140)의 도어 걸고리(145)와 대응하여 자물쇠가 채워지도록 하는 걸고리(15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독서실 책상.
KR2020020025381U 2002-08-26 2002-08-26 독서실 책상 Expired - Fee Related KR200295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81U KR200295141Y1 (ko) 2002-08-26 2002-08-26 독서실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381U KR200295141Y1 (ko) 2002-08-26 2002-08-26 독서실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141Y1 true KR200295141Y1 (ko) 2002-11-18

Family

ID=7312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3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5141Y1 (ko) 2002-08-26 2002-08-26 독서실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1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84Y1 (ko) * 2010-01-27 2011-06-15 조성구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84Y1 (ko) * 2010-01-27 2011-06-15 조성구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467A (en) Portable workshop
US5803563A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KR200295141Y1 (ko) 독서실 책상
USD410349S (en) L-shaped workstation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101302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JP2877009B2 (ja)
JPH01162534U (ko)
CN217987053U (zh) 一种带隐藏空间的柜子
JPH10262843A (ja) 昇降収納装置
US11213122B1 (en) Storage cabinet assembly
JP4316111B2 (ja) キッチン構造
CN220800529U (zh) 一种桌面收纳柜
JPH01238807A (ja) 事務用サイドスペーサ
JPH04131485A (ja) 扉装置
JPH10155577A (ja) 机と収納庫の組合せ家具
CN203106258U (zh) 新式柜子
JP3991984B2 (ja) 引き出し
JP2004344248A (ja) 棚構造
JPH05228034A (ja) 収納装置
USD521273S1 (en) Desktop cupboard
KR200295145Y1 (ko) 독서실 책상
JPH0313225Y2 (ko)
JPH0426027Y2 (ko)
JP5912409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72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